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여가복지적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종합사회복지관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김용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82

        노인은 여러 측면에서 삶의 질이 취약한 계층으로서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노인들의 삶의 질 문제는 점차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어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젊은 사람들도 자신의 노년기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배경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특성 변인과 신체적, 사회적, 여가복지적 요인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들을 규명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특별시 강동, 강서, 강남 및 강북 4개 지역의 6개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여가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 400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375명의 설문지를 최종 자료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에 따른 삶의 질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의 변수인 성별, 연령, 종교, 과거 직업, 소득 중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요인의 주요 질병 중에서는 신경통 유무에 따라 삶의 질에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또한 사회적 요인의 자녀의 수, 동거 상태, 자녀와의 연락빈도, 가족들과 관계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복지적 요인이 신체적 활동, 정서적 활동, 사회적 활동에 따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참여 빈도나 참여 기간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삶의 질에 있어 거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프로그램 만족도에서는 신체적 활동의 체조 교실, 댄스 교실, 전통춤 교실, 건강운동 교실과 정서적 활동의 노래 교실, 취미 교실 및 사회적 활동의 특별행사 참여와 야외 나들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참여 빈도나 기간 보다 프로그램이 얼마나 만족하는지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셋째, 일반적 특성 요인, 신체적 요인, 사회적 요인, 여가복지적 요인이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델 [1단계]에서는 성별이나 연령, 학력과는 상관이 없었고 소득만이 삶의 질에 유일한 요인이었으며, 모델 [2단계]에서는 소득이 높은 경우와 IADL 수준이 높은 경우 및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에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델 [3단계]에서는 소득이 높은 경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은 경우, 사회적 지지가 좋은 경우에 삶의 질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모델 [4단계]에서는 소득이 높은 경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은 경우, 사회적 지지가 좋은 경우,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은 경우, 프로그램 참여 후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경우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여가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여가복지적 요인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제언으로서 전통적인 가족 및 가족공동체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고, 사회적 지지체계가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노인의 여가복지 활동에 대한 접근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그리고 노인이 여가복지 프로그램에 마음껏 참여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하고, 노인의 여가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노인의 여가복지적 요인의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정책적 제언으로서 현실적인 기초노령연금보장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적극적인 예방적 접근으로의 보건의료 지원과 교육이 이루어져야하며, 노인의 여가복지적 측면에서 정책적인 개입이 있어야 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여가복지 시설의 확충과 법적 지원체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한계는 조사대상자가 서울시내 65세 이상의 노인 375명이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공통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고령의 노인에게 신뢰성 있는 응답을 기대하기가 어려운점 등의 한계점이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에서의 미흡한 부분은 계속적으로 연구․탐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의의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시행하는 노인의 여가복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현재까지 미흡한 상황에서 초기적인 연구를 시행한 점과 종합사회복지관의 여가복지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삶의 질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는 점,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노인복지 실천에서의 여가복지적 접근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하였다는 점 등이다.

