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합학급 도우미 지원 형태가 장애학생의 또래 지위에 미치는 영향=

        박세영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9 mentally retarded children who belong to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 by categorizing the inclusive class helper support type into special education staff, public service worker and peer helper, a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nges of peer status by grade and sex with the result of the ex ante and ex post analysis. The conclusion drawn by the result and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 ante and ex post test results by categorizing the changes of peer status by grade according to the inclusive class helper support type was that the special education staff was more effective on the lower grades and the public service worker and peer helper on the upper grades. Secondly, Firstly,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 ante and ex post test results by categorizing the changes of peer status by grade according to the inclusive class helper support type was that the public service worker and peer helper were effective on the boy students and the public service worker on the girl students. Thirdly, the inclusive class helper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peer status of mo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as for the special education staff that supported the boy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the result of the post test showed a decrease. Therefore, the effect of the helper support activity for the inclusive class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vary according to many variables such as types of disability, age, behavior characteristics, problematic behavior degree, etc and many factors such as the qualities of inclusive class helpers, variables of general inclusive class teachers, external environments, etc, and this suggests that the selection of inclusive class helpe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beginning of the school term needs to be cautious.

      • 음악 능력과 언어, 수학논리 능력과의 상관관계

        박세영 성신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고 지각력, 리듬 능력과 언어 능력, 수학논리 능력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학생 60명(남학생 30명, 여학생 30명)을 모집하였다. 연구는 2019년 1월 26일부터 2019년 3월 2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개별적으로 1회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음고 지각력과 리듬 능력, 언어 능력과 수학논리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리듬 재현력 검사, 박 지속력 검사, 음고 지각 검사와 다중지능 검사의 총 4가지 검사를 진행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음악 능력은 음고 지각력 점수(p < .01), 박 지속력 점수(p < .05), 리듬 재현력 점수(p < .01) 모두 언어 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리듬 능력은 박 지속력 점수(p < .01), 리듬 재현력 점수(p < .01) 모두 수학논리 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의 음악 능력은 언어 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고, 리듬 능력은 수학논리 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지지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추후 언어 능력과 수학논리 능력의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및 음악교육에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itch perception ability, rhythmic abilities, linguistic ability, and mathematical-logic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students in the 4th to 6th grade (30 boys and 30 girls) who were enrolled in the general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ce individually from January 26, 2019 to March 20, 2019.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ubjects' pitch perception ability, rhythmic abilities, linguistic ability and mathematical-logic ability, four tests were conducted: reproduction of musical rhythms test, beat keeping ability test, pitch perception ability test, and multiple intelligence test.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inguistic ability of the 4-6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itch perception ability scores (p < .01), beat keeping ability scores (p < .05), and the reproduction of musical rhythms scores (p < .01). Second, the mathematical-logic ability of the 4-6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eat keeping ability score (p < .01) and the reproduction of musical rhythms score (p < .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usical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6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nguistic ability, and rhythmic abilitie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thematical-logic abilit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suppor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s that it can be a basic data for music therapy and music education to improve linguistic ability and mathematical-logic ability in the future.

      • 임플랜트 지지 중간지대치를 이용한 보철물의 설계 변화에 따른 지대치 및 지지조직의 응력 분포

        박세영 조선대학교 199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chanic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sign of prosthesis using implant-supported pier abutment. The IMZ implant with IMC was implanted in the 2nd bicuspid as a pier abutment in the finite element model in the case of missing the 1st and 2nd bicuspids, and the 1st molar unilaterally in the mandible.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the rigid connection (type A), the non-rigid connection with keyway on the distal side of the implant (type B ), the non-rigid connection with keyway on the distal and mesial side of the implant (type C), the telescopic connection with the tapered coping of 6˚ on the canine and 2˚ on the 2nd molar (type D ), the telescopic connection with the tapered coping of 6˚ on the canine and the 2nd molar(type E), the infra-occlusion on the implant and pontics in the rigid connection(type F), and the infra-occlusion on the implant in the rigid connection(type G) was constructed. After finishing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the vertical distribution load of 40Kg was applied simultaneously at the cusp tips of the canine, the 1st and 2nd bicuspids. and at the central fossa of the 1st and 2nd molars, and then the pattern of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he displacement in the abutment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ven designs of prosthesis using implant-supported pier abutment were observed, analyzed and compa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greatest stress was shown at the connected area of the implant abutment and the pontic. and the stress was greater in the order of the non-rigid connection. the rigid connection, the telescopic connection, and the infra-occlusion 2. The stress shown around the implant was greatest at the type A. and the stress at the apex of the implant and at the neck of the implant was least at the type F and at the type C respectively. 3. In comparison with type B and type C. the stress was greater at type B in the neck of the implant and in the connected area of the prosthesis and it was greater at the type C in the middle and apex area of the implant. 4. In comparison with type D and type E, the pattern of the stress and the displacement was shown similarly. 5. In comparison with type F and type G, the stress was a little greater at the type G around the implant, and it was greater at the type F in the mesial portion and at the type G in the distal portion of the connected area of the prostesis. 6. The mesial and downward displacement was shown at the all types, and type A was greatest. type C was greater than type B, type E and type D was similar, and type G was greater than type F in the amount of the displacement.

