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초록 탈북여성의 가정폭력 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인간은 신체적이며 정신적이며 사회적이며 정치적인 존재이다. 한 개인을 둘러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가족과 개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50617
서울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7
학위논문(박사)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 상담코칭학과 , 2017. 2
2017
한국어
서울
A study on experience domestic violence and trauma of North Korean women refugees
vii, 333 p. ; 26 cm
지도교수: 권수영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 초록 탈북여성의 가정폭력 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인간은 신체적이며 정신적이며 사회적이며 정치적인 존재이다. 한 개인을 둘러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가족과 개인 ...
국문 초록
탈북여성의 가정폭력 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인간은 신체적이며 정신적이며 사회적이며 정치적인 존재이다. 한 개인을 둘러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가족과 개인 등 다양한 체계와 의미의 연결망 안에서 인간은 상호주관적인 존재로 살아가면서 독특한 자기를 형성하게 된다. 탈북여성의 폭력 경험과 그 본질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개인의 내적 세계인 생물심리학적 체계뿐 아니라, 그녀들을 둘러싼 환경적인 체계와의 관계 안에서 이해하는 생태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van Manen의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론과 James Poling의 신학방법론을 기반으로 탈북여성의 폭력경험에 대한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드러난 주제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생태체계학적 관점에서, 심리학적 관점에서, 신학적 관점에서 다 측면적으로 의미를 분석하여 보다 깊이 있게, 보다 역동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학위논문의 연구취지와 적합성을 고려하여 한국체류기간이 5년 이상이면서 북한에서 30년 이상 살았고, 5년 이상의 결혼경험이 있는 여성들, 중국에서의 초혼 또는 재혼의 경험이 있는 여성들, 중국체류기간이 없이 직행으로 한국으로 입국한 여성들, 중국체류기간이 5년 이상인 여성들, 북한에서의 교육수준, 직업, 출신성분, 나이 등 인구학적 변인들도 함께 고려하여 12명을 선택하였다. 그녀들과의 면담은 2015년 7월부터 2016년 2월까지 하였다. 그리고 면담 파일을 기술하고 분석한 결과 17개의 대주제와 93의 하위주제로 본질적 주제를 범주화하여 다각도로 그 주제를 분석하여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탈북여성이 체험한 가정폭력의 의미를 도출하여 다 측면적인 관점에서 조명하려고 그녀들을 둘러싼 겹겹의 폭력체계들에 주목하였다. 폭력의 씨실과 날실로 촘촘히 직조된 수령체제, 그 섬뜩한 공포체계에 중첩되어 직조된 가족체계 내에서 탈북여성들의 일상생활 자체가 인간 삶의 적응능력을 압도하는 트라우마 사건임을 제안하였다. 그녀들은 아동기부터 폭력에 내몰리며 죽음에 소속될 수도 있다는 두려움, 산산이 공중분해 될 수도 있다는 섬뜩한 공포와 무력감을 느끼며 완전히 굴복하는 법부터 배우면서 성장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공통된 의미는 그녀들의 삶 자체, 일생자체가 폭력경험으로 트라우마 사건이었다는 것,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트라우마는 그녀들의 정체성, 자기기능을 왜곡시켰다는 것이다. 더욱 섬뜩한 것은 가부장제 국가폭력과 가정폭력에 아동기부터 일생동안 가혹하게 내몰리면서도 그것이 명백하게 폭력이라고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냥 여자의 일생으로 숙명처럼 받아들이며 살아왔다는 무서운 현실이다.
