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3학년 음악교육 선호도 조사연구 : 경기도 양평지역 현대음악을 중심으로

        조은경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음악은 인간의 전 생애동안 함께 해야 하며 더욱이 사춘기 시절에는 좋은 음악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어 음악을 통해 그들의 내면을 가꾸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도와줘야한다. 또한 학교에서는 음악 수업을 통해 특히 사춘기에 접어든 중학생들의 음악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식하며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하며, 음악을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토대 위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자료들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중학생들의 음악 선호도를 통하여 어느 정도 음악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아는 것은 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교사에게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에 대한 올바른 판단력과 가치관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의 음악교과 목표는 “다양한 악곡과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한다.”이다, 즉 다양한 음악적 체험을 통하여 바람직한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음악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특정시대의 음악만 추구하지 않고 현대음악을 포함한 다양한 시대 음악을 경험할 수 있는 음악적 개념 이해와 활동을 통한 창의력 사고 능력을 길러내야 한다. 현대음악을 음악교육의 내용으로 삼는 것은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을 발달시키고 창조성을 길러 줄 수 있고 현대음악을 이해함으로써 미래의 음악 문화를 수용하고 개척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미적 감각과 폭넓은 사고방식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현대음악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음악 교육에 대한 선호도 조사와 현대음악 교육에 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올바른 음악 교육의 대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음악교육이 좀 더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건전한 음악 생활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또 학생들이 현대음악 학습을 보다 쉽게 이해 할 수 있고, 교사들이 현대 음악 지도 방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적극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를 기대한다. Musical education helps understanding human life. It is essential not only for growing an esthetic sense but also stimulating creativity and variety. Learning music is the whole life assignment. It is necessary to give a chance to learn music to young people for their character. As an effective lecture needs the students attention, surveying the area of interests of the students is essential. And then exploiting the interests would increase effectiveness of the class. The objective of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is to enrich musical emotion through various musical activities. It means different kinds of musical experiences enhance the students' comprehensive and imaginative faculty. However, the present education is focused on eighteenth classicism and nineteenth romanticism. It is natural that designating the modern music as a element of the music curriculum because it represents the taste of the students in this 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taste of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to propose an advanced method of instruction that makes them familiar with music. At first, this thesis is dealing with the contents of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Next, I am going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at ask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which kind of music they prefer and whether they like modern music or not. At last, I am going to study about an alternative method of music instruction adjusted for the students.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present easier and more effective way to teach music.

      • 간호사의 암성 통증관리 지식 및 수행 실태 :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을 중심으로

        조은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의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2008)을 중심으로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수행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 3개 종합전문요양기관, 3개 종합병원과 경상북도 소재 3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3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암성 통증관리 지식 및 수행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2008)을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9년 9월 16일부터 2009년 10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 분석하였다. 1. 전체 암성 통증관리 지식의 총점은 74.50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비약물요법에 대한 지식 86.9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암성 통증에 대한 지식 75.11점, 약물요법에 대한 지식 71.98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전체 암성 통증관리 수행 실태의 평균평점은 3.03점으로 ‘대체로 한다’ 정도에 해당하는 수행 실태가 나타났다. 영역별로 통증평가 수행 3.12점, 통증중재 수행 3.08점, 통증사정 수행 2.91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연령, 총 근무연수, 근무분야, 직위, 최종학력, 종교, 결혼상태, 통증관리 교육받은 경험, 통증관리 교육받은 횟수, 암환자 간호 근무연수,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 인지 등이 지식과 수행 실태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대상자의 암성 통증관리 지식과 수행 실태(r=.324, p<.001)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성 통증관리 수행 실태에 대해 근무분야,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 인지, 결혼상태, 통증관리 교육받은 횟수, 종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29.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암성 통증관리 지식이 높을수록 수행 실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을 인지하고 있을수록, 통증관리 교육을 많이 받았을수록 암성 통증관리 지식과 수행 실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암성 통증관리지침에 기반한 계속적인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암성 통증관리 프로그램 개발 시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호실무 및 연구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study to understand the knowledge and perfo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in clinical nurses based on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2008) developed by Korean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The subjects were 364 nurses from medical or surgical nursing units of three tertiary hospitals and six secondary hospitals in Daegu, Kyungbuk area. Two instruments were used to measure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which were developed based on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6 to october 7 in 2009.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7.0 program.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tal mean score in the knowledge of cancer pain management was 74.50. Total mean score in the perfo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is 3.03.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nd perfo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ubjects' age, total length of service, field of service, position,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state of marriage, experience of receiving education about pain management, the number of receiving education about pain management, length of service for cancer patients, recognition of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 and so on. 3.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nd perfo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r=.324, p<.001). The field of service, recognition of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 state of marriage, number of receiving education about pain management, explained 29.1% of perfo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In conclusion, it is showed that they conduct the perfo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more as they have higher the knowledge of cancer pain management. It is found that it has the more influence on knowledge and perfo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as they notice the more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 and the more educated they are about pain management.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it is required continual educations based on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 in order to conduct organized and effective pain management.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a program of cancer pain management as well as contribute to nursing practice, research and development.