      • 추사(秋史) 서화(書畫)의 평생교육적 의미 탐구 : 문화적 문해 관점에서

        박세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studies the implications on the life-long education that could be drawn from Chusa (秋史) Kim Jeong-hee (金正喜, 1786-1856)’s calligraphies and paintings from the cultural literacy’s point of view. Cultural literacy which mean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nd artistic background knowledge allows people to read not only the artworks but also the life, ideology, and creative background of the artists, hence the humanistic approach. This is especially useful in learning the Korean ancestors life styles for they had put much emphasis on both the academics and arts. With cultural literacy life-long education, a person can learn the literature, the history, and the philosophy i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Therefore, cultural literacy allows capitalistic modern people to remind themselves of a spiritual value that leads to a valanced life. A step forward from an existing life-long education’s practical cultural-art education, cultural literacy prepares a person to grow a suitable character to the aesthetics acquired from cognitive and aesthetic understanding of arts and cultures. Cultural literacy, comprehensively, could be defined as a knowledge on cultural sphere. Here, cultural literacy is defined as “the understanding of background knowledges that helps the appreciation of arts and culture, and the process of learning those knowledges.” Especially,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arts. As a cultural literacy’s educational material, Chusa (秋史) Kim Jeong-hee (金正喜, 1786-1856)’s calligraphies and paintings were studied and implications from life-long education were drawn. Based on the liberal arts learning and aesthetic education,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artist’s intellectual thinking process, life experience, and artworks wholly. This research will expand the criteria of literacy education by with background knowledge of cultures and arts, and will reset the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from the cultural literacy’s point of view. Three research questions follow: What does the cultural literacy mean in the life-long education? Which differences arise when Chusa’s calligraphies and paintings are seen in the cultural literacy’s dimension? Which implications are drawn when Chusa’s calligraphies and painrings are read with cultural litearcy? Methodologically,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included materials on Chusa and traditional calligraphies and paintings education to enrich the contents. In this study, <Dae’paeng’gho’hoi (大烹高會) Dae’ryun (對聯)> which was written in Chusa style calligraphy (Chusa’che, 秋史體), <Se’hahn’doh (歲寒圖)>, and <Buhl’yi’seon’ran’doh (不二禪蘭圖)> were reviewed from the cultural literacy’s perspective. The implications of cultural literacy on life-long education could be discussed in three dimensions which are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xplor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e need of development of humanities, and the preparation for the quality life. Firstly, Chusa tried to perfect his artistic value by studying his writing throughout his life. Such exploration is important because it holds both the aesthetic appreciation and the continuity of learning. Though life-long education has neglected the education on beauty, aesthetic exploration should be emphasized so that the students could continue on practicing life-long education. Secondly, what Chusa had experienced during his days in exile teaches people of building relationship and emphathy with others. Humanities, the way of living like a human being, needs to be develop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and arts. Finally, because of his preparation, Chusa could draw an orchid that reflects his personal traits. Being