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비평 경험에 기초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torytelling Activity with Art Criticism on Creativity and Character of Young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2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미술비평 경험에 기초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태도와 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예술교육의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류하고, 이중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미술비평 경험에 기초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유아의 창의적 태도와 인성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미술비평에 기초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태도와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미술비평을 통하여 작품의 의미와 내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공유하여 창의적인 이야기로 꾸며보는 본 활동이 창의성과 인성을 강조하는 현대 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통합적 예술교육의 일환으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미술비평 경험에 기초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태도와 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예술교...

      본 연구에서는 미술비평 경험에 기초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태도와 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예술교육의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류하고, 이중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미술비평 경험에 기초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유아의 창의적 태도와 인성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미술비평에 기초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태도와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미술비평을 통하여 작품의 의미와 내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공유하여 창의적인 이야기로 꾸며보는 본 활동이 창의성과 인성을 강조하는 현대 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통합적 예술교육의 일환으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d the effects of storytelling activity with art criticism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which could indicate an effective approach in art education. For this purpose, five-year-old children at kindergarten in Seoul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group was provided the activity of storytelling based on art criticism.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children's creative attitude and character building were calculated and ANCOVA with pre-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as the covariate was carried out from the data collected. The storytelling activity with art criticism had positive effects on cultivating young children's creative attitude and good charact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having children share their thoughts from art criticism and make creative stories are in line with today's art education which emphasizes creativity and character and has potential for field practice.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plored the effects of storytelling activity with art criticism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which could indicate an effective approach in art education. For this purpose, five-year-old children at kindergarten...

      This research explored the effects of storytelling activity with art criticism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which could indicate an effective approach in art education. For this purpose, five-year-old children at kindergarten in Seoul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group was provided the activity of storytelling based on art criticism.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children's creative attitude and character building were calculated and ANCOVA with pre-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as the covariate was carried out from the data collected. The storytelling activity with art criticism had positive effects on cultivating young children's creative attitude and good charact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having children share their thoughts from art criticism and make creative stories are in line with today's art education which emphasizes creativity and character and has potential for field pract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영, "환상동화를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81-94, 2006

      2 김희경, "협동적 후속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노은아,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30 : 43-64, 2007

      4 고은실, "현대 한국 미술비평교육의 내용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83-104, 2008

      5 김종구, "학교문화예술 교육의 활성화 방안" 173 : 22-30, 2006

      6 태진미, "학교교육과정 개혁으로서의 미국 K-12의 예술통합교육 사례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 9 (9): 17-32, 2011

      7 최명희, "패러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8 문세라, "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박상희, "통합적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9 : 243-266, 2002

      10 고영자, "토의식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5-24, 2012

      1 김수영, "환상동화를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81-94, 2006

      2 김희경, "협동적 후속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노은아,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30 : 43-64, 2007

      4 고은실, "현대 한국 미술비평교육의 내용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22 (22): 83-104, 2008

      5 김종구, "학교문화예술 교육의 활성화 방안" 173 : 22-30, 2006

      6 태진미, "학교교육과정 개혁으로서의 미국 K-12의 예술통합교육 사례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 9 (9): 17-32, 2011

      7 최명희, "패러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8 문세라, "통합적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박상희, "통합적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9 : 243-266, 2002

      10 고영자, "토의식 미술 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5-24, 2012

      11 안동순,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소 10 (10): 75-96, 2012

      12 정진영,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간학문적 통합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설계 모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373-391, 2011

      13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0

      14 최인수, "창의성의 발견" 샘앤파커스 2011

      15 문용린, "창의․인성 교육 총론" 10 : 21-29, 2010

      16 Eisner, E. W., "인지와 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3

      17 윤현용,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김경희,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9 김경철, "이야기 꾸미기 활동과 상상력 평가" 23 (23): 209-227, 2003

      20 박진홍, "음악비평 활동의 창의․인성 교육적 접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3) : 95-114, 2011

      21 류은주, "육색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언어 표현력 및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435-459, 2012

      22 장영희,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23 엄정애,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24 이효정,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5 김영옥,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7-324, 2009

      26 조현정, "유아의 동기 및 자아개념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251-263, 2010

      27 장영숙,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135-160, 2008

      28 강은영,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29 박현진, "유아 인성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 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Ⅱ"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5-26, 2012

      30 채현경, "예술중심 융합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31 권수미,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67-100, 2012

      32 김형숙,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2 (32): 1-29, 2012

      33 강인향, "어머니 특성변인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34 강지연, "수․과학 영재학생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인식 보사 연구" 15 (15): 469-481, 2011

