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바일향 한의진단 손목 시계형 맥진기 설계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용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초 록 한의학의 진단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맥진이다. 맥진은 손가락으로 손목 부위의 요골동맥의 촌, 관, 척을 접촉하여 맥의 강약, 속도, 빈도, 폭등의 다양한 맥의 정보를 감지하여 환자의 맥동 에 따른 병증이나 생리적인 현상을 진단한다. 한의사의 손끝으로 감지하는 주관 적인 방법을 객관화 시기키 위해 1960년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하지만 개발 당시의 기술적 한계나 개발상의 문제점 등에 의해 개발되어진 맥진기들은 임상에 서 만족할만한 효용성을 제시 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의 국내 맥진기 동향으로는 2011년도 상지대학교 이상석 교수팀의 홀센서를 사용한 Spuls -2011가 만들어 졌고 상지대학교 부속 한방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완료한 상태이다. 특징은 집게형 맥진기로 맥파의 정보 획득이 간편하며 측정시간이 기존의 맥진기와는 달리 빠르며 간편하게 휴대 할 수 있다. 하지만 임상 시험에 의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 되었다. 반복성과 재현성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맥파의 정보 획득이 다르게 나타나며 실맥의 맥파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시술자의 오랜 숙련도를 요구한다. 그리고 반복측정으로 인해 맥진기의 센서 부분이 내구성이 떨어져 정확한 맥파의 정보 획득이 어려워진다. Spuls-2011의 반복성 과 재현성 향상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16번의 과정을 거쳐 디자인 하였고 집게형 맥진기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시대의 흐름에 걸맞게 무선 통신의 기능을 제안하였고, 집게형 맥진기의 센서 부분을 따로 개량하여 내구성을 향상 시켰으며 센서 부분은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환자 감시 장치에 사용하도록 디자인 했다. 16차의 디자인에서는 진맥이 끝나면 디스플레이 상에 맥파를 표시 할뿐 아니라 호흡수, 맥박, 맥박수, 말초혈류 속도, 동맥 경화도, 허맥과 실맥 확률까지 알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16차 디자인은 부피가 크고 사용이 어려운 기기들을 대신하여 착용이 쉽고 측정이 간단한 기기의 설계에도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였다. 앞으로 맥파에서 맥상과 연관성을 찾아 질병의 발전추세와 예후를 판단하는데 일정한 임상의의를 갖는 맥진기 디자인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 및 직업선택요인 차이

        오달희 상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 전공선택 동기 하위요인인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 따라 어떤 집단이 형성되는지 알아보고 이 집단들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교의 재학 중인 대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전공선택 동기 척도는 정보연(2010)이 개발한 척도를 송윤정(2014)이 타당성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은 Betz와 Taylor(1983)가 개발한 진로결절 자기효능감척도(CDMSES)의 단축형인 CDMSES-SF(Betz, Klein & Taylor, 1996)을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번안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취업스트레스 척도는 황석원(1998)이 코넬대학의 스트레스 측정법Conell Mdeical Index : CMI) (Shepherdetal, 1966)을 토대로 개발한 척도를 강유리(2006)가 타당화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취업준비행동 척도는 어윤경 등(2011)이 개발한 취업준비행동척도 6개의 하위요인에서 예비적 직업탐색과 적극적 직업탐색요인을 발췌하여 수정하고 타당화한 진성현, 김경숙(2019)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직업선택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형숙(2004), 문주현(2015)의 연구에 기초하여 이상미(2016)가 10개의 문항으로 선정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에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취업스트레스와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공선택 동기의 내적동기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직업선택요인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직업관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성격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학교 환경스트레스와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외적동기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고, 취업스트레스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잠재프로파일은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전공선택 동기 잠재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Mplus 8.6을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한 결과, 잠재유형 프로파일 그래프 및 기술통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각 외적동기 약한 우세집단, 내적동기 약한 우세집단, 외적동기 강한 우세집단, 내적동기 강한 우세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구분된 4개의 유형별 특성에서 외적동기의 차이는 거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취업전망, 급여 수준, 사회적 평판 등 외적동기를 어느 정도 가지고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SPSS 26.0을 이용하여 일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 한 결과 내적동기 강한 우세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의 집단 간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학업스트레스와 학교환경 스트레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업선택요인에서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직업선택요인의 하위요인에서는 개인적 직업관에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지만, 사회적 직업관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유형에 따라 진로설정 및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진로상담을 진행할 때 잠재집단의 특성에 따라 각 집단별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진로설계와 취업컨설팅을 진행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획일적인 취업 프로그램 운영 보다는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탐색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전공선택 동기 잠재집단에 따라 필요한 취업상담과 컨설팅을 제공하여 진로목표설정과 진로설계, 취업준비에 도움을 주어 취업성공 가능성을 높이도록 조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요어 : 대학생, 전공선택 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 직업선택요인, 잠재프로파일분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up that is formed according to internal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university student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group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stress,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election facto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30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nationwide. The scale of motivation for choosing majors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ong Yoon-jung(2014) through feasibility verification. Career determination self-effectiveness was based on CDMSES-SF (Betz, Klein & Taylor, 1996), a shortened type of career nodule self-effectiveness scale developed by Betz and Taylor(1983) and the employment stress measurement C Cornell(198).