ready to complete the life goal and enjoying leisure with arts are ways of preparing for the quality life. <Dae’paeng’gho’hoi (大烹高會) Dae’ryun (對聯)> is written in official writing style of Chusa’che. Here, two lines that make a pair were written in two pages separately. Here, a humble happiness that could be enjoyed was represented. Chusa emphasized the uniqueness that would perfect writing style’s aesthetic. He used ten rocks and thousands brushes for 70 years to study his writing. <Se’hahn’doh (歲寒圖)> is a painting that was given to Chusa’s student who showed limitless respect to then-exiled teacher when Chuwa was exiled to Jeju island. This work could be fully understood when the background knowledge is available. Also, because there is a delicate metaphore represented on the picture, it could show the diverse dimension of cultural literacy. Originally it only contained the picture and a postscript, but scholars of Qing had written poems over the picture after enjoying it, enriching the value of the creation. In <Buhl’yi’seon’ran’doh (不二禪蘭圖)>, Chusa’s relaxation toward his life is well depicted. Chusa viewed drawing an orchid was a training for studying (格致之學) and had drawn an orchid for the first time in the twenty years. Here, the stage of celestial mind (性中天) and no-otherness (不二) were shown in the writing style. The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the life that studies, the life that reflects, and the life that plans. <Dae’paeng’gho’hoi (大烹高會) Dae’ryun (對聯)> shows the life that studies. This spirit is composed of aesthetic study on the best of one’s life, study on aesthetic action based on wide learning and deep engagements (博學篤行), and study of aesthetic value in one’s daily life. Chusa’s struggle for the achievement of the best calligraphic style throughout his life illustrates a life-long education’s value. <Se’hahn’doh (歲寒圖)> shows a life that reflects. The life that reflects is composed of the reflection of human nature, reflection of classical knowledge, and training for artistic refinement. In the artwork,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is depicted and what is written in the postscript highlights the liberal art’s knowledge and the literacy on Chinese letters. Not only the artist but the appreciators also need cultural refinements. Finally, life that plans could be drawn from <Buhl’yi’seon’ran’doh (不二禪蘭圖)>. Finding the real me, preparing for life goals, and preparation for philosophical life constitute life that plans. Chusa had been so ready to draw an orchid for the first time in twenty years that his painting catched the real mind (性中天). Also, from his teaching on orchid drawing, not deceiving oneself, not dropping out in the middle, and striving hard could be learned. These traits are very important in daily life too, not just in arts. Finally, the relaxed lifestyle Chusa had shown led the researcher to think about life-work balance based on arts. Literacy which means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letters, first aimed to lift up the life quality by convenient use of language and escaping the poverty. Then, literacy expanded its meaning as it began to refer to the practice and understanding of a specific knowledge and niche segments which were the byproducts of societal developments. In the past, literacy education of Korea based itself on the functional perspective and focused on reducing the number of illiterate publics. The education had reached its goal pretty fast. Ironically, after it had been neglected from the government after its success, it encountered a hiatus. It was 2007 when it gained the place in the life-long education after the law for the life-long education had been renewed. It achieved the status of adult basic literacy education. Even though the literacy education had to be understood as an adaptation for societal, technological, cultural environment and a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learner, it