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신학대학”의 자립운동과 그 성과 연구 : 1968년부터 1970년대를 중심으로

        강주혜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Seoul Theological University(STU) is the only seminary of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KEHC). As the KEHC was becoming more independent from OMS(Oriental Missionary Society) and turned to the one denomination of the church, STU, an institution to educate and train the minister of KEHC, was also influenced by that result and played a leading role by native people in terms of operating the seminary. The reason why is important to study about that is the process of self-reliance resulted in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STU. Therefore this is the study of the process of the self-reliance and development about STU. In order to study about that, especially analysis of the self-reliance process is divided into two thing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changes from the late 1960’s. With the progress of STU as a training center of minister by native people, faculty members, students, and steering committee were changed. Firstly, for the faculty members STU depended on OMS’ decision at first but later korean dean of STU made an appointment native faculty member. Secondly, the new students were growing and after graduating the university, graduate’s career was transformed into full-time minister of KEHC. Thirdly, steering committee was composed of OMS’ member and native people, but after self-reliance it was made up only natives. All in all, because of the analysis above, I firmly believe that self-reliance brought the great change and development of STU.

      • 稱義에 관한 칼빈의 견해와 트랜드신조의 비교

        임주훈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는 이상 칭의에 관한 카톨릭의 트렌트신조와 종교개혁자 칼빈의 견해의 비교를 통해, 성경에 입각한 칭의의 올바른 개념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우리는 서론에서 전제(前提)하였듯이, 카톨릭의 칭의교리는 그릇된 것임을, 그리고 성경에 입각한 종교개혁자 칼빈의 견해와는 명백히 다른 것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카톨릭의 트렌트신조는 성경에서 상당히 거리가 먼 신학이라는 점이 지적된다. 그들은 이러한 비(非)성경적인 신학(unbiblical theology)을 지원하기 위해 오히려 성경을 역(易)으로 이용하였다. 이는 “오직 성경으로”를 외쳐 부르며 개혁을 단행했던 종교개혁자들의 정신과는 참으로 상반(相反)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카톨릭은 말씀이 계시하는 진리에서 너무나 밖으로 나가 있다. 이점은 칭의 교리야말로 기독교신앙의 핵심교리라고 가히 일컬어진다는 사실에서 그러한데, 그들은 성경에서 계시해주지 않는 교리를 옹호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심각한 것은 그럼에도 그들은 트렌트 이후 400년 이상이 지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마저도 이 교리에 대해 일체의 수정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한편, 중세로부터 오늘로 이어지는 카톨릭의 신학적 풍토(風土)가 이러하므로 카톨릭으로부터의 개혁은 불가피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당시 중세 로마카톨릭에 대항하여 일어난 종교개혁자들의 신학적 개혁이 없었다 하더라도, 작금에 이르기까지 신학적 개혁은 분명 다른 누군가에 의해서 단행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물론 성경 말씀에 입각한 다른 누군가에 의해서 말이다. 이러한 까닭은 우리 구주 예수님의 승천 이후, 진리에 대한 고수(固守)는 택함 받은 백성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과업이었기 때문에 그러하다. 또한 구원의 문제는 하나님께서 계시하여주신 말씀을 떠나서는 결코 이를 수가 없기 때문에 그러하다. 바로 이처럼,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은 참으로 중요하다. 그리고 말씀에 입각한 신앙(信仰)과 신학(神學)은 상당히 소중한 것이다. 우리는 오직 성경말씀을 따라 신앙하고 행동하였던 종교개혁신학을 유산으로 받았다. 따라서 종교개혁의 정신을 따른 신학, 달리 말하면 오직 성경말씀을 중심으로 하는 우리 신학에 앞으로 남겨진 과제는 명백하다: 첫째 로마카톨릭이 그랬던 것처럼 , , 오늘날 비(非)성경적인 수많은 공격들에 대항해 성경진리를 수호(守護)하는 일이다. 둘째, 칭의교리에 대한 강조를 교회 안팎에서 성실하게 수행하는 일이다. 앞서 거듭 말하였지만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Justification by Faith Alone)”교리는 기독교의 교리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교리라고 충분히 말할 수 있다. 칼빈이 기독교 강요에서 그렇게 말하였고 루터 또한 그러하였으며, 오늘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개혁신학자들의 한결같은 강조가 여기 있다고 하여도 결코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한번 강조해서 말하지만, 개혁신학의 전통과 그 유산은 참으로 귀중하고 소중하다. 이는 하나님의 말씀을 우리의 신학과 신앙, 그리고 삶의 최우선에 두고자 하는 정신이자, 태도요, 방식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따라서 오늘날 종교개혁자들의 이와 같은 정신에 비추어서 우리에게 위배되는 것이 있다면, 우리는 다시금 겸손히 허리를 동여 메고 오로지 주의 말씀에 착념해야 할 것이다. 오직 성경말씀이 가라는 데 까지 가고, 주의 말씀이 멈춰서라는 곳에 멈춰서는 말씀중심의 사람과 말씀중심의 삶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진리를 위해서는 기꺼이 목숨을 내어놓을 수 있는 그러한 확고한 말씀의 사람, 신실한 말씀의 종이 바로 이 시대에 하나님 앞과 사람 앞에 필요함을 절실히 느낀다. 이와 같이 결코 흔들리지 않는 믿음과 신념 그리고 확신으로 우리의 생각과 우리 삶의 전 영역을 채워나갈 때에, 우리의 믿음과 소망과 사랑은 더욱 더 확고해지고, 뚜렷해지며, 커져갈 것이다. 오직 은혜로 말미암아 우리를 택하시고 불러주신 하나님, 그리고 우리 죄를 위한 대속의 사역을 이루신 그리스도의 의(義)를 우리의 의로 인정해주시는 하나님, 또한 우리를 영화롭게 하실 그날까지 거룩한 삶을 살게 하시는 하나님께만 오직 모든 영광이 돌려지기를 간절히 바란다. Sola Deo Gloria!

