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지현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전교육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유아들의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유아지도에 있어서 단순히 부정적인 훈계를 통하여 안전 수칙을 가르치는 것보다 생활주변에서 안전사고의 위험 요소를 충분히 숙지하고 사고에 대하여 능동적이고 방어적인 예방태세를 갖춰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로 자랄 수 있도록 효율적인 안전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의 특성(경력, 학력) 및 유아교육환경 요인(유아교육기관유형, 지역, 담당학급 원아 연령)에 따른 안전교육의 계획성 및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정도를 비교 분석한다. 2) 교사의 특성(경력, 학력) 및 유아교육환경 요인(유아교육기관유형, 지역, 담당학급 원아 연령)에 따른 안전교육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다. 3) 교사의 특성(경력, 학력) 및 유아교육환경 요인(유아교육기관유형, 지역, 담당학급 원아 연령)에 따른 안전교육의 방법 및 자료 실태를 비교 분석한다. 4) 교사의 특성(경력, 학력) 및 유아교육환경 요인(유아교육기관유형, 지역, 담당학급 원아 연령)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을 비교 분석한다.이러한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지역과 전라북도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의 유아교육기관 160곳의 교사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에 대한 교육계획의 필요성과 교육과정 속에 안전교육 내용을 반영하고 있는 정도는 매우 높았다. 둘째, 안전교육의 내용에서는 현 실정에서 중요한 안전교육 내용과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 안전교육 내용이 교통안전, 놀이안전, 시설·설비안전 순으로 나타나 현 사회 실정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안전교육 분야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안전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안전태도 배양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현장에서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 안전교육방법은 이야기 나누기, 자유선택활동, 현장학습, 시청각 자료 순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현장학습, 시청각자료, 가정과의 협조-부모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적인 대피 훈련은 가끔 실시한다는 경우가 많아 정 기적인 대피훈련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안전교육지도서 준비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잇감의 사용법 지도와 도구 사용시 안전 지도 높은 편이었으나 바깥놀이 시 안전과 불조심에 대한 안전, 도구 사용에 대한 안전은 소홀한 편이었다. 넷째,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위한 요구 사항으로는 교육자료 개발 보급 및 교육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prevent infants' various safety accident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safety education i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rather than by making infants learn safety rules by force, but also to propose an efficient program for safety education which can help to encourage infants to have the correct perception and attitude of safety and protect themselves from dangerous elements around daily lif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determined. ① To compare and analyze teacher's plan to and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like a career or an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infants as its type, location, and infants' age. ②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like a career or an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infants as its type, location, and infants' age. ③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thod of efficient safety education and the actual state of its materials according to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like a career or an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infants as its type, location, and infants' age. ④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quirement for safety education in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like a career or an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infants as its type, location, and infants' age.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the subjects selected in this study were teachers working in 160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Daejeon region and Chonbuk Provinc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program for safety education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in educational curriculum were very high. Second, the safety education fields which is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e present circumstances were practiced in order of traffic safety, play safety, and equipment safety on the actual educational spot. Above all, it proved that the most important content in safety education was the encouragement of safety attitudes. Third, the methods for safety education being exercised on the educational spot were in order of a conversation with others, free optional actions, spot learning, and visual materials. And the efficient methods for safety education showed in order of a spot learning, visual materials, cooperation with infants' family, and parental education. Also because the frequency of the actual extrication exercise was very low, the real and regular exercises were sincerely required. Fourth, it proved that the requirement for efficient safety education was mostly the diffusion of materials for safety education and its actual educational practices.