was captivated in the discourse of literate versus illiterate. Therefore, it failed to provide its traits as a life-long education. Literacy education should expand its targets to everyone so that each person could have a better life and should extend its contents from the understanding of written language. To sum up, by reviewing Chusa’s artworks, it is concluded that the background knowledge that a learner has could lead to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Also, as expanding the learning materials to culture and arts, literate learners could still learn literacy— the cultural literacy, which means that the post-literacy education is needed and literacy education’s meaning could be reset from the life-long education’s dimension. Since cultural literacy on traditional paintings and calligraphies puts its goal on practicing it in modern life, it reaches the value of ‘when a person has newly learnt something while studying the old, the practicing it will be limitless’ (溫故而知新). Therefore, the process of cultural literacy is suitable for the education for arts and culture when improving humanities, the understanding of cultures and arts, and practicing what has been learned are considered. 본 연구는 문화적 문해의 관점에서 전통 서화의 교육적 가치를 탐구하였다. 연구 자료로서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서화(書畫)를 활용하여, 추사의 작품들이 갖는 인문 예술적 의미와 평생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문화적 문해는 문화예술 영역과 관련한 배경지식을 이해하는 것으로서, 문화적 문해 학습이란 작품만이 아니라 작가의 삶과 사유방식, 창작배경 등을 함께 읽어가기 때문에 예술작품을 인문학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이는 특히 학문과 예술을 모두 중요시 했던 우리 선조들의 삶의 방식을 배울 때 요긴한 것으로, 전통문화예술에 담긴 문학, 역사, 철학을 공히 접할 수 있다. 문화적 문해는 물질적 가치에 경도되어 있는 현대인에게 정신적 가치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갖게 함으로써 삶의 균형을 잡을 수 있게 한다. 즉, 문화적 문해 교육이란 기존의 평생교육에서 진행했던 기능과 실기 위주의 문화예술교육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인지적 이해와 심미적 교육을 통해 심미안을 갖추고 이에 어울리는 품성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다. 문해는 문자를 이해하는 능력으로 이해되어 왔으며, 초기 문해교육의 목표는 문자 이해를 기초로 삶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었다. 이후, 문해는 전문적 지식과 세분화된 영역에 대한 이해 및 수행으로 점차 그 의미가 확장되어 왔다. 과거 한국의 문해교육은 문해의 기능적 관점에 충실한 계몽적 문맹퇴치교육에 집중하여 빠른 속도로 비문해율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이 결과에 만족하여 문해교육이 정부정책으로부터 제외되었다가, 2007년 평생교육법의 전부개정에 의거하여 성인 기초·문자해득교육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문해교육은 학습자의 전 생애적인 차원에서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기술적, 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도록 고려되어야 했다. 그러나 문해와 비문해라는 단순구도에 갇혀버림으로써 문해교육이 견지했어야 하는 속성을 발휘할 수 없었다. 문해교육은 모든 사람에게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도록 함으로써 그 대상층을 확대하여야 하며, 문자이해 중심의 문해교육으로부터 내용적 확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평생교육적 요구에 직면하여 문화적 문해는 문화예술교육에의 접근이 요청된다. 포괄적으로 문화적 문해란 문화영역에 대한 이해로 설명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문화적 문해의 개념은 ‘문화예술 영역과 관련한 배경 지식의 이해’로 설정하였다. 이는 문학, 역사, 철학이 중심이 되는 인문학적 학습과 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심미적 교육에의 통합적 접근으로, 예술가의 지적 사유과정과 삶의 체험 그리고 예술작품을 총체적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과 관련한 배경지식을 배움으로써 문해교육이 갖는 외연을 넓히고, 평생교육에서 문해교육의 의미를 문화적 문해 차원에서 재설정해 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평생교육에서 문화적 문해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둘째, 문화적 문해 차원에서 본 추사의 서화 작품은 기존에 이해되었던 것과 어떠한 차이를 갖는가? 셋째, 문화적 문해 관점에서 본 추사의 서화 작품은 평생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가? 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하되, 연구자가 추사 및 전통서화 강좌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관찰한 바를 추가하였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예술가이며 학자로서 중국에까지 그 명성을 떨친 지식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추사체로 써진 <대팽고회(大烹高會) 대련(對聯)>, <세한도(歲寒圖)>,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를 문화적 문해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대팽고회(大烹高會) 대련(對聯)>은 예서로 쓴 추사체 작품이다. 