      • 인센티브제도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은경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 of Incentive System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Eun-Kyoung Jo Advisor : Prof. Kang-Ok, Lee Ph.D. Department of Business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stration, Chosun University An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of a corporation can be achieved by physical apparatus (machinery, capital, etc.) and the motivation of human resources. By the way, because it is humans who procure and operate the physical capital, what is the most important is to find sufficient competent managerial personnel and to provide the managers with motives with which they can strive to achieve the goals of their organization. In that regard, this study is designed to look into how the incentive system aimed at providing motives influence their immersion in the organizati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incentive system on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showed that non-material factors and material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erting influence. Second, the results from analyzing how the incentive system contributes to the normative immersion among organizational immersions in various organizational sizes showed that all the factors for motivating employees at big compani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normative immersion, and that for employees working in medium-sized companies non-material indirect factors(p<.000) and material indirect factors(p<.05) were significant in bringing about the normative immers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employees in small companies only non-material indirect factor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bringing about the normative immersion. Third, the results from analyzing how the incentive system contributes to the willful immersion among organizational immersions in various organizational sizes showed that all the factors for motivating employees at big compani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willful immersion, and that for employees working in medium-sized and small companies non-material indirect factors were significant in bringing about the willful immersion. Fourth, the results from analyzing how the incentive system contributes to the emotional immersion among organizational immersions in various organizational sizes showed that only material direct factors were significant, and that for employees working in medium-sized companies all the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in bringing about the emotional immers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employees in small companies only non-material indirect factors(p<.000)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bringing about the emotional immersion. The results above confirmed that the incentive system for motivating the employees of an organization plays an important part in enhancing their immersion in their organization. Many companies have some incentive system in place, but the results cited above indicate that, unlike other previous studies where all incentive systems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productivity and achievement, different incentive systems bring about different effects. Therefore, it is advisable that selective incentive systems should be introduc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ize and task of each organization.

      • 어린이 피아노 초급 교재 선택과 음악교육의 연계성 조사 연구

        조은경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에 조기교육의 열풍과 함께 2000년대에는 학습자의 연령층이 낮아지게 되자 피아노 기초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져 피아노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움직임들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음악학원에 도입되어 활용되는 교재를 선택, 분석하여 교재 선택과 음악교육이 어떠한 연계성을 갖는지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어린이의 창의적인 음악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피아노 학원에서 기초 교육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교재를 선택하여 광주광역시, 목포시내 소재한 음악, 피아노 학원 136군데를 무작위로 선정, 전화 설문 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백분율로 계산하여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로 몇 가지를 언급해보면, 첫째, 초급 교재에서 독보력(악보읽기), 박자와 리듬 교육이 음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피아노를 연주한다는 것은 기본적인 악보를 해석하는 능력인데 여기에 정확성을 요구하는 독보력(악보읽기), 박자와 리듬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확인시켜 주었다. 둘째, 초급교재에서의 화음 조성, 선율, 음악이론, 템포, 음악성 향상, 전체적인 만족도는 음악교육에 큰 도움을 주지 않고 있음을 알았다. 음악교육의 방법으로 피아노를 통해 도움을 받고자 한다면 피아노 학습에서 소리를 듣고 구별할 수 있는 능력,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 밑바탕이 깔려있는 것에 정확한 독보와 리듬, 박자를 인식하고 반복학습의 음악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셋째, 초급교재에서의 음악성 향상 교육은 별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알았다. 음악성은 선천적인 음악성과 후천적인 음악성으로 구분되는데, 우리가 음악교육을 시키는 궁극적인 목적인 후천적인 요소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를 보면 충분한 선행학습(듣고, 부르고, 인식하는 것)이 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넷째, 초급교재에서의 음악이론이 체계적이지 못하고 단편적이긴 하지만 음악교육에 많은 효과가 보여짐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피아노를 통한 음악교육을 진정한 삶의 일부분으로의 활용보다는 시험에 비중된 교육으로 인식되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악보를 보고 단순한 연주만을 하는 데에 음악교육이 목적을 두는 거 같아 안타까웠다. 