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김미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 본 연구는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활성화를 위하여 일개 병원직원을 대상으로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를 조사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 연구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근속년수 1년 이상의 병원직원을 3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7월 25일부터 9월 15일까지 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문항,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20문항,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 40문항,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교육 요구 7문항 등 총 8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²-test,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é test,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20점 만점에 13.31(3.20)점이었고, 정답률 67.4%이었다.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이 높은 문항은 ‘장기기증의 의미’ 94.1%, ‘장기기증의 적응증이 되지 않는 경우’로 93.8%, ‘장기수급 불균형’ 93.1%이며 오답률 빈도가 높은 문항은 ‘뇌사판정위원회의 전문의’ 95.6%, ‘뇌사판정 조건’ 74.5%, ‘뇌사판정위원회 구성’ 60.4%이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교육수준(F=7.11, p<.001), 근무부서(F=4.50, p<.001), 입원 환자의 장기이식 경험(F=22.80, p<.001), 뇌사자 장기이식 교육받은 경로(F=4.11, p=.01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59(0.36)이었다.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에서 점수가 높은 문항은 ‘장기기증은 타인에게 선을 행하는 것’ 4.39(0.60), ‘국가적 차원에서 장기기증의 제도화’ 4.29(0.71), ‘장기이식은 장기수혜자 삶의 질 향상에 기여’ 4.26(0.62) 순 이었고, 점수가 낮은 문항은 ‘뇌사 장기기증 권유의 부담감’ 2.01(0.83), '이식의료비용에 따라 빈부의 차이로 인한 생명가치 좌우 가능성‘ 2.16(0.84), ‘사람이 사람의 죽음의 판단하는 것에 대한 실수 가능성’ 2.73(0.99) 순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는 연령(F=9.35, p<.001), 교육수준(F=3.54, p=.008), 근무경력(F=5.69, p=.001), 입원환자의 장기이식경험(F=11.06, p<.001), 교육을 받은 경우에 교육받은 횟수(F=4.02, p=.02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에 따른 태도에서는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t=2.46, p=.014), 뇌사는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것(t=3.01, p=.003), 뇌사 상태 시 여러 종류의 장기를 이식할 수 있는 것(t=6.37, p=<.001), 이상적인 장기기증자는 두부손상으로 뇌사 상태에 있는 20대 성인이라는 것(t=3.34, p=.001), 뇌사의 법적 사망인정(t=4.35, p=<.001), 뇌사자 장기이식의 법적 인정(t=4.61, p=<.001), 뇌사판정위원회의 구성(t=0.32, p=.021), 뇌사판정조건(t=2.56, p=.011), 뇌사판정업무는 뇌사판정 기관의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 것(t=2.23, p=.030), 장기수요 불균형(t=3.18, p=.002), 장기기증의 참의미(t=3.05, p=.006)를 알고 있는 경우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r=.30, p<.001) 7.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일반적 특성에서 교육을 받은 경우가 20.2%,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가 79.8%였고, 교육요구에서 교육이 95.6%가 필요하며, 90.3%가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원하는 교육의 형태는 ‘공식적 교육’ 65.7%, 교육시간은 ‘1시간’이 40.5%, ‘1시간미만' 39.9%순이었고, 교육 시간대는 ‘15:00-18:00’ 51.4%, ‘09:00-12:00’ 26.5%로 나타났다. 뇌사자 장기이식과 관련하여 받고 싶은 교육 내용에서는 ‘뇌사’에 관한 것 46.4%, ‘장기 및 조직기증 결정과 관련한 것’ 36.1%, ‘장기 및 조직기증 동의 얻는 것’ 25.2%의 순으로 응답하였고, 뇌사자 장기이식이 증가되기 위한 개선점에서는 ‘범국민적인 캠페인 활동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가 55.1%, ‘장기기증자에 대한 장려 및 지원확대’가 35.8%, ‘의료인교육 강화’가 23.4% 순으로 응답하였다. 8. 의료인과 비 의료인의 뇌사자 장기이식의 교육내용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의료인은 20.4%(3명), 비 의료인은 8.2%(9명)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χ²=6.34, p=.008). 뇌사, 장기 및 조직기증 동의를 얻는 것, 장기 및 조직기증 결정과 관련된 것, 기증자를 판별 방법, 기증자 관리 방법, 병원에서 장기기증 조정, 보호자의 슬픔 상담의 문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병원직원들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은 67.4%, 태도의 평균 점수는 3.59(0.36)이었다. 교육을 받은 경험은 20.2%로 교육이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으며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교육요구에서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교육요구와 참여의사는 각각 95.6%, 90.3%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병원 내 직원교육프로그램에 뇌사자 장기이식 교육과정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교육요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병원직원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이 제공되도록 하여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올바른 지식의 확립과 긍정적인 태도로의 전환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data for education programs by examining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al needs of hospital staff on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awareness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Method: Research subjects are 321 hospital employees who have been working for at least 1 year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B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25 to September 15, 201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otal 86 items: 19 item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0 items on the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40 items about the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and 7 items on the educational needs on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al numbers,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χ²-tes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for ex-post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scored 13.31(3.20) points out of 20,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67.4%. Items with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ere ‘meaning of organ donation’ (94.1%), ‘cases in which there are no indicators for organ donation’ (93.8%), and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organs’ (93.1%). Items with high frequency of incorrect answers were ‘specialists of the brain death decision committee’ (95.6%), ‘conditions for brain death decision’ (74.5%), and ‘organization of the brain death decision committee’ (60.4%). 2.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level (F=7.11, p<.001), department (F=4.50, p<.001), experience of organ transplantation by inpatients (F=22.80, p<.001), and course of education on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F=4.11, p=.010). 3.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scored an average of 3.59(0.36) points out of 5. Items with high scores in the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ere ‘donating organs is doing good deed for others’ 4.39(0.60), ‘systemization of organ donation at the national level’ 4.29(0.71), and ‘donating organs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recipients’ 4.26(0.62). Items with low scores were ‘burden of suggesting organ transplantation to brain-dead patients’ 2.01(0.83), 'possibility of determining life value due to the rich-poor gap according to transplantation costs‘ 2.16(0.84), and ‘possibility of making a mistake in deciding on another person’s death’ 2.73(0.99). 4.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F=9.35, p<.001), education level (F=3.54, p=.008), work experience (F=5.69, p=.001), experience of organ transplantation by inpatients (F=11.06, p<.001), and number of participated education programs (F=4.02, p=.023). 5. Attitude according to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subjects were aware of the following: the difference between brain death and vegetative state (t=2.46, p=.014), impossible recovery of brain death (t=3.01, p=.003), possibility of transplanting various organs in brain death (t=6.37, p=<.001), ideal organ donors are adults in their 20s in brain death due to head injuries (t=3.34, p=.001), legal recognition of brain death (t=4.35, p=<.001), legal recognition of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t=4.61, p=<.001), organization of the brain death decision committee (t=0.32, p=.021), conditions for brain death decision (t=2.56, p=.011), need for brain death decision task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brain death decision agencies (t=2.23, p=.030),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organs (t=3.18, p=.002), and true meaning of organ donation (t=3.05, p=.006). 