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on their Sense of Commun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47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on their development of sense of community.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both quantity and quality sides of volunteer activities were considered in the research model and besides the direct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on their sense of community,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were also examined. The data set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reanalyz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26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s of voluntee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hours of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ense of community respectively. In an integrative model which combines both quantity and quality aspects of volunteer activities, however, only the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satisfaction with and reflective learning after volunteer activities are more important sides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than whether and how many times they had experiences in volunteer activities. Second, the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was found to enhance adolescents`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and the changes in their personal traits again led to a higher sense of community. Therefore, both the direct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were pro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eed and ways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on their development of sense of community.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both quantity and quality sides of volunteer activities were considered in the researc...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on their development of sense of community.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both quantity and quality sides of volunteer activities were considered in the research model and besides the direct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on their sense of community,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were also examined. The data set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reanalyz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26 fir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s of voluntee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hours of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ense of community respectively. In an integrative model which combines both quantity and quality aspects of volunteer activities, however, only the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satisfaction with and reflective learning after volunteer activities are more important sides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than whether and how many times they had experiences in volunteer activities. Second, the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was found to enhance adolescents`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and the changes in their personal traits again led to a higher sense of community. Therefore, both the direct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were pro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need and ways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of adolescents` volunteer activities we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숙, "학교청소년의 수련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57-182, 2010

      2 도종수,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21-45, 2011

      3 이현숙,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9

      4 박가나,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73-306, 2009

      5 김선희,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정체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남·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6 김해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7 고은경,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비행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동배,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31 : 147-170, 1997

      9 문성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태 및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101-120, 2009

      10 이성은, "청소년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313-335, 2009

      1 박재숙, "학교청소년의 수련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57-182, 2010

      2 도종수,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21-45, 2011

      3 이현숙,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9

      4 박가나,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73-306, 2009

      5 김선희,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정체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 남·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6 김해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7 고은경,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비행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동배,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31 : 147-170, 1997

      9 문성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태 및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101-120, 2009

      10 이성은, "청소년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313-335, 2009

      11 이점숙,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의 교육적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12 이채학,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과 인성발달에 관한 연구 : 안양시 청소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13 김종화, "청소년 수영교실 참여자의 또래관계가 공동체의식 및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5 (35): 609-619, 2009

      14 은지용, "청소년 봉사활동 반성 경험이 시민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5 김정옥,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사회적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16 서주영,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17 허성호,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143-164, 2010

      18 최무연, "자원봉사활동수준과 청소년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 경기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19 허정철, "수련활동,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7 (7): 19-40, 2005

      20 김옥순, "서울시 거주 중·고생의 공동체의식 조사연구 :인터넷 이용 행태와 사회적 상호작용 및 연대감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7 (7): 215-234, 2006

      21 김미숙, "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2 김규희,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23 아시아투데이, "‘점수따기’로 변질된‘학생자원봉사점수제’"

      24 Youniss, J., "What We Know About Engendering Civic Identity" 40 (40): 620-631, 1997

      25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26 Hamilton, S. F., "The Impact of Volunteer Experience on Adolescent Social Development: Evidence of Program Effects" 3 (3): 65-80, 1988

      27 Switzer, G. E., "The Effect of a School-Based Helper Program on Adolescent Self-Image, Attitudes, and Behavior" 15 (15): 429-455, 1995

      28 Maddock, J. E., "The College Alcohol Problems Scale" 27 : 385-398, 2001

      29 McMillan, D. W.,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14 : 6-23, 1986

      30 Davidson, W. B., "Sense of Commun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17 : 119-125, 1989

      31 Pretty, G. M. H.,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evance to Adolescents of All Ages" 24 (24): 365-379, 1996

      32 김진호, "Positive Youth Development의 의미와 정책적 시사점"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3 (3): 71-88, 2006

      33 Pretty, G. M. H., "Exploring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ationship to Loneliness" 22 : 346-358, 1994

      34 Obst, P., "An Exploration of Sense of Community, Part 3: Dimensions and Predictors of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Geographical Communities" 30 (30): 119-133,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7 1.86 2.07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