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이 抽出物의 抗酸化作用 및 機能性食品에의 利用

        김은애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Superoxide dismutase(SOD)의 활성을 오이의 속과 껍질을 분리하여 측정하였다. SOD활성은 nitro blue tetrazolium(NBT)이 superoxide에 의한 광화학적 환원을 저해하는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오이 속과 껍질의 조효소액에 존재하는 SOD의 pH안정성은 pH 8.0에서 가장 안정하였고 pH 5.0∼9.0사이의 범위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다. 오이 속과 껍질의 조효소액에 있는 SOD의 최적 온도는 25℃였고, 열 안정성은 오이 속의 조효소액은 60%이상에서 불안정하였으나 껍질은 90℃에서 60%의 활성이 잔존할 정도로 안정하였다. 100℃에서 5분간 보관하였을 경우에 오이 속의 SOD는 거의 불활성되었으나, 껍질은 30분 후에도 50%정도만이 불활성되었다. 오이에 존재하는 SOD활성이 섭취 후에도 안정한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속의 pH와 동일하도록 오이 속과 껍질 조효소액의 pH를 2.0으로 변형시킨 후 36.7℃에서 3시간 동안 보관 후에 장내의 환경인 pH 7.0으로 바꾸어 6시간 동안 둔 후 잔존하는 SOD활성을 측정하였다. pH 2.0에서는 오이 속의 조효소액에 잔존하는 SOD활성이 10%, 오이 껍질은 25%로 감소하다가 pH 7.0로 변경하였을 경우에 오이 속의 조효소액은 20%, 껍질은 70%로 재활성 되었다. 다양한 열처리 후에 잔존하는 오이의 SOD활성은 오이 속은 데치기에서는(끊는 물에서 2분) 25%, 껍질은 찌는 동안에(3분) 53%, 그리고 속과 껍질로 분리하지 않은 오이는 데치기에서 27%의 활성잔존율을 보였다. 4℃, 30℃에서 20일간 보관한 경우에 4℃에서는 20일 후에 오이 속의 조효소액은 81%, 껍질은 97%의 활성이 있었고, 30℃에서는 오이 속의 조효소액은 17%, 껍질은 95%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오이 속과 껍질의 조효소액을 투석한 결과 SOD의 활성은 변화가 없었으므로 오이에 존재하는 SOD활성은 적어도 분자량이 12,000이상의 물질로 추정된다. The superoxide dismutase(SOD) of peeled pericarp and skin cucumber were evaluated by measuring its ability to inhibit the photochemical reduction of nitro blue tetrazolium(NBT). The enzymes were most stable at pH 8.0 and relatively stabe between pH 5.0 and 9.0. The peeled pericarp enzyme was inactivated above 60C, but the skin enzyme maintained 60% of its activity by incubation at 90℃, for 20min. The peeled pericarp enzyme was completely inactivated by heat treatment at 100℃ for 5min, whereas the skin enzyme was inactivated only about 50% by heat treatment at 100℃ for 30min. The estimation of the residual activity of SOD in vivo was performed by incubating the cucumber enzyme at 36.7℃, pH 2.0 for 3hrs and then adjusted it to pH 7.0 for additional 6hrs. By incubating the enzymes at pH 2.0 for 3hrs, the activity of peeled pericarp and skin enzyme were decreased to 10% and 25% compared to their original activities. However, the activities of peeled pericarp and skin enzyme were increased to 20% and 70% of original enzyme activities, respectively, after incubating the enzyme at pH 7.0 for 6hrs. Retention of SOD activity in cucumber by various heating methods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idual SOD activities of peeled pericarp and whole cucumber were estimated to be 25% and 27% after blanching(2min). The skin enzyme retained 53% of its activity after steaming(3min). When the peeped pericarp and skin enzyme were incubated at 4℃ for 20days, their enzyme activities remained about 81% and 97%, respectively. However, when they were incubated at 30℃ for 20days, the skin enzyme retained 95% of its original activity but the peeled pericarp enzyme activity decreased to 17%. The enzyme activities of the both peeled pericarp and skin cucumber were not changed after exhaustive dialysis for 3days, which indicates that the SOD activities in cucumber seem to have molecular weight above 12,000. Mn-SOD activity seems to be abundant in cucumber, and the SOD activity in skin cucumber was higher than in that of the peeled pericarp.