      • 당구운동수행의 재미요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주기덕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당구운동수행의 재미요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당구교육과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있는 지역 당구클럽을 중심으로 한 동호인 및 일반참여자 총 38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예비 조사에서는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1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본 조사에서는 당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280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예비 조사 연구대상자와 본 조사 연구대상자는 중복되지 않았으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였고, 자료 처리는 Window용 SPSS 23.0 Version을 이용하여 유의 수준은 .05로 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대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재미, 신체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과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고 유의한 차이를 보인 부분에 대해서는 사후검증(Scheffé)을 실시하였으며, 하위요인 간에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재미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 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당구운동수행의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요인 간에는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중에서 유능성 지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당구운동수행의 재미를 통해서 스스로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지속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신체의 숙련도, 집중력, 자신감, 도전정신 등의 요인을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어 생활의 즐거움이 더 할 것이다. 둘째, 당구운동수행의 재미요인과 사회적 행동 요인 간에는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중에서 일상 탈출 요인이 사회적 행동의 정서적 행복감과 자신감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능성 지각 요인이 사회적 행동의 통제력과 소속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당구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운동참여자로 하여금 당구운동의 재미가 일상생활의 스트레스 해소 및 자신감 충족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더불어 개인의 사회성을 크게 향상시켜주어 삶의 만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운동자세 효능감 요인은 사회적 행동의 정서적 행복감, 통제력, 자신감 요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참여 효능감 요인은 사회적 행동의 소속 요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운동 참여를 통하여 자신감은 물론 긍정적인 심리적 행복감 등의 정서적 건강을 증진하게 되며, 이를 통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교육의 동기를 설정하여 지도한다면 운동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어 적극적인 사회생활 적응 및 원만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how billiard exercise’s Enjoyment Factors has a impact on physical self-efficiency and social behavior and provide a data that can help improve billiard exercise education.Thus, to achieve this purpose, we sampled 380 people those who are or are not in the group of billiard exercise and go to local billiard clubs in Suwon-si, Gyeonggi-do. In the preliminary research, to get reliability and validity, we sampled 100 people out of 380. In the main research, the other 280 people's responses were used. The samples of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the main research do not overlap.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SPSS 23.0 Version for Windows. The significance level is .05 and Frequency Analysis on demographic facto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done. To compare difference among groups in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iency and social behavior by demographic factor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done. If the result of analys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cheffé Post-Hoc test was further done.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for sub-factors.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enjoyment factors, physical self-efficiency and social behavi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he conclusion on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between billiard exercise’s enjoyment factors and physical self-Efficiency, self-efficacy which is a sub-factor of enjoyment factors had the strongest impact on physical self-efficiency. Thus, if we guide one to regularly and voluntarily participate in billiard exercise with fun and use billiard exercise in making healthy body and raising concentration, confidence and spirit, one's physical self-efficiency will be improved and one might be happier. Second, between billiard exercise’s enjoyment factors and social behavior, doing something other than our lives which is a sub-factor of enjoyment factors had the strongest impact on happiness and confi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behavior. self-efficacy which is a sub-factor of enjoyment factors had a highest impact on self-control and sense of belonging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behavior. Thus, if we make a good use of enjoyment factors in billiard exercise education, we can encourage participants' confidence and relieve their stress. In addition, it can improve one's sociability and as a result improve one's content in his or her life. Third, efficacy in keeping one's posture which is a sub-factor of physical self-efficiency had a strongest impact on happiness, self-control and confi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behavior. Efficacy in doing billiard exercise had the highest impact on sense of belonging which is a sub-factor of social behavior. Thus, more and more people will feel confident, positive and happy by participating in billiard exercise if we make a good use of this research's results. If we guide them to a positive and right course and set the goals, their physical self-efficiency will be improved and they will be more sociable.

      •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 재미요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이주원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 재미요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의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한 표본추출 방법으로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일반적 특성 2문항, 방과 후 체육활동 재미요인 변인 12문항, 신체적 자기효능감 변인 22문항, 운동지속 변인 12문항으로 총 4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절차는 해당 학교에 사전 협조를 구하고,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본 연구의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였다. 또 설문 문항의 내용과 목적 그리고 기입요령을 설명한 뒤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법을 사용하여 설문 내용에 응답하게 한 후 현장에서 즉시 회수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총 250부 중 응답 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이중 응답 등 신뢰성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6부를 제외한 244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재미요인은 일상탈출, 체력건강, 대인관계, 심리경쟁 등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미요인 모두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체력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지된 체력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모두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지속은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 요인 모두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방과 후 체육활동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일상탈출만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과 후 체육활동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일상탈출, 체력건강, 승리경쟁은 운동지속의 하위요인 경향성,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력건강, 승리경쟁은 운동지속의 하위요인 강화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인지된 체력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요인은 운동지속의 하위요인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 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actors of fun in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fter school in middle school students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exercise continu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at middle schools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was used as a sampling method for data collection. A sample was taken.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survey tool, and i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e questions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 general characteristics, 12 items for the fun factor of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22 items for physical self-efficacy, and 12 items for exercise continuity. For the survey procedure, after obtaining prior cooperation from the relevant school, the researcher visits in person to fully explain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fter explaining the content and purpose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instructions for filling out the questionnaire, a questionnaire is distributed and a questionnaire is used using the self-evaluation writing method. After responding to the content, it was immediately recovered at the site. Of the total 250 copie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 244 copi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excluding 6 copies judged to be poor or unreliable. The results of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5.0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daily escape, physical fit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competition in the fun factors of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oth of the fun factors were higher in men tha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Second,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factors, and both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were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persist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factors of tendency,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and both men and women were higher than wom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Fourth, it was found that only daily escape, a sub-factor of the fun factor of physical education after scho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self-expression confidence, which are sub-factors of physical self-efficacy. Fifth,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the fun factor, daily escape, physical fitness, and victory compet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ndency and possibility of the sub-factors of exercise persistence, and physical health and victory compet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inforcement of the sub-factors of exercise continuation. Has been shown to affect. Sixth,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efficacy,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self-expression self-confid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of the sub-factors of exercise continuity, tendency, probability, and reinforcement.