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subjects regarding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30, p<.001) 7.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20.2% of the subjects received education and 79.8% did not. In educational needs, 95.6% responded that education is needed, and 90.3% respond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The desired form of education was ‘formal education’ (65.7%), the desired education hour was ‘1 hour’ (40.5%) and ‘less than 1 hour' (39.9%), and the desired education time was ‘15:00-18:00’ (51.4%) and ‘09:00-12:00’ (26.5%). The desired education content regarding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as ‘brain death’ (46.4%), ‘matters related to decision of organ and tissue donation’ (36.1%), and ‘getting consent for organ and tissue donation’ (25.2%). Points to improve in order to increase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ere ‘active publicity through pan-national campaign activities’ (55.1%), ‘encouragement and increased support for organ donors’ (35.8%), and ‘reinforcement of education for medical personnel’ (23.4%). 8. Education contents of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for medical and non-medical personne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χ²=6.34, p=.008) in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medical personnel at 20.4% (3 persons), and non-medical personnel at 8.2% (9 perso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tems such as brain death, getting consent for organ and tissue donation, matters related to decision of organ and tissue donation, discrimination of donors, management of donors, mediation of organ donation at hospitals, and counseling for the grief of guardians. Conclusion: In sum,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hospital staff’s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was 67.4%, and the average score of attitude was 3.59(0.36). Only 20.2% of the subjects received education, indicating that there is insufficient education. In educational needs for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the educational needs and intention for participation were high with 95.6% and 90.3% respectivel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on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and training programs for hospital staff must include the curriculum on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hospital staff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educational needs for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It is necessary to make multilateral efforts to establish proper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dead donors by providing systematic education.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김상희 고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의학의 발달은 어떠한 치료로도 소행할 수 없는 장기부전으로 인한 말기환자들에게 장기이식을 실시함으로 생명을 연장하게 하였다. 특히 뇌사상태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보유한 장기를 기증하여 생명의 위협 속에 있는 환자에게 새로운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 뇌사자 장기기증의 참 뜻이다. 그런데 우리 나라의 경우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장기기증을 꺼리는 등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어서 뇌사상태에서만 장기이식이 가능한 심장, 폐, 췌장 등의 경우는 뇌사자 장기기증을 기다리다가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뇌사자 장기기증의 증가를 위하여 잠재 뇌사자를 조기에 파악하여 장기기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환자를 직접 간호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 따라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3개의 대학병원과 4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98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7월 1일부터 8월 1일까지이었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는 300부를 배부하여 그 중 19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제 특성 18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17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45문항 등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정도의 측정도구로는 정(2001)이 사용한 뇌사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와 주(1995)가 사용한 뇌사와 기증에 대한 지식측정도구를 기초로 구성한 것이고,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정도 측정도구로는 주(1995)가 사용한 장기기증과 뇌사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와 하(2001)가 사용한 도구를 기초로 구성한 것으로 긍정적 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81, 부정적 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664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평균평점 및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e test 및 Factor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정도는 ‘암세포에 침범된 장기나 전염성 병균에 감염된 장기는 기증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아는 경우가 94.9%로 가장 높았고, ‘뇌사판정 업무는 뇌사판정 기관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아는 경우가 21.7%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태도정도는 총 평균평점이 3.753점, 표준편자 3.398(최소 1점, 최고 5점)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 긍정적 태도정도는 ‘학교교육과정에 포함’요인이 가장 높았고(4.150±0.539), 긍정적 태도정도가 가장 낮은 요인은 ‘뇌사시 장기기증 의사’요인(3.274±0.561)이었다. 그리고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 태도정도는 총 평균평점이 2.915점, 표준편자 0.472(최소 1점, 최고 5점)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 긍정적 태도정도는 ‘장기기증 권유의 부담’요인이(3.512 0.584) 가장 높았고, 부정적 태도정도가 가장 낮은 요인은 ‘종교와 생명의 존엄성에 위배’요인(2.503±0.635)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태도정도는 근무처(t=2.303, p=0.022), 평균 가동병상수(F=4.051, p=0.019), 근무병동(F=4.012, p=0.008), 근무병원의 장기이식 시행여부(t=2.077, p=0.03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근무처(t=3.190, p=0.002)와 평균 가동병상수(F=4.859, p=0.009) 및 근무병원의 장기이식 시행여부(t=2.488, p=0.01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의 지식정도에 따른 긍정적 태도정도는 뇌사자의 장기를 떼어내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p=0.014), 가장 이상적인 장기기증자는 두부손상으로 뇌사상태에 있는 20대 성인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p=0.034)에서 높았고, 부정적 태도에는 뇌사자의 장기를 떼어내는 것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경우(p=0.050)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정도는 중간 정도로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따라서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 수용적인 태도 전환을 위해 간호사 교육과정에 이에 대한 교육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뇌사와 장기기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으로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끊임없는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중심단어 : 뇌사자 장기기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such as modern diagnostic procedure, drugs, operative methods, artificial medical devices and nursing science has prolonged so much of human's life span. Korea has official acknowledged the brain death through the law of human organ transplantation and donation since February 9th, 2000 and legalized the organ extraction from the brain dead person. Notwithstanding the positive prospect for more organ donation, numbers of donors from the brain-dead are going decrease than before the legalization of brain death, so many a terminal organ failure patients is waiting for organ donors, Many people who concerned this be done such as medical doctors, biomedical scientists, nurses, patients and families. Nurses especially confront many patients/families who try to help them. There are too many waiting organ recipients but too less organ donators is one of basic problems in organ transplantation in Korea. For increasing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the potentially brain dead donors grasps things quickly, has to be achieved organ donation. For a solution of the problem, the role of nurses who cares of patient directly is very important. Therefore as investigation of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n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to try to find the method solving of the problems, this study attempt.