      • 신(神)인식론에서의 객관성 연구 :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에 나타난 인식 모델과 신학적 적용

        정준수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Modern Korean Christianity are in situation that theology is disharmony with ministry. Church denies the result of theological method because of its distance from ministry. Theology ignores this Church's aspect and it gives seminarian chaos. These theological chaos gives seminarian confusion on their belief first and they start their new training after they graduate a seminary. This phenomenon is useless to Korean Church in crisis. Most of all, the posture that current theology has is the reason of the matter. Now theology has its focus on interpretation of Bible and manage to have objective view as western humanities. Theological argument's aim is to have an universal validity. It is true that Church exist in universal world, but it is also true that Church stands on individual confession which can not be proven by scientific method. Because of all this matter, theology can not be continued only in objective views. Besides, modern academic traditions do not welcome this theological trends. Science is asking itself the reliability of universal validity. The word universal validity is the old fashion that no one wears Bohr and Heisenberg centered Copenhagen Schools shocked world hermeneutics. Its Uncertainty principle, mathematical diagram, shows a way to see new world view and gives strong support to Copenhagen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According to this theory, one can not calculate a particles's position and quantity of motion simultaneously. When one start to calculate one of above values, the other would have infinite error. Then, the value that chose controls all values even the other one that disappeared. It is called "Collapse wave function". World that old physics suggested, unchangeable subject itself do not exist anymore. It is strange that subject is fix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bject and object, but Experimentation about EPR Paradox, Superfluidity, Superconduct, ferromagnetism is one of good example of above theory. This relationship based world view demand us to see world in different point. Because one who see the subject has influence on the subject, one's approaching method changes the perception of the one. This thesis gives new fundamental perceptional concept according to this matter. 1. Relation starts with the direction. this direction is set by Believing 2. Believing prescribes an object. And all objects prescribed by relation form the world that observer perceives. This world is call Virtual World(사실[思實]세계). 3. There could be many Virtual Worlds. These Virtual Worlds can be formed, changed and disappeared. The cause of these phenomenon is Dominance of Believing(믿음의 우열) which causes Dominance of World(세계의 우열) 4. Situation streams into three different type; Knowledge of shaping(when subject is superior[다가가는 앎]), Knowledge of being shaped(when object is superior[다가오는 앎]), Knowledge of shaping both(when subject and object are equal[다가서는 앎]) 5, 'Knowledge of shaping' and 'Knowledge of being shaped' are both off the balance. So we must achieve 'Knowledge of shaping both' which has equal power from both side. That power balance causes infinite Encounter(충돌). 6. Encounter does not conclude one result. To make this Encounter settle, observer's believing factors must be reformed. This approach may occur in 'Knowledge of shaping both'. As a result, Encounters lets up by ‘Choice’(선택). Base on above concept, Theology can have below inferences 1. Objectivity is not appropriate but only limited in appropriation. So Theological result could be more close to the Truth. 