현재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은 독보력(악보읽기), 음악이론을 중심으로 음악성을 향상시키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어린이 피아노 초급 교재 선택에 따라 어떠한 것을 배우는지 논자는 설문 조사를 통해 파악했으며 교재 선택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습자 모두가 창작과 음악성을 중시하고 통합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전인교육의 장이 열리길 바란다. Since 1990's, the earlier education has been boomed, and in 2000 the age for learning was lowered. In such circumstances, people's awareness of and concern about piano education are stronger, while various efforts to improve quality of piano education are more a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piano textbooks used currently by private piano institutes and thereupon, analyze them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textbooks and music education and thereby, suggest some desirable piano pedagogics for younger children's creative mus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the textbooks used most in common by private piano institutes and then, sampled 136 private piano institutes in Gwangju and Mokpo randomly to interview them over phone. The data analyzed were processed for percentages calculated down to the first decimal 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piano textbooks are organized to help children read the scores and understand beats and rhythms. Performing piano require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basic scores at least, but it may require more precise comprehension of scores, beats and rhythms.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sample textbooks are not much useful to children's understanding of harmonics, melodies, music theories and tempo as well as development of their music talent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music. If music education can be assisted by piano lesson, children should develop their ability through piano lesson to discern sounds and sing the scores. To do so, children can comprehend scores, rhythms and beats correctly, which requires a repeated music education.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the elementary piano textbooks are not much helpful to improvement of children's music talent. Music talent may be divided into inborn and acquired ones; music education should aim to improve the latter talent, but private piano lesson does not seem to conduce much to improvement of such an acquired music talent because it is little preceded by listening, singing and cognition. Fourth, although the music theories shown in the elementary piano textbooks are not systematic but fragmental, they seem to be much effective for music education. Children and their parents seem to regard piano music education not as parts of genuine life but as means of higher performance at school. So, it is a regret that the current piano lesson focus on children's ability to read the scores for performance. Currently, our music education aims to help children improve their ability to read scores and understand music theories to enhance their music talent. All in all,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elementary piano textbooks are used as well as of their effects on music education. Lastly, it is hoped that both teachers and learners will be aware of not only importance of textbooks but also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music talent, which will require an integrated and futuristic whole-personality education.

      • 만화를 활용한 ARCS 동기유발 수업이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은경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s of excellent teacher, material, educational environment would be low-achieving without a student's learning motive, while a high motive of learner could bring a high level of achievement. But Korean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is the lowest level in the world. To this end, this study used a cartoon and Keller's ARCS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CS model using cartoon'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For this study, 120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H high school in Incheon were chosen,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 classes, were applied with the instruction method of 'ARCS model using cartoon', while the comparison group of other 2 classes was taught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10th grade earth science related sections of the two semesters of science textbooks was chosen for study to be conducted with the 15 hour classes for the period of 8 weeks. In this study, several assessment tools were used such as the questionnarie about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ion method of 'ARCS model using cartoon' was more effective in changing students' attitude for science to be positive than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p<.05). Familiar material that cartoons, was able to approach without resistance a difficult science concepts to the learner. This was to lead to the learner's interests and concerns, it was decided to increase the learning participation. Second, the instruction method of 'ARCS model using cartoon'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in improving three of the four motive elements (Attention(A), Confidence(C), and Satisfaction(S)) of the ARCS model(p<.05). It proved the learning with ARCS motivation theory made a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motivation and maintain their learning motive. It is supposed that ARCS motivation theory made a key role to motivate students' learning, drawing their attention, showing teacher's continual care and compliment, using many learning materials, perceived competence, encouragement to learn, satisfaction from learning, so that made students get interested in the learning. As mentioned above, the 'ARCS model using cartoon', an ARCS motivational strategy with cartoon, is effective in improving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when applied to science teaching learning process.