      • 도시계획법제상 주민안전권 보호에 관한 법적 연구

        배태건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도시안전은 도시계획에서 최고 가치기반이 되고 있다.‘안전’이라는 용어는 도시계획 관련 법령의 곳곳에 산재되어 그 개념 또한 비교적 명확한 반면 ‘주민안전권’이라는 개념은 제대로 법적 정의를 내린 곳이 없다. 도시계획에서의 ‘주민안전권’은 도시안전의 개념에 국민의 기본권으로서의 안전권이 결합되어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지만 이를 법제화하여 명시한 곳은 없는 것이다. 도시계획의 출발점인 도시기본계획과 안전도시의 관계, 안전도시를 통해 구현되는 주민안전권의 확보, 이를 포함한 도시계획에서의 안전화 정책과 지속가능한 안전도시 개발을 위한 법제도적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책적 관점의 재난관리와 헌법적 관점의 안전권, 그리고 도시공학 분야에서 논의되어 온 안전도시 및 도시계획에 대한 개념을 서로 연계하여 법적 차원에서 연구한 것이다. 이를 기초로 주민안전권의 개념을 도시계획과 안전도시를 통하여 정립하고 도시계획법제상 주민안전권의 보호방안을 도출하고자 현행 제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주민안전권 확보를 위한 법제적 문제점으로는 생활안전관리계획 측면, 재난안전관리계획 측면, 범죄안전관리계획 측면에서의 주민안전권 확보, 도시계획에서의 민간참여 사업과 주민안전권 확보 문제 등을 분석하고 주민안전권 확보를 위한 안전도시계획의 법제도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도시계획에서 생활문화환경의 안전화 방안. 둘째, 도시계획에서 재난으로부터의 안전화 방안, 셋째, 도시계획에서 범죄로부터의 안전화 방안. 넷째, 도시계획에서의 여성친화적 도시안전화 방안. 다섯째, 도시계획에서 민간참여 개발사업의 안전화 방안. 여섯째, 도시계획에서의 4차 산업혁명 스마트도시 개발과 주민안전권 확보이다. 이를 포괄한 입법적 개선방안으로는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안전도시를 위한 조례 제정시 통일적인 입법 근거가 될 수 있는 가칭 「도시안전기본법」 제정의 필요성과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외에 도시개발법의 개선방안과 범죄로부터의 안전을 위한 셉테드(CPTED) 관련 법제의 개선방안과 함께 도시기본계획의 수립에 있어서 도시안전화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분석에 기초하여 도시계획과 안전도시의 효율적인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의 빌딩풍과 감염질병에 의한 재난도 도시기본계획 수립 시 대응방안에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도시안전의 관점에서 감염질병의 예방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인적·물적 기준을 마련하고 질병관리본부와의 연계와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의무화해야 한다. 빌딩풍은 기술적으로는 재난안전 앱(App)과 연동하여 위험정보지도에 대한 운영 매뉴얼 보급이 필요하며, 법적으로는 도시계획 단계에서 관련 대응메뉴얼 적용을 제도화하고 「건축법」과 「산업안전보건법」 등에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주민안전권이 확보되는 안전도시 구축을 위해서는 사람 중심의 도시를 만들어야 하며 이는 도시계획 단계에서 출발해야 하므로 법적 기초가 될 수 있는 (가칭)도시안전기본법의 제정을 기대한다.