연구자는 탈북여성의 트라우마는 단순히 임상적 차원의 심리적 개념에만 국한되는 개념이 아니라 세계 안에 놓인 거짓된 이데올로기와 북한체제의 폭력적인 권력구조와 힘의 악용에 직면하는 것임을 제안하였다. 폭력적인 북한체제는 북한 주민의 심리적 트라우마라는 잔해 위에서 유지되고 재생산되고 있음을 드러냈다. 그녀들이 겪는 트라우마 고통은 북한체제에서 개인적이며 집단적인 현상으로 세대를 넘어 전이되고 있음을 드러냈다. 그녀들은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트라우마로 인한 자기 손상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정서조절 기능의 손상, 자기조절 기능의 손상으로 인한 충동성과 공격성, 대인관계에서의 고통, 불면증, 우울 등 신체화 증상과 같은 정신적인 기능장애를 보이고 있다.
오늘날 보다 호혜적이고 치료적이며 상호적인 남한의 생태체계 내에서 적응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 탈북여성들의 내적인 희망의 복원력은 놀랍다. 연구 참여자 중 일부 여성들은 외상 후 성장을 통해 단순히 트라우마 이전의 기능 수준으로의 복귀가 아니라 그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이전의 자기능력인 심리적 기능 수준, 또는 삶의 자각 수준을 넘어서는 진정한 자기 통합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또다른 일부 여성들은 여전히 ‘탈북자’라는 차별성의 공간에서 남한 살이를 트라우마 기억의 재현으로 경험하기도 한다. 그녀들은 기본적으로 심리적, 신체적 평안이나 평온을 누리지 못하고 속박과 억압이라는 심리적 흉터 속에서 버티며 사투하고 있다. 우리는 그녀들이 보다 적응적이며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국가적, 제도적 차원에서의 정신건강 지원, 자립과 안정을 위한 지원뿐 아니라 여성단체, 민간단체, 목회적 차원에서도 일관성 있는 치료적 지원과 지지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탈북여성, 가정폭력, 복합 트라우마, 힘의 악용, 가부장제, 폭력적인 북한생태체계.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 beings are physical, mental, social, and political beings. In the various systems and semantic network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family, and individuals around a person, she forms a unique self, when she lives as an intersubjectiv...
Human beings are physical, mental, social, and political beings. In the various systems and semantic network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family, and individuals around a person, she forms a unique self, when she lives as an intersubjective be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violence experience and its nature of North Korean women refugees more in depth, we need a biopsychological system, which is an internal world, and as well as an eco-systemic approach which understands in the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 system around her.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deduced the leitmotif of North Korean women refugees’ violence experience on the basis of van Manen’s phenomenological experience researching method and James Poling’s theological methodology. By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subject which was exposed after the deduction in multi-faceted way, such as phenomenological, socio-structural, eco-system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researcher explained it more in depth and more dynamically.
Taking the study purpose and compatibility of this dissertation,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education level, profession, family background, and age factors in North Korea etc. all into consideration, the researcher has chosen 12 women who had been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more than 5 years and 30 years in North Korea, who had been married more than 5 years, who had been first married or remarried in China, who came to Korea directly without staying in China, and who had stayed in China more than 5 years. The interviews with them were held from July 2015 through February 2016. By describing and analyzing the interview files, the researcher categorized the intrinsic leitmotif with 16 main subjects and 93 subordinate themes, and analyzed the subjects in various angles to deduce the meaning.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thick layers of violence systems besieging them in order to illuminate the signification of domestic violence of North Korean women refugees in multiple facets. The leader system woven with woof and warp of violence, in the family system which was woven overlapped in the horrifying terror system, the researcher proposed the very daily life of North Korean women refugees is a matter of trauma, overwhelming the ability of adaptation to human life. North Korean women refugees were driven to violence from their childhood, and they were raised by learning how to completely yield to the fear that they were going to die, to the horrifying terror of midair disintegration into pieces, and the feeling of helplessness. Even thoug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have various social backgrounds, one significant meaning in common is this: their life itself, their whole life itself was a violence experience, a matter of trauma; and the chronic and repetitive traumas distorted their self-identity, their self-function. More horrifyingly, despite the fact that they were harshly driven to patriarchal state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from their childhood, they did not aware of the fact that it was clearly violence. It is a fearful reality that they just accepted it as the destiny of a woman’s life.