      • 교사의 교수-학습관과 교수 실제와의 관계에 대한 사례연구 : 수학 교과서 활용을 중심으로

        조은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서로 다른 교수-학습관(전통주의 교수-학습관,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을 가진 교사가 구성주의에 입각하여 개발된 교과서를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 관계를 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교사의 교수-학습관과 교과서 활용 유형과도 연관되는 교과서관을 통하여 신념을 파악하고 실제와의 관계를 교과서 활용을 중점으로 관찰, 면담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탐구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서로 다른 교수-학습관 (전통적 교수-학습관과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을 보이는 두 교사의 교과서관은 무엇인가? 둘째, 두 교사의 실제 수업에서 수학 교과서의 활용(curriculum use)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두 교사의 교수-학습관과 교과서관, 교과서 활용 실제는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서로 다른 교수-학습관을 가진 두 교사를 선발하기 위하여 Chan & Elliot(2004)의 TLCQ(Teaching and Learning Conceptions Questionnaire) 30문항의 검사지로 서울 경기 지역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이 설문지는 전통주의 교수-학습관 문항과 구성주의 교수-학습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두 범주간 점수를 비교하여 설문대상 교사를 전통주의 교수-학습관에 가장 가까운 A교사와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에 가장 가까운 B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발하였다. 그리고 이 두 교사의 수학 수업에서의 교과서 활용 실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3개월간 두 교사의 수업을 각각 3회 관찰하였다. 그리고 각 교사의 교수-학습관과 교과서관, 교과서 활용을 알기 위해 비대면과 대면 면담을 수시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면담 자료와 수업 관찰 자료는 모두 녹음, 전사 하였고, 교사의 발언 중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핵심용어를 찾아 그 패턴을 분석하였다. 특히, 교과서관의 경우는 이양락(2002)의 열린 교과서관과 닫힌 교과서관의 정의를 활용하여 핵심용어들이 어느 교과서관에 해당하는지 분류하고 그 특징을 찾아내었다. 검사지와 면담자료, 수업관찰 자료의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면담 자료 분석 결과 서로 다른 교수-학습관을 가진 두 교사가 모두 열린 교과서관의 입장을 보이고는 있으나 교과서의 내용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다른 자료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교과서 구성문제 및 활용 문제에 있어서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면담에서 나타난 두 교사의 교수-학습관은 설문 결과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르게 나왔다. 검사지에서 전통주의 교수-학습관 문항에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던 A교사의 교사의 역할과 교수(instruction)에 대한 전반적인 관점은 교사는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생활지도자로서의 역할 또한 중요하며 수업에서 학생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탐구하는 것보다 수업 자체에 집중하여 전달하는 내용을 하나라도 더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 교수 목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A교사의 학생과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관점은 학생은 제공하는 내용을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존재이고 학습은 교사의 통제 속에서 가르쳐준 내용을 필기하고 기억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A교사는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내는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보다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이 더 효과적이며 학생들의 활동보다도 교과서에 집중하여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검사지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에 가장 가까웠던 B교사의 교사와 교수(instruction)에 대한 전반적인 관점은 교사가 지식 전달자로서가 아닌 학생 스스로의 지식 구성을 도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을 가조했다. 학생과 학습에 대해서는 학생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능동적인 존재로서 학습 또한 개인의 탐구와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어야 한다고 보고 있었다. 수업이 전통적인 강의식이 아닌 개별 학생의 차이를 중요시하며 학생들이 생각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자유로운 수업 분위기를 원하고 있었다. A교사는 교과서가 학습할 문제들을 제시해 놓은 것으로 보고 그 문제들과 교과서외 자료들에 제시된 문제들을 혼합하여 자신의 교수 자료에 단지 제시할 뿐, 교과서의 내용을 재해석하여 구성한다는 측면은 빈약했다. 그러나 B교사의 경우, 학생들을 고려하여 교과서에 주어진 내용을 학생들에게 맞게 재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단순히 주어진 문제들의 선택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재해석을 한다는 측면에서 A교사와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두 교사의 신념에 따라 교과서 활용방법이 다르게 나타났다. A교사는 구성주의에 입각해 개발된 현 교과서를 수업에 직접 활용 하지 않고 초임 때부터 개정된 교과서와 참고서의 내용을 수집하여 꾸준히 수정, 보완해 만든 자신의 개인 교수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자료는 정의, 정리, 예제, 문제 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 내용은 전혀 포함하지 않고 오히려 현 교과서에 포함되지 않은 수학적 개념의 정의와 정리, 개정 전 교과 내용을 포함시켜 지도하였다. 이는 전통적 교수-학습관을 가진 A교사로서는 현 교과서가 구성주의적으로 구성하여 자신의 신념과 위배되므로 개정 전 교과서를 활용하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 이는 Remillard & Bryans(2004)의 교과서 활용 유형 중 Intermittent and narrow(제한적 활용), 즉, 교과서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자신의 자료를 만들어 사용하는 유형을 보인 것이다. 반면,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을 가진 B교사는 면담에서 현 교과서가 충분히 구성주의적으로 개발되지 않았다고 밝혔으나 수업에서는 교과서의 내용을 전적으로 의지하고 모두 활용하였다. 물론 B교사는 교과서에 제시된 문제, 예제 순의 그대로 옮긴 유인물을 사용하긴 했지만, 교과서의 내용을 탐구활동 내용인 생각열기를 제외하고는 빠짐없이 차례대로 모두 다루었다. 이는 Remillard & Bryans(2004)이 제시한 Through piloting(총괄적 활용)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B교사의 경우는 현 교과서의 구성주의적 아이디어는 약하지만 구성주의에 입각하여 개발된 교과서이기에 그대로 따르는 방법을 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두 교사의 교수-학습관과 교과서관, 교과서 활용 실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반드시 신념과 실제가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통적 교수-학습관을 가진 A교사는 전통적 수업을 실시함에 어려움이 없었으나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을 가진 B교사는 자신의 신념과 달리 전통적인 수업을 진행함을 알 수 있었다. Silberstein(1991)에 의하면 학생을 수동적인 존재로 보고 교사를 교과서 내용의 전달자로 보며 교수-학습을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강의로 보는 관점의 교사는 만들어진 교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학생을 능동적인 주체자로 보고 교사를 학습의 안내자 또는 동반자로 보며, 교수-학습을 학습자의 사고를 중심으로 보는 관점의 교사는 이미 만들어진 교재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이를 더욱 확장시켜 제한된 범위 내에서 교수 자료를 개발한다고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두 교사를 관찰한 결과 교사가 교과서의 성격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에 따라 그 활용은 정반대로도 나타날 수 있다는 반증을 할 수 있었다. A교사는 전자에 해당하는 교수-학습관을 가지고 있으나 교과서 뿐 아니라 다른 자료까지 활용하였고 반면, B교사는 후자에 해당하는 교수-학습관을 가지고 있음에도 현 교과서가 구성주의적이기 때문에 수업에 그대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했던 신념과 실제 활용에 대한 연구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반례를 찾을 수 있었다. 