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唐代 文人의 茶道觀 硏究 : 陸羽를 중심으로

        서정임 圓光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1871

        The ancient tea culture of China had originated before Sanguo(三國). It prevailed in high society with dissemin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s well as Thought of Pure Discourse during the Wei Jin(魏晉) period. The great canal from the Yangtze River to the Yellow River which has opened to traffic by Yangje(煬帝) of the Sui(隋) Dynasty resulted in the economical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continent. Tea has been used for medicinal purposes till the Nanbei(南北) Dynasty. The economical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contin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preading of tea over the folk community. As the economics continued to prosperous in the Tang Dynasty(唐代), tea has been brought into fashion from the aristocracy to the folk community. It means that tea was turned the privileged class-dominated thing into the favorite of all classes. The literary men of the Tang Dynasty provided the literature evidence of the ancient tea culture in China as they have written literature and poetry for tea. The typical literature was Chajing(茶經) of Yuk-u(陸羽, 733-804) and many good poems for tea were handed down by the literary men associated with him. Tea was designated as a staple product according to the Gongcha zhidu(貢茶制度) and Quecha zhidu(榷茶制度) by the royal family of the Tang Dynasty at the outset. In consequence, the Dynasties of many generations observed and administered tea as the important product of nation. It might show that the Chinese tea culture was substantially established and improved in the Tang age. The ancient tea culture in Korea was init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hinese tea culture by the students and the Buddhist monks who were dispatched to Tang at this conjuncture. Chajing, the work which was written by Yuk-u might be a literature of a thesaurus. It must be an encyclopedia of tea which explained various aspects such as ecology, cultivation, harvest and drinking purpose of tea. He spent his childhood in a temple, studied Confucianism in adolescence, and lived in seclusion in mountainous districts after the middle years of his life. Hence, it was not a mere of accident that the Chajing combined the thoughts of Sanjiao(三敎). The literary men in the Tang Dynasty delighted in versifying with tea as a subject matter. They regarded tea as a tool of mental culture or they lived in seclusion with versifying various poems such as tea culture poem, lyric poem, changhe poem(唱和詩), poem against misery of a Gongcha zhidu, and chan-like poem. Because poets who perused and shared each other's feeling composed poetry for tea living, tea poetry was regarded as a genre. Hence, tea art thought of literary men including Yuk-u has affected writings and poems for tea over future generations. For instance, the discrimination of superior tea water out of Yuk-u' view was expressed in Jiancha Shuiji(煎茶水記) of Jang U-sin(張又新). That has stimulated various controversies in tea water over a period of future generations. Sanfeifa(三沸法) of Jiancha(煮茶), the process which was advocated by Liuyu, has been quoted more frequently in writings and poems for tea since Song yuan, and has elaborated further upon expressions related to Sanfeifa. Mingzhan(茗戰), the Jiancha contest which was popular in the literary man community since the Song Dynasty and spreaded far and wide in the gentry since the Korea age. Dongchasong(東茶頌) of Cho-ui Ui-sun(草衣意恂, 1786-1866), the book which was written around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ffected by the literature of Chajing and Chalu(茶錄) of Jang won(張源) an. According to this, it might guess that the tea art of Yuk-u has affected Korean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tea art of literary men including Yuk-u in the Tang Dynasty gave an important tur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ncient tea culture in China and the tea theory in future generations has been based on it. 中國의 古代 茶文化는 三國時代 이전에 시작되어, 魏晉時代 淸談思想과 더불어 佛․道 兩敎가 확산되면서 상류사회에 널리 유행하였다. 隋煬帝에 의해 楊子江과 黃河를 개통한 大運河는 수상교통을 원활하게 하여 大陸 南北의 경제적 통합을 이루어 냈다. 南北朝時代까지 藥用으로 쓰여 졌던 차가 민간사회로 확산된 것은 남북 간의 경제적 통합이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이다. 唐代에는 사직의 안정과 경제적 번영에 따라 귀족사회에서 민간사회까지 차가 널리 보급됨으로써 일부계층의 전유물에서 거의 모든 계층이 애호하는 기호품이 되었다. 