대구(對句)가 되는 두 구절을 각각 한 폭씩에 쓴 대련(對聯) 형식의 작품으로, 일상에서 누릴 수 있는 소박한 행복을 표현한 것이다. 추사는 글자체의 예술성을 살리는 개성을 중시하였고, 자신의 심미안에 적합한 서체를 완성하기 위하여 70여 년간 10개의 벼루와 붓 천여 자루를 닳게 할 만큼 전 생애 동안 서체 공부에 몰두하였다. 그러므로 추사를 단지 천재적 예술가로만 볼 것이 아니라, 자기가 목표한 바를 위해 평생 동안 노력한 사람으로 보아야 한다. 그를 통해 학식과 수양을 바탕으로 한 미(美)에 대한 표현과 일상의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태도를 배울 수 있다. <세한도(歲寒圖)>는 제주 유배시기의 추사가 스승에 대해 변함없이 존경과 지원을 보낸 제자 이상적(李尙迪)에게 선물한 그림이다. 이 작품은 『사기(史記)』에 기초한 문장의 내용을 알게 될 때 작품의 숨은 의미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문화적 문해가 더욱 필요하다. 본래 그림과 발문(跋文)으로만 제작되었던 <세한도>는 이를 감상한 청(淸) 학인(學人)들의 시(詩)가 추가되어 새로운 창작물로 거듭났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더하므로, 감상자의 예술적 소양의 함양에도 주목하게 된다.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는 삶에 대한 여유로움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난초를 그리는 것도 하나의 격치지학(格致之學)이라고 본 추사가 20여 년만 에 난을 그렸음에도 자신의 천성과 딱 맞게 그려내, 추사와 난이 하나가 되었다는 성중천(性中天)과 불이(不二)의 경지를 활달한 글자체에 담아냈다. 추사는 난을 그릴 때 자신을 속이지 않아야 하고, 중도에 포기해서도 안 되며, 99. 99%의 노력 외에도 나머지 하나[一]의 공(工)을 갖추라고 강조하였다. 이는 예술에서뿐만 아니라 최선을 다해 살아가야 하는 삶에서도 중시해야 하는 덕목이다. 이렇게 충실한 삶을 살아가려는 마음가짐을 가지되, 예전 선비들이 정신적으로 여가를 향유했던 와유(臥遊)와 유어예(游於藝)의 의미를 되짚어 봄으로써 현대인이 일과 여가에서 균형을 맞춰 살아가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문화적 문해 차원에서 추사 서화를 이해했을 때,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지식의 이해 수준에 따라 작품 이해의 폭과 깊이가 달라진다. 둘째, 질문을 많이 할수록 이해의 폭과 깊이가 확대된다. 셋째, 특정 연구자의 관점에 매몰되지 않도록 비판적 사고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서화 작품 외에 작가가 남긴 글을 찾아봄으로써 작가의 의도를 알 수 있다. 다섯째, 작가의 삶에 기반 하여 작품을 보게 되므로, 추사의 경우 그의 천재성보다는 노력에 주목하게 된다. 이 과정을 거치면 미적 탐구에서 자신의 최선을 다하려는 평생학습자로서의 자세를 가진 추사에 대하여 폭넓게 이해하게 된다. 문화적 문해 차원에서 세 작품을 감상한 후, <대팽고회(大烹高會) 대련(對聯)>으로부터는 탐구하는 삶, <세한도(歲寒圖)>로부터는 성찰하는 삶,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로부터는 준비하는 삶이라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적 문해 차원에서 본 추사 서화의 평생교육적 시사점은 평생학습에서의 심미적 탐구의 중요성, 인문성 함양의 필요성 그리고 품격 있는 삶을 위한 준비의 세 측면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첫째, 추사가 일생 동안 서법(書法)공부를 통해 추사체를 탐구한 과정은 자신의 미적 가치를 완성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심미적 탐구과정은 미적 가치의 향유 외에 학습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으므로 평생교육에서 중요하다. 그간 미에 관한 교육에 소홀하였으나, 평생학습 실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심미적 탐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추사가 유배기에 겪은 경험은 인간관계에서 중시되어야 하는 인성(仁性)과 인품(人品)에 대해 성찰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문학, 역사, 철학, 예술의 이해를 통해 ‘사람답게 살아가는 길’인 인문성을 함양해야 할 것이다. 셋째, 추사가 우연히도 자신의 본성과 딱 맞는 난을 그리게 된 것은 평소에 그에 대한 준비가 잘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삶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예술을 통해 여가를 즐기는 것은 결과적으로 품격 있는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시사점들은 문화적 고양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평생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하는 바이다. 이상으로, 문화적 문해를 통해 문해교육의 내용이 문화예술의 영역으로 확장됨에 따라 이미 문해된 학습자에게도 문해교육을 확산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후속문해교육의 필요성이 입증되었다. 이는 평생교육 차원에서 문해교육의 의미를 문화적 문해 차원에서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우리의 선조 문인들은 삶과 지적 사유, 그리고 예술을 동일시했던 수양 방법, 즉 인문성과 예술성을 통합함으로써 사람됨의 참 가치인 덕(德)을 학습했다. 현대인이 문화적 문해로 전통문화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는 과정은 ‘인문예술성의 함양,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 배운 바의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소용량 직류 캐패시터를 갖는 단상 다이오드 정류기 입력단 인터버 구동 IPMSM 입력전류 개선

        박세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소용량 직류단 캐패시터를 갖는 인버터 시스템의 입력전류 고조파 개선을 위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입력전류 고조파의 경우 IEC 61000-3-2-Class A에 의해 그 크기가 제한된다. 입력전류 고조파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입력단 전류를 정현파로 만들기 위한 인버터 출력전력 지령을 도출 하였으며, 인버터 출력 전력이 전력 지령을 실시간으로 추종할 수 있도록 이산시간(Discrete Time Domain) 영역에서의 인버터 출력 전력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별도의 제어기를 사용하지 않는 Open Loop제어 방식을 선택 하였으며, 이는 Matlab/Simulink 및 PLECS를 이용한 모의실험 및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 하였다.