즉, 전통주의 교수-학습관을 가진 교사라 하더라도 자신의 신념과 맞지 않는 교과서에 제시된 경우에는 이를 그대로 따르는 수업을 하지 않을 수 있으며,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을 가진 교사에게 구성주의를 반영한 교과서가 제시된다고 하더라도 교과서를 그대로 따라할 수 있으나 교과서를 전적으로 구성적이라 판단하여 활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을 가진 교사가 현행 교과서가 전적으로 구성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수업에 그대로 활용하는 원인을 다시 면담 자료와 수업 관찰 자료에서 찾은 결과 B교사는 구성주의적 신념을 가지고 과거에는 구성적 수업을 시도하였으나 미숙한 지도 방법과 아이디어의 부족함, 그리고 전통적 수업에 익숙한 학생들로 인하여 구성적 수업의 실패의 경험이 결국 교과서의 순서에 따라 전통적 수업을 하도록 이끌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신념대로 수업을 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름을 볼 수 있다. 자신의 교수-학습관을 실제로 이행하려면 교사 자신이 관련된 내용학적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자신이 행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다. 또한 구성주의 수업의 도입은 교사에게만 맡기기에는 그들의 시간과 능력 그리고 경험이 부족하다. 따라서 실제 수업에서 교사들이 이러한 제약 요인을 없앨 수 있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 학교 현장에서 동료 교사들과 연구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자신의 교수-학습관과 실제에 대한 반성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focusing on the textbook in which the new curriculum revised un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nstructivism was reflected, analyzes the differences in the process using the textbook by teachers with two different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traditional/transmissive learning conception and progressive/constructivist learning conception. In the proces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 and reality by comparing the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of teachers and their conception about textbook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type of textbook use. To select two teachers with different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questionnaire papers with TLCQ 30 items by Chan & Elliot (2004) were given to 50 teachers in Seoul and Gyeongi legion. Amongst the participants, teacher A who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the items conveying traditional/transmissive learning conception and teacher B who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the items conveying progressive/constructivist learning conception were selected. Then, to analyze the actual textbook use of two teachers in mathematics class,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twice or three times for each teacher’s class in the first semester and twice for each teacher in the second semester. Then, it conducted interviews with teachers on their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and textbook us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est papers,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 data are as follows. First, both teachers were close to open conception about textbook. Though both teachers were in the stance of open conception about textbook, their conceptions exhibited a little different features. Teachers A who received the highest score from the items conveying traditional/transmissive learning conception assumed the textbook is providing with the topics of study thus just integrated the topics from textbook and the topics from other study materials in his teaching material. Therefore, teacher A displayed weakness in reinterpretation of contents of textbook. In the case of teacher B who received the highest score from the items conveying progressive/constructivist learning conception, he said in the interview that he reinterpret the contents of textbook with regard to students. This shows a difference from teacher A in that he reinterprets the textbook contents and is not a problem of whether to choose or not choose textbook topics. Second, the actual classes of two teachers using textbook were as follows. Teacher A almost did not use textbook during his class and used his own teaching material. His personal teaching material was structured in the order of definition, explanation, example and question and did not include exploration activities like textbooks. Also, it included the definition and explanation of mathematical concepts that were not in the textbook and also it consisted of some textbook contents before revision. On the other hand, teachers used textbook and printed handouts. The handouts included the questions and examples provided in the textbook. The flow of class was exactly same as the textbook order: introduction of definition, example and question. However, he did not use the brain storming, one of the exploration activities in the beginning of chapters in the textbook. Except that part, he explained and solved questions for the students the rest part of textbook without skipping any part. Third, the actual relationship among the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conception about textbook and practical use of textbook are as follows. According to Siberstein(1991), the teachers with perspectives of students as passive subjects, teachers as deliverer of textbook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as a one-directional lecture by teacher tend to use the designed textbook as it is.