      • 고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은애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지 검증하였다. 대구․경북지역 고등학교 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경향성, 사회적 지지의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SNS 중독경향성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 경향성 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는 역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담 장면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특성이 뚜렷한 SNS 중독경향성을 보이는 경우 사회적 지지(부모, 교사, 친구)를 높여주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SNS 중독경향성의 치료전략과 예방활동과 관련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경향성, 사회적지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 social support would fun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in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by gender. In order to verify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elf-reported survey of 300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using measure of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proneness and social support. First, except for the SNS addiction proneness,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the other variables. Seco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to exist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hil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Third, mediated effects of social support partly existed, in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proneness. This study suggests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mediated by social support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follow-up research on treatment strategies and prevention of SNS addiction proneness. Also, it can be predicted that intervention enhancing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friends) is effective when a person with covert narcissism shows SNS addiction proneness in the scene of counseling. Based on these, the discussion suggested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 word :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proneness, social support

      • 온작품읽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과 독서 태도,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은애 광주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 교육과정과 관련된 도서작품을 활용한‘온작품읽기’독서 방법을 학생들에게 적용해봄으로써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독서 태도, 공감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온작품읽기 활동이 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어떤 효과를 주는가? 둘째, 온작품읽기 활동이 학생들의 독서 태도 개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온작품읽기 활동이 학생들의 공감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전라남도 무안군에 소재한 U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1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4월부터 7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기간 중에 온작품읽기 활동을 8회 운영하였다. 활동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읽기 능력과 독서 태도, 공감 능력 검사 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교사와 학생들에 대한 면담, 학생 관찰, 학생들이 작성한 독서 활동지 등을 통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거친 연구의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온작품읽기’활동은 학생들의 전체 읽기 능력과 하위 요소 중‘내용 확인하기’와‘추론하기’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한글 해독에 어려움이 있던 학생들이 한글을 깨우치기 시작하였으며, 어휘력에 향상을 보였다. 이는 온작품읽기를 통해 학생들의 읽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책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등장인물의 마음이나 처지를 이해하는 능력이 신장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온작품읽기’활동은 학생들이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학생들은 여가, 학습과 관련된 독서 태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책 읽기를 두려워하고 거부감을 가지고 있던 학생들이 독서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책 읽는 것을 즐거워하게 되었다. 이는 온작품읽기 활동이 독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여 학생들이 독서를 하는 태도와 방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셋째,‘온작품읽기’활동은 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적 공감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학생들은 문제를 대화를 통해 해결해 나가고 작품 속 등장인물과 경험을 함께 나누며 감정 이입을 하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온작품읽기 활동이 학생들에게 동일시와 대리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 능력을 높이고, 갈등 상황에서 나와 상대방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비폭력적인 의사소통능력, 어려운 친구들을 도울 수 있는 배려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분절된 작품을 독서 자료로 활용하는 것보다 온작품읽기 활동을 적용한 독서 교육이 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독서 태도, 공감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 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과 연계한 온작품 활용 독서 교육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와 운영이 필요하다.