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the 198 nurses of university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in B cit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st July, 2001 to the 1st August, 2001. the data. The inquiry used for the research was modified for nurses from three previous ones, Chung Young-Soon's(2001), Park, Bong-Im's(2001), and Ha, Hee-Sun's(2001). It consists of 80 items questionnaires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tems 18, measuring knowledg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17 items, and attitudes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45 items. The measuring and the assessment of the results has been analyzed with SPSS/PC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ean point,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ers : 1) The knowledge among the nurse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was that ‘know the fact of organ invasion cancer cell or infected by microorganism are not able to donate’ is the highest score(9439%). Meanwhile the lowest score is 21.7%, ‘The institute to decide the brain death must be have all factors to decide the brain death.’ 2) The total mean point score of positive attitude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was 3.753±3.398(min 1, max 5). The total mean point score of negative attitude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onors was 2.915±0.472(min 1, max 5).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positive attitudes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inds of hospital’(t=2.303, p=0.022), ‘bed numbers of hospital using actually’(F=4.051, p=0.019), ‘ward’(F=4.012, p=0.008) and ‘yes or no as organ transplantation hospital’(t=2.077, p=0.039).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negative attitudes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wer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kinds of hospital’(t=-3.190, p=0.002), ‘bed numbers of hospital using actually’(F=4.859, p=0.009), and ‘yes or no as organ transplantation hospital’(t=-2.488, p=0.014). 4) According to nurse's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s in ‘know about Korean's government permit the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 death donors’(p=0.014), ‘best organ donor is aged 20 years of young people in brain dead state from head injury’(p=0.005).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 difference between knowledge and negative attitude in ‘don’ know about Korean's government permit the organ transplantation from brain death donors'(p=0.050).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help to the nurses who are concerning organ sharing and make effective interventions and educations to facilitat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of families. Key Words :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Knowledg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d donors, Attitude of organ donation on brain dead donors

      •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김상섭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교회와 신학은 생명의 주권자이신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신앙고백에 근거해 대부분 뇌사에 반해하였다. 그러나 하나님의 주권성에 대한 고백이 반드시 뇌사를 반대하는 입장으로만 귀결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뇌사는 "죽음의 판단 기준이 무엇이냐?"는 문제만이 아니라 장기이식의 문제와 연관해 "어떻게 생명을 살릴 수 있는가?"라는 문제도 제기하기 때문이다. 서구의 많은 국가들은 안락사까지 법적으로 인정하는 시기가 되었다. 이런 시점에서 일부 종교계는 뇌사가 장기 이식을 살신성인의 정신과 고귀한 인류애로 긍정적 평가를 내리는 것은 대단히 가치 있는 일이다. 신학자 램지(P. Ramsey)는 하나님께서는 우리들에게 그 자신의 일을 위임하셨음을 인식하는 가운데 하나님 행동에 대한 인간의 충실한 협력을 기독교윤리학의 기본원리로 보았다. 그는 이웃사랑의 계명이 선이 아니라 의무라는 점에서 기독교윤리를 의무윤리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의무론적 윤리에서 볼 때 기독교인이 타인을 죽일 수 없는 것은 분명하지만 만일 죽이는 것이 다른 사람의 보호 차원의 질서에 필요하거나 어느 누구도 그와 그녀를 위협했다면 기독교인의 죽음에 대한 책임은 오히려 죽이는 경우가 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 말하자면 램지는 기독교 윤리의 전통적 입장에서는 인간이 다른 사람을 죽일 수 없었지만 다른 사람의 보호 차원에서는 죽일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 의료윤리학자인 김중호는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자는 의견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뇌사에 관한 판정기준을 정확히 알게 되면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은 전통적인 종교인의 교리나 주장에 위배되지 않는다.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고양한 것이며, 환자의 가족이 당하는 정신적 고통과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며, 안락사에 관계되는 중요한 도덕적 문제를 해결해준다. 그리고 장기이식 수술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가톨릭 윤리학자 호프만은 뇌사에 따른 장기이식의 문제와 관련의 뇌사에 대한 찬성의 근거를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첫째, 이식문제는 재래식의 절단의 개념과는 다르다. 왜냐하면 제공된 장기가 다른 사람 안에서 그 기능을 계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성의 원리에 위배되지 않는다. 둘째, 구조원, 소방원, 목회자, 의사 등과 같이 인간은 이웃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자기의 손해나 위험을 무릅쓸 경우가 많다. 이때에는 목숨을 잃거나 건강을 상하게 하는 관점에서 보지 않고 이웃을 돕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셋째, 신앙적 입장에서 이웃을 돕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은 그리스도의 제자의 길로 간주된다. 자녀의 불치병을 고치기 위해 어머니가 자신의 신장하나를 주는 경우와 같은 비례적 필요성에서 볼 때 육체의 완전무결함보다 인품의 완전함의 추구가 하나님의 뜻의 실천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장기이식과 관련해 뇌사인정의 가치를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인간의 장기와 같은 가치 있는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정당하다.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폐기하는 것은 낭비일 뿐만 아니라 공해를 유발한다는 것과 마찬가지로, 장기 이식의 정당성은 이론의 여지없이 확보될 수 있다. 희소한 자원이 재활용되면 인류의 전체 행복은 그만큼 증가하게 되고, 장기를 기증하는 즐거움을 만끽하는 기증자나 장기 수혜자 모두가 행복하게 된다. 상호혜택적 측면이 강한 것이 장기 이식이 갖고 있는 근본적인 성격이다. 둘째, 장기의 기증자와 수혜자가 반드시 일방적으로 구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누구나 수혜자가 될 수 있고, 누구나 기증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장기 이식의 합법화는 모든 사람들을 사회 보험에 가입하게 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보험은 각 개인이 처한 위험을 줄여 주고 상부 상조 한다는 점에서 도덕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현대와 같은 자칫하면 삭막하고 외로울 수 있는 상황에서 장기 이식은 공동체 의식을 고양시키고 사회 연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기도 한다. 물론 현실에서 장기 이식 때문에 생기는 여러 가지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며, 그렇기 때문에 그것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의사들의 수준 높은 직업 윤리의식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이유는 장기 이식을 활성화하면 부작용 역시 만만치 않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의료 기술적 해결책은 의료 윤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필요조건이지 결코 필요 충분 조건이 아니다. 기술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도덕적 처방을 할 수는 없지만,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해서 모두 도덕적으로 문제가 없는 건은 아니다. 뇌사 인정을 검토함에 있어서 사회 통념과 실정법에 대한 고찰도 필요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의 이성에 기초를 둔 도덕적 판단이다. 왜냐하면 사회 통념은 역사적 우연성, 지역적 특수성, 아직 발달되지 않은 과학적 지식, 편견 등에 지나치게 좌우되고, 실정법 역시 그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실천 이성에 기초를 둔 공정한 평가는 이러한 여건을 극복하는 데 주요한 지표가 되어야 한다. 생명은 하나님의 주권 하에 있고 어느 누구도 생명을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는 관념들이 이제는 뇌사를 법적으로 인정함으로 인해서 죽어가고 있는 사람을 살리자는 또 다른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본다. 이는 생명의 경시가 아니라 역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하나밖에 없는 생명을 값지게 여겨야 할 것이다. 거룩한 하나님의 성전인 우리의 육체를 죽어 가는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줌으로써 더불어 살 수 있다면 이것보다 더 아름다운 삶이 어디 있을까? 이는 하나님이 지으신 창조의 세계 가운데 서로를 의지하고 돕는 공생의 공동체를 만들며 동시에 예수께서 자신의 몸을 주심으로 이루신 희생의 윤리를 실현하는 과정이라고 하겠다.