2. Theological result is one result from a same world view. Theology must have open mind to the Theological result and Church must see Theological result with a synthetic point of view. 3. Theology can not promote the perception of God. Theologian must stop to find God and God's word by Theology. Object can not be inferred. Object only can be understood by choosing 'Element of believing' 4. Discussion of essence is not useless. It represent much to make Virtual World more clear. This is what Theology must focus on. 5. The world that formed by Theology can not be proven. It only can be shown by individual life that person is living in. 6. Forming a life has some common factors with 'Sanctification'. A theological proposition 'Living with the holy spirit' can be more understood by the method of this thesis Church isolated by outer world must fine new method to do theology. Modern theology tried to explain its theory only. It failed to show how to live. The limitation that Church has now is caused by this matter. This thesis is expected suggesting new way to Church. Especially concept of Virtual World that allowing metaphysical God to be recognised in common world will make Christianity's spiritual dynamics in individual life alive 현재 한국 기독교는 신학과 교회가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교회는 신학적 방법론들과 결과물들의 가치를 의심하며 현장성이 없다는 이유로 외면하고 있다. 신학은 교회의 이러한 태도들을 무시한 채로 자신만의 고유한 금자탑을 쌓아올리고 있다. 이런 현실은 교회의 사역을 위해 신학교에서 수학하는 학생들에게 적지 않은 혼란을 주고 있다. 학생들은 신학교육을 통해 가장 먼저 자신들의 신앙에 대한 정체성에 혼란을 가지게 되 고, 현장에서 교육받은 내용을 적용함에 있어 적절한 방법을 모른 채 처음부터 시작하는 마음으로 현장에 필요한 내용들을 재학습한다. 이런 현상은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교회를 보다 발전적이고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신학이 교회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은 신학이 가지고 있는 학문적 자세의 방향이 틀어진 것에 큰 이유가 있다. 현재의 신학은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 성경 중심의 해석을 중요시 하고 있고, 성경 해석에 대한 객관적인 자세를 중시하는 근대 서구의 성경이해에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다. 신학적 논제들에 관한 접근도 확실한 객관성에 근거한 보편타당한 결론을 얻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신학적 자세들이 교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교회는 보편적 사회 속에 있지만 그 안에서 고유한 신앙의 고백을 중심으로 재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고유한 신앙의 고백이 과학적, 객관적 타당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이유로 배제될 때에 신학은 더 이상 교회가 살아가는 세계 안에 있지 못하게 된다. 그렇다고 교회 밖의 세계가 그러한 신학적 자세를 반기는 것도 아니다. 가장 객관적이라고 여겨지는 과학 스스로 객관에 대한 물음을 다시 던지고 있기 때문이다. 객관적 학문으로서의 신학을 추구하는 것은 일반 사회의 관점에서 볼 때에 이미 유행지난 옷에 불과하다. 보어와 하이젠베르크를 중심으로 한 코펜하겐 학파의 세계 해석은 20세기 초반의 세계관에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다. 특히 하이젠베르크는 불확정성의 원리라는 수학적 도식을 통해 새로운 세계관이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펜하겐 학파의 해석에 더 큰 힘을 실어주었다. 불확정성의 원리에 의하면 우리는 미시의 세계에 있는 입자들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위치라는 값과 운동량이라는 값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정확한 값을 측정하는 순간 다른 값은 무한대의 오차범위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독특하게도 그렇게 사라져버린 값이 처음부터 없었던 것처럼 선택된 값이 대상을 지배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을 ‘파동함수의 붕괴-수축’이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기존에 고전물리학이 제시했던 세계상, 대상 스스로 가지고 있는 불변의 객관적인 모습이 사라지고 만 것이다. 관계를 통해 대상이 규정된다는 사고방식은 조금 생소하지만, 실험을 통해 검증된 EPR 페러 독스, 초유동현상, 초전도현상, 강자성의 문제 등 이미 새로운 세계관은 우리의 삶을 지배하고 있었다. 이렇게 드러난 관계 중심의 세계 구성은 우리로 하여금 대상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요구한다. 우리의 접근이 대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우리의 접근 방법에 따라 대상이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몇 가지 인식을 위한 기초적인 개념들을 제안한다. 첫째, 관계는 일종의 방향성을 가지고 시작되며, 이 방향성은 주체의 ‘믿음’에 의해 설정된다. 둘째, ‘믿음’은 대상을 규정하게 되고, 관계를 통해 규정된 모든 대상은 주체가 인식하고 살아가는 세계를 구성한다. 이 세계를 관계 이전의 세계와 구분하여 ‘사실(思實)세계’라 명명한다. 셋째, 세계는 주체의 수만큼 많고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세계들은 관계 속에서 충돌을 통해 소멸, 변형 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때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이 ‘믿음의 우열’로 인해 발생하게 된 ‘세계의 우열’이다. 넷째, 우열의 상황은 주체가 우월한 경우, 대상이 우월한 경우, 주체와 대상이 동등한 경우로 나누어 ‘다가가는 앎’, ‘다가오는 앎’, ‘다가서는 앎’을 구성한다. 다섯째, 다가가는 앎, 다가오는 앎은 다가서는 앎의 균형이 무너진 모습일 뿐이다.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앎의 자세는 다가서는 앎인데, 이 다가서는 앎은 주체와 대상의 영향력이 동등함으로 끊임없는 ‘충돌(衝突)’을 유발한다. 여섯째, 충돌은 자연스럽게 하나로 귀결되지 않는다. 충돌을 소강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세계를 구성하는 믿음의 요소들을 재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이 재구성은 다가서는 앎에서 자발적으로만 일어난다. 때문에 충돌은 ‘선택’이라는 비약적인 방식으로만 소강 될 수 있다. 이런 개념들을 기초로 신학에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추론할 수 있다. 첫째, 객관이 타당한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것에 그치기 때문에 신학이 추구하는 객관적 사실들은 진리에 보다 접근한 것일 수 없다. 둘째, 신학적 결과물들은 하나의 세계에서 바라본 진리