      • 중학생의 학교스포츠 재미요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곽혜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스포츠 재미요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인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재미요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인성발달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다음, 재미요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중학생들의 부모와 담당교사에게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중학교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450명을 표집하였다. 이 중에서 질문 문항에 불일치하는 자료 및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41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타당도는 예비검사와 전문가회의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a=.756~.911로 나타났다. 통계처리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이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은 재미요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인성발달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학생의 재미요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인성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인성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un factor of school sports club on middle school students' physical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among fun factor of school sports club, physical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lso, it examined the influence of fun factor of school sports club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and influence of physical self-efficacy on character development. Ultimately, it would provide parents and teachers with baseline data. Samples of middle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live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collected. The sample size used in convenience sampling was 450. The final sample size excluded insincere materials was 419 out of 450.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was inspected by preliminary inspection, experts’ conference and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showed =.756~=.911. Statistical methods used in analysis a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elation,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1.0 program.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fun factor of school sports club, physical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ha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fun factor of school sports club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n influence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Third, physical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n influence on character development.

      •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서 티볼 활동의 재미요인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영향

        강도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5

        본 연구는 중학생 학교스포츠클럽활동중 티볼 활동을 통해 얻는 재미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그 재미요인 수준이 신체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이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티볼활동 운영에 자료를 제공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며, 학교스포츠클럽 티볼활동의 재미요인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의 위해, G지역에서 중학교 1~3학년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유목적표집을 이용하여 총 255명을 대상으로 표본 추출하였으며, 유효표 210부를 이용하였다. 또한 SPSS Ver 2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을 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학생 학교스포츠클럽 티볼활동 학생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재미요인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친구사교, 승리와 경쟁,기술향상,건강체력,유능성지각,일상탈출 모두 남학생이 평균이 높은걸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증에서는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친구사교 승리와경쟁, 유능성지각, 일상탈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서는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모두 1학년집단에서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였으며, 사후검증에서는 유능성 지각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기간별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에서는 친구사교,기술향상,건강체력,유능성지각,일상탈출은 2~3년이상 집단에서 승리와경쟁은 1~2년집단에서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친구사교, 일상탈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모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신체능력, 자기표현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에서는 1학년 집단에서 신체적자기효능감은 2학년 집단에서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증에서는 모든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참여기간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인진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자신감 모두 2~3년 집단에서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요인 모두 1년 미만집단과 2~3년 이상 집단 간에 두드러진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셋째.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유능성지각, 일상탈출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에 정적상관으로 나타났고, 재미요인의 하위요인인 유능성지각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자기표현자신간에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중학생 중학교스포츠클럽활동 티볼 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 하였으며, 티볼활동의 재미요인으로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올려 줄 수 있다는 결과를 알수있었는데 신체적으로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내적 동기가 약한 학생들의 입장을 이해하여 많은 재미요인을 포함한 체육수업의 성취도를 높여주며 동시에 신체적 자기효능감도 같이 높여주어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참가하는 학생들에게 건강하고 보람찬 학교생활을 할수있게 해주며 교사들에게는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교수활동 발향을 제시하고 적극적인 교수활동을 할 수 있게 재미요인과 신체적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가 좀 더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ceived interest factors with t-ball activity, a middle school sports club activity, and to examine how the interest factor level affects the physical self-efficacy, from this, to provide data for t-ball managing, and inducing more positive participation on this, and providing data between the relation of self-efficacy with t-ball, a school sports club activity.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from grade 1 to 3 were selected by using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by sampling 255 students were used as subjects, resulted in valid number of 210 answers. Furthermore, SPSS version 23.0 package program was used to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 a one-way ANOVA was used, and if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a post hoc test was used,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receiv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ball activities from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showed a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est factor. From the gender, the sub factor of the interest factor, friendship, victory, competition, skill improvement, stamina, physical competence, escaping normal life wa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sub factor of the interest factor, a high number of first grade middle schoolers were shown, and for the post hoc test, excluding physical competenc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with every sub factor, and for the time of participation, the sub factor of the interest factor was friendship, skill improvement, physical stamina, and escaping normal life was shown in 2~3 years over, and for victory and competition were shown high averages within 1~2 years. And after the post hoc test, friendship, escaping normal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is was shown that the difference of physical self-efficacy within the sub factor was recognized self-ability and self-expression confidence was high for boy students than girl students within recognized self-ability, self-expression confid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llowing the difference of physical self-efficacy from grades, the sub-factor of self-efficacy which is recognized physical-ability, the first graders’ self-efficacy average was higher than the second grade’s self-efficacy. There was no sign of significant difference of all the factors statistically in the post hoc test, and from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following the participated period of time, the sub factor of recognized self-ability was high in both the average of second and third grade’s self-expression confidenc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ost hoc test, both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ess than first year and over two to three years. Third, physical competence and escaping normal life as the sub factor of the interest factor showed a positive coefficient with recognized physical-ability, and escaping normal life, a sub factor of physical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coefficient with self-expression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on the background of advanced research and theory in which that t-ball, a middle school sports club activity would induce more interest and give increase physical self-efficacy, and from t-ball’s interest factor,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at physical self-efficacy was increased. However, understanding the position of physically less confident students, or students with low internal motivation, giving a higher achievement level fo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including fun factors, at the same time, increasing physical self-efficacy, for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ports club activities to have a fun school life, to give teachers a more creative and more efficient teaching activities, including an active participation in teaching activities, purposed a need to study further in interest factors and physical self-efficacy.