      •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김진모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1999년 2월 ‘장기등이식(臟器等移植)에 관한 법률’이 통과되면서 ‘뇌사와 장기이식’이 합법적으로 가능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법률안으로 인해 생명경시풍조가 확산될 수 있고, 아직 여러 가지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아울러 이들이 지닌 문제점들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밝히고, 뇌사와 장기이식이 당면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윤리적 타당성을 지니고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해 가기 위해서 지켜져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폐, 심장, 뇌의 세 장기는 생명 유지에 있어서 필수적인 장기이다. 따라서 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소실되면 생명은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 세 장기 중에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폐와 심장의 영구적 기능정지를 인간의 죽음의 판단 기준으로 삼아왔고, 그것이 별다른 의심 없이 받아들여졌다. 그런데 최근 들어 과학 기술 문명의 발달에 힘입은 의료 기구와 의학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인해 뇌의 상태를 관측할 수 있게 되면서 심장이 뛰고 호흡이 계속되는 등 여러 내장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뇌기능만 완전히 소실되면 사망으로 인정하자는 뇌사설이 새롭게 대두되었다. 이처럼 전통적인 죽음의 판단 기준이었던 심폐사 이외에 뇌사가 죽음의 판단 기준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경에는 불필요한 치료행위를 계속할 필요가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문제가 되고, 또 그것이 중요한 이유는 뇌사가 장기이식 수술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의료기구나 의학 기술의 발달은 과거에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인간 신체의 일부를 다른 사람에게로 이식하는 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죽음 직전에 처한 인간의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전통적인 사망 기준인 호흡 및 심장의 기능 정지를 바탕으로 해서는 장기이식 수술에서 좋은 성과를 얻지 못하게 되자, 종래의 사망 기준보다 한 발 앞선 새로운 사망의 기준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뇌사란 ‘전 뇌기능이 불가역적으로 정지된 상태’로, 뇌사 상태에 빠지면 어떤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가능성은 전혀 없고 적어도 14일 이내에는 결국 심장사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뇌사 상태에 빠진 환자가 심장사에 이르기 전에 죽음의 판정을 내려 그의 장기를 이식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제공하여 그들에게 생명을 연장시켜 주자는 주장은 일견 매우 타당하고 합리적이며 의미 있는 일로 보인다. 그래서 각 나라들은 저마다 뇌사 판정 기준을 만들고 뇌사를 인정하는 법을 만들어 뇌사자의 장기이식 수술을 합법화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여기에는 상당한 위험성과 중대한 문제점들이 내포되어 있다. 장기이식을 위해서 뇌사를 인정하게 될 경우, 인간 생명의 존엄성이 말살되고, 우리 사회에 만연한 생명경시풍조가 걷잡을 수 없는 지경으로까지 확산될 우려가 있다. 또 여러 가지 목적 달성을 위해서 의도적으로 죽음의 순간을 앞당겨 판단한다든지, 판정의 실수 등으로 인해 무고한 생명이 죽음으로 내몰릴 수 있다. 이외에도 장기의 매매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심각한 사회 문제와 가난하고 병들고 약한 자들의 희생, 장기 분배에 있어서의 불평등 등, 이들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들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가톨릭 교회의 교도권은 인간의 죽음에 대한 최종 판단과 확인은 의학의 소임이라는 측면에서 뇌사 판정과 장기이식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전체적인 맥락에서 볼 때 가톨릭 교회는 윤리적이고 합법적으로 이루어지는 뇌사 판정과 장기이식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교회는 생전에 자신의 자유로운 동의가 있었다면 살아서나 죽어서 자신의 장기를 다른 사람에게 제공하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라 행하는 이웃 사랑의 실천으로서 영웅적 행위로 간주하며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더 우선적으로 인간의 존엄한 죽음을 방해하는 인위적인 생명연장을 막기 위해 뇌사가 인정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데 가톨릭 교회는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는 하지만, 뇌사를 죽음으로 판정하고 장기이식을 시행하는 자체보다는 그에 수반되는 윤리적 측면에 더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왜냐하면 교회는 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모든 문제들을 선험적으로 예견하고 판단하여 이 일들이 오류에 빠지지 않고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되도록 해야 하고 하느님이 주신 생명을 보호하고 지켜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가톨릭 교회가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공식적 입장을 선뜻 표명하지 못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본다. 이러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여 볼 때, 뇌사와 장기이식 문제가 윤리적 타당성을 가지고 올바로 발전해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생명 중심적 의식이 필요하다.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근본적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교회는 언제나 인간의 생명은 하느님이 주신 선물이며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존엄성을 지니고 있음을 천명해 왔다. 그리고 뇌사의 판정과 장기이식 수술의 시행은 그것이 참다운 인간 생명에 봉사하는 것이어야 한다. 생명과학의 발전은 어디까지나 인간에 대한 봉사, 곧 인격이 존중되고 생명이 온전히 보호받는 인간에 대한 봉사가 그 목적이 되어야지, 그 발전을 위해 인간이 단순히 수단이 되어서는 결코 안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생명존중의 문화를 형성해 나아가야 한다. 가난한 이들이나 약자들의 생명을 빼앗아 자신의 유익을 위해 이용하는 행위는 죽음의 문화에 동참하는 것이며 생명 있는 모든 존재들의 연대성 윤리에 어긋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On February 1999, our country(Republic of Korea) have passed ‘The Act of Transplanting Organs and the Equivalents’ and this measure made ‘legally’ possible carrying out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the new law is expected to promote ignorance of the value of life and reflects on other problems that follow. Still many controversial affects are anticipated in this country and at this point, I want to consider this related to our reality. Under this consideration, I'm going to make clear what's the right definition of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what's the problem with which it have confronted, what's the terms which it have to be observed in the right way fasten to Catholic moral vision. Generally, the lung, the heart and the brain are the essential organs which maintain life of human being. By any chance, when one of these get disorganized it would make impossible to maintain one's life. Until this day, whether the lung and the heart which appears in visual are functioning or not were the base line judging one's death and this was accepted with no doubt. By the way, the progress with giant strides of science technology made medical instruments and skills effective enough to survey the structure of man's brain. But this kind of advance came out with new fact that, though the heart is beating or some internals are still working, when the function of the brain halts it should be recognized “dead.” In this matter, besid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death, the background of new standard which resolves the matter results from many reasons including sublation of unnecessary treatments rose inevitably but the definitive factor is that the “Brain Death” relatively link to “Organ Transplantation.” The Development of medical facilities and supplies actualized transplanting one's part to another which it was totally impracticable in the past, expanded the life that is in a critical condition. While former regulation of death came out without result on transplantation surgery, the new requirement of mortal rule have rose for necessary. The definition of the “Brain Death” is ‘unreversible functional suspense of entire sphere of the brain.’ Once the brain stops its work, in what manner, possibility for recovery utterly evaporates and leads to heart death no longer than 14 days. Therefore the suggestion that insists that rapid judgement is necessary for patient's unjustly state before reaching to heart death and this appropriate and persuasive measure will lengthen other sufferer's life by providing needed organs from unconsciousness. This is the reason why every states have their own outline for judging brain death and legally approve it to concise death for transplantation surgery of unconscious patient. Our country couldn't be an exception. Focusing on this matter in detail, we can find severe problems and dangers that have contained. When we permit the brain death for the organ transplantation, the respects for human dignity will be harmed and not any longer negligence of human right will spread around the society in unimaginable way. Nevertheless, the rough judgments could be proceed in advance for many other reasons(like doctor's carelessness) and this can possibly kill innocent patients. Furthermore, unpredictable side-affects could be occurred as clear as the light. The problems that have been already revealed are prevalence of purchasing organs and following social problems, unfair distributions of organs, sacrifices of poors and sicknesses and many others we can't hardly imagine. Yet, the power of Catholic magisterium have not expressed its attitude about the judgement of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which they are in charge of medical science and they are the one who have to make final decisions and confirmations whether one is dead or alive. However in total sight, Catholic church seems to stand on the positive spot of the process of judgement of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in legal way. The Church notices that if one have completely agreed at transplanting his(or her) organ to other person whether he(or she) is dead or alive, this decision is great practice of following Jesus Christ who taught to love neighbors. But in priority the artificial treatments which they interfere dignity of human death should be denied and this is the reason why the church consents the necessity of the ‘Brain Death.’ As mentioned, It seems that Catholic church admits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But before judging the brain death as “dead” and proceed the organ transplantation, the Church fixes it's eyes on the ethic aspects which follow after itself. Because the Church transcendentally prospects “the bad occasions” which can happen after the situation and voluntary leads to improve in the positive direction without committing mistakes, so we can preserve the human life. After all, basis to the doctrine of the Catholic Church, to develop the brain death and the organ transplantation problem in the sound way, so it can have ethic propriety, we should possess “the life-centered conscious.” The respect of human life should be the fundamental standard. The Church always taught human life is God's present and it couldn't be shifted to another. In extension, the judgement of brain death and the operation of organ transplantation should sincerely service to human lif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life science is to service to protect human life and respect one's humanity, not degrading human as a means to develop science itself. Last of all, we have to create the life-respecting culture. Exploiting the sicknesses and the poors to make benefit for oneself is participation in culture of death and this trespasses the ethic of the fellowship which every life-living creatures possess.

      • 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연구

        정희윤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 장기기증과 관련된 특성,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파악함으로서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활성화에 필요한 홍보, 교육 및 정책에 대한 기초 자료 제공에 있다. 뇌사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뇌의 기능이 비가역적으로 손상을 받고 인공호흡기로 생명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뇌사의 경우 뇌는 기능을 할 수 없으나 심기능은 유지되고 폐기능은 인공호흡기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장기기증이 가능하다. 서양의 대다수 나라에서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의한 이식이 대부분을 차지하나 현재 한국은 대부분 생체 기증자이식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현재 국내 이식 대기자 현황은 이식 대기자에 비해 뇌사 기증자의 절대적 부족으로 많은 수의 환자들이 치료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김해지역 3개의 대학 재학생들 상대로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고자 235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9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시행되었으며 총 47문항으로 학년별, 성별 등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와 Pearson Correlation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지식

        이광흠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지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뇌사자 및 가족을 위한 지지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뇌사자 장기이식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2월 01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B광역시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의 1년 이상 경력을 가지고, 호스피스완화병동 근무 및 전문 교과 과정을 이수하지 않은 간호사 중 편의 표출한 238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 점수는 총점 5점 중 평균 3.63±0.76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별로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요인 2)이 평균 3.92±0.74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장기이식의 돌봄(요인 4) 3.84±0.69, 뇌사인정의 위험성(요인 3) 3.41±0.86, 뇌사 장기기증에 대한 수용(요인 1) 3.37±0.74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지식 점수는 평균 8.18±2.44점(20점 만점)이었으며, 문항별로 ‘통증조절에서 보조적 요법을 사용하는 것은 중요하다.’가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임종 시 환자 가족이 환자 곁을 지키는 것은 중요하다.’의 정답률이 가장 낮았으나 이는 우리나라 문화와 상반되는 정답이여서 제외하고 ‘위약을 사용하는 것은 어떤 유형의 통증 치료에는 적절하다.’가 가장 낮은 문항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는 성별(t=3.01, p=.003), 연령(F=2.88, p=.037), 최종학력(F=3.15, p=.045), 결혼 상태(t=-3.12, p=.002), 자녀여부(t=2.22, p=.027), 뇌사자 간호 경험(t=2.39, p=.01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지식은 최종학력(F=6.79, p<.001), 직위(F=4.38, p=.01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한 지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호스피스완화의료와 뇌사자 장기이식은 같은 법적 테두리에서 제도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실제 호스피스현장에서는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존엄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환자와 가족에게 돌봄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호스피스 대상자와 더불어 뇌사자 및 사별가족도 돌봄 서비스의 수혜자가 된다고 하겠다. 즉 호스피스 서비스의 철학 및 윤리의 본래 취지에 따라 서비스 대상을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뇌사와 관련된 죽음의 존엄성 유지, 장기이식 및 사별가족간의 갈등과 같은 윤리적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개선과 더불어 제도적인 보완을 위한 국가·정책적 차원의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nurses attitudes toward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and the degree of knowledge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develop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s for brain-death and family, and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ng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 2019 to March 31, 2020, and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on 238 nurses who have more than a year of experience in three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have not completed hospice and palliative ward and specialized curriculu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was relatively positive, averaging 3.63±0.76 out of 5 points, and by sub-factor, brain-death was recognized as death (factor 2) with the highest average of 3.92±0.74, the care of organ transplantation (factor 4) was 3.84±0.69, the risk of brain death recognition (factor 3) was 3.41±0.86, and the acceptance of brain death organ donation (factor 1) was 3.37±0.74. 