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cale was selected by Lee Sang-mi(2016) based on studies by Lee Hyung-sook(2004) and Moon Joo-hyun(2015), which were revised and revised by extracting preliminary job search and active job search factors from six sub-factors developed by Eo Yoon-kyung and othe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election factors of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The internal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sonal occupational view, a sub-factor of job selec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such as personality stress, academic stress, and school environmental stress. External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choice factors, a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stress.,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was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stress,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election factors. Second, the potential profiles of college students' major choice motivation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using Mplus 8.6 to confirm the potential type of major choice motivation,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named as the dominant group with weak external motivation, the weak internal motivation, the dominant group with strong external motivation, and the dominant group with strong internal motiv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external motivation in the four types of characteristics. This shows that most students choose external motivation such as job prospect, salary level, and social reputation when they choose their major. Thir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stress, and job-preparation behavior job sele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ype, one-way ANOVA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detail, Scheffe post-test was conducted and the most dominant group with strong internal motivation was the mo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of job-seeking stres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job-seeking stress, academic stress and school environment stres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factors of job sele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 the sub-factors of job selection factor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ersonal occupatio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social occu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each group to conduct concrete and systematic career design and employment consult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tential group when conducting career counseling by specificall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affecting career setting and employ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exploring programs that can be practical and realistic rather than uniform employment program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necessary employment counseling and consulting according to the potential group of major choice motivation to help set career goals, career design, and job preparation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success.

      •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김정옥 상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Abstrac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Jeong-oki Kim Counseling Psychology Sa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does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self-efficacy? Second, do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flow? Third, do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affect college life adaptation?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nline and offline to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in Korea, and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mong the 410 survey data finally collected, 37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39 questionnaires with missing items. SPSS/WIN 20.0 program was used to fi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simple correlation of collected data, and AMOS 21.0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with structural equation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bootstrap procedure. For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WLEIS (Wong &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and adapted and validated by Tak Jin-guk (2007) was used for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and self-efficacy was developed by Ayoung Kim and Jeongeun Cha (1996) and Ayoung Kim. (1997)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Lee Jeong-wook (2012) validated the scale was used. In addition, for learning engagement, a scale developed by He (2009) and adapted by Yoo Ji-won (2011) was used based on the Student Course Engagement Questionnaire (SCEQ) of Handelsman et al. (2005).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developed by Baker and Siryk (1984), adapted by Hyun Jin-won (1992), and modified by Oh Min-ah (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had a positive (+) 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 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s self-efficacy and has a positive (+) in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Third,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 direc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indirec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by mediat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flow sequentially.