      •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효과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은경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의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의료수준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처리 과정의 복잡성, 정보의 과잉, 완벽한 치료결과에 대한 환자의 기대치와 중증도 질환의 증가로 환자의 안전은 더욱더 위협받고 있다. 병원이라는 복잡한 조직 특히 수술실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는 재정적 손실, 의료진과 병원에 대한 신뢰감 저하, 재원기간의 연장 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의료서비스의 질을 저하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환자 안전문화 인식이 수술현장 실무에서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수행 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는 이미 수행됐지만 환자안전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조합적으로 (in a configurational way) 다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수술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상 경험을 중심으로 환전안전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그 영향요인들과 환자안전 효과성에 대한 가설 검증 및 정책적 시사점을 분석함에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술 간호의 질 향상 및 환자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이론적 고찰 및 선행 연구를 통해 환전안전 효과성에 미치는 네 가지 영향요인들(①환자안전문화 인식I: 병원/수술실 근무환경, ②환자안전문화 인식II: 조직 내 소통, ③환자안전관리 활동, ④환자안전규칙)을 도출하며, 둘째, 환자안전 효과성과 영향요인들과의 관계를 토대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고, 셋째, 가설 검정 및 논의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C 대학교 부속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수술실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립변수 중 환자안전 문화인식(I)-병원/수술실근무환경(β=.226, p<0.05), 환자안전 문화인식(II)-조직 내 소통(β=.287, p<0.01), 환자 안전관리 활동(β=.182, p<0.05)이 종속변수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만 환자안전 규칙은 환자안전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는 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수술실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과거 선행연구에 비해 큰 차이가 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 의료기관평가 인증제 도입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 되면서 간호사들의 안전간호활동 수행도가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환자 안전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환자안전문화 인식정착을 위한 병원 조직 내 소통인 리더십 확보 및 의사소통 채널 구축이 가장 중요하며, 병원/수술실 근무환경(환자안전교육 시스템 구축 등) 역시 환자안전문화 조성에 노력해야 한다. 더불어 환자 안전관리 활동 역시 안전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환자 안전 규칙의 경우 통계적 유의미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의 함의는 강제적 규정의 이행보다는 기본적인 JCI 지침 등의 바탕위에 간호사들에게 자율관리적인 규칙 (self-governing rule) 설계 등의 환자안전문화가 정착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를 확산시키려는 경영진의 관심과 노력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화재 시뮬레이션을 통한 연소가스 측면의 화재위험성 평가 및 인명안전기준 연구: 국내 원자력발전소 및 복합화력발전소를 대상으로

        이석희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가중요시설인 원자력발전소와 복합화력발전소의 사고는 발전소 자체의 물적 피해 뿐만 아니라 국가/사회적 피해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발전소는 전역에 걸쳐 케이블이 다량 포설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의한 고분자 소재인 피복재와 절연재의 열화로 케이블 자체의 난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확산의 위험과 더불어 가연성 물질의 연소로 발생하는 독성 위험 또한 크다. 본 연구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비안전등급 케이블을 대상으로 5개 온도조건(90, 100, 110, 130, 150 ℃)으로 40년 수준의 경년열화를 재현하였으며, 콘 칼로리미터 시험을 통해 가속열화가 연소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화재 초기에는 비열화 케이블의 열방출(=225 kW/m2)이 가장 높았으며, 고온에서 열화가 진행된 케이블일수록 열방출률이 낮았다. 중후기에는 100 ℃ 이상의 온도에서 열화된 케이블은 2차 열방출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난연 성능을 유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년열화 수준을 재현할 수 있는 최대 임계 온도는 100 ℃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케이블 화재의 위험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하여 화재시험 결과를 활용한 화재 시뮬레이션 방법인 Experimental Data Based Simulation(EDBS)를 개발하였으며,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비안전등급 케이블의 화재 시나리오를 재현하여 해당 방법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CO, CO2 외에도 HCN, NOX, HF, HCl과 같은 독성가스가 방출됨을 확인하였으며, 각 독성가스가 허용노출한계를 초과하는 순서를 통해 독성가스의 유해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종합 독성 지수와 시간 가중 평균 결과를 통해 모든 독성가스의 종합적인 영향을 평가한 결과, 종합 독성 지수(t=50 s)가 가장 major한 영향수준을 가진 CO보다 상당히 빠르게 허용노출한계에 도달하였다. 해당 결과를 통해 기존 인명안전성 평가요소인 CO, CO2, O2 뿐만 아니라, 연소생성물에 포함된 모든 독성가스의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수행되어야 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종합 독성 지수를 통해 개선된 인명안전성 평가 데이터를 제공이 가능하며, 실험 데이터 기반 화재 시뮬레이션의 현실반영도와 정확도 높은 결과는 적절한 화재 비상 대응 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cidents of nuclear power plants and combined thermal power plants, which are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are likely to expand to national/social damage as well as physical damage to the power plant itself. In particular, since a lot of cables are installed throughout the plants, the flame retardancy performance of the cable can be degrad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sheath and insulation materials, which are polymer materials, due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o, this study reproduced 40 years of aging under