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 with perspectives of students as active subjects learners, teachers as guides or companion of learning and teaching-learning as student’s thinking oriented process tend to expansively use the textbook and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 within limited range. According to above idea, teacher A should display closed conception about textbook, however, in fact, he held the stance of open conception about textbook. However, from the fact that teachers B with progressive/constructivist learning conception shows a difference in aspects regardless of his open conception about textbook, these two conceptions about textbook should be considered as extension and cannot be determined by dichotomy. Teacher A can be considered as being in the midst between closed and open conceptions about textbook while teachers B is in the perspective closer to the open conception about textbook. In the actual use of textbook in class, teacher A exhibited a traditional class in which his own concep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is reflected. On the other hand, teacher B does not consider textbook as a measure to realize his progressive/constructivist learning conception but as a mean for his lecture oriented class. As discussed in the above, he finds the reason why he did not include the brain storming part provided in the textbook to induce student’s exploration in that it has weak relationship to the original definition and thus denying the structural feature of textbook. Like abov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ncep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conception about textbook and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Besides the elements mentioned above, there are difficulties by various factors in practicing one’s belief i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reality. Therefore, the different kinds of conceptions should be considered not by dichotomy but as a difference in relative degree.

      • 3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조은경 한국성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제행동은 연령이나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유아들에게 나타나고 있으며 유아의 문제행동은 유아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 등에서 제공되는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는 자신이 속한 환경 내에서 적절한 상호작용 기술이 결여 되어있고, 그 결과 문제를 초래하는 방법으로 행동을 표현한다.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방법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 행동지원은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며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형성하고,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인들을 중재하여 유아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장애통합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기관 차원의 1차, 소집단 차원의 2차, 개별적 차원의 3차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긍정적 행동지원(PBS)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그에 따른 실행정도가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보육교사와 특수교사 집단 간의 차이는 어떠한지 등에 대해 비교해봄으로써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원 보편적 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는 어떠한가? 둘째, 2차원 소집단 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는 어떠한가? 셋째, 3차원 개별적 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시 내에 소재한 국공립, 법인, 민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63개소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보육교사와 특수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50개소 어린이집에서 총 221부로 73.6%가 회수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으로 대응 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2차, 3차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긍정적 행동지원(PBS)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서 보육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실행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차원 보편적 지원의 중요도와 실행도에서 보육교사가 특수교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2차원 소집단 지원에서 중요도에서 보육교사보다 특수교사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실행도에서 보육교사가 특수교사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3차원 개별적 지원의 중요도와 실행도에서 보육교사보다 특수교사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섯째, 1차, 2차, 3차의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를 살펴볼 때 3차원 개별적 지원에서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실행도가 낮은 점수를 보였다. 3차원 개별적 지원의 실행도가 낮은 이유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에게 개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현장에서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실행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례중심의 연속적인 교육을 통한 교사연수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실제로 적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