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more effective when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help college students who have had difficulties in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adaptation. In other words, for successful adaptation to college life, developi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rais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which is the belief that individuals can do it themselves, and persistence and enthusiasm for efforts to achieve in various tasks or activity situations to be performed by learners. This suggests that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ollege students can be higher. This study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specific educational plans that can improve adaptation to college life. Key words: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learning flow, college life adaptation 국문초록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상지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전공 김정옥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 및 학습몰입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대학생들이 설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회수된 410명의 설문 자료 중에서 결측 문항이 있는 39부를 제외한 371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기술 통계치와 단순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으로 모형검증을 위해 AMOS 21.0을 사용하여, 부트스트랩(bootstrap)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Wong과 Law(2002)가 개발하고 탁진국(2007)이 번안 및 타당화한 WLEIS(Wong &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은 김아영과 차정은(1996)이 개발하고 김아영(1997)이 수정·보완하고 이정욱(2012)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몰입은 Handelsman 등(2005)의 학습자 코스 몰입 척도(Student Course Engagement Questionnaire: SCEQ)를 기초로 He(2009)가 개발하고 유지원(2011)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Baker와 Siryk(1984)가 개발하고 현진원(1992)이 번안하고 오민아(2020)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은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학습몰입에 정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으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이 학업적․사회적․개인-정서적으로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때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하여 대학생의 정서지능을 개발하고, 개인 스스로 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인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이고, 학습자가 수행해야 할 다양한 과제나 활동 상황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노력의 지속성과 열정 등을 측정하는 학습몰입 수준을 높인다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대학생,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 :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와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

        이은경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Strength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Self-Acceptance and Moderating Role of Internal Attribution Graduate Schol of Peace & Security‧Counseling Psycholgy Sangji University Counseling Psychology Major Lee Eun-Kyeng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self-acceptance and moderating Role of Internal Attribution b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e perception of strength i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reaso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targeting 208 university students in Gangw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self-acceptance, and Internal Attribution all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their perception of strength. It was clarified that the social support and self-accepta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inclination of Internal Attribution, and the perception of strength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we used Model 4 of Hayes (2020) SPSS PROCESS macro to confirm the effect of self-acceptance parameters in relation to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support and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results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acceptance in relation to the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This means that social support can directly affect cognition of perception of strength, but it also indirectly affects self-accepta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rnal Attribution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self-accepta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strength, the social support and strengths of university students are recognized only in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strength. The effect of adjusting the Internal Attribution was noted. Social support in low or average populations with low Internal Attribu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impact on cognition.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a high tendency for Internal Attribution showed a high level of recognition of strength regardless of social support. This means that for students with a low tendency to Internal Attribution,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in raising awareness of their perception strength. Fourth, analysis using Model 5 of Hayes (2020)'s SPSS PROCESS macro to examine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effect of self-acceptance paramet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acceptance of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the conditional effect was noted when the Internal Attribution was low or average.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presented in various direction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raise perception of strength, it is necessary to seek social supporters and consider self-acceptance attitudes together. Students with low Internal Attribution propensity also suggested that college students have different interventions in perception of strength, based on the result that social support is a strong precursor to perception of strength. key word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strength, social support, self-acceptance, internal attribu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와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내 4년제 대학교의 재학 중인 대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수용, 내적 귀인성향은 모두 강점인식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수용, 내적 귀인성향, 강점인식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ayes(2020)의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부분 매개 효과가 있었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기수용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함을 의미한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수용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만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였다. 내적 귀인성향이 낮거나 평균인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반면 내적 귀인성향이 높은 집단은 사회적 지지와 관계없이 높은 강점인식 수준을 보였다. 이는 내적 귀인성향이 낮은 학생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됨을 의미한다. 넷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에 대한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20)의 SPSS PROCESS macro의 Model 5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내적 귀인성향이 낮거나 평균의 경우 조건부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강점인식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강점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원을 찾아주고, 자기수용 태도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내적 귀인성향이 낮은 학생은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의 강력한 선행변인이 된다는 결과에 따라, 대학생의 귀인성향에 따라 강점인식의 개입방법이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 주요어 : 대학생, 강점인식, 사회적 지지, 자기수용, 내적 귀인성향