      • 웨슬리와 바르트의 계시이해 비교연구

        조계석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하나님의 인식은 하나님의 자기계시에서 시작된다. 이 계시에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하나는 위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절대타자인 하나님으 로부터 오는 초월적인 계시이고, 다른 하나는 아래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하 나님께서 창조하신 자연과 이성을 통한 자연계시이다. 계시가 기독교 신앙의 기초이며 시작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 두 가지 가능성 중에서 어떠한 입장을 취하느냐에 따라서 신학함의 방향은 매우 큰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과연 어떤 입장에 서 있어야 하는가? 인간 내부에서 초월적인 하나님을 인식하려는 이 태도는 모든 사람들 이 동의할 수 있는 보편적인 의미를 추구한다. 또한 아래로부터의 인식은 세 계의 의미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시도는 급변하는 사회와 사상의 발전에 대응하여 기독교를 변증해야 할 신학의 의무를 수행해 왔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은 신학의 우선성은 하나님과 더 나아가 타자로서 그의 계시를 바로 인식하는데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물론 신학은 인간과 세상에 대하여 말하기도 해야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하나님을 말해야 하는 의무를 가진다. 하나님으로부터 시작되는 계시 사건을 통해 하나님을 철 저하게 인식한 이후에야 비로소 인간이 인간으로서 참된 의미를 가지게 되고, 세상이 세상으로서 참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신학은 하나님의 자기계시 없이 는 시도조차 할 수 없는 것이다. 웨슬리의 회심체험을 통해 형성된 그의 계시 이해는 이러한 사상을 잘 표현하고 있다. 첫째, 그에 의하면 계시는 성령의 역사이다. ‘하나님에 대해 서 누가, 무엇을 알려주는가?’의 물음에 그는 성령 하나님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는 것을 알려주신다고 대답한다. 따라서 성령의 역사는 철저하 게 하나님 편에서 시작한다. 또한 계시는 성화의 시작이다. ‘계시 사건의 결과 근본적으로 증명되는 것은 무엇인가?’와 같은 계시의 목적과 관련한 물음에 그는 인간의 변화라고 대답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계시의 목적은 인간을 회심하게 하여 구원을 얻게 하고, 구원 얻은 인간이 성화로 나아가게 하는데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 웨슬리에 의하면 계시는 은혜의 보편적 실현이다. 이 보편 의 근거는 선행은총인데, 이는 첫째 아담의 타락과 죄의 전가로 인해 하나님 을 알 수 없는 인간에게 하나님을 알만한 가능성을 주신 것이다. 하지만 계시 사건이 보편을 형성한다고 해서 모든 사람들이 구원에 이르는 인식에 다다르 는 것은 아니다. 웨슬리에 의하면 하나님의 예정은 만민을 위한 구원을 향하 여 있지만, 이것이 만민이 다 구원받는다는 뜻이 아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웨슬리는 계시사건에 있어서 자연계시의 목적과 한계를 분명히 설정하였다. 이성이 중요하지만, 성령의 도우심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 다. 결국 그에 의하면 이성은 주인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종으로서 존 재하는 것이다. 바르트 역시 절대타자로서의 하나님, 삼위일체 하나님의 계시를 강조 한다. 그가 자연신학을 강력하게 비판한 결정적인 이유는 자연신학이 인간의 변증법적인 활동을 통해서 하나님을 인식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바 르트는 이에 반대하여 하나님 인식을 철저히 하나님의 은혜로부터 이해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떠난 모든 자연적인 하나님 인식을 거부하였다. 따라서 바르 트에게 계시는 그리스도 중심적이다. 하나님은 하나님 자신을 통하여 인식된 다는 그의 주장은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의 은혜를 통하여 인식된다 는 것을 뜻한다. 바르트에 의하면 우리가 하나님의 계시를 인식할 수 있는 객 관적인 현실성은 다름 아닌 예수 그리스도인 것이다. 바르트의 계시 이해에 있어서 또 다른 중요한 개념은 바로 유비신학 이다. 그에 의하면 신앙, 은혜, 계시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지는 신앙유 비는 하나님 인식의 중요한 기초가 된다. 특히 그는 유비신학을 전개하면서 기독론 중심의 유비신학을 펼쳤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이 인간과 하나가 되었기 때문에 진정한 유비의 가능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웨슬리의 계시이해와 바르트의 계시이해는 하나님의 전능 성과 은혜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같은 입장에도 불구하고 양자는 다음의 두 가지 관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하 나는 계시사건의 보편성과 관련한 것이다. 바르트에 의하면 계시사건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신앙의 유비에 의해서 확증되는 것인 반면에 웨슬리에 의하 면 보편성이 획득되는 것은 하나님의 영이 현실에서 역사하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자연계시와 관련한 이해이다. 바르트는 자연 이성의 빛에서 하나님을 인식할 수 있다는 자연신학을 철저하게 비판했지만, 웨슬리는 이성을 그 자체 로 과대평가 되어서도 안 되며, 멸시와 경시의 대상이 되어서도 안 된다고 했 다. 그에 의하면 하나님에 대한 바른 지식을 가지려면 이 두 극단 중에서 중