唐代의 文人들은 茶書와 茶詩를 저술함으로써 중국고대의 차문화 상황을 입증할 수 있는 문헌증거들을 내놓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陸羽(733-804)의 󰡔茶經󰡕이며, 그와 교유한 문인들에 의한 茶詩가 상당하게 전하고 있다. 唐代 왕실에서는 貢茶制度와 榷茶制度를 최초로 시행하여 차를 국가의 중요생산품으로 지정하였다. 그 결과 중국역대의 王朝들이 차를 국가의 주요 생산업으로 주목하고 관리하게 되었다. 이렇게 보면 唐代는 실질적으로 중국의 차문화를 확립하고 발전시키는 기반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고대 차문화는 바로 이 시기에 파견된 遣唐 留學生과 留學僧들을 통해 중국의 차문화가 유입되면서 시작되었다. 陸羽의『茶經』은 唐代 茶論의 寶庫와도 같은 책이다. 茶樹의 生態․栽培․收獲․飮用에 이르는 차생산과 飮茶의 모든 과정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百科全書格인 저서이다. 그의 생애를 살펴보면, 유년기는 寺院에서 살았고, 청년기는 儒學을 공부하였으며, 중년기 이후에는 주로 산중에 묻혀 隱士로 지냈다. 따라서 『茶經』의 내용에 三敎思想이 골고루 녹아있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 당대의 문인들은 차를 소재로 한 茶詩를 즐겨 지었다. 차를 수행의 도구로 삼거나 은거하며 자연과 더불어 음다생활을 읊은 시․한정과 서정을 주제로 삼은 시․선적인 시․창화시․공다제도의 참상을 읊은 시 등 다양한 주제의 다시를 남겼다. 이처럼 다시가 한 장르처럼 여겨지게 된 것은 육우의 『다경』을 숙독하고 교감한 시인들이 앞 다투어 차생활을 소재로 하는 작품을 창작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陸羽 이하 唐代 다인의 茶道思想은 후대의 茶書와 茶詩에 대해 많은 영향을 미쳤다. 예컨대 唐代 張又新의 『煎茶水記』에서 그가 陸羽의 견해를 빌려 발표한 茶水의 優劣 감별법은 후대에 여러 가지 茶水論爭을 불러 일으켰다. 또 陸羽가 주장했던 煮茶의 三沸法은 宋元 이래 다서와 다시에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연관된 표현법들도 점점 더 정교해졌다. 煮茶의 優劣을 겨루는 茗戰은 宋代 이래의 문인사회에서 크게 유행하였고 고려시대 이래 한국의 文人사대부 계층에도 널리 유행하였다. 조선시대 말에 출현한 草衣意恂(1786-1866)의 󰡔東茶頌󰡕은 육우의『茶經』과 明代 張源의『茶錄』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저술되었다. 이로 미루어 조선시대는 물론 현재까지도 육우 다도사상이 한국의 다인들에게 미친 영향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육우를 비롯한 唐代文人의 茶道思想은 中國古代 茶文化 형성의 중요한 전환점이며 후대의 茶理論의 기반이 되고 있다.

      •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작문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정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Schools, which are believed late adapters to the newer circumstances, are to prepare themselves by adopting new ideas, responding to the current change of the writing environment. In this thesis, the Internet-Cafe is considered as the medium how to promote the writing education. It is because the Internet-Cafe has complemented to the writing for the two reasons; one is its familiarity to the students and the other reason is its active interconnection performed on-line. This research includes the recent characteristics of writing. Those sources are mainly from the Internet-Cafes that successfully adopted this idea. Therefore, this study begins with looking into the former studies over hypertexts. With that consideration, in the chapter 2,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hypertext will be discussed for the educational use. Further, in order to find out the educational aspects of hypertext, hypertext-related-contents that revealed in the 7th curriculum and specifically those contents in the writing text books will be analyzed. Based on the current education on the writing, both will be discussed; how the hypertext writing provides the vision of the conventional writing teaching and how the role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chapter 3, I will discuss some certain Internet-Cafes that not onl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pertext but also are easy to use in the practical education fields. After studying the concept of Internet-Caf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net-Cafe and the hypertext, in terms of the educational meanings, the pros and the cons will be suggested. The chapter 4 will propose how to improve the writing education with the idea of the Internet-Cafe and anticipate its possible uses in the class. Also, class-models adapting the idea of the hypertext will be shown with the expected results and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fresh the writings based on the hypertext and to inform the utility of the Internet-Cafe. To sum up, in the 7th curriculum, it is certain to see the importance of the writing with hypertext, the cooperating writing in the writing text books, and the netiquette and the examples of destructed words. Correspondently, the hypertext writing has already spread out our daily life, which demands the change of educational methods on the writing. However, current textbooks only cover the general information of hypertext writing such a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t. In other words, they have lack of attention to the active practice of hypertext writing.