The researcher proposed that the North Korean women refugees’ trauma is not a concept confined to psychological notion simply in clinical level, but it is faced with false ideology in the world and the violent power system in North Korean regime. The violent North Korean regime revealed the fact that it is maintained and reproduced on the debris of North Korean psychological traumas. It was revealed that the North Korean women refugees’ traumatic pain is an individual and collective phenomenon and is being transferred to the next generation beyond generations. They expose self-injuries caused by chronic and repetitive traumas. They show various psychological functional disorders such as impulsivity and aggressivity caused by functional injury of emotional control and self-control, the pain in personal relations, a sense of shame and guilty feeling, depression, substance abuse, sexual abuse, somatization, etc.
Today, the restoring force of the internal hope of North Korean women refugees who live adaptive lives in the South Korean eco-system, which is more reciprocal, therapeutic, and interactive, is quite surprising. Through the growth after the traumas, som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experiencing not only the return to functional level in the past, but also to psychological function level of her ability before the traumas, or to a true self-transcendental change beyond the awareness of existence. In other words, paradoxically she can establish a new perspective by reassessing her turbulent life, and she is experiencing spiritual and existential changes, and experiencing new possibility, the change of relationship, and appreciation of her life. However, most of them are experiencing their new lives in South Korea as the representation of traumatic memories in the space of distinction, ‘a North Korean refugee’. Basically they cannot enjoy psychological and physical peace or pacification, instead, they are fighting desperately enduring psychological scars of fetters and oppression. For their more adaptive and healthier lives, we need to build not only the support for mental health, self-support and security in national and systematic level, but also consistent therapeutic support and support system in women’s organizations, private organizations, and pastoral level.
참고문헌 (Reference)
1. 인간발달, 유안진, 김혜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009
2. 인간발달, 유안진, 김혜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009
3. 아동복지론, 여춘근, 학문사, 파주: 학시사, , 2006
4. 「조선여성」, 김선희, 지에 나타난 북한여성의 성역할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 2005
5. 『아동발달』, 이항재, 교육과학사, 서울:교문사, , 2004
6. 가정폭력과 인권, 이철호,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1,360-363, , 2006
7. 최신 건강정신론, 서혜석, 곽의향, 이대식, 나동석, 강희양, 경기: 양서원, , 2015
8. 최신 건강정신론, 곽의향, 서혜석, 나동석, 강희양, 이대식, 경기: 양서 원, , 2015
9. 『질적연구방법론』, 신경림,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2004
10. 찬양을 통한 내적치유, 우형천,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1. 인간발달, 유안진, 김혜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009
2. 인간발달, 유안진, 김혜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009
3. 아동복지론, 여춘근, 학문사, 파주: 학시사, , 2006
4. 「조선여성」, 김선희, 지에 나타난 북한여성의 성역할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 2005
5. 『아동발달』, 이항재, 교육과학사, 서울:교문사, , 2004
6. 가정폭력과 인권, 이철호,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1,360-363, , 2006
7. 최신 건강정신론, 서혜석, 곽의향, 이대식, 나동석, 강희양, 경기: 양서원, , 2015