      • 대학생의 스트레스 수준이 음주와 간식 섭취에 미치는 영향

        이혜진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수준을 조사하고, 스트레스가 음주와 간식 섭취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원주시 상지대학교 재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총 391부(사용률 90.9%)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음주량, 음주빈도 및 음주 관련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할수록 술을 더 많이, 더 자주 마시고, 그에 따라 음주 문제를 더 많이 경험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스트레스정도가 음주량, 음주 빈도 및 음주관련 문제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그다지 높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장래문제나 학업과 관련해서 받는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변으로부터의 갈등에서 오는 스트레스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자신을 더욱 발전시키려는 자세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면 여학생이거나, 23세 미만일 때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반면, 학년과 전공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본인의 월평균 지출액에 따라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지출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나 절대적 금액보다는 주관적 만족도가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음주빈도와 음주량에 있어서는 ‘주 2회 이하’, ‘소주 7잔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나 빈도에 비해 양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음주 이유로는‘기쁘거나 축하할 일이 있을 때’가 가장 높았고, 음주로 기대하는 효과는‘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사회성을 형성시켜 준다’가 높았고, 음주와 관련된 경험으로는‘술로 인해 지각을 하거나 약속을 못 지킨다’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군별 음주 빈도를 살펴보면 주관적인 스트레스 수준은 낮은 편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이 주 3회 이상 음주하는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통은 주 3회 이하에서 높게 나타났고, 높은 편에서도 주 3회 이하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식 섭취 빈도는‘하루에 1번 이상’, 그 종류는‘과자’가 높게 나타났다. 간식 섭취 이유로는‘식사로 충분하지 못한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먹는다’가 가장 높았고, 간식으로 기대하는 효과는‘맛있다’가 높았으며, 간식 섭취와 관련된 경험으로는‘용돈에서 지출되는 부분이 많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인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군은 거의 먹지 않음이 높게 나타났으며, 높은 군은 낮은 군 보다는 낮게 나타난 반면, 주관적인 스트레스 수준은 낮은 편은 거의 먹지 않음이 62.1%로 높게 나타났으며, 보통은 거의 먹지 않음이 49.6%로 낮았고, 높은 편에서는 하루에 1번 이상이 60.8%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스트레스는 음주와 간식 섭취에 영향을 주며 대학생들을 위한 음주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및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강 간식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대학생들의 건전한 식문화를 정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stress levels of undergraduatestudents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drinking or snack consumption.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30 students attending Sangji University in Wonju from November 5 to November 28, 2008. A total of 391 usable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with a 90.9% use rat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SPSS WIN 10.0 program.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ndergraduate students' stress levels were closely related to drinking amount, drinking frequency and other drinking-related problem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mor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stress, the more and the more often they drank, and thus, the more they experience drinking problems. However, stress did not give clear explanations about drinking amount, drinking frequency or drinking-related problems. Second, students' stress from future problems or studies was considered as high, but their stress from conflicts with people around them was low. The results implied that students need to have an attitude and to make more efforts to develop themselves. Third, the stress level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or under 23 was high, but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year or major. In addition, monthly average spending wasn't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However, the mor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pending amount, the lower they had stress. It suggested that subjective satisfaction rather than absolute amount had a direct effect on stress. Fourth, concerning drinking frequency and amount, 'twice or less perweek' and 'more than seven shots of soju' were answered most frequently, which showed that drinking amount was more problem than frequency. For drinking reasons, 'happy or celebrating events' came first, for expected benefits from drinking, 'building sociality for mingling with others' did first, and for bad drinking experience, 'being late or breaking promises' was answered most frequently. Fifth, regarding snack consumption according to general facts, 'more than once a day' and 'confectionary' as snack were answered most frequently. For reasons of snacking, 'to ease hunger from insufficient meals' came first, for expected benefits from sank eating, 'delicious' was answered most frequently, and for snack eating related experience, 'spending more pocket money' got first. From the results above, stress was found to influence drinking and snack eating. It needs to develop education or intervention program to help students solving problems on drinking and recognize the necessity of healthy snack in order to establish sound food culture for them.