      •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혜숙 상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2382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령화 현상이 전 세계적인 추세로 부각됨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노인 자살 문제에 접근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졌고, 그 중에서도 노인의 자살 시도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이 이루어져 왔다. 노인 자살을 유발하는 요인을 탐색한 연구들에 따르면, 노인 자살은 어느 특정한 요인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유발되고 있다. 노인 자살 및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인구통계학적 요인, 신체적 요인, 심리학적 요인, 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노인 자살을 유발하는 여러 요인들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요인들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각 요인이 어떻게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 하위요인별로 심도 있는 분석을 수행하여, 노인 자살생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함으로써, 노인의 자살생각 감소를 통한 노인 자살예방 방안 마련을 위한 학문적, 정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내에서 노인 자살률이 가장 높은 강원도에 거주하는 약 500여 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자살생각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다섯 요인에 대한 주요 변수별 분석 결과, 신체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은 모두 노인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사회적 요인에서는 여가생활만, 경제적 요인에서는 병원, 진료비에서만, 영성적 요인에서는 삶의 의미부여에서만 노인 자살생각과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심리학적 요인의 하위요인은 모두 노인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신체와 사회적 요인에서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경제와 영성적 요인의 하위요인들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 자살생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노인 자살생각 감소 방안으로는 첫째, 노인이 지각하는 객관적 건강과 주관적 건강 개선이 필요하며, 둘째, 노인 자살생각 감소와 자살 예방을 위해서는 노인의 심리학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 교육 및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자살률 감소에 있어서 일반적인 형태의 경제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질환 및 질병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병원, 의료비 지원이 시급하다. 넷째, 삶의 의미는 노인의 자살생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노인이 지각하는 삶의 의미가 긍정적인 방향을 가질 수 있게끔 만드는 영성적 지원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노인의 자살과 자살생각에 있어서 신체적 요인,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영성적 요인보다는 심리적 요인이 노인 자살생각에 가장 핵심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 주제어: 노인 자살생각, 신체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영성적 요인, 자살예방.

