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추후 유아영어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시에 근무하는 유아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78939
2018
Korean
375.1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3-174(2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추후 유아영어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시에 근무하는 유아교...
본 연구는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추후 유아영어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시에 근무하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250명, 학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카이제곱검증(x2)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와 학부모 모두 유아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학부모의 인식이 교사의 인식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영어교육의 목표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영어에 대한 친밀감 갖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영어교육의 적합한 교육방법으로 교사와 학부모는 만3~5세의 유아들에게 유아교육기관에서 주 2~3회 20분 이내 모든 유아들에게 일시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영어교육의 적합한 교수법으로는 데일리루틴 교수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유아영어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학부모 유아의 실제 영어 활용기회 부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유아영어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영어에 대한 유아의 흥미와 동기유발이 증진된다는 것에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necessity, goal, teaching-learning method, problems and effect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on the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necessity, goal, teaching-learning method, problems and effect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on the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50 parents in K city, Gyeongsangnam-do.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performed and chi-square test(x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necessity, both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d that English education is necessary and parents’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Second, regarding the purpose, the most frequent answer from the two groups was to make children familiar and interested in English. Third, regarding the optimal method, both groups perceived that it would be good to give English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hildren between 3 years old and 5 years old with given term. also Infants were recognized as most suitable to be temporarily performed by all infants within 20 minutes two to three times a week. They answered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method would be daily routine teaching method. Fourth, regarding problem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both groups thought the biggest problem was insufficient utilization opportunity. Regarding effects, they thought it would enhance the children’s interest in English and motivation to learn i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영, "현직 교사들의 영어교수법 현장 사용 실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우남희, "한국의 조기영어교육 실태조사. 국제화에 대비한 조기 외국어 교육의 현황과 방향" 21-42, 1994
3 이정아, "한국 중등 영어교육 선행연구 분석 : 의사소통 접근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 김흥일, "학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 분석 : 2008년 초등1학년 영어교육 과정 도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황정규,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993
6 곽혜린, "조기영어교육의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신동주,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분석 및 교사·학부모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의 지역간 차이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오수아,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9 정지영,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인식, 기관선택용인, 기관만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행동의도간의 관계구조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 김소영, "현직 교사들의 영어교수법 현장 사용 실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우남희, "한국의 조기영어교육 실태조사. 국제화에 대비한 조기 외국어 교육의 현황과 방향" 21-42, 1994
3 이정아, "한국 중등 영어교육 선행연구 분석 : 의사소통 접근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4 김흥일, "학부모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 분석 : 2008년 초등1학년 영어교육 과정 도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황정규,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993
6 곽혜린, "조기영어교육의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신동주,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분석 및 교사·학부모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의 지역간 차이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오수아,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9 정지영,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인식, 기관선택용인, 기관만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행동의도간의 관계구조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0 이동욱,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국가별 실태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1 임현숙,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 박유나,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실태 및 교수방법에 관한 현황조사 : 대전광역시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3
13 정명호, "조기영어 교육론" 한신문화사 1989
14 최지영, "조기 영어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189-214, 2008
15 차지인, "조기 영어 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유치원과 사설 영어학원 비교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6 주희연, "유치원·어린이집 영어수업 금지땐 학부모 10명중 9명 "사교육 시킨다""
17 김지영, "유치원 영어전담 교사의 전공에 따른 유아 영어교육 인식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8 우남희, "유아의 창의성과 조기 영어교육의 관계 분석" 11 : 126-133, 2006
19 황혜신, "유아의 조기영어교육과 이중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Children's Early English Education and the Factors on their Bilingual e Development" 한국생활과학회 16 (16): 22-33, 2007
20 전주아,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와 유아영어교사의 인식 연구"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21 김용환,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태 연구 : 양산지역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2 유진,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3 박지유, "유아영어교사 교육 실태와 교사교육 프로그램 요구조사 : 유아파견영어교사의 요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4 장세영, "유아영어 교수법 사용 실태에 따른 효율적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5 조은정, "유아교육기관의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 :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탐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6 윤초롱, "유아교육기관의 방과후 과정 영어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및 담당강사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7 김은정, "유아교육기관의 방과 후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2010
28 김민영,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특별할동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 실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9 정승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의 실태 및 인식조사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0 유진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태 조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1 송수연, "유아교육기관에서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3
32 강시경, "유아 영어체험학습 프로그램의 구성과정 및 효과 제시- 4∼6세 유아를 대상으로" 외국학연구소 (16) : 9-33, 2011
33 박유리, "유아 영어교육의 실태에 관한 교사의 인식"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4 조선일보, "유아 영어교육 금지도 백지화, ‘갈팡질팡 정책’ 몇 번째인지"
35 박신영, "울산 지역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현황과 학부모들의 인식 분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6 우남희, "영유아에 대한 조기 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2
37 이혜란, "영어 조기교육 현황 조사 및 앞으로의 방향" 8 : 3-35, 1995
38 심미경, "영어 유치부의 유아 영어 교육 현황과 한국인 담당 교사의 인식 : 부산 지역의 영어 유치원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9 백지원, "영·유아 조기 영어 사교육 실태 조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9
40 교육부, "솜방망이 처벌에...편법 영어유치원 급증 보도 관련"
41 이윤미, "만 5세 유아의 영어 몰입 학습 환경 적응 양상과 정의적. 인지적 영역의 변화" 경인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42 이영순, "만 3-5세 유아영어교육에 대한 부모 인식 및 유아의 정의적 특성"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43 서유헌, "뇌과학이 들려주는 조기 영어교육의 폐해-굿바이 영어 사교육" 시사인북 2014
44 교육부, "교육부, 유치원 방과후 ‘놀이 중심 영어’ 허용"
45 교육부, "교육부, 유아 단계 조기 영어교육 부작용부터 우선 해소 추진"
46 Penfield, W., "Speech and brain mechanism" Princet on University Press 1959
47 Piaget, J., "Intellectual evolution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15 : 1-12, 1972
48 Guirora, A., "Empathy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20 : 111-130, 1972
49 Chomsky, N., "Aspects ofthe theory ofsyntax" M. I. T University Press 1965
50 교육부, "59개 유아 영어학원. ‘영어유치원’ 명칭사용 위반"
5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52 사교육걱정없는세상, "2014년 서울ㆍ경기지역 학부모 등 8,617명 대상 조기영어교육 실태 및 인식조사 결과 보도"
53 교육인적자원부, "2006~2010년 제2차 국가인적자원개발 기본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6
54 교육인적자원부, "2000년도 주요업무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0
창의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보육실습 지원을 위한 온‧오프라인 소집단 멘토링 경험- 원격 평생교육원 보육실습생을 중심으로 -
비유(metaphor)를 통한 철학적 사고와 비유의 제한성에 대한 탐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10-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 |
2020-04-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