      • 대학생의 그릿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노희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그릿(Grit)과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대학생들이 지각한 그릿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W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38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242명의 자료를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그릿,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그릿척도는 이정림과 권대훈(2016)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진로준비행동 척도는 김봉환과 김계현(1997)이 개발한 도구를 임은미와 이명숙(2003)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정체감 척도는 Holland, Daiger와 Power(1980)가 개발한 자기직업상황의 진로정체성 검사를 김봉환(199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그릿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졌다. 둘째, 대학생의 그릿이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아졌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정체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정체감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을 위한 실천적 노력에서도 영향을 미친다. 넷째, 그릿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도와주기 위해서 그릿과 진로정체감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 그릿,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career readiness behaviors, and career identity, and analyzed whether career identity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career readiness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80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W regi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242 data using SPSS / WIN 18.0 program, except for 38 unsatisfactory questionnaires. Grit,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adiness measures were used as survey tools. The Grit scale used the scale developed by Lee Jung-rim and Kwon Dae-hoon (2016), and the measures prepared by Kim Bong-hwan and Kim Gye-hyun (1997) used the scales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Lim Eun-mi and Lee Myung-sook (2003). As a measure of career identity, Kim Bong-hwan (1997) revised the career identity test of his job situation developed by Holland, Daiger and Power (198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grit of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ir career readiness. Second, the higher the grit of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career identity. Third, the higher the career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congestion,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readiness. Career identity also affects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tooling activities, and practical efforts to achieve goals,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it and career identity should be increased to help college students prepare for career. Key words : Grit, Career ident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환경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참여 비교분석

        도수정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학습환경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및 2020년 G도 소재 대학생 중에서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참여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 학습, 대학환경에 대한 학습참여를 분석하였다. 오프라인 학습환경은 450명, 온라인 학습환경은 454명으로, 총 904명을 연구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번을 기준으로 2019년과 2020년에 응답한 대상을 추출하여 총 66명의 동일대상을 확보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t-test, ANOVA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환경별 학습참여에서 오프라인 학습환경은 성별과 계열에 따라 학습참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3학년, 1학년, 2학년, 4학년 순으로 학습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학습환경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학습참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예체능, 공학, 인문사회 계열 순으로 학습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학생 배경 변인별 평균 비교 결과, 성별에서는 학습환경에 상관없이 남녀가 비슷하게 나왔다. 반면 학년에서는 오프라인의 경우 4학년에 비해 1학년, 2학년, 3학년이 비슷하게 높았지만, 온라인의 경우 학년 구분 없이 비슷하게 나왔다. 계열에서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학습환경 모두 예체능 계열이 높게 나왔다. 이에 따라 실습 과목 비율이 높은 계열일수록 학습참여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습환경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참여를 비교해봤을 때, 이질집단의 경우 전반적으로 오프라인 학습환경이 온라인 학습환경보다 학습참여가 높지만 학업도전의 반성적 학습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은 온라인이 오프라인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동일집단은 오프라인 학습환경이 온라인 학습환경보다 학습참여가 높게 나타났고, 학습참여의 하위요인인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 경험, 대학환경 모두 온라인 대비 오프라인 학습환경이 높게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이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학습환경일 때 더 높게 나타나는 이질집단의 결과는 자기주도 학습 능력에 따라 성취도가 결정되는 온라인 학습환경의 특성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하지만 동일 집단의 학습환경에 따른 학습참여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온라인 학습환경보다 오프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참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동일 대상으로 학습환경과 학생 배경 변인(성별, 학년, 계열)의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진행한 결과 학습환경과 학생 배경 변인에 따른 학습참여의 상호작용은 없지만, 학습환경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학습환경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대학생의 학습참여를 높이기 위해 대학 차원에서 온라인 학습환경 교육의 운영 및 질 관리를 위한 관리체계를 구축 및 운영해야 하며,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교수와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도록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법 제공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ing environments on university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For this, various factors such as academic year, gender,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s with faculty, or engagement in university environments were analyzed. A total of 904 university students (450,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454,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from the G-province-located universitie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urvey in 2019 and 2020. The Korean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K-NSSE)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academic year, and a total of 66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using IBM SPSS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by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gender and academic division. It was found that ‘junior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freshmen’, ‘sophomores’, and ‘seniors’. In terms of the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by online environm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gender and academic year. The division of ‘art & physical educ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engineering’ and ‘humanities & social sciences.’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as found regardless of learning environments. The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in the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were higher than ‘seniors’ but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t was similar regardless of the academic years. In this study, the students in the division of ‘art & physical education’ or the training-based classes were actively engaged in learning both in online and in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Second, the student’s engagement of learning in a heterogeneous group was compared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engagement of learning in the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was higher tha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terms of the engagement of learning according to sub-factors such as the reflec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the online environments were higher than the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However, the student’s engagement of learning in a homogeneous group, the offline environments were higher tha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regardless of sub-factors such as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s with professors, or learning environments. Third, the results of a two-way ANOVA showed that no interac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s and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e.g., gender, academic year, and academic division) was found,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s may affect the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learning. For the active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learning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for the oper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and to enhance faculty-student interactions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eaching competency.