2. The subject's knowledge score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veraged 8.18±2.44 out of the total score of 20, and the question 'Using auxiliary therapy in pain control' showed the highest correct answer rate. 'It is important for the patient's family to stand by the patient when dying' had the lowest correct answer rate, but this was contrary to Korean culture so it was be excepted. The lowest question was 'Using placebo is appropriate for any type of pain control'. 3. The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s gender (t=3.01, p=.003), age (F=2.88, p=.037), final education (F=3.15, p=.045), state of marriage (t=-3.12, p=.002), child status (t=2.22, p=.027), brain-death experience (t=2.39, p=.018).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depending on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F=6.79, p<.001), and position (F=4.38, p=.014).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and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as shown that the two variables a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above results show that hospice palliative care and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are not receiving attention at the actual hospice site even though the system is in place under the same legal framework. In terms of providing care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o that they can die with dignity and value, brain-death and bereavement families as well as those subject to hospice care will also benefit from the care servic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philosophy and ethics of hospice service. Furthermore, in order to resolve ethical issues such as maintaining the dignity of death related to brain-death, organ transplantation and conflicts between separated families, national and policy support for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required along with improving nurses awareness of organ transplantation of brain-death.

      • 뇌사,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에 대한 부산시민의 지식과 태도

        정웅재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에서 2000년 2월 뇌사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뇌사의 인정은 또 다른 의미로 장기적출 대상자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장기적출 또한 합법화되어 장기기증과 장기이식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현실은 장기기증에 대한 국민의식의 미비로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으로 뇌사자장기기증이 인구 100만 명당 3.5명으로 미국이나 독일의 20%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최근 선종한 김수환 추기경의 안구기증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장기기증에 대하여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장기이식에 대한 국민의식이 항구적으로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기기증이 특별한 사건으로 인해 잠시 주목을 받기는 하지만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는 유지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고 실제로 뇌사자가 발생한다하더라도 장기기증 수준을 활성화시키는 데에는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뇌사자의 장기 기증절차 또한 단순해 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민을 대상으로 뇌사와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분석하고 일반적 특성이 뇌사 및 장기기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장기기증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본 조사로 인하여 장기기증에 관한 국민의식을 제고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민이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7월 14일부터 8월 31까지 47일 동안이었다. 자료의 수집방법은 연구보조원들을 사전교육 한 후 조사대상자에게 조사목적을 설명하고 대상자가 동의한 경우 대상자 본인이 직접 설문지에 기입 하도록 한 후 바로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총 2,200부를 회수하여 응답이 불완전한 설문지 158부를 제외하고 2,042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조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구조화된 설문지였으며, 설문문항은 일반적인 특성 11문항, 뇌사, 장기기증 및 이식에 관한 지식 20문항, 장기이식 및 기증의 태도 33문항, 뇌사에 대한 태도 20문항 등 총 10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한글 SPSS 17.0을 사용 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뇌사 및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요인분석 후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χ2-test, T-test 그리고 ANOVA로 검증을 실시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기기증 의사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 중 장기기증에 대하여 들은 경험이 있는 경우는 71.6%였으며, 처음 접하게 된 매체는 방송으로 73.7%이었다. 둘째, 장기기증의사가 있는 경우는 54.6%이었으며, 장기기증을 결심하게 된 동기는 ‘장기기증센터의 홍보활동을 보고’가 35.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유명인사의 장기기증을 보고’가 23.1%이었다. 셋째, 뇌사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남자 92.8%, 여자 89.5%로 매우 높았다. 뇌사판정에 대해서는 남자 83.7%, 여자 77.5%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장기기증절차에 대해서는 남자 49.7%, 여자 40.6%가 인지하고 있었다. 넷째, 이식이 가능한 장기에 대한 지식은 남·여 모두 신장, 각막, 간, 심장 그리고 골수에서는 높았으나 폐, 췌장, 위 그리고 대장에 대해서는 지식이 낮았다. 다섯째, 장기기증 의사에 따른 뇌사,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남자의 경우 모든 문항에서 ‘장기기증의사가 있는 대상자’가 높았으며 전체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에서는 ‘장기기증의사가 있는 대상자’의 지식이 높았으나 남자와 같이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여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에서 장기기증 의사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았다. 수용적 태도요인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배타적태도요인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기혼자 그리고 종교 있는 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긍정적 태도요인에서는 남자,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자 그리고 종교가 있는 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에 대한 태도에서 장기기증의사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사망인정 태도요인에서는 남자,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자 그리고 종교가 없는 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용적 태도요인에서는 남자,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자 그리고 종교가 있는 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배타적 태도요인에서는 남자,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기혼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종교적 태도요인에서 종교가 없는 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덟째, 일반적 특성이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본인이나 가족의 만성질환 또는 불치병여부, 종교, 장기기증에 대한 수용적 태도요인, 배타적 태도요인, 긍정적 태도요인이었다. 