      • 동북아 해양갈등이 한반도 해양질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영유권 및 해양경계를 중심으로

        박세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북아시아는 아시아의 동북부 지역을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한중일 3개국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며, 넓은 의미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둥베이 지방과 몽골, 러시아의 극동지역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몽골, 러시아 극동지역 및 시베리아를 가리킨다. 현재 동북아 정세는 급변하고 있다. 한반도의 통일문제, 일본의 독도 침탈, 세계 GDP 1, 2, 3위 국가들의 치열한 군사력 경쟁,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선포, 우리나라의 방공식별구역 확대, 일본의 집단자위권 대상에 한국 포함여부 등이 문제가 되며, 중국의 경제적인 급부상에 일본이 GDP 3위국에 걸맞은 패권을 확보하려 집단자위권 강화에 나서자 그간 조용히 국력을 키워온 중국이 일본의 팽창주의 견제에 맞서 경제력에 걸맞은 힘을 과시하기 시작했고, 여기에 미국은 중국의 급부상하는 국력을 견제하기 위해 일본의 집단자위권 행사를 적극적으로 지지하였고, 중국의 강력한 반발에 현재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미국이 군사력을 확장하고, 중국은 러시아와 연대하는 등 한마디로 동북아는 새로운 힘의 균형을 찾는 중이다. 1950년 6·25전쟁이 났을 때부터 미국은 일본 무장을 종용해 왔고 줄곧 동북아에서 미국을 대신해 방위역할을 더 많이 담당해주기를 원해왔다. 미국에서 어느 정권이 들어서도 앞으로 더욱 그럴 것이다. 그러면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하나? 중국과도 가까워야 하고, 일본과도 친밀하게 지내야 할 상황이다. 그러면서 미-중 간에, 중-일 간에도 서로서로 관계가 악화하지 않는 방향으로 중간에서 역할을 잘해야 한다. 한국은 특수한 지정학적 상황,경제상황, 역사 모든 측면에서 어느 나라를 적대시 할 수 없다. 미국과는 동맹을 보다 강화해야 하고, 일본과는 경제적, 문화적 유대를 발전시키고, 친중과 친러도 전략적으로 해야 하는 균형정책기조가 필요하다. 미국은 한국이 중국과 더 가까워져 자신들이 모르는 거래를 하는 것은 아닌지, 심지어 북한과도 남북정상회담을 포함해 비밀거래를 하는 건 아닌지 수시로 확인하고 한국의 답을 듣고 싶어 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최근 주변 강국의 해양주권 확장 기조를 보면 해양주권 강화 및 첨예한 외교전을 통한 자국에게 유리한 논리개발 및 국제해양질서 개편을 위하여 주력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들면 러시아와 일본간 쿠릴 열도 4개 섬을 둘러 싼 도서영유권 분쟁, 한국과 중국간 이어도 문제와 일본과의 독도를 둘러싼 첨예한 외교적 갈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해양관련 분쟁 및 사건사고는 여러 가지 형태의 지속적인 분쟁으로 대두 될 수 있겠다. 지금 이 시각에도 주변 열강들은 해양영토 확보를 위해 더욱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 일본과 독도를 둘러싼 첨예한 해양주권분쟁이 제기되고 있고, 러시아, 중국, 일본이라는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생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피해갈 수 없는 치열한 해양영토전쟁에서 국제사회의 목소리를 간파하고 이에 발 맞춰 나갈 수 있는 러시아, 일본, 중국 등 각국과의 해양 분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연구 및 해양 분쟁 해결 전문가 양성등으로 해양주권수호는 물론, 군사적 개입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을 피하고 세련된 외교협상을 통한 실리추구로 돌이킬 수 없는 외교적 과오를 배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이 지향하는 영토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필요에서 몇 가지 주요 논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첫째, 영유권분쟁에 있어 제3자인 국제사법기관의 시각에서 사안에 접근하는 자세와 국제사법기관 판결 및 국제공법 소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둘째, 일본국과 러시아간의 쿠릴열도 문제,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의 쿠릴섬과 센카쿠섬 등 지위를 분석함으로써 일본의 영토분쟁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분석 필요하며; 셋째, 중국과 일본국간의 센카쿠섬의 문제와; 넷째, 우리나라와 일본국의 독도문제의 경우,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의 독도의 지위를 파악, 분쟁 당사국인 한?일 양국 간의 역사적인 관계의 분석 및 일제 식민주의에 대한 법적, 도덕적 책임의 지속적인 강조 등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연길시 지역특성을 고려한 민족적 건축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세영 청주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Yanji city which located in northeast of China is the main focal city in politics, economy and cultural area of Korean-Chinese governing state. The city has formed by invasions of foreign nations from the beginning to modern time. Due to the critical situations as the outskirts of the state, Yanji became established as outskirts city for political and military activity and in objective view, these are the root of building up and development of the city. In the late 19 century, the Ching Dynasty removed the ban on immigrations of Koreans to this area and Yanji grew as a city. Architecture was influenced by Russia and Japan as well as North Korea. This architectural development went through as the movement of tradition revival China and Yanji also went through similar architectural development process. In Yanji, the priority was economical profit in rapid growth of economical and city development. Also for bigger profit, they had tendency of using