      • 장애-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 기반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

        김은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초등학교 통합학급에 배치된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증진하기 위해 사회정서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지적장애 아동이 포함된 초등 5-6학년 학급을 프로그램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에 실행 가능한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교사전문가 집단에게 2회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고찰과 개발의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고찰단계에서는 사회적 통합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문헌고찰 및 분석을 통해 구성요소를 추출하였고, 사회정서학습 기반 음악활동 프로그램에서 음악활동을 선정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선정된 구성요소를 사회정서학습의 차원으로 배치한 후, 이를 중재할 수 있는 음악활동을 형태와 종류에 따라 구조화함으로써 프로그램의 개발틀을 설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구성요소를 환경확대법에 따라 네 단계로 위계화 한 후, 총 12회기의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회기별 활동을 구성하고자 각 회기의 목표를 음악적 행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쳤고, 고찰단계에서 선정된 음악활동을 음악적 행동에 부합하도록 수정·보완함으로써 회기별 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사회정서적 역량 증진을 통해 장애-비장애 아동간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는 음악활동 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모형을 통해 음악활동이 사회적 통합을 실현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위계적인 단계와 회기 구성 및 목표에 대한 음악적 행동 제시를 통해 프로그램을 구조화하였다. 이는 음악활동이 사회정서적 능력과 같은 비음악적 목표를 성취를 위해 활용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특징이다. 셋째, 통합학급의 장애·비장애 아동이 동등한 입장에서 참여할 수 있는 음악활동과 다양한 활동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는 장애아동을 배려의 대상으로만 표현하던 기존 장애이해교육의 문제점을 본 프로그램이 보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타당성 확보를 위해 통합교육 경력과 음악치료 및 음악교육연구 경험이 있는 초등특수교사 2명과 일반초등교사 2명에게 두 차례 검증을 받았다. 전문가의 평가내용은 프로그램 편성 및 운영과 내용의 목표 적합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5점 척도와 회기별 활동에 대한 의견 서술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타당도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그램 편성 및 운영과 목표 적합성 항목에 대해 초등특수교사 전문가 2명에게 1차 검증에서 4.4점, 2차 검증에서 4.7점을 받았고, 일반초등교사 전문가 2명에게는 1차 검증 시 4.3점. 2차 검증시 4.8점을 받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특히, 두 번의 검증과정에서 가장 높은 배점을 받은 항목은 프로그램 진행에 필요한 자료제시 항목으로, 이는 본 연구가 통합학급을 위해 수정된 활동자료를 필요로 하는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교육을 위해 개발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 장애아동의 특수성을 반영한 음악자료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도 검증으로 진행된 연구의 결과, 개발된 사회정서학습 기반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장애-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고, 학교현장에서 적용되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의 장애·비장애 아동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정서학습에 음악활동을 적용한 첫 번째 연구이다. 둘째, 본 연구는 음악 교과학습을 위한 프로그램이 아닌 학생들의 사회·정서적 능력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교육적 프로그램 개발 연구이다. 셋째, 음악활동을 통한 장애-비장애 아동의 사회적 통합 촉진의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통합학급 아동들의 사회정서적 역량 증진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장애-비장애아동 간의 사회적 통합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feasibility of music activity programs based on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hereinafter referred to as “SEL”) to encourage social inclusion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tudying together in inclusive classes of general schools. The subjects of the program were set up with 5th or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12 sessions that could be implemented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lass. Then,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wo times by a group of teachers experts.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eded in two phases: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ment. First, in the review phase, the compone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review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of social inclusion and SEL programs, and the process of selecting music activities was carried out in the music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SEL. After that, the selected components were classified on the dimension of SEL, and the program framework was established by structuring the music activities that could in intervene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ype and form. In the development phase, the components were hierarchical into four phases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expanding environments, and then a total of 12 music activity programs were developed. For organizing activities, the goals of each session were converted into musical behaviors, and the selected music activities from the literature review phase were modified for the musical behaviors. The features of the program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program presents the model of a music activity program that promotes social inclusion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rough enhancement of their social and emotional capacity. The model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study can specifically explain the impact of musical activities on realizing social inclusion. Second, the program is structured by presenting the musical behavior of children with different phases, sessions, and objectives. This presents that music activities can be used to achieve non-musical goals such as social and emotional abilities. Third, the program presented a variety of musical activities and activity materials to the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to participate on an equal footing. Materials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program may assist on the scene of inclusive educ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program could supplement the problems of existing programs, which used to express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ly as objects of sympathy.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twice by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wo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experience in inclusive education, music therapy or music education research to ensure the feasibility. The assessment contents of the experts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program’s organization ·operation and suitability with go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lidity verification, the developed program secured high feasibility by receiving 4.4 points in the first verification and 4.7 points in the second verification from two expert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4.3 points in the first verification and 4.8 points in the second verification from the other two experts of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Especially, the items that received the highest scores in the two verification processes were the provided materi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is study reflects the needs of the school site that require modified materials for inclusive classes. Also, it suggests that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music activity program developed for inclusive education, the music materials in the program should be presented to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processed by development and validity verification, the developed music activity program based on SEL could promote the soci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was appropriate to be applied at school sites. The academic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first study ever to apply music activities to SEL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gether in inclusion classes. Second, rather develop a program for teaching musical subjects, it is a study to develop the music therapy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students' sociality and emotional capacity. Third, this study i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the soci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rough music activities. The music activit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sociality and emotional capacity for the children at inclusive classes and could be used for the soci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 기혼여성의 직업유무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우울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은애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nd what kind of effect on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self-esteem and depression for full-time housewives and working housewives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elf-esteem was higher in working housewives, and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higher in full-time housewives.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ith job presence or absence,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parenting stress, and self-esteem nega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presence or absence in the mediating relationship, a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partially mediates. Since occupational statu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derating effect, studies on other variables are needed, and effective measures to cope with or reduce parenting stress can be found by actively using programs to improve self-esteem. Key words: married women, full-time housewife, working housewife, employment status, self-esteem, depression, parenting stress 본 연구에서는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전업주부와 취업주부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우울감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아존중감은 취업주부가 높았으며 우울감과 양육스트레스는 전업주부가 더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 직업유무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우울감은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우울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부적으로 매개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우울감과 양육스트레스 간 영향 관계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매개관계에서 직업유무의 조절효과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업 유무가 조절효과에 유의하지 않으므로 다른 변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양육스트레스에 대처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어 : 기혼여성, 전업주부, 취업주부, 직업 유무, 자아존중감, 우울감, 양육스트레스