아홉째, 일반적 특성이 뇌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본인이나 가족의 만성질환 또는 불치병여부, 종교, 사망인정 태도요인, 수용적 태도요인, 배타적 태도요인이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기증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도를 높이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방송과 같은 대중적인 매스미디어를 통한 대국민 홍보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중매체를 통하여 제공되는 장기기증과 장기이식에 대한 내용은 불특정다수로 하여금 장기기증에 대하여 노출의 빈도를 높이게 되어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기기증센터나 관련기관이 범국민적 이벤트를 마련함으로써 장기기증에 대한 국민의식을 전환시키고 나아가 장기기증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도록 다각적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In January, 2002, brain death was formally recognized as death in Korea. Recognition of brain death as death also means that those who are brain death can be subjects of extracting organs, and thereby it was expected that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would be revitalized with legalized organ extraction. However, the reality is that because of people's lack of consciousness on organ donation, the incidence of organ donation is still considerably low and organ donation by brain death is 3.5 people per million people, which is only 20% of that of the U.S.A and Germany. Recently, Cardinal Kim Su-Hwan's organ donation renewed people's perception on organ donation. However, it is true that a special occasion can draw people's attention on organ donation but it is not remain consistently unless people's consciousness on organ donation is kept permanently. Even if there are brain death cases, in order to activate the level of organ donation, not only we should form social sympathy that people recognize brain death as a death but also we should simplify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 for brain-dead people. Thus,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ic data on organ donation by analyzing knowledge and attitudes on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nd the eff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brain death and organ donation, and further at improving people's consciousness on organ donation, subject to citizens of Busan City. This study includes general public resid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data was collected for 47 days from 14 July to 31 August, 2009. The data collected firstly by educating research assistants, and by explaining purposes of the research to participants, and then collecting questionaries as soon as participants answered the questionaries directly when they agreed to do so. Among a total of 2200 cases of the questionaries, only 2042 cas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ept for 158 cases which are not perfectly answer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he questionary as a tool of this study was reorganiz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hich contains a total of 101 questions including 11 question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20 for knowledge of brain dead,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33 for attitudes towards organ transplantation and donation, and 20 for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For data analysis, SPSS 17.0K was used, and for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examination on mean, standard deviation and X2-test,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factors for participants' consciousness and attitudes on brain dead and organ transplant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understanding of relations between participants' will to donate organ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participants, those who have heard about organ donations were 71.6% and the first route contacting the information was 73.7% broadcasting. Second, among 54.6% the participants who are willing to donate their organs, for the motive that they became to decide to donate organs, the majority of the answer was 35.0% after watching PR activities by Organ Donation Center, followed by the answers 23.1%, after watching personages' organ donations. Third, recognition on brain death was significantly high, which was 92.8% for men and 89.5% for women. In regard to diagnosis of brain death, 83.7% of male respondents and 77.5% of female respondents recognized diagnosis of brain death. About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 49.7% of male respondents and 40.6% of female respondents understood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 Forth, about the knowledge on organs that are possible to be transplanted, both male and female had high understanding of transplanting the kidney, cornea, liver, heart and marrow but low understanding of transplantation of the lung, pancreas, and stomach. Fifth, about the knowledge on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the will of organ donation, in the case of male respondents, those with high will of organ donation show high results in all the question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questions. In the case of female respondents, those with will to donate their organs showed high results, but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all the questions as men did. Sixth, in regard to attitudes towards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hen the respondents have the will to donate their organs, the results appeared as follows; for acceptive attitude factor, there were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respondents are old. For exclusive attitude, there were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y are old, married and have religion. In the case of positive attitude factors, there were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y are men, old, married, and have religion. Seventh, in the attitude towards brain dea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hen they have will to donate their organs, the results appears as follows; in the factor of attitudes of recognizing death, there were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y are men, old, married, and not have religion. For the factor of acceptive attitude, there were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y are men, old and married. For exclusive attitude, there were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y are men, old and married. For religious attitude factor, there were statistic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y are not have religion. Eighth, the factors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the attitudes towards organ donation include gender, age, chronic diseases or incurable diseases in the respondents or their family, religion, and acceptive, exclusive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s organ donation. Ninth, the factors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include gender, chronic diseases or incurable diseases in the respondents or their family, religion, and recognizing death, acceptive and exclusive attitudes towards organ donation.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raise people's consciousness on organ donation and form social sympathy, more than anything else, public mass media like broadcasting is important.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through mass media may lead to conversion of recognition on organ donation since it can increase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organ donation. In addition, as organ donation centers and related institutions prepare nationwide events, we should endeavor to prepare the opportunities in various ways to converse people's consciousness on organ donation and further put organ donation into practice.

