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18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여 평가인증 제도의 효율적인 수행과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한 후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평가인증 준비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 평가인증 지표(7개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평가인증 사후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3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2005년 3월부터 2011년 6월까지 평가인증을 통과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154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χ2-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인식, 평가인증 준비과정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평가인증 지표(7개 영역)에 대한 인식, 평가인증 사후관리에 대한 인식은 보육교사가 재직하고 있는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여 평가인증 제도의 효율적인 수행과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어린이집 평가인...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여 평가인증 제도의 효율적인 수행과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한 후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평가인증 준비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 평가인증 지표(7개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평가인증 사후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3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2005년 3월부터 2011년 6월까지 평가인증을 통과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154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χ2-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평가인증 제도에 대한 인식, 평가인증 준비과정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평가인증 지표(7개 영역)에 대한 인식, 평가인증 사후관리에 대한 인식은 보육교사가 재직하고 있는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o implement and settle down the system successfull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arrangements with professors and childcare teacher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4 items of 36 questions related to 'general awareness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he preparatory process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7 indicators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nd 'post management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54 childcare teachers who work for childcare center passed the Accreditation System from March, 2005 to June, 2011 in S provinc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χ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o implement and settle down the system successfull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o implement and settle down the system successfull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arrangements with professors and childcare teacher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4 items of 36 questions related to 'general awareness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he preparatory process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7 indicators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nd 'post management of the Child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54 childcare teachers who work for childcare center passed the Accreditation System from March, 2005 to June, 2011 in S provinc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χ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표갑수, "한국 보육사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0 (40): 139-163, 2005

      2 조영자,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연구 : 인증시설과 비인증시설 비교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임난희, "평가인증제도 실시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9

      4 금미숙,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에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 강원도지역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김향은,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29 (29): 169-188, 2008

      6 장상란, "평가인증 후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및 사후 관리 실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191-222, 2009

      7 이경철, "유아교육기관 평가인증제의 산·학·관 협력모형 개발연구 : 델파이와 AHP 기법을 활용하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8 양옥승, "유아교육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개발 연구" 21 (21): 177-196, 2000

      9 이숙자, "여성부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5

      10 "보육포털 홈페이지"

      1 표갑수, "한국 보육사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0 (40): 139-163, 2005

      2 조영자,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연구 : 인증시설과 비인증시설 비교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임난희, "평가인증제도 실시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9

      4 금미숙,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에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 강원도지역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김향은,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29 (29): 169-188, 2008

      6 장상란, "평가인증 후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및 사후 관리 실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191-222, 2009

      7 이경철, "유아교육기관 평가인증제의 산·학·관 협력모형 개발연구 : 델파이와 AHP 기법을 활용하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8 양옥승, "유아교육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개발 연구" 21 (21): 177-196, 2000

      9 이숙자, "여성부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5

      10 "보육포털 홈페이지"

      11 보건복지부,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2011

      12 표갑수, "보육인력(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자격제도 및 전문성 유지 환경에 대한 평가" 17 : 57-96, 1999

      13 서문희, "보육인력 자격관리 현황과 제도 개선 방안"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20 (20): 123-155, 2001

      14 지성애, "보육시설장의 자격 강화와 전문성 확장을 위한 대안 모색"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1 (61): 63-88, 2010

      15 김은희,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종사자의 인식연구 : 안동시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행정경영대학원 2008

      16 이미숙,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평가인증제 이후 만족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이정숙,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8 양해영,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설립유형별에 따른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벤처경영대학원 2005

      19 황인숙,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조사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20 박복매,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시설장의 인식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1 이옥,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도입과 보육의 질.보육시설 평가인증과 보육정책,9-22" 9-22, 2002

      22 오민수,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 시설장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3 문순정,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따른 사후 유지관리 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24 원정아,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에 따른 교사 효능감, 보육시설의 질 및 인식변화"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5 유희정,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범운영 결과 및 발전방안" 2 : 2006

      26 유은미, "보육시설 종사자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0

      27 김동례,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28 이나영,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6

      29 표갑수, "보육시설 및 인력의 수급에 대한 평가" 영유아보육학회 17 : 1-25, 1999

      30 이혜숙,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과 평가인증에 따른 직무만족도"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1 이완정, "보육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평가" 영유아보육학회 17 : 97-114, 1999

      32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33 국민일보, "믿고 맡길 수 있다던 평가인증어린이집 알고보니."

      34 Loane, S., "Who Cares?" Reed Books 1997

      35 Whitebook, M, "NAEYC Accreditation as an Indicator of Program Quality: What Research Tell Us, In NAEYC Accreditation: A decade of learning and years ahead" NAEYC 1996

      36 Zellman, G. L,, "Examining Effects of Accreditation on Military Child Development Center Operations and Outcomes" Rand 1994

      37 Howes, C, "Accreditation of Johnson & Johnson child development center, In NAEYC Accreditation; A decade of learning and year ahead" NAEYC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4-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2 1.3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