      •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공감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의 이중매개효과

        여미정 상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 공감능력, 인지적 유연성 및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대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 Process v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중매개분석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살펴보면, 먼저 정서인식 명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Salovey(1995) 등이 개발한 특질 상위-기분 척도(Trait Meta-Mood Scale; TMMS)를 이수정과 이훈구(1997)가 번안하여 타당화한 한국 특질 상위-기분 척도를 사용하였다.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Mehrabin과 Epstein(1972)의 정서공감 척도, Davis(1980)가 제작한 IRI검사, Bryant(1982)가 제작한 정서공감 척도를 박성희(1994)가 번안한 것을 참고하여 전병성(2003)이 재구성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지적 유연성 척도는 Dennis와 Valder Wal(2010)이 개발하고, 허심양(2011)이 번안 및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문제 척도는 Horowitz 등(1988)이 고안한 대인관계문제검사(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 IIP)를 바탕으로 김영환 등(2002)이 개발한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KIIP)의 단축형 버전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인식 명확성은 공감능력과 인지적 유연성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은 대인관계 문제와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지적 유연성과 대인관계 문제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공감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은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공감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상호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정서를 이해하고 식별하여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은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느끼며 적절하게 반응하는 공감능력과 변화하는 환경에서 다양한 해결책을 고안하고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고 지각하는 인지적 유연성도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를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 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자신의 정서를 분명하게 인식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느끼는 공감능력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대인관계에서 유연하게 대처하는 인지적 유연성을 높여주면 대인관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대학생, 정서인식 명확성, 공감능력, 인지적 유연성, 이중매개, 대인관계 문제

      •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유숙자 상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학업 실패내성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원주, 청주, 마산, 제주 지역의 7개의 4년제 대학생 325명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강점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Govindji와 Linley(2007)가 개발하여 김민정(2014)이 번안한 강점인식척도(Strengths Knowledge Scale)를 사용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Baker와 Siryk(1984)가 개발한 대학생활적응척도(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 SACQ)를 현진원과 최정훈(1992)이 번역한 것을 토대로 김영린(2012)이 수정한 척도로 사용하였다. 학업적 실패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아영(2002)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강점인식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강점인식과 학업적 실패내성 및 학업적 실패내성과 대학생활적응도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이 자신의 강점을 잘 인식할수록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며, 학업장면의 실패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건설적인 후속 결과를 갖게 됨을 의미한다. 또, 학업적 실패내성이 높은 학생일수록 대학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업적 실패내성은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점인식이 높은 학생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으며, 강점인식이 높을수록 학업적 실패내성이 높아져 대학생활적응도 잘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요인인 감정, 행동, 과제난이도선호에서 행동만이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자신의 강점을 잘 인식할수록 실패 이후에 적극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대책을 강구하는 행동을 취하여 대학생활에 적응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도록 돕고, 실패경험을 통하여 이를 극복하여 새로운 일에 도전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university students' strength recogniti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strength recogniti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For this purpose, 325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 Wonju, Cheongju, Masan and Jeju were selected for the study. Strengths Knowledge Scale developed by Govindji and Linley(2007) and adapted by Kim (2014) was used to measure strength recogniti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developed by Baker and Siryk(1984) and modified by Kim(2012) based on the translation by Hyun and Choi(1992) was used as a measure to investigate university life adaptation. A measure developed by Kim(2002) was used to measure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strengt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life adap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ngth recognition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between academic tolerance and college adjustment.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more likely to adapt themselves to university life as they recognize their strengths, and have a constructive follow-up result because they have a positive response to the failure of their studies. In addition, students with high academic failure tolerance are more likely to adapt well to university lif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recognition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was investigated using the validation method of mediator effect by Baron and Kenny (1986).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failure toler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recognition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In other words, students with high strength recognition can adapt well to university life. Moreover, those with strong recognition of strength have higher tolerance for failing to study, so they can adapt well to college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recognition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behavior alone has shown the mediating effects among sub - factor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such as emotion, behavior,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This means that as university students become more aware of their strengths, they adapt well to their university life by actively planning and taking action after fail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college life need to be aware of their strengths and need concrete strategies to overcome their failures through failure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