8. 최신 건강정신론, 곽의향, 서혜석, 나동석, 강희양, 이대식, 경기: 양서 원, , 2015
9. 『질적연구방법론』, 신경림,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2004
10. 찬양을 통한 내적치유, 우형천,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11. 트라우마에 대한 소고, 이진숙,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여성연구논문집, Vol.23 No.-, 175-190, , 2013
12. 사람의 통일 땅의 통일, 전우택,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 2007
13. 영적 욕구와 영성 형성, 윤덕규, 한국신학연구소, 神學 思想, Vol.158 No.-, 233-258, , 2012
14. 현대목회상담학자 연구, 김경, 권수영, 가요한, 돌봄, 서울: 도서출판 돌봄, , 2012
15. 김정일체제의 경제와 여성, 안인해,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2, 225-240, , 2001
16. 모유수유체험의 의미 탐색, 신현정,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Vol.9 No.2, 89-115, , 2006
17. 트라우마와 기억의 재구성, 권수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신학논단, Vol.79 No.-, 11-41, , 2015
18. 트라우마와 기억의 재구성, 권수영(Soo-Young Kwon),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신학논단, Vol.79 No.-, 11-41, , 2015
19. 북한 가요에 나타난 여성상, 김지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여성학 논집, Vol.16 No.-141-167, , 1999
20. 통일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전우택, 김지철, 고재길, 심혜영, 서울: 새물결 풀러스, 2016, , 2014
21. 통일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전우택, 고재길, 김지철, 심혜영, 서울: 새 물결 풀러스, 2016, , 2014
22. trauma)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안현의, 한국심리학회. Vol.26 No.1, 105-119, , 2007
23. trauma)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안현의, 한국심리학회. Vol.26 No.1, 105-119, , 2007
24. 가정폭력대응서비스의 과제, 박인선,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이화사회복지 연구, Vol.2 No.-, 76-96, , 2002
25. 가정폭력대응서비스의 과제, 박인선,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이화사회복지 연구, Vol.2 No.-, 76-96, , 2002
26. 첫 어머니 됨의 체험적 연구, 손승아,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 원, , 2000
27. 북한 여성문화의 형성과 성격, 이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여성학 논집, Vol.16 No.-, 101-114, , 1999
28. 북한 여성문화의 형성과 성격, 이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여성학 논집, Vol.16 No.-, 101-114, , 1999
29. 탈북자의 외상 척도 개발 연구, 강성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1
30. 북한여성의 인권 : 실태와 요인, 심영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아시아여성연구, Vol.45 No.2, 151-194, , 2006
31.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이양자, 정남운,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1, 1-23, , 2008
32. 트라우마와 현상학적 목회상담, 최광현, 한국신학연구소, 神學 思想, Vol.147 No.-, 221-251, , 2009
33. 북한가요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이지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34. 탈북 새터민 대학생의 사회적응, 박은미, 정태연, 박준성, 허성호, 대한스트레스학회, 스트레스 연구, Vol.21 No.3, 193-202, , 2013
35. 통일 국민과 이주자의 사회통합, 최윤철,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일 인문학, Vol.66. No.-, 49-83, , 2016
36. 『인간발달이해와 기독교상담』, 임경수, 학지사, 서울: 학지사, , 2004
37. 남북관계에서 소통과 치유의 문제, 이병수, 한민족문화학회, 한민족문화연구, Vol.43 No.-, 343-367, , 2013
38. 분단 트라우마의 유형과 치유방향, 이병수,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일인문학 논총, Vol.52 No.-, 47-70, , 2011
39. 분단 트라우마의 유형과 치유방향, 이병수,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통일인문학 논총, Vol.52 No.-, 47-70, , 2011
40. 여성의 성폭력 두려움에 대한 연구, 권인숙, 이건정,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Vol.29 No.3, 181-218, , 2013
41. 힘의 남용에 대한 목회 신학적 이해, 박중수, 영남신학대학교, 신학과 목회, Vol.26 No.-. 81-107, , 2006
42. “폭력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허민숙, 페미니즘 연구, Vol.12 No.2, 69-103, , 2012
43. “폭력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허민숙, 페미니즘 연구, Vol.12 No.2, 69-103, , 2012