      • 뇌사 장기기증 유가족의 애도 경험에 대한 이해 - 질적사례연구 방법으로 -

        최윤지 초당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뇌사자 장기기증 유가족이 상실한 가족에 대해 어떻게 애도를 경험하는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사회복지적 유가족지원 및 개입방법과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뇌사 장기기증 유가족의 애도 경험은 어떠한가?’와‘애도 경험 후 유가족의 바람은 무엇인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뇌사자 장기기증 유가족 중 사별 기간이 2년 이상으로 애도 경험이 충분히 있고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는 유가족으로 한국장기조직기증원(KODA)의 관리자에게 추천받아 선정한 12명이다. 자료는 2022년 7월부터 9월까지 윤리적 고려에 기반한 반구조적 질문지로 개별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분석은 이슈를 중심으로 사례를 비교·대조하는 동시에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Stake(1995)의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사 장기기증 유가족의 애도 경험은 총 4개의 상위주제, 12개의 하위범주와 37개의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다. 1. 상위주제는“뇌사상태에 대한 부정이나 충격으로 인한 정신적 불안정”이었다.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갑작스러운 뇌사상태로 현실을 부정’하고‘불안과 멍 한 상태로 무 감각적인 혼란’으로 나타났다. 예상치 못한 가족 구성원의 뇌사 판정에 유가족들은 충격과 부정, 아무것도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정신이 멍한 감정적 고통 속에 있었고 불안하고 초조했던 혼란스러운 신체적, 정신적 어려 움이 나타나는 경험을 하였다. 2. 상위주제는“받아들일 수 없는 고통 속에서 치른 장례식”이었다. 이에 대한 하 위범주는‘고인을 기리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장기기증 결정’과‘장례 의식을 함 께 해준 고마운 손길’ 그리고‘장례식 후 의미를 잃어버린 고통의 삶’으로 나 타났다. 유가족은 이미 상당한 심리적 고통과 괴로운 경험을 겪는 중에 기증에 관해 결정했는데, 기증에 동의한 것은 방송 매체에서 간접 경험했던 기억의 실 천이었다. 그리고 반드시 거쳐야 하는 복잡한 뇌사판정 절차와 장기기증 수술 이라는 또 다른 종류의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약물과 알코올에 의존해 제정신이 아닌 채로 살아가는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3. 상위주제는“원망과 상처 되는 마음으로 무기력하게 시간을 보냄”이었다.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고인의 명복을 기도하지만 남은 자녀에 대해서는 집착’하고 ‘절망 속에서 무기력하고 의욕이 사라진 채 시간이 흐름’과‘오해로 인해 상처 받은 경험이 주는 장기기증에 대한 회의감’으로 나타났다. 유가족은 의욕 없이 무기력한 채 남은 자녀에게 집착하여 가족 내 갈등이 야기되었다. 또한 장기기 증에 대한 왜곡된 소문과 오해로 다양한 상처를 받고 대인관계가 불편해졌으며, 기증에 대한 회의감마저 들었다. 4. 상위주제는“위로 경험을 통해서 고인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앞날을 위해 노력 함”이었다.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삶과 죽음에 대한 의미를 통해 사별을 수 용’하고‘생계형 일에 몰두’,‘같은 처지인 사람들과 슬픔을 나누며 생명나눔 교육 홍보 활동’,‘가족 및 주변의 지지와 도움’으로 나타났다. 유가족은 일에 몰두하여 상실의 아픔을 잊고자 노력했고, 같은 처지인 유가족을 통해 치유됨을 느끼고 의미 있는 사회활동을 하면서 삶과 죽음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구성하여 회복되어가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이처럼 4개의 상위주제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 라 상호 역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둘째, 애도 경험 후 뇌사 장기기증 유가족의 바람은 1개의 상위주제, 4개의 하위범주와 11개의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다. 상위주제는“장기기증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공적 관리의 교육체계 및 다양한 활성화”이었다.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장기기증에 대한 범국민 인식개선과 다양한 홍보 확대’,‘뇌사판정 절차의 간소화’, ‘유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활성화’,‘전문가와 기관의 도움’으로 나타났다. 뇌사 장기기증 유가족 지원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계몽을 통해서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개선과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유가족 자조 모임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국가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느꼈다. 본 연구는 뇌사 장기기증 유가족의 애도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해하였다. 또한 애도 경험을 통해 유가족의 치유와 회복을 촉진하고 삶에 재적응을 조력하기 위한 요소들을 확인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사자 장기 기증 유가족의 정서적 어려움에 개입하여 가족 상실로 인한 가족의 위기를 극복하게 하였다. 더불어 가족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뇌사자 장기기증 전 과정과 이후 애도 개입까지 의료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를 유가족 지원 및 예후 시스템과 유가족 모임이 원활한 수도권 거주자로 제한하여, 지역에 거주하면서, 기관의 도움을 받지 않고 고립된 채 애도 경험을 겪고 있는 대다수의 뇌사 장기기증 유가족을 포함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애도 대상자의 애도 경험에 관한 연구와 유가족 지원과 예후 시스템 및 유가족 모임이 원활한 대도시와 극단적으로 대조 가능한 지역의 뇌사 장기기증 유가족 대상자 모두를 포함하여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이태관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의학과 의료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새로운 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인공소생술과 생명연장 장치의 발달은 죽음의 기준을 뇌사로 주장하게 되었고, 장기이식 수술의 발달은 장기의 기증과 분배에 있어서 많은 윤리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심장과 같은 장기를 이식할 경우 그것은 사람의 생존에 불가결한 가장 중요한 장기인 동시에 오직 하나 밖에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식할 장기는 결국 사체로부터 적출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심장사에 도달한 후에 적출할 심장을 가지고 이식해서는 그 성공률이 낮아져서 바람직한 효용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뇌사단계에서 심장과 같은 하나밖에 없는 장기의 적출이 필요하게 되어 종래의 죽음에 대한 개념의 변경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처럼 뇌사가 논란의 대상이 되고 문제가 되는 것은 장기이식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이다. 장기이식 수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보다 신선하고 좋은 장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뇌사의 인정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일정하고 통일된 뇌사판정기준에 비추어서 인간의 죽음을 판정해야 된다. 오늘날 장기이식이 활발하게 시행됨에 따라 의학 분야에서는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많은 관심을 일으키게 되었으며, 이에 우리는 장기이식에 대한 올바른 논의와 윤리적 방향이 제시되어야 한다. 우리는 어떤 행동이 도덕적인가의 여부를 판단할 때 윤리원칙들과 규칙들을 활용한다. 장기이식과 관련된 행위를 정당화하는 원칙으로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그리고 정의의 원칙 네 가지 근본적인 윤리원칙들에 의해서 고려되어진다. 장기분배의 문제도 공정하고 투명한 원칙에 의해서 분배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죽음의 정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현대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새롭게 대두된 죽음의 판정기준인 뇌사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고,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와 장기분배의 문제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and medical technology is raising new issues in relation to human life and death. The advancement of resuscitation and life extension equipment has led to the assertion of brain death as the criterion of death. And the development of organ transplantation has brought many ethical problems with organ donation and allocation. A particular organ like heart which is essential to human existence cannot avoid being extracted from corpse because it is the one and only organ. But cardiac transplantation with heart that is extracted after the organ is judged dead is difficult to be effective and successful. Thus the one and only organ like heart needs to be extracted when brain death. This inevitably changes the definition of death. The reason why brain death becomes a controversial issue is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with organ transplantation. To make the transplantation successful requires more fresh and good organs. For this reason, brain death recognition is essential. Thus human death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consistent, uniform standards of brain death judgement. More attention becomes paid to new ethical issues that have not existed in the field of medicine before as organ transplantation is actively pursued. In this sense, ethics about the op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a right direction. In determining whether a particular behavior is moral or not. we use ethical principles and rules. Four fundamental ethical principles which justify behaviors related to organ transplantation include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the Principle of Non-maleficence,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and 'the Principle of Justice'. In addition, organ allo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just, transparent principl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thical issues in relation to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which have been newly raised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and problems with organ allocation,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different definitions of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