five temperature conditions (90, 100, 110, 130, 150℃) for non-class 1E cables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and analyzed the effect of accelerated degradation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through a cone calorimeter test. In the early period of combustion, the peak of heat release rate of the non-aged cable (=225 kW/m2) was the highest and the heat release rate are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condition increased. It was determined that cables degraded at a temperature of 100°C or higher did not maintain flame retardant performance, so secondary peak of heat release rate did not occur. It was verified that the maximum critical temperature capable of reproducing the aging degradation level was 100°C. To accurately assess the risk of cable fire, the experimental data-based simulation(EDBS) using the fire test results was developed,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method were verified by reproducing the fire scenario of non-class 1E cable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oxic gases such as HCN, NOX, HF, and HCl were released along with CO and CO2, and the effect of the toxic gases was evaluated relatively through the toxicity criteria in which each toxic gas exceeded the allowable exposure limit. In addition,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omprehensive effects of all toxic gases through the comprehensive toxicity index and time-weighted average results, the comprehensive toxicity index (t=50s) reached the allowable exposure limit substantially earlier than CO with the most major effect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ll toxic gases contained in combustion products as well as existing life safety evaluation factors, CO, and O2, should be performed. The comprehensive toxicity index proposed in this study can provide improved life safety evaluation data, and the realistic reflection and accurat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data-based simulation can aid in establishing appropriate fire emergency response plans.

      • 재난안전사업평가 성과관리분석을 통한 평가지표 표준모형 개발 연구

        노정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구는 증명을 추구하고, 평가는 개선을 추구합니다.” -Michael Quinn Patton 재난안전사업평가 제도는 중대 재난 및 잦은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가 가중되어, 부처별로 흩어져 있는 재난안전사업을 행정안전부(구, 국민안전처)가 총괄적으로 검토하는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 제도’의 시행에 따라, 재난 및 안전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범부처적으로 평가하여 사업의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자, 2015년에 재정사업자율평가에서 분리되어 재난안전사업을 전문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하지만, 재정사업평가제도의 변경과 짧은 이력으로 평가제도가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았으며, 재난안전사업의 특성과 추진목적이 고려하지 않고 재정투자의 효율성만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 평가지표 등 재난안전사업 평가제도 전반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가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각 부처의 자체평가 담당자가 인명 및 재산피해 저감 사업성과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도록 인명피해 저감 사업 중심으로 표준 평가지표를 발굴하여 재난안전사업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조사와 재난안전사업평가 제도와 국가안전관리계획,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 간의 연계 분석을 통하여 평가제도와 연관 관계 정립 및 평가지표 등 제도 개선에 필요한 사항을 추출하였다. 둘째, 국내외 유사 평가제도 및 선행연구와 평가 항목의 유사성 검토를 거쳐 재난안전사업의 분석을 통한 인명피해 저감 관련 표준평가 적용 대상 사업을 분류하여 인명피해 저감 사업 분야의 궁극적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지표 표준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평가 총괄담당자가 자체평가 및 유형별 평가를 위한 재정성과관리체계 재정립뿐만 아니라, 각 평가의 평가지표의 체계를 개편하고, 각각의 평가의 목적에 맞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부처 사업담당자들이 해당 사업의 성과관리체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사업추진 성과 및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적합한 성과지표를 만들어 원활하게 성과관리를 수행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처의 자체평가 담당자는 해당 부처의 사업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자체 평가지표를 만들어 효율적으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안전사업의 유형에 특화된 재정성과목표관리체계 재정립과 평가유형에 맞는 평가지표 개발을 통하여 평가한다면, 재난 및 안전관리의 궁극적 목표인 인명과 재산피해 저감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search seeks to prove, evaluation seeks to improve.” - Michael Quinn Patton The disaster safety program evalu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2015 to evaluate disaster safety programs professionally, and it was separated from the self-evaluation of financial programs. This is a result of the 'Disaster and Safety Budget Pre-Consultation System', which is being comprehensively review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of Safety (formerly known as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and relates to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ograms divided up among departments responsible for serious disasters and for more frequent safety-related accidents.