44. 질적 연구: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곽영순, 교육과학사, , 2010
45. 질적 연구: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곽영순, 교육과학사, , 2010
47. 분단 트라우마의 성격과 윤리적 고찰, 이병수, 시대와 철학, Vol.22 No.1, 153-183, , 2011
48. 분단 트라우마의 성격과 윤리적 고찰, 이병수, 시대와 철학, Vol.22 No.1, 153-183, , 2011
49. 소그룹 공동체 사역을 통한 치유목회, 장인석, 아세아연합 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50. 찬양을 통한 내적치유. 석사학위논문, 우형천,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 2004
51. 가정폭력의 대응상 문제점 및 개선방안, 허경미, 박영주, 한국경찰학회, 한국경찰학회보, Vol.-No.8, 317-340, , 2004
52. 가정폭력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장희숙, 아시아교정포럼, 교정담론, Vol.4 No.2, 85-113, , 2010
53. 기독교상담에서 본 예배의 치료적 역할, 전요섭,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복음과 상담, 7, 303-332, , 2006
54.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경험에 관한 연구, 김미자,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임상사회사업연구, Vol.7 No.1, 1-18, , 2010
55. 청소년 성폭력 경험자의 현상학적 연구, 김진숙, 한인영, 김선민,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0 No.-, 385-417, , 2008
56.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본 향기요법 체험, 한선희, 김희자, 한국간호교육학회,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2 No.2, 248-256, , 2006
57.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본 향기요법 체험, 한선희, 김희자, 한국간호교육학회, 한국간호교육학회 지, Vol.12 No.2, 248-256, , 2006
58. 교과서 쓰기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혁규,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 연구, Vol.8 No.1,91-124, , 2005
59. 교과서 쓰기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혁규,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 연구, Vol.8 No.1,91-124, , 2005
60. 북한이탈주민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김현경,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社會科學硏究, Vol.38 No.1, 1-31, , 2012
61. 외상 후 성장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접근, 이우재 ( Woo Jae Lee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복음과 상담, Vol.23 No.2, 291-325, , 2015
62. 자기체계의 손상으로 본 복합외상증후군, 장진이, 조하나, 안현의,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Vol.28. No.2, 283-301, , 2009
63. 기독교 예배무용을 통한 선교방안의 모색, 배에스더, 전북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64. 관상기도에 의한 심리적 치유에 관한 연구, 김은정, 호남신학대학교, 호남신 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3
65. 현상학과 질적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이남인, 도서출판 한길사, , 2014
66. 현상학과 질적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이남인, 도서출판 한길사, , 2014
67. 첫 어머니 됨의 체험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손승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 2000
68. 청소년자살생각에 관한 생태체계요인 탐색, 박명금, 박사학위논문. 충북대 학교, , 2006
69.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모성 논의에 대한 고찰, 박언주,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Vol.25 No.4,152-181, , 2013
70. 북한이탈가정 자녀학대 및 방임의 위험요인, 김재엽, 최권호, 채지훈,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학연구, Vol.43 No.3, 267-293, , 2012
71. 누구를 위한 종교인가-종교와 심리학의 만남, 권수영, 책세상, 서울: 책세상문고, , 2006
72. 소설 속에 나타난 북한여성의 일상생활 연구, 최은주, 인하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7
73. 탈북자의 외상 척도 개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강성록, 연세대학교, , 2001
75. 단순 및 복합 외상 유형에 따른 PTSD의 증상구조, 주혜선, 안현의, 한국심리학회, 한국심 리학회지, Vol.30 No.3, 869-8, , 2011
76. 북한가요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지미, 이화여자대학교, , 2010
77. 사회-심리적 특성으로서 수치심의 이해와 해결, 김용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Vol.11 No.1,59-73, , 2010
78. 성폭력 생존자의 치유와 인격회복을 위한 목회, 이충범(Choong-Bum Lee), 한국인격교육학회, 인격교육, Vol.8 No.3,151-169, , 2014