forms and spatial motif from Korean or foreign architecture directly. Eventually, the city became the city without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ereupon, this study is about changes in development of city space structure and stream of modern architecture in Yanji and China which has history and culture of its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able to establish the proposal of designing direction for native characteristics in Yanji city through case studies on contemporary architectures which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city. The space structure of Yanji city has developed from 3 focal points which formed since the primitive times. 'Byung-young'(So-young district) which was an army post as an outskirt city, the 'Bong-wha stand' which used as the means of communication in emergency and the 'Moa mountain' which enclose the south part of the Yanji city. These points have become powerful intersection point to build important city structures later on. In late Ching Dynasty, people gathered and formed a market around the Ching's government offices which was built to supervise the immigrants where East market is at the moment. Then, commercial buildings were built and became Commercial Street. This Street was influenced by Russian architecture as well as the western architecture came through the southern part of China like Shanghai after the war between Russia and Japan. After war between China and Japan, Japanese had a consulate in 'YongJung' at that moment and built a branch consulate in little distance to Russian immigrant supervising office in Yanji and set up a market for Korean-Chinese in the west. Japanese shifted the commercial center from East to West. This influence is still present; Chinese live in East and Korean-Chinese live in West. For architecture of regional characteristic as the Korean-Chinese governing state, Yanji imitated North Korean architecture after the liberatio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Yanji city derived from diverse architectural characters in mainstream over the different period of times. There are three main feature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Yanji city, first is revival of tradition or revival of western classical style, second is blend style which borrows parts of traditional or classical style and third is not borrowing classical but, reproducing an atmosphere or propor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al manner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 Problems of these conditions are first, appearance of the city is destroyed due to crowded monstrous unknown nationality architectures alienated from orthodoxy of European classical architecture. Second is building the city image with lack of distinction between other cities in China, while los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s the Korean-Chinese government state. Third is shortage of development by developer working for capital logic which leads to controversy of loosing identity of the city. Therefore, architecture characteristics which can vary to historical coherence of the city should set in. For this, guidance should be given to architectural design to enhance the regional identity. Architectures of the city and overall city image should reflect it's identity as the city of Korean-Chinese, where majority of Korean-Chinese are living. Proposed three practiced cases for alternative methods to propose designing direction which to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Yanji city. First, an actual example of the department store, the typical contemporary architecture was used to show native traditional architectural space in contemporary function and circulation designing concept. Seco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details in essential elements like: walls, colonnades, windows and doors. Lastly, stylobate, wall and roof, the traditional three divisions on facade was interpreted contemporary and applied to express traditional architecture metaphorically. 