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is review,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investment efficiency of the program b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disaster and safety programs across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of Safety. However, due to the change and short history of the financial project evaluation system, the evaluation system was not fully established. In addition, as the government is moving toward emphasizing the efficiency of fiscal investments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safety programs and the purpose of their implementation, improvements in the overall evaluation system of disaster safety programs, including evaluation indicators, is requi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o draw up improvement tasks, and to find standard assessment indicators centered on the program for casualty reduction and to utilize it for evaluation of disaster safety programs so that the personnel in charge of self-assessment of each department can proper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to reduce casualty and property damage.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links between the disaster safety program evaluation system, the national safety management plan, and prior consultation on the disaster safety budget, the matter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were extracted,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assessment system and the evaluation indicators. Second, a model of evaluation indicators was developed that could measure the ultimate performance of the program for casualties reduction by categorizing programs subject to standard assessment related to reduction of human casualties through analysis of disaster safety programs after reviewing similar assessment systems at home and abroad and after reviewing prior research and assessment item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helpful for the in charge of evaluation to not only re-establish the financial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self-evaluation and type evaluation, but also to reorganize the evaluation indicator system for each evaluation, and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each evaluation. In addition, the department's project managers can establish a new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the project and create appropriate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analyze the project promotion performance and effects to facilitate performance management, and also efficiently conduct evaluation by creating self-evaluation indicators suitable for evaluating their programs. Therefore, if the evaluation is conducted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the financial performance goal management system specialized for the type of disaster and safety project a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typ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human and property damage, the ultimate goal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 안전행동의 차원에 관한 연구

        문고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안전과 관련된 행동이 의도-비의도, 안전-불안전 행동 차원에 따라 실수행동, 위반행동, 준수행동, 안전습관행동으로 구분되는지를 확인하고, 심리적변인(인지실패, 성실성, 성취목표 지향성, 정체성)을 통해 구조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202명, 직장인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결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안전행동의 실수, 위반, 준수, 안전습관 요인과 다른 심리적 변인(인지실패, 성실성, 성취목표 지향성, 정체화)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행동이 연구자가 가정한 안전-불안전, 의도-비의도의 차원에 따라 실수, 위반, 준수, 안전습관의 요인으로 구분되는 것을 검증하였고, 인지실패, 성실성, 성취목표 지향성, 정체성이 안전행동의 각 요인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를 분석해 본 결과, 2×2 안전행동 구조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를 갖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 학교내 시설물 관련 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체계에 대한 연구

        박상근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교안전공제회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학교안전사고는 2003년 22,722건, 2004년 29,955건이며, 지난해의 경우도 전년대비 12.9% 증가한 33,834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시설관련 안전사고는 3년 동안 총168건으로 전체의 0.2%로 미약하지만 그 중요성은 다른 안전사고보다 여러 가지 면에서 중요성을 갖고 있다. 첫째 시설관련 사고는 신체의 손상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고, 둘째 평소에 안전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이다.