79. 찬양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예배사역자의 태도, 정은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80. 김진숙. 청소년 성폭력 경험자의 현상학적 연구, 김선민, 한인영, 김진숙,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0 No.-, 385-417, , 2008
82.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이지영, 권석만,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심리 학회지, Vol.18 No.3, 461-493, , 2006
83. 아내구타 가정과 아동의 적응: 연구 논점과 과제, 조미숙, 이윤로, 한국가족복지학, Vol.-No.3, 165-186, , 1999
84. 아내구타 가정과 아동의 적응: 연구 논점과 과제, 이윤로, 조미숙, 한국가 족복지학, Vol.-No.3, 165-186, , 1999
85. 가정폭력 상습성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오세연, 한국중독범죄학회,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 No.2, 82-105, , 2011
86. 가정폭력 상습성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오세연, 한국중독범죄학회, 한국중독범죄학 회보, Vol.1 No.2, 82-105, , 2011
87. 단순 및 복합 외상 유형에 따른 PTSD 의 증상 구 조, 안현의, 주혜선,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Vol.30 No.3, 869-8, , 2011
88. 우리나라 대학의 양성평등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김수경,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구, Vol.10, No.3, 349-381, , 2016
89. 가정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신민섭, 김해숙, 홍강의, 오경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23 No.3, 611-636, , 2004
90. 기독인 탈북자의 가정생활 :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김진순,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 2011
91. 아동의 분노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이성정,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92. 체계적 사고 (systemic thinking)와 신학의 목회적 실천, 권수영,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53 No.1, 225-253, , 2007
93. 「남녀 고교생의 이성교제폭력 실태와 예측요인」, 양혜원, 신혜섭,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 연구, Vol.17, No.1, 33-59, , 2006
94. 가정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에 미 치는 영향, 신민섭, 오경자, 김해숙, 홍강의,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23 No.3, 611-636, , 2004
95. 「조선여성」지에 나타난 북한여성의 성역할 연구., 김선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 2005
97. 사회적 트라우마와 치유: 캄보디아 사례를 중심으로, 전우택, 인간평화와 치유연구센터, , 2016
98. 사회적 트라우마와 치유: 캄보디아 사례를 중심으로, 전우택, 인간평화와 치유연구센터, , 2016
99. 상담과정에서 정서의 활성화 및 반복적 수용의 역할, 김영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서울대학교, , 2014
100. 소그룹 공동체 사역을 통한 치유목회. 석사학위논문, 장인석, 아세아연합 신학대학교, , 2010
101. 한국 가정폭력 실태와 사회계층 변인과의 관계 연구, 김재엽, 韓國社會福祉學會, 한국사회복지학, Vol.-No.35, 133-155, , 1998
102. 한국 가정폭력 실태와 사회계층 변인과의 관계 연구, 김재엽,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 학, Vol.-No.35, 133-155, , 1998
103.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정지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8
104. 구타당하는 아내들의 대응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허남순, 김유순, 장희숙, 한국가족복지학, Vol.-No.7, 231-254, , 2001
105. 구타당하는 아내들의 대응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김유순, 장희숙, 허남순, 한국가족복지학, Vol.-No.7, 231-254, , 2001
106. 몸이 앓는 시대, 문화인류학이 바라본 고통. 인문의학, 김태우, 휴머니스트, 138-153, , 2008
107. 몸이 앓는 시대, 문화인류학이 바라본 고통. 인문의학, 김태우, 휴머니스 트, 138-153, , 2008
108. 외상후 성장으로서 위르겐 몰트만의 신앙경험과 연대, 윤덕규, 한국목회상담학회, 목회와 상담, Vol.18 No.-, 122-149, , 2012
109. 성 평등 및 다양성을 위한 민주주의교육의 변환과 적용, 장원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구, Vol.16 No.3, 35-49, , 2009
110. 교회와 치유음악목회 : 찬양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연구, 안성섭, 협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111. 기독교 예배무용을 통한 선교방안의 모색. 석사학위논문, 배에스더, 전북대학교 대학원, , 2013
112. 외상관련 정서의 확장: 수치심, 죄책