연길시는 원시시대부터 형성된 세 개의 경관구성 초점으로부터 발전하였다. 변강도시로서 군대의 주둔지였던 병영(소영지구), 비상시 통신수단이었던 봉화대, 그리고 연길의 남부를 막고 서 있는 모아산이 그것이다. 이 세 개의 초점은 후일 역도(驛道)의 교점이 되었고, 도시공간구조의 중요한 지점들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공간구조 속에서 연길시의 건축은 그동안 시기를 달리하여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정통 유럽 고전건축의 양식과는 괴리된 기괴한 국적불명의 건축형태들이 난립함으로 말미암아 도시의 풍모를 파괴하여 왔고, 조선족 자치주로서의 지역적 특성을 상실한 채 중국의 타 도시와 차별 없는 도시이미지를 형성하여 왔었다. 그리고, 최근 들어서는 자본의 논리에 따른 난개발로 도시 정체성을 상실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 복고적 형식, 혹은 서방 고전적인 양식의 복고적 특성의 시도라든가, 고전이나 전통건축의 일부분을 차용하는 절충형식, 그리고 고전적인 형식을 차용하지는 않지만, 분위기, 혹은 느낌과 비례를 현대식으로 재현하는 수법 등의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조선족이 가장 많이 밀집해서 기거하는 조선족의 도시라는 정체성을 도시의 전체 이미지나 도시건축이 반영해야 할 것이다.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조선족 전통건축은 한족건축의 영향이나 일본건축의 영향을 받았고 북한건축의 전통복고풍의 영향을 받아 남한의 전통건축과는 다른 독특한 형식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한족건축이나 일본풍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북한과 남한의 전통건축형식을 둘 다 수용하는 방향으로 전통건축을 계승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연길 도시의 역사적 맥락에 따라 풍격을 달리하는 건축디자인개념이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연길시의 도시공간구조의 변천과정과 각 시기별 건축의 과정을 조사·연구하고,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담겨 있는 근현대건축의 연구를 통하여, 연길시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민족적 건축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 것으로, 제안된 작품들의 건축공간, 형태 및 요소면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민족적 전통건축공간 디자인 개념의 시도이다. 연변체육·문화중심 계획안과 연길제1백화점 계획안의 동선처리에서 이 개념을 제안하였다. 백화점은 인위적으로 사람들을 원하는 건축공간으로 모이도록 하였다면 전통건축공간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장터를 지나거나 찾는 사람들의 동선을 자연 지형에 맞추어 만들어진 길을 따라 거닐게 한다. 장터에서 처럼 백화점의 전면 도로에 전이공간인 회랑을 만들어서 행인들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와 내부 공간 사이를 지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실내로 자연스럽게 접근한 이용자에게 실내를 커다란 하나의 공간으로 제공하지 않고 이용자의 자연스러운 흐름에 따라 공간을 이용자가 편안하게 볼 수 있는 매스로 공간을 나눔으로써 다른 공간으로의 유도와 연속성을 갖도록 하여 이용자가 스스로 원하여 공간을 지난다는 생각을 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하나의 중심축선(中心軸線) 대신 여러 개의 절선축(折線軸)을 갖게 함으로써 공간 상호간의 균형을 이루게 하고, 이용자가 내부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한다. 절선축을 따라 진입하면서 다른 공간이 중첩되면서 동선을 지루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이용자가 움직이면서 시각적 경험으로 마음속에 보이지 않는 축을 만들어 더욱 흥미 있는 현대적 전통공간을 갖게 하는 것이다. 건축물의 출입구는 이용자가 본 건물로 들어올 때에 바로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한옥에서 솟을 대문을 거쳐서 약간 돌아 들어가는 것처럼 오히려 정면에서 공간을 나눔으로써 다음 공간에 대한 기대를 제공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건축공간은 전통건축공간의 특징인 반폐쇄성 공간으로 나타난다. 전통공간의 특성은 개방성과 폐쇄성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둘째, 건축 입면에서 민족적 건축디자인 개념의 방향 설정을 위한 방법으로 전통건축의 3분법인 기단, 벽체, 지붕을 현대적으로 해석, 적용하는 것이다. 이는 연길역전에서 제안되었다. 기단부분에서는 역전으로 들어오는 많은 사람들이 실내로 바로 들어가지 않고 회랑에서 다른 실로 직접 이동 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에서의 복잡한 동선을 해결할 뿐 아니라, 이용자들이 전통공간에 대하여 오히려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였다. 즉, 전통건축의 요소를 현대에 적용할 때에는 사용하는 기능에 편리함을 줄 때, 이용자는 쾌적함을 느끼면서 지역건축으로서 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전통건축의 기단위에 있는 방에서 낮은 마당을 보는 것과 같이 역전의 대합실에서 낮은 마당을 보면서 방금 들어왔던 마당을 볼 수 있도록 하였고, 전통창호의 창살 그리드에 창호지 대신 유리로 마감을 하여 거의 오픈 되어있는 전통건축의 방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지붕의 처리에서는 전통건축의 특징인 지붕선을 단순하게 처리하여 전통건축의 지붕 분위기를 현대적 감각으로 느끼도록 하였다. 전통건축 지붕에서 제일 낮은 처마선과 용마루선을 강조하고, 재료는 유리를 사용하여 전통건축의 지붕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전통건축의 요소들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전통건축의 건축 요소인 회랑을 현대 상업 시설에 적용할 수 있다. 현재 대개의 백화점에서 도로에 면한 1층에 상품 전시를 위한 유리 케이스를 설치한다. 그러나 이 부분을 전통건축의 열주랑으로 처리하여 백화점의 출구를 회랑의 길이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로에 면한 많은 매장에 쉽게 접근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백화점 실내로도 쉽게 접근하도록 하게 한다. 전통 창호의 창살문양의 패턴을 기존의 창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창호에 색동저고리의 빨강, 노랑, 파랑의 원색을 적절하게 배색하여 전통과 현대를 함께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외벽체의 패턴과 외벽에 부착된 광고판에서도 전통창호문양 패턴을 도입한다. 이처럼 전통 문화를 현대의 기능에 담으면 지역 특성이 더욱 드러나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