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물의 안전사고 예방 및 효율적인 관리방안과 피해학생에 대한 보상체계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첫째, 학교시설물 관련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는 예방교육 및 안전문화운동의 지속적인 실천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안전관리 책자를 제작하여 각급학교에 보급함은 물론 교직원들에게는 1년에 최소 2회 이상 안전관리전문기관에 위탁연수를 받도록 하거나 전문강사를 초빙하여 안전에 관한 연수를 실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둘째, 학교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며, 그 내용으로는 학교시설물에 대한 매월 안전점검 및 보수 내용을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 등재하고, 각종 시설 도면이 보존되도록 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전산화하여 NEIS 등재를 의무화 하여 학교시설관리자가 변경되더라도 학교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및 유지 보수가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셋째, 학교시설물에 대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위하여는 전기, 가스, 소방시설을 안전관련 전문기관으로부터 정기적인 점검을 받고 있는 것과 동일하게, 일반건축, 기계설비, 체육시설, 놀이기구, 수목, 수영장, 체육관, 급식실 등의 학교시설에 대하여도 비전문가인 학교관리자(교장 및 행정실장)의 유관검사가 아닌, 건설산업기본법 등에 의한 안전점검 전문기관에 의하여 점검을 받도록 하거나, 학교안전공제회가 소방안전점검은 물론 일반 시설물 및 놀이기구 등에 대하여도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넷째, 학교안전사고 발생시 피해학생에 대하여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책임주체로서 치료 및 보상을 실시함을 원칙으로 하되, 국가의 재정형편상 당장 이의 실현이 어려우면 차선책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 국민건강보험, 고용보험, 국민연금 등과 같이 학생사고에 대하여도 완전한 사회보험제가 실시되어야 하며, 학교안전사고의 법적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사건 당사자에 대한 법률지원 서비스를 실시하고, 사고 관련 교직원에 대한 법적 책임 중 불가항력적인 상황에 따른 사고 등에 대하여는 민·형사상 책임을 면책하고,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한해서만 징계책임을 묻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기한 제도개선 방안들이 학교현장에 제대로 접목되어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면 시설물관련 법령들의 개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도 여러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하며, 이에 대한 관련부서의 적극적 검토가 이루어져 학교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변경되어 시설물 관리가 사후약방문이 아닌 사전 예방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statistics published by In-School Safety Mutual Aid Fund, in-school safety accidents have increased every year, from 22,722 cases in 2003 to 29,955 cases in 2004 and 33,834 cases (12.9% increase) last year. In particular, facility-related safety accidents are very serious partly because they may result in injuries and partly because they could be checked by an effective facility management, although they account for only 0.2% of safety accidents; for the last 3 years, a total of 168 accidents were related to school facilities.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ways to effectively prevent and manage safety accidents related to in-school facilities and reform the compensation system for victim students.First, in order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related to in-school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educate students/teachers/ staff on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as well as stage a safety culture campaign on the part of each school. To this end, it is required of relevant authorities to publish and distribute a safety management manual to schools, while committing school teachers and staff to outside special safety management centers or invite outside safety management specialist for lecture more twice a year at least.Second,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each school; monthly safety checks and maintenance activities should be recorded on 'NEIS', while an ordinance be enacted to preserve various facility drawings, which may well be computerized to be included in NEIS. Then, if school facility managers are changed, safety checks and maintenance activities w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Third,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in-school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have them checked regularly by such safety special organizations as electricity, gas and fire-fighting companies, and at the same time, refer to safety checking special organizations licensed according to Basic Construction Industry Code for such facilities as buildings, machines, sports facilities, playing devices, trees, swimming pool, gymnasium, dining rooms, etc., rather than have them checked by non-professional managers (principals or school administrators). Otherwise, School Safety Mutual Aids Fund may well be authorized to check not only fire-fighting facilities but also other ordinary facilities and playing devices.Fourth, in case of in-school safety accidents, central and local administration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victim students by having them treated and compensated in principle, but if nation's budget should not allow for such treatments and compensations, in-school safety accidents would be covered by a social security insurance net like Industrial Disaster Compensation Insurance, National Health Insurance, Employment Insurance or National Pension.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the parties concerned with legal consulting services, while holding teachers and staff immune from force majeure accidents in terms of both civil and criminal responsibility; they would be responsible for the accidents only when they have caused the accidents intentionally or out of misfeasance.Lastly, relevant codes and enforcement ordinances should be necessarily revised in order to effect the reform measures suggested by this study. In this regard, this study put forwards some directions for revision of codes. It is only hoped that relevant authorities will review various approaches including these reform measures to a systematic in-school safety management and thereby, prevent otherwise avoidable in-school safety accidents.