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hypertext-writing is undervalued, due to the lack of facilities and verification of its use and the shortage of interests by teachers. With these concerns, the Internet-Cafe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hypertext writing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urther, I provide some models, for example to make a class-newspaper on the Internet Cafe. The advantages of the writing on the Internet Cafe are to help student get accustomed to the new writing circumstances and to reduce the pressure of writing which also is expected to increase the student's creativity. Also it will acceler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which will strengthen the cooperation in other ways. In spite of the various advantages,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concerned before practicing it in the class. The possible problems are that the students may only deal with very casual writings and they get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anonymity on the on-line basis. This kind of problem is not only found by the Internet-Cafe users, but it is the general problem most Internet users face. However, we should understand that there was no educational attempt to teach the hypertext writing such as how to cite, how to select appropriate information, and so on. In order to cope with the disadvantages of the hypertext writing, the students need to be informed the dangers of anonymity and the current seriousness of destructed language. These efforts should be taken care not just in the writing class level but in the general writing level. 새로운 매체에 대한 인식의 속도가 가장 늦은 학교에서도 전통적인 교수 · 학습 방법에 새로운 매체를 접목하여 급격히 변화하는 작문 환경에 대비하고자 한다. 새롭게 등장한 매체들이 많지만 본고에서는 작문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 매체로 인터넷 카페를 선택했다. 학생들에게 친숙한 작문 환경으로 자리 잡은 점과 상호작용이 활발한 하이퍼텍스트의 특성이 기존의 작문 수업을 보완해주리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하이퍼텍스트 작문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한 인터넷 카페를 중심으로 새로운 글쓰기의 특성을 알아보고, 협동 작문을 위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는 과정을 통해 인터넷 카페를 활용했을 때, 작문 교육의 효과와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는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에 관한 선행 연구의 검토에서 시작한다. 이를 바탕으로 2장에서는 하이퍼텍스트의 특성의 기원과 개념을 밝히고,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특성을 정리하여 교육적 접근 방안을 고찰한다. 나아가 하이퍼텍스트의 교육적 이용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작문 영역의 하이퍼텍스트 관련 내용과 작문 교과서에 나타난 하이퍼텍스트 작문 활동 내용을 분석한다. 현행 교육체제의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하이퍼텍스트 작문이 작문 교육에 어떤 비전을 제시해줄 수 있으며, 교사와 학생의 역할 변화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고려해본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하이퍼텍스트의 성격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손쉽게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인터넷 카페를 연구한다. 먼저 인터넷 카페의 개념과 하이퍼텍스트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인터넷 카페를 활용했을 때의 교육적 의의를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4장에서는 앞서 연구된 바를 바탕으로 인터넷 카페를 활용한 작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수업 모형을 구안한다. 그리고 수업 모형 적용의 예를 보이고, 예상되는 효과와 문제점을 지적한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인터넷 카페의 실용성을 현장에 알리는데 목적이 있다. 종합해보면, 제7차 교육과정과 작문 교과서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작문에 대한 중요성이 언급되고 있고, 작문 교과서에 협동 작문이나 전자 작문을 쓰는 활동과 네티켓과 언어 파괴 현상에 대한 소개가 비교적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보아 이미 하이퍼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작문 환경이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환경 변화에 대처한 교육 방법의 변화도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교과서의 학습활동 내용들은 하이퍼텍스트 기반 작문의 특성과 장단점을 소개하는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하이퍼텍스트에 기반을 둔 작문을 적극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환경 구축에 대해서는 관심이 부족하다. 따라서 여러 가지 하이퍼텍스트 기반 작문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반 시설의 미비, 하이퍼텍스트 작문 활동의 효과에 대한 검증 미비 그리고 교사의 인식과 연구 부족 등의 이유로 적극적인 학습 환경 구축이 간과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이퍼텍스트 작문의 특성이 가장 잘 반영된 학습 환경으로 인터넷 카페를 선택했고, 인터넷 카페에서 인터넷 학급 신문 만들기와 같은 협동 작문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모형화 했다. 인터넷 카페에서의 작문 교육은 새로운 작문 환경에 적응하게 해주고, 작문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기 때문에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도 기를 수 있다. 또한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공동체 의식의 강화로 인해 학습 동기와 협력 활동이 증대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 이렇게 인터넷 카페에서 기대되는 긍정적 효과가 크지만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기에 앞서 고려되어야 할 문제점도 있다. 