      • 한국교회 부흥운동에 나타난 부흥설교에 관한 연구 : 길선주·김익두·이성봉의 설교를 중심으로

        박성숙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irst of all, to survey and analyze the sermons of those who led the Revival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es ; Seon-ju Kil, Ik-du Kim, and Seong-bong Lee. The other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closely what kinds of tendencies the Revival Sermons have as well. To inquire into the tendencies, this writher analyzed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Revival Sermons, the Revival Preachers' Theology, and the Revival Sermons actually conducted by 3 preachers. First, to take out the definition and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Revival Sermons, this writer, on the one hand, looked into the situations and the preachers of the Scripture under which the Revival Sermons took place, and on the other hand, surveyed the preachers that led the History of the Revival in the Christian history : John Weseley in England, Jonathan Edwards in America, Spurgeon, Charles Haddon in England, Dwait Moody in America, and Seon-ju Kil, Ik-du Kim, and Seong-bong Lee, the preachers that led the early Korean Revival in 20C. Furthermore, the theological bases of the Sermons are treated which were conducted in the right time in the right place that brought the Spiritual Revival in the Scripture and History. Second, in the part of the Revival Preachers' Theology this writer analyzed the unity and the difference of the 3 preachers, Seon-ju Kil, Ik-du Kim and Seong-bong Lee, who led the Revival of the early Korean Church. Third, this writer analyzed the Revival Sermons practically shown in the Revival spot by the 3 Revival preachers and studied that what kinds of tendencies caused the Revival Sermons. Fourth, by comparing the traits of the sermons through the analysis and studying the unity and the difference of these, this writer defined the general range of the Revival Sermons. Fifth, on the basis of the study above, the alternatives of the Revival Semons are suggested to Korean churches with their present meanings and possible applications. Through the series of this process, this writer has found out that the Revival Semons caused the Spiritual Revival throug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along with the period, the spot, and the theology of the Revival preachers. The 3 preachers, who made the early Korean spiritual revival possible, were all God's prepared people. The 3 Revival preachers all led the revival worships based on the Word itself and therefore prevented the worships from being mystical. And they also made every effort to center the revival worships on the Word. They emphasized the the Help of the Holy Spirit. Because the Holy Spirit has character and is one of the Trinity, those revival preachers emphasized that the Faith in mind should be linked with life. The Revival Movement through the Word and the Holy Spirit opened the great period of the Revival in Korean churches with the traditions of the Revival Movement based on the Scripture. This Spiritual Revival played an imporant role in establishing the way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who had wandered in pain and despair throughout the late Yi Dyansty, the period of Japanese colony, and the Korean war. The 3 revival preachers brought the new order to the people in confusion by giving hopes for the new world within God. In addition, they encouraged the people how to live in their real life so that they have hopes for the future. As a result, their sermons were not mystical which were far from reality, but the sermons brought the spiritual Revival in life. Actually Seon-ju Kil stood in the middle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reby Christianity played a role as a post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Nowadays the true benefit of the Revival is needed in Korea. Though many sermons are conducted through the mass media, but it is hard to find the true Spritual Revival of God. In this time, what is needed most is the great preachers like Seon-ju Kil, Ik-du Kim, Seong-bong Lee who led the early Revival. True Revival Sermons are conducted not by the skill, but by the Word of God and the powerful work of the Holy Spirit that helps the preachers. Consequently, the Spiritual Revival means the work of the prepared preacher and God's Sovereignity. Just around the corner is the year 2007 which is 100 years since the Revival of 1907, and if the Korean churches do want to be in the right spot where God works, now it's the time to return to the essence which depends on the Word, the Prayer, and the Help of the Holy Spirit that admit the God's absolute Sovereignity by getting rid of the human-centered sermons and skills. Finally, this writer is longing for God's benefit to come on this land again-the Benefit to be revealed through the preachers, Kil seon-ju, Kim ik-du, Lee seong-bong. LORD, I have heard of your fame; I stand in awe of your deeds, O LORD. Renew them in our day, in our time make them known; in wrath remember mercy. - HABAKKUK 3:2-