      35 문용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ㆍ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36 김성란, "미술작품 감상을 활용한 신체표현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7 박남정, "미술비평교육의 실천적 변화 모색을 위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 자전적 이해로서의 내러티브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38 이은적, "미술비평과 감상" 12 (12): 223-233, 2001

      39 김정효, "미술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STEAM)이 미술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40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비평교육" 시공사 2003

      41 박화윤, "미술 작품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22 (22): 277-290, 2001

      42 이미경, "미국의 예술통합교육과 한국교육에의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38 (38): 33-52, 2011

      43 태진미,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현을 위한 학교음악교육의 개선 과제" 한국예술교육학회 8 (8): 65-79, 2010

      44 박영태, "모 대상 창의성 이해 프로그램이 모의 양육신념과 사고양식 및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139-164, 2011

      45 신유진, "명화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6 남효인,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적 그림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형교육학회 (32) : 115-137, 2008

      47 박화윤, "명화감상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 및 공간능력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71-96, 2008

      48 지성애,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공간지각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39-358, 2010

      49 최현숙, "명화감상에 기초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문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45-65, 2012

      50 장혜진,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미술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23 : 13-37, 2006

      51 조은정, "명화감상과 구연동화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121-139, 2006

      52 강경연,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활동이 유아의 정서인식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27-53, 2012

      53 우영효, "동화를 통한 유아 인성교육방법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37-48, 2005

      54 김은심, "동작활동을 통합한 미술 작품감상이유아의 그림 표현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69-285, 2006

      55 유병열, "도덕교육론" 양서원 2006

      56 이경화, "글로벌 리더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ㆍ창의ㆍ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507-523, 2010

      57 염연정,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8 노윤희,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9 조은정, "극놀이와 연계한 유아 미술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19-144, 2010

      60 장영숙, "그림책과 명화를 활용한 미술프로그램이유아의 미술 감상능력과 미술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97-110, 2005

      61 이원미,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19-37, 2012

      62 지성애, "감성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447-466, 2010

      63 박휘락, "감상교육의 내용과 방법" 27 : 165-193, 1992

      64 Yakman, G., "What is the point of STEAM? A brief overview"

      65 Torrance. E. P., "The search for satori and creativity"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Press 1979

      66 Edwards, C., "The hundred languages of children: The reggio emilia approach-advanced reflections second edition" Norwood Ablex 1998

      67 Eckhoff, A., "The Importance of art viewing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visual arts : The exploration of a master art teacher's strategies for meaningful early arts experiences" 35 (35): 463-472, 2008

      68 Phillips, L., "Storytelling : The seeds of children's creativity" 25 (25): 1-5, 2000

      69 Carpenter, M., "Preppy, straight up or with a twist"

      70 강인애, "PBL기반 디자인수업을 통한 아동의 창의․인성 능력 함양에 대한 사례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39) : 23-53, 2011

      71 Florendo, A. O., "Opening children's eyes through art" 29 (29): 13-15, 1998

      72 Koster, J. B., "Growing artists: Teaching art to young children" Thomson Delmar Learning 2009

      73 이혜정, "Feldman 감상 방법에 기초한 명화 감상 활동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509-530, 2009

      74 Hsiao C. Y., "Enhancing children's artistic and creative thinking and drawing performance through appreciating picture books" 29 (29): 143-152, 2011

      75 Misailidi, P., "Emotion in children's art: Do young children understand the emotions expressed in other children's drawings?" 6 (6): 189-200, 2008

      76 Colbert, C.,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for the visual arts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ational Arts Education Association 1992

      77 Starko, A. J., "Creativity in the classroom: Schools of curious delight" Lawrence Erbaum Associates 2005

      78 Cropley, A. J., "Creativity in education and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Kogan Page 2001

      79 Bransom, J., "Creative learning: People and pathways" Big Thought 2010

      80 Mayesky, M.,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lishing Company 2008

      81 Miller, R., "Caring for new life: Essays on holistic education" Foundation for Educational Renewal 2000

      82 Feldman, E. B., "Becoming human through art" Prentice-Hall Inc 1970

      83 Root-Bernstein, R., "Arts at the center" UNESCO Seoul 2010

      84 Anderson, T., "Art for life: Authentic instruction in art" McGraw-Hill College 2004

      85 Schirrmacher, R.,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 2002

      86 Schirrmacher, R., "Art &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Delmar Publishing 2009

      87 Stolniz, J., "Aesthetics and philosophy of art criticism : A critical introduction" Houghton Mifflin 1990

      88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89 이경화, "4, 5세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47-160, 2002

      90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6호ㆍ보건복지부 고시 제2012-82호"

      91 이대영, "21세기 교육환경변화와 예술교육의 필요성"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