깊이 없는 글이 많이 쓰인다는 점과 표절과 익명성의 유혹이 도사리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인터넷 카페에서만 드러나는 문제점이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작문 전반에서 생기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공교육을 통해 하이퍼텍스트 기반 작문에서 지켜야 할 기준, 즉 인용의 방법이나 정보 선별 방법에 관한 교육이 없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이퍼텍스트 기반 작문의 부정적 측면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학생들에게 익명성을 악용한 사례나 국어 파괴 현상의 심각성에 대해 인지시키고, 선도하는 교육이 작문 교과뿐만 아니라 국어 쓰기 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서정임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웹에 기반을 둔 교육은 인터넷상에서 수행되며, 다수의 학습자에게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 특히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지식과 경험,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을 연결할 기회를 제공하며, 학습기간의 융통성과 매일의 수행시간을 스스로 정할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문제점은 아직까지 전통적인 교육에 비해 학습자들의 학습 진행상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증진 시키는데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니터링을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 상태를 파악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 작용을 증진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함에 있어 교수자는 프로젝트 내용을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제시해 주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해 학습자의 학습 활동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상황이나 학습활동을 모니터링하여 프로젝트 진행 상태를 파악하고, 진행상황이 다른 모둠에 비해 늦거나 조언이 필요할 경우 학습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麻黃潤肺湯과 Rufloxacin의 倂用投與가 Klebsiella pneumoniae 呼吸器 感染에 미치는 影響 : Effects of In Vivo Synergism of Mawhangyounpye-tang, a Poly-Herbal Formula and Klebsiella pneumoniae Rufloxacin of Quinolones against Klebsiella pneumoniae Respiratory Infections

        徐禎妊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In order to evaluate the in vivo synergic effect of Mawhangyounpye-tang which was a traditional poly-herbal formula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 Korea, with quinolone antibiotic, rufloxacin (RUFX), the viable bacterial number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monitored after experimental respiratory infection with Klebsiella peumoniae NCTC 9632.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RUFX group, the viable bacterial numbe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se were more dramatical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single treatment with RUFX, respectively in concomitant treated groups with Mawhangyounpye-tang. 2. In control group, sever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hemorrhage and hypertrophy of alveolar linings were demonstrated at microscopical levels. However, these abnormal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RUFX group, and these were more dramatical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single treatment with RUFX, respectively in concomitant treated groups with Mawhangyounpye-tang. 3. In RUFX group, the LSA (luminal surface of alveoli %)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se were more dramatical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single treatment with RUFX, respectively in concomitant treated groups with Mawhangyounpye-tang.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y of RUFX was dramatically increased by concomitant use of Mawhangyounpye-tang against Kebsiella pneumoniae NCTC 9632 infection of respiratory tract. 본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의 여건상 항생제 남용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중 과량의 항생제 사용에 따른 내성 균주의 출현이 가장 우려시되고 있다. 따라서 항생제의 과남용을 방지하고 항생제의 효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생약 중 특히 감염성 질환이나, 항염제로 사용되어온 약들은 생체의 활성을 유발하거나 세균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오랫동안 호흡기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져 온 麻黃潤肺湯과 대표적인 퀴놀론 항생제 중 rufloxacin의 병용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Klebsiella pneumoniae NCTC 9632 균주을 이용한 호흡기감염 mouse 모델에서 생균수와 폐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생균수는 RUFX 투여군에서 control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으며, 麻黃潤肺湯과 RUFX과 병용 투여군에서는 각각의 단독 투여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2. Control 군에서는 현저한 폐내 염증세포의 침윤, 출혈 및 폐포 벽의 비후가 조직학적으로 관찰되었으나, 이러한 조직학적 소견들은 RUFX 투여군에서 control 군에 비해 현저히 있게 감소되었으며, 麻黃潤肺湯과 RUFX의 병용 투여군에서는 각각의 단독 투여군에 비해 더욱 감소되었다. 3. LSA(luminal surface of alveoli %)는 control 군에서 Sham 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반면, RUFX 투여군에서 control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으며, 麻黃潤肺湯과 RUFX의 병용 투여군에서는 단독 투여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