      • 한국교회의 선교신학과 선교정책의 관계성 연구 : 5개교단을 중심으로

        이은경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importance of a theology of mission and help to establish a mission policy in mission field which has the base of various and creational approach. Also it is to examine the mission policy of four established denominations that are representative of the denominational and missional magnitude and one that have certain and clear identity of mission based on the theology of mission, and research that such a mission policy shows denominational characteristics. The theology of mission shows denominational identity of mission, and the mission policy that is based on it makes known the color of denomination. Moreover the mission policy based on the theology of mission has real and future inclining characteristics as giving directions. The theology of mission takes charge of overall of mission, it is developed through experience of mission field, and the development of the theology of mission gives directions where mission policy move forward to. If a goal is established by such a course, people who work in the mission field do not lose their goal and they keep away from trouble and disorder because of their identity of missionary work. The theology of mission gives the role of its foundation, the mission policy makes blueprint on it and it is concretely applied in the mission field. The theology of mission that organizes the foundation of mission is constructed by the situation of mission field that is affected by the mission policy. Therefore the theology of mission is a fundamental principle, mission policy built structure for its practice, and this mission policy takes shape in the mission field. The identity of the theology of mission will make fewest problems which could happen in the mission field. Because the theology of mission gives foundation for solution. The mission policy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theology of mission could not lose its identity. Because of this, the theology of mission must be well developed. The mission policy come out in the midst of the dynamic situation of the theology of mission and mission field and it is grown up in it. Therefore the theology of mission and the mission policy are reciprocal action each other. This thesis researches definite connection of the theology of mission and the mission policy in the role of organization and structure. Their terminology is not definitely defined in this thesis.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attempted to research it for the first time, and hope to advance efficient missionary work by joining together the theology of mission and the mission policy.

      •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과 정치윤리

        변철환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Moltmann's theology of the cross(theologia crucis) is a trinitarian theologia crucis, it transcends church criticism and extends to political theology. The theology of the cross frees oneself from violence, it is a messianic theology of peace which loves one's enemies and is one of love and responsibility. Jesus is simultaneously the true God and true man. Jesus is the center and basis of Christian faith. Jesus proclaimed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miracles He performed were signs of the imminence of the reign of God. But Jesus was charged as a blasphemer of God and a false prophet and sentenced to death. Jesus willingly died His death. Jesus' death was not the end. Jesus resurrected and countered death with hope and secured eschatological peace. The cross of Christ is the symbol of the grace of God and the costly grace of following Jesus. Paul teaches righteousness through faith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Jewish teaching of righteousness through the observance of the Law. God willingly gave Jesus up to death. Paul preached Christ crucified. Paul's theology of the cross criticizes self-praise of man and frees those from it. Luther discovered the interpretation of the Pauline meaning of "sola gratia, sola fide." For Luther justification means God accepting man as being righteous and is an act of giving value to man. The most significant aspect of Luther's justification is the freedom from acts of self-praise and righteousness, and is humility and commitment only to Christ. In 1517 as part of the Heidelberg Disputation, Luther set forth the theologia crucis in opposition to theologia gloria. Luther clearly stated that only the cross is our theology and tests all things. Bonhoeffer was a Christian who lived a life of confession of faith. His theology was Christ-centered and Christ-dominating. Bonhoeffer implanted the perception of justification by faith to the German church. Cheap grace is grace without discipleship, and grace without the cross. Costly grace is the call to discipleship in following Christ and connects the personality of Jesus Christ with the cross. Discipleship reaches to the point of martyrdom, and is being at oneness with the One crucified on the cross. Just as Christ suffered and was forsaken, the disciples of Christ must participate in the suffering of the cross. Moltmann developed his theology of the cross by experiencing God existentially through his suffering and time as a prisoner of war. For Moltmann the cross is the basis and criticism of theology. He thought of the loving God who suffers, not a senseless and heartless God. Moltmann points out the traditional misinterpretations of the cross on the part of the church and develops it in the direction of political theology which is existentially united in theory and practice in keeping with the genuine meaning of following the cross as the answer. It interprets and understands the death of Jesus as a trinitarian event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n event concerning the cross, and an act of love resulting from this the relationship of the Holy Spirit eschatologically. The content of the trinity of God is in the reality of the cross of Christ himself. The form of the One crucified is trinitarian. Moltmann develops the theology of the cross, which is the key to christology, from a historical, critical viewpoint, and further develops this into political theology continuing the thought of Bonhoeffer in taking up one's cross and following Jesus in the world. The theology of the cross is one of discipleship ethics and a political theology of the cross. Moltmann transcends the unenjoyable prejudice concerning the concept of political theology into a "new political theology," in sharp contrast to Schmidt and changes the concept of political theology into one of church and Chritianity in the world. The new political theology overcomes the privatization of one's faith and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and puts forth political hermeneutics which accompanies the political discipleship of practice and ethics. The political hermeneutics of faith does not transfer the theology of the cross to political ideology but interprets it into political discipleship. Moltmann sets forth the five vicious cycles and its solutions. The new political theology metamorphosizes into peace theology in light of the nuclear threat which mankind faces. Peace is distinguished into negative peace as the absence of war and positive peace as the presence of justice. Christian peace connects the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peace and is a just peace emphasizing justice. The first step to peace begins with the overcoming of violence. Being free from violence is the way to peace. Jesus' Sermon on the Mount clearly shows the way to this peace. Moltmann distinguishes between power(Macht) and violence(Gewalt). Power means the rightful use of authority but violence signifies the unlawful use of power. The second way to peace is the love of one's enemies. Love of one's enemies is the most complete form of firmly establishing one's neighbor. Love of one's enemies is creative love and accompanies responsibility. Moltmann's christology pursues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e death of Jesus on the Cross overcomes the hostile relationship and revives the fellowship with all creation.

