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유아교육과 1학년에 재학하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26114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3-115(23쪽)
3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유아교육과 1학년에 재학하고...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유아교육과 1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40명이었으며, 실험집단 20명은 16주 동안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에 참여시켰다. 연구결과 첫째,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의 변화량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교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량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직전문성과 교직선호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직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program on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 a...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program on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 area. The experimental group were 2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ed with self-leadership program for 16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leadership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especially general self-efficacy. Second, the self-leadership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especially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orientation. Over all, the self-leadership program help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육형,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에 대한 인식 분석"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 김진수, "직장인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명숙, "중학생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6
4 김한성, "중학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2
5 석은조,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6 김수자, "자기지도성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자기지도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6
7 하순복, "자기지도성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8 박동수, "자기유능감과 직무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작용" 한국인사·조직학회 10 (10): 135-159, 2002
9 도성희, "자기 리더십향상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곽춘연, "자기 리더십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6
1 류육형,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에 대한 인식 분석"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 김진수, "직장인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9
3 박명숙, "중학생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6
4 김한성, "중학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2
5 석은조,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6 김수자, "자기지도성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자기지도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6
7 하순복, "자기지도성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8 박동수, "자기유능감과 직무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작용" 한국인사·조직학회 10 (10): 135-159, 2002
9 도성희, "자기 리더십향상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곽춘연, "자기 리더십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6
11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self-leadership)과 교사 자아개념 및 조직풍토와의 관계" 교육연구원 25 (25): 71-91, 2009
12 이선혜,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개인연수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13 조부경, "유아교육실습: 이론과 실제의 통합" 양서원 2005
14 고동섭,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5 이영자, "유아교육과 신입생 및 졸업반 학생의 교직 신념과 현직 유치원 교사의 교직신념에 관한 비교 연구" 27 : 377-398, 1996
16 이은화, "유아교사론" 양서원 1995
17 김미선,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이명숙, "유아 셀프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9 정유정,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7
20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자기효능감,우울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21 김소령, "셀프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아동의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22 강효진, "셀프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23 정태희, "셀프 리더십 교육이 대학생의 셀프 리더십과 자존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개발원 32 (32): 223-248, 2005
24 김민정, "대학생의 자기지도성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5 김원배, "기업 근로자의 셀프 리더십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6 정훈희, "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 및 교직관의 관계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7 조부경, "공립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외적 요인" 한국아동학회 27 (27): 81-96, 2006
28 장해숙, "고등학생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29 노길영, "경력 유치원 교사를 통해 본 교사발달 제요인 및 유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30 Bandura, A, "self-efficacy in human agency" 37 : 122-147, 1982
31 Neck, C. P, "Thought self-leadership; The influence of self-talk and mental imagery on performance" 13 : 681-699, 1992
32 Neck, C. P, "Thought self-leadership: The impact of mental strategies training on employee cognitions, and Emotions" Arizona State University 1993
33 Neck, C. P, "Thought self-leadership: The impact of mental strategies on employee cognition, behavior, and affect" 17 : 445-467, 1996
34 Neck, C. P,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rs" 31 : 278-302, 1995
35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 663-671, 1982
36 Houghton, J. D,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17 (17): 672-691, 2002
37 Dolbier, C. L,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enhanced psychological, health, and work outcomes" 135 (135): 469-475, 2001
38 Sims, H. P, "The new leadership paradigm: social learning and cognition in organization" Sage Publication 1992
39 Conger, J. A,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13 (13): 471-482, 1988
40 조부경, "The Relationships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Director's Super-leadership" 한국유아교육학회 16 (16): 159-179, 2010
41 Rizvi, M,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professionalism in government primary schools in karachi, pakistan" 33 (33): 35-52, 2005
42 Manz, C. C,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19 : 18-35, 1991
43 Hoy, W. K, "Socialization of student teachers" 27 : 279-300, 1990
44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General Learning Press 1971
45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46 Snyder, M, "Self-monitoring of expressive behavior" 30 : 526-537, 1974
47 Andrasik, F, "Self-management procedures, In Handbook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Wiley 219-247, 1982
48 Manz, C. C,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11 (11): 585-600, 1986
49 Khan, M. A, "Self-leadership: Factors influencing self-managing activities of professionals in for-profit organizations" The American University, Washington, D. C. 2000
50 박성민, "Self-leadership 프로그램 효과 분석:K기업 사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51 Prussia, G. E,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19 (19): 523-538, 1998
52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53 Stajkovic, A. D, "Self-efficacy and work-related performance: A meta-analysis" 124 (124): 240-261, 1998
54 Weinstein, C. S,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Implication for teacher education" 6 (6): 279-190, 1990
55 Williams, S, "Personality and self-leadership" 7 (7): 139-155, 1997
56 Bannan, D. A, "Leadership development as a transformational process"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2004
57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nts of behavior" Plenum 1985
58 Brousseau, B, "How do teacher education faculty members define desirable teacher beliefs" 4 (4): 267-278, 1988
59 Rogers, D. L, "From isolation to conversation: supporting new teachers' developmen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5
60 Kazan, A. L, "Exploring the concept of self-leadership: Factors impacting self-leadership of Ohio Americorps Members" Ohio State University, Ohio 1999
61 Bullough, R. V, "Emerging as a teacher.New" Routledge 1992
62 Bandura, A, "Effects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on self-regulation of complex decision making" 41 : 586-598, 1989
63 Avolio, B. J, "Develop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lifespan approach, In Charismatic leadership: The elusive factor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rssey-Bass 276-308, 1988
64 Latham, C. A, "Behavioral approaches to the training and learning process, In Training and development in organizations" Jossey-Bass 256-295, 1989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 사례로서의 ‘무심천 프로젝트’에 나타난 유아들의 지역사회 참여 내용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5 | 2.35 | 2.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