      • 일부 검문소 초병의 요통 발생요인 연구

        오재욱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2284

        이 연구는 군인들 중 일부 초소 근무 병사들의 요통에 관한 요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요통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초소에 근무하는 병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간은 5월 8일부터 5월 10일 사이에 실시하였고, 조사방법은 조사목적을 위해 고안된 자기 응답식 설문지로 측정하여 285매(95%)를 회수하였고, 이중 250매(88%)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frequency)을 실시하였고, 각 특성에 따른 요통유무의 관련성 여부를 위해 교차분석(crosstabs) 등을 실시하여 X^2 검정과 t 검정을 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요통 경험률은 62.8%였다. 2. 일반적 특성과 요통과의 관계에서는 연령, 신장, 학력, 흡연기간은 통계학적 유의성은 있었으나, 체중, 계급, 건강상태, 수면자세, 규칙적인 운동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직업적 특성과 요통과의 관계에서 입대전 직업, 군 복무기간, 업무시간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4. 요통과 관련 깊었던 신체행위는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자세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으나, 근무중 신체자세, 허리를 구부리거나 몸통을 돌리는 경우,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운반하는 정도, 몸의 진동, 소음, 장비사용, 업무후 휴식자세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5. 근무 만족도 및 스트레스에 따른 요통 경험률은 업무의 과중도, 근무환경, 휴식시간, 업무 스트레스 정도, 단조롭고 반복성 정도, 업무후 피로도, 업무처리능력 인정정도, 동료간의 인간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6. 요통 지속기간은 7일 미만이 45.9%로 가장 많았으며 요통의 원인은 업무(39.5%), 원인불명(25.5%), 과격한 운동, 정신적 피로, 교육훈련의 순이었고 치료방법은 무시하거나 계속 활동한다가 36.9%, 휴식을 취한다고 답한 군이 31.8%이었고, 22.4%만이 의료혜택을 받았다. 7. 요통 인식도는 요통군에서 46.5%가 심각한 병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초병들의 요통 발생은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자세가 중요한 신체적 요인이고, 이와 동반되는 심리적 요인의 복합 양상으로 볼 수 있으며 요통의 예방과 치료는 단순한 신체적 질환으로 관리될 것이 아니라 여러 정신·사회적 변수들과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중요 병인으로 나타난 허리에 무게가 가해지는 행동이 많이 나타날 수 있는 검문소 초병들의 요통 발생과 관계된 분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causes of low back pain among the soldiers who work for sentry units and to use this data as basis for the rehabilitation. Questionaires were given to 300 soldiers in five sentry units in Kyong gi-Do from 8th to 10th of May, 2000. Ninety-five percentage of the questionaires were returned and eighty-eight percentage of them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62.8% experienced low back pain. 2. Sta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ow back pain was found in age, height, education, smoking duration, but no relationship was found in weight, rank, health status, sleeping posture, exercise rate. 3. Concerning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relationship was not found between low back pain and job characteristics, service duration in the army and working hours. 4. Lefting posture was found to be relevant factors in low back pain development, but no relation with working posture, forward bending, lefting rate, vibration, noise, using equipment, and resting posture. 5. Job satisfaction and job-related stress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related. 6. In 45.9% of the low back pain group, the causative factor was not found. Some of the cause were found in work(39.5%), cause obscurity, sports activities, psychological stress and training. 36.9% of the low back pain group answered that they neglected treatment and continued their daily activities after the onset of the pain, 31.8% answered that they rested and 22.4% answered that they received medical treatment.

      • 정상 소아의 폐기능 검사치 및 이에 미치는 신체적 요인에 관한 연구

        권오균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박사

        RANK : 232252

        Spirometric study in children is a very simple and valuable test in evaluating pulmonary function but many pediatricians have hesitated its use on their real aspects because of poor cooperation and troublesomeness. With the total 679 cases, among them 343 boys and 336 girls who were at the age of 6 through 12 years old, FVC, FEV₁, FEF_25-75%, PEFR and MVV values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normal values and evaluated on the basis of sex, age, height, weight and body surface area to study the effect of physical parameters on the pulmonary functions in normal children. At the same time with total 363 cases who were at the age of 7 through 11 years old, reevaluating tests 1 year later were performed to detect any differences between two studies. 1. The author obtained new regression equations on the pulmonary function values according to various physical factors. 2. The most affecting physical factor on the pulmonary function tests in normal children was the height and the next revealed in sequence of age, body surface area and body weight. 3. Of the pulmonary function values separated by height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that of FEV₁, and the next decreased in sequence of FVC, MVV, PEFR, and FEF_25-75%.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MVV by the age factor were the highest and an equation of MVV = predicted FEV₁ X 35.5 was obtained in 9 years old. 5. The pulmonary function values in boys were more higher than those of in girls. 6. On the comparisons between two studies, the pulmonary function values measured in 1992 were more higher than those in 1991 and the author supposed them to be due to some increasements of the physical measurements, improved technics of the subjects by the reevaluating test and the other factors.