      • 소방공무원 안전사고 분석 및 개선방안

        박철한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산업이 고도화되고 사회가 복잡화․다양화 될수록 더불어 소방대상물도 지하화, 대형화, 고층화, 지능화됨은 물론, 전기․가스․화학물질 등의 사용급증으로 화재발생위험 역시 가중되고 있고 화재양상도 다양화와 복잡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화재현장은 소방공무원의 안전을 위협하는 많은 위험요인들이 잠재되어 있고 때로는 화재진압활동중 소방공무원이 안전사고로 인하여 순직하거나 부상을 당하는 등 희생이 따르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안전사고 발생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 현장 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공․사상자 기본 현황을 통계적으로 분석해보았고, 이러한 사례 사고를 참조한 위험인자들의 유형별 활동 메카니즘 분석과 이를 활용한 안전사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안전사고의 재발 방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안전관리의 제 이론 및 소방 활동 현황과 안전관리의 필요성을 살펴보았고, 둘째는 우리나라 최근 5년간의 순직 및 공상자 분석 및 한․미․일 나라의 공․상자 현황을 비교하였으며, 셋째는 선행 연구 자료에서 인용한 안전사고 직무현황별 실태 분석 및 유형별 Matrix에 안전사고 사례를 덧붙여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넷째는 소방 활동 안전사고 요인별 문제점 및 이에 대한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효과적인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졌다고 할지라도 궁극적으로 이를 운용하고 실천하는 소방공무원 개개인이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의식을 습관화 하지 않는다면 안전사고는 매년 소방 활동 현장에서 반복될 것이다.

      • 어린이 소방안전교육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윤영선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rough this study on Nursery Fire Safety Training Practices and problems, the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the teachers who are non-experts on Fire Safety, are not equipped with an expert program or an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Fire Safety Education against emergency. Therefore, an effective counter plan suggested for the above mentioned problem is to establish the Children system safety working group (CSSWG), to suggest a model to expend and deepen the Fire Safety Educational activities for Children. 어린이집 소방안전교육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현재 어린이 소방안전 비전문가(non-expert) 어린이집 교사들이 화재대비에 대한 소방안전교육 활동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문가(expert) 집단의 어린이 소방안전교육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전문가(expert) 그룹집단이 만든 어린이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을(CSSWG) 구축하고 모델을 제시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화재 안전교육 활동의 확장 및 심화를 돕도록 한다.

      • 텍스트데이터 기반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선진 건설회사의 안전경영 특성 분석

        최윤길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기업의 최고경영자인 CEO 는 회사의 비전과 전략 수립, 리더십을 통해 지속가능경영을 이어간다. 하지만 CEO 혼자만의 의지로는 거대한 조직을 움직일 수 없기에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이 중요한데 이러한 소통의 수단으로써 CEO메시지가 주목 받고 있으며 사회과학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주제로 언급되고 있다. 기존 CEO 메시지 연구들은 주로 재무측면 위주의 분석이었다. 최근 재무성과와 더불어 회사의 지속성장에 영향을 주는 안전성과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지만 그 동안 안전측면의 CEO 메시지 연구는 미흡하였다. 회사의 전반적인 경영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CEO 메시지에서 안전과 관련하여 CEO 의 성향이나 의지, 강조하는 의미에 대한 해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선진 건설회사들의 CEO 메시지에서 강조하는 안전관련 단어들을 추출하고 둘째, 연구문헌을 통해 강조되고 있는 안전관련 키워드와 실제 경영상황을 반영하여 CEO 가 강조하는 단어들의 성향을 비교하며 셋째, 단어들이 내포하고 있는 내적 의미와 구조적 해석을 통해 안전경영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ENR (Engineering News Record) 랭킹의 회사를 대상으로 100 대 선진회사를 선정하였고 각 회사에서 발행되었던 연차 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의 핵심이며 결론에 해당하는 CEO 메시지를 분석하였다. CEO 메시지의 길이, 단어의 형태, 단어의 단순빈도 등을 분석했던 과거 연구와는 다르게 키워드의 도출을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세중심성, 인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의 정량적 수치에 의한 단어리스트 40 개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단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안전경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안전성과인자와 매핑을 통한 분류 작업을 진행하였다. 분류된 안전성과인자 간 관계를 네트워크로 시각화 화여 선진회사의 CEO 가 생각하는 안전경영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해보면 키워드는 “management”, “value”, “employee”, “system”, “project”, “culture”, “new”, “occupational”, “practice”, “basis”의 총 10 개이다. “management”, “employee”, “culture”의 세 가지 단어가 연구문헌에서 중요하게 강조하는 키워드와 CEO 가 생각하는 키워드의 공통 단어임을 발견하였다. 키워드간 비교는 유의어를 감안하였을 때 중요시하는 단어는 비슷한 성향을 보인다. 