      • 과학고 학생들의 가설 생성과 연구 설계 과정 분석

        김은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과학 영재의 자유 탐구 활동 중 가설 생성과 연구 설계 영역이 수행되는 탐구 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의 행동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과학 영재의 탐구 과정과 그 행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대상으로 광역시 소재 과학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과학 영재 1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주 1회 진행되는 조별 탐구 과정을 촬영하고 추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프로토콜을 생성하였으며, 과학고 학생들이 탐구 수행 중에 작성한 연구 노트도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고 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 중 가설 생성과 연구 설계 영역은 일정한 순서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른 학생들의 선택에 의해 탐구 과정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고 학생들은 탐구 과정의 각 단계들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었으나 각 단계들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유 탐구를 수행하는 과학고 학생은 주제 탐색, 주제 선택, 정보 탐색, 탐색 정보의 이용, 실험 재료 선택, 실험 방법의 선택과 수정 등에서 탐구가 수행되는 상황, 자신들의 능력과 선호도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고 학생들은 의문을 생성하지 않은 채로 탐구를 수행하여, 주제 선정을 어려워하고 연구 가설을 분명하게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연구 내용을 탐구 주제로 선택함에 따라 실험 설계를 정교하게 하지 않으며, 예비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량적인 면을 간과하고 실험 과정을 상황에 따라 임의로 수정하는 등의 행동적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이 과학 영재가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탐구를 수행하는 방법을 경험할 수 있고, 탐구에서 호기심과 의문이 가지는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ypothesizing and designing process and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during conducting open inquiry task.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o were in science high school in D city, Korea. To collect data for analyzing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quiry process and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quiry situation, and interviewed with students to collect additional data. The protocol to analyze the result was established from recorded data and from the students' inquiry no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hypothesizing and designing processes didn't follow fixed sequence, but the inquiry process depended upon students' selection by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e steps of inquiry process adequately, but they didn't have appropriate understanding about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quiry step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reflected upon their practical environment, ability of inquiry, and preference when they searched the theme, selected the theme, searched the information, used the information, selected the materials for experiment, selected the method, and modified the method. Because they conducted open inquiry without generating questions, therefore they had some difficulty when they selected the theme and generated hypothesi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designed the experiment without detailed descriptions because they selected inquiry theme from the completed research. They conducted the pre-test without consideration of quantitative aspect and modified the experiment procedure according to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The results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dequate programs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 which make students experience the objectivity and logicality, and understand importance of curiosity and of generating questions to develop their scientific inquiry ability.