      • 베이비부머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사회관계의 배제에 미치는 영향 : 건강요인에 의한 시간더미의 매개된 조절효과

        안봉금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092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사회관계의 배제의 관계에서 건강요인의 매개효과와 시간더미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시차에 따른 영향 관계의 변화를 이해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관계의 배제를 줄이고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분석자료로는 고령화 패널데이터 1차년도 베이비부머 중 (1955년 ~ 1958년생) 1351명과 제7차년도 베이비부머 중 (55년생~58년생) 907명을 통합하여 총 2258명을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Statistics 23.0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그리고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 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의 통제변수의 특성에 따른 변수 간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사회관계의 배제는 성별, 배우자 유무, 학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성이,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서,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 배제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준비도는 여성에서 그리고 배우자가 없거나 학력이 낮을수록, 장애가 있을수록 더 낮은 것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건강요인에서도 기존의 노인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이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여성에서 그리고 배우자가 없거나 학력이 낮을수록, 장애가 있을수록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부머의 사회관계의 배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노후준비가 사회관계의 배제에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베이비부머의 특성에 의해 경제적 준비의 수준과 무관하게 사회관계의 배제가 증가하게 된 것으로 보이며,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건강요인 중에서는 우울과 일상활동제한이 사회관계의 배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노후준비와 사회관계의 배제의 관계에서 건강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경제적 노후준비와 사회관계의 배제의 관계에서 우울과 일상활동제한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관계의 배제에 대해 경제적 준비도 보다 건강요인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노후준비, 사회관계의 배제 그리고 건강요인에 대해서 시차(2006년, 2018년)에 따른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간더미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시간더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경제적 노후준비와 사회관계의 배제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요인 중에서는 우울과 만성질환 중복수준이 조절효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노후준비와 사회관계의 배제의 관계에서 건강요인에 의한 시간더미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준비도는 사회관계의 배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더미에 따라 살펴보면, 2006년도에는 경제적 준비도가 사회관계의 배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18년도에는 경제적 준비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요인 중에서는 우울과 일상활동제한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우울의 경우는 사회관계의 배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더미에 따라 살펴보면 2006년도에는 경제적 준비도가 높을수록 우울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사회관계의 배제도 감소하였으며, 2018년도에도 경제적 준비도가 높을수록 우울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활동제한의 경우를 보면, 사회관계의 배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더미를 이용하여 살펴보면, 2006년도와 2018년도 모두 동일하게 경제적 준비도가 높을수록 일상활동제한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관계의 배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라 경제적 준비도가 높을수록 사회관계의 배제가 증가하게 된 이유는 이러한 경로에서 나타난 결과라고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베이비부머의 경제적 준비도가 사회관계의 배제에 미치는 영향 경로나 그 관계가 조사시점(2006년도, 2018년도)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factors and the time dum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the economic retirement preparedness of baby boomers. Furthermore, through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influential relationships due to time lag,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necessary to reduce social exclusion and preparation for a healthy and stable retirement were presente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e research. In total, 2258 baby boomer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ere chosen for the data analysis, including 1351 participants from the study's first year (born between 1955 and 1958) and 907 participants from the seventh year (born between 1955 and 1958). SPSS Statistics 23.0'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proposed by Baron & Kenny (1986), and the PROCESS macro developed by Hayes (2013)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to verify the mediating moderating effect. The key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nd discussed as follows. First, social exclu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gender, the presence of a spous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control variables. In terms of gender, the social exclusion level was higher for males, for those with a spouse, and for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Additionally, economic prepared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females, those without a spouse, those with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those with disabilities. In the case of the health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as i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elderly. Moreover, it was found that women were more vulnerable, mainly those who had no spouse, with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or had a disabil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aby boomers' social exclusion, it was found that economic retirement prepared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xclusion. Therefore, contrary to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it seems that social exclusion increased regardless of the level of economic preparedness by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Among the health factors, depression, and daily activity restrict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exclus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retirement preparedness and social exclusion,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and daily activity restriction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retirement preparedness and social exclusion. This indicates that social exclusion is more influenced by health factors than by economic preparedness. Thir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retirement preparedness, social exclusion, and health factors according to time lag (2006, 2018), a time dummy was set as a moderating variable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ime dumm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conomic retirement preparedness and social exclusion. In addition, among the health factors, depression, and chronic disease overlap levels were found to have moderating effects. Moreo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retirement preparedness and social exclus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time dummy by health factors. Economic prepared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xclusion. According to the time dummy, economic preparedness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social exclusion in 2006,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2018. Among the health factors, depression and daily activity restri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xclusion, and according to the time dummy, in 2006, it was shown that higher levels of economic preparedness resulted in lower levels of depression. Accordingly, social exclusion also decreased, and in 2018, it was found that higher levels of economic preparedness resulted in a more moderate decrease in depression. Furthermore, in the case of daily activity restriction,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ocial exclusion. Using the time dummy, it was discovered that in both 2018 and 2006, the level of economic preparedness was correlated with a reduced daily activity restriction. Social exclusion, however, seems to be trending steadil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economic preparedness on social exclu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 lag (2006, 201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