안전경영특징은 Motivation, Rules and Regulation, Resource and Equipment 인자가 가장 중심성이 높았으며 Culture and Climate 인자가 구조적으로 위의 인자들과 연결력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Safety Investment and Costs 인자는 중심성이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작업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단어의 선택, 중심성이 낮았던 안전투자 관련 인자의 보완, 직접적인 Safety 라는 단어 외 연관성 있는 단어들의 사용을 제언하였다. A chief executive officer (CEO), the head of a company, pursues sustainable management by establishing the company’s vision and strategies while demonstrating leadership. The will of a CEO, however, is not sufficient to shift a large organization to a certain direction, and so the CEO’s communication with interested parties becomes ever more important. Accordingly, the CEO’s message is gaining attention as a vital mean of communication and as a critical research topic in social science fields. Previous studies on CEO messages have focused on the financial aspects of business. However, even as the importance of the company’s safety performance has been on the rise, along with financial performance (as it affects the sustainable growth of a company), there has been a dearth of research on CEO messaging which examines a company’s safety record. The inclination and will of a CEO and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safety needs to be analyzed, as it conveys the general management trends of the company. In this study, therefore, the researchers first extracted words related to safety that were highlighted in the CEO messages of leading companies. Subsequently, the keywords related to safety highlighted in literature reviews and the words emphasized by CEOs to reflect the actual status of their management and operations were compare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management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interpretation and examination of the underlying meaning of the words. The top 100 companies on the Engineering News Record (ENR) rankings were selected as the leading companies. The CEO messages, including the core as well as the conclusion, introduced in annual reports and sustainability reports published by each company were analyzed. Language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to deduce the keyword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simply examined the length of a CEO’s message, word format, an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words. A list of 40 words was extracted based on the quantitative values of eigenvector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 weight was given to the extracted words in order to perform classification through mapping against safety performance factors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management.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lassified safety performance factors was visualized as a network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management pursued by the CEOs of the leading companies. Whe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10 keywords including “management,” “value,” “employee,” “system,” “project,” “culture,” “new,” “occupational,” “practice,” and “basis” were deduced. The words “management,” “employee,” and “culture” were the common keywords that were considered important by CEOs and highlighted in literature reviews as significant words. The deduced keywords and the important words have similar inclinations, considering their synonyms. Lastly, the factors Motivation, Rules and Regulation, and Resource and Equipment exhibited the highest central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management, while the factor Culture and Climate had a structurally high connection with those factors. By contrast, the factor Safety Investment and Costs had the lowest centrality.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suggest selecting appropriate words to form a degree of consensus with workers, supplementing the factors related to safety investment with low centrality, and using direct “safety” words and other relevant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