      •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역할 자신감과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애 단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하여 부모역할 자신감과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첫 자녀의 출산을 앞둔 예비부모들로 양육과 관련한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고, 임신 24주 이상 36주 이하의 예비부모 6명이었다.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회기 당 75분씩 주2회로 총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단일집단 설계를 사용하였고, 부모역할 자신감과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태도의 사전 사후 평균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역할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어머니 경력우선성, 아기욕구 우선성, 돌봄의 중요성인식 순으로 변화가 나타났다. 첫 자녀를 임신한 임신기 예비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성화되지 않은 실정에, 본 프로그램은 부모역할 전환과정에 있어서 긍정적인 적응효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임신기 예비부모를 위한 연구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가정과 공공기관, 산부인과 등 예비부모들을 위한 기관에서 유익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하여 부모역할 자신감과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첫 자녀의 출산을 앞둔 예비부모들로 양육과 관련한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고, 임신 24주 이상 36주 이하의 예비부모 6명이었다.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회기 당 75분씩 주2회로 총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단일집단 설계를 사용하였고, 부모역할 자신감과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태도의 사전 사후 평균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역할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어머니 경력우선성, 아기욕구 우선성, 돌봄의 중요성인식 순으로 변화가 나타났다. 첫 자녀를 임신한 임신기 예비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성화되지 않은 실정에, 본 프로그램은 부모역할 전환과정에 있어서 긍정적인 적응효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임신기 예비부모를 위한 연구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가정과 공공기관, 산부인과 등 예비부모들을 위한 기관에서 유익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교회력과 성서정과에 맞춘 예배의 통일성을 위한 연구

        김은애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Unity of Worship through Church Liturgical Calender and Lectionary Kim, Eun Ae Master of Divinity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In order to faithfully follow Christ, Church Service and Church activities should appear on Church Calendar. In other words, the correspondence between Church programs and liturgical calendar reveals how much this church is Christ-centered. In this paper we suggest that for a service focused on Christ in unity, Church service should follow Christian Year and Lectionary. The Church calendar is organized around 6 seasons. For this research, we ignore the two ordinary time seasons to focus on the other four ones. Our research examines Advent, Christmas, Lent, Easter, and the related lectionary. We studied first the required equipment for the unity in worship (Church Calendar, lectionary, prayer and praise, liturgical color and ornament). Next, we studied the structure of each season and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as well. In conclusion, for the sake of unity in worship, church calendar and lectionary should be the base for the prayer and praises, and suitable liturgical color and ornament should be used. This paper also makes some recommendations. For a service based on church calendar, the Revised Common Lectionary should be adopted by the churches around the world and preaching’s references should be agreed as well. If every week’s verse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lectionary and church calendar, the sermon will naturally follow the church calendar and the service as well will become Christ-centered. As a matter of fact, the prayer and praise of the day will also match the sermon topic and will be related to the season. The frontal of the Altar, pastor and choir gown color, flowers arrangement, and the decoration of the temple should also match. Thus, a perfect unity in the weekly service around one unique topic leads to a Christ-centered wo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