      • 100세 시대 웰에이징에 필요한 종말론적 신앙관

        강요한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밀레니엄 시대를 넘어 오면서 지난 10여 년 간 한국사회에 일어난 의식의 변화는 ‘우리는 이제 100세를 살게 될 것이다’라는 염려 아닌 염려이다. 요즘도 장례식장에서 만나는 고인의 연세는 90세가 넘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따른 사회적 대안들은 '웰에이징(Well-aging)'이라는 신생어를 만들어 내며 앞다투어 건강관리, 자산관리, 버킷리스트 작성 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이 삶의 질적 차원을 가장 많이 추구하는 신앙적 측면에서는 100세 시대에 필요한 신앙적 대안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100세 시대에는 인생 말년의 시기를 더 길고 다양하게 느끼게 된다. 그 순간에 얼마든지 신앙적 회의감이나 나태함이 생겨 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기독교 초기 로마 시대에 받았던 박해와 같은 정도 크기로 성도들의 또 다른 신앙적 위기임이 분명하다. 과학기술과 의료기술은 그 끝을 모르는 듯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모든 질병적 삶의 저해 요소들을 막아 지상 최고의 낙원(유토피아)을 건설할 수 있을 것처럼 말한다. 이에 유혹된 신앙인들은 천국에 가는 것보다 여기 문명이 제공한 유토피아에서 더 오래 살고 싶어 하며, 편리함와 안락함을 누리려 한다. 이렇듯 나태함과 안일함과 직무유기에 빠져 버린 성도들의 사명감과 종말론적 신앙관의 위기의식을 지적하며, 그 대안적 방안을 모색해보려는 것이 이 논문의 취지이다.ᅠ 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신학교와 교회는 이런 위기의식이 부족하며, 연구 또한 많지 않다. 이런 정황을 말해 주듯이, 관련된 논문은 물론 학술기사들도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필자의 소견대로 우리 성결교단이 자랑하는 사중복음 신학을 도구로 100세 시대에 걸맞는 종말론적 신앙관을 수립해 본 것이다. 사중복음 신학이 내포하는 사중복음 정신과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네 가지 신학적 요소가 종말론적 신앙을 유지하고 형성해 가는 데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를 피력하려 했다.ᅠ 먼저 Ⅱ단원에서는 종말론의 많은 의미를 좁혀 개인적 종말인 죽음과 인생의 종점의 시기에 대한 삶에 자세를 새롭게 접근하려 했던ᅠ'웰에이징(Well-aging)'이라는 신조어의 출현과 그 의미를 나열했으며, 100세 시대 이전과 이후의ᅠ'웰에이징'적 자세들의ᅠ변화와 차이를 설명했다. ᅠ Ⅲ단원에서는 100세 시대에 도래한 나태한 신앙적 위기를 극복해 나갈 정신으로 "사중복음 정신"ᅠ을 소개했으며, 그 속에 담긴 두 가지의 핵심 요소로 사도주의적ᅠ"아바정신"과ᅠ"하나님 나라를 향한 순교정신"을 들었다. 그리고 사중복음의 네 가지 신학적 요소들을 100세 시대에 지녀야 할 종말론적 신앙에 적용했다. 사중복음의 일반적 순서인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순서를 따르지 않았고, 노년기에 나타나는 특징의 중요성에 따라서 가장 먼저 육체의 노화과 관련된 신유의 신학을 먼저 언급했고, 이어 건강관리와 직결된 물질에 대해 성결의 신학을 확대 적용했으며, 노화와 재물에 대해 안정적인 상황에서도 나태하거나 안일한 신앙의 태도를 경계해야 함을 지적한 재림의 신학에 대해서 피력했으며, 끝으로 생애의 마지막 순간까지 붙들고 결코 놓쳐서는 안 될 구원의 확신과 연관된 중생의 신학을 적용했다.ᅠ 결론적으로 100세 시대의 노년기를 지내는 현대인의 신앙을 형성하고 지키는 데 있었서 사중복음 신학의 폭넓은 적용을 시도했으며, 나아가 100세 시대의 종말론적 신앙 형성에 필요한 연구와 대책들의 긴급성을 제안했다. In the last decade, especially over the Millenium, the change of consciousness in korean society confronts of an anxiety, not actually concerned, that we will live until a hundred years old. At a funeral these days, it is normal that the deceased is usually over ninety years old. In accordance with this, it coined a new word ‘Well-aging’ in order to make a social counterplan in the part of health, asset, and bucket list.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religious alternatives to pursuing quality in human life. In a hundred years time, one’s later life feels longer and more diverse. In that moment, people might go through devotional laziness and serious skepticism. It is like the crisis of the early church members who were persecuted under the Roman Empire. Scientific and medical technology have made breakthroughs. Besides, people who are enthusiastic adherents say that technology could build utopia as a way to eliminate all factors which cause diseases. In this reason, many prefer to live longer lives in utopia provided by the modern civilization rather than hope and prepare the eternal life by faith.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find an alternative by stating the crisis of christians who are lazy about the holy calling and eschatological faith.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and consciousness of crisis in Seminaries as well as churche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difficult to find relevant sources. Therefore the hundred years of eschatological christian view was shaped by the Fourfold Gospel. This paper expresses opinions about how the spirit of Fourfold Gospel – Rebirth, Holiness, Divine Healing, the Second Coming – could play a role in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eschatological faith. In Chapter II, there are explanations about the background of neologism ‘Well-aging’ in order to explain death as a personal eschaton and the spirit of Fourfold Gospel as an attitude in the later lif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hanging of attitudes to well-aging before and after a hundred years. The spirit of Fourfold Gospel is introduced to overcome the faith difficulties, including two crucial elements as the apostolic ‘ABBA-Spirit’ and the spirit of a martyr. Furthermore in Chapter III, four components were described as eschatological faith specifically focussing on a hundred yea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life-span development, firstly, divine healing was mentioned with physical aging and in succession theology of holiness was applied for wide explanation in part of health care and wealth, and then the Second coming was used in order to revive the lazy and easy-going religious attitudes and to escape a sense of secular satisfaction. Theology of rebirth was stated in the last part so that all christian can not miss the conviction of salvation even for a moment. Hence, in the aspect of forming and improving the eschatalogical faith of modern christian, the theology of Fourfold Gospel was widely applied and suggested by urgent counterproposal at a hundred years time.

      • 설교자의 신학과 설교의 상관관계 연구 : 한경직과 홍근수를 중심으로

        김광수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is study, we can se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reachers' theology and sermon through Han, Kyeng Jik and Hong, kuen soo, who are representatives of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of Theology and Politics. Why are various sermons preached by many preachers when they use same text of Bible? There could be many reasons but one of the biggest reasons are th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preachers. It's because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reachers' theology and sermon. In chapter Ⅱ, we can see the growth background and theology of Han. We can see that Han was educated the theological grounding in elementary school, patriotism in middle school, the theological point of view toward human and rationality of natural science in university and the whole theology in America. These growth background and education have huge influences on Han's theological point of view. In chapter Ⅲ, we can see the growth background and theology of Hong. Hong was born as a progressionist. His father read some progressive books, before he was born. Because of this he left the life of pastoral duties. And Hong said that he was influenced by his father. When he was in high school., he dreamed the social reform through the good news of Jesus. The school character in the theological university had huge influences on his theological point of view. In chapter Ⅳ, we can see the differences between Han's and Hong's theological point of view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Jesus, the theory of Christianity, the theory of the holy spirit, the theory of church and the theory of bible. In this comparative study, we can find they have many theological differences. Han was the minister who learned tottally the whole theology and presented the message through his life, sermon and the pastoral duties rather than a professional theologist. Han was an ideologist of the evangelical who was focused on bible theologically and an absolute anticommunist and an conservative politically. On the other hand, Hong was a liberalist who was focused on bible theologically and an absolute progressionist, an unionist and an ideologist of participation in politics in politically. In chapter Ⅴ, we stud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reachers' theology and sermon and Han's and Hong's thoughts of sermon and the special features of their sermons. We can see that important factors which decides sermons are the bible, audiences and preacher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s, however, the preachers. And sermons are influenced by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preacher, personal features of the preacher, social factors of the preacher and theology of the preacher. Theology of the preacher has the biggest influences on sermons. Han understood that sermons are a delivery of Jesus and said that sermons should be biblical and have objects and power. On the contrary Hong said that sermons are a spreading of the words of Jesus. Hong said that sermons can never be separated from the realities of our lives, so the most common subjects of his sermons are politics, the nation, peace and unity. In chapter Ⅵ, there are comparisons between sermons of Han and Hong. The object of the comparison was sermons which were based on the same text of bible. The standard of the comparison was annotation of the text, contents of the sermon, a form of the sermon, usages of language's elements and rhetoric. Two people have different points of view on how to analyse the bible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showed in their sermons as well. Their different points of view on theology made their sermons different after all. It shows there i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reachers' theology and sermon in this study. Han's religious belief of the evangelical which was focused on bible theologically and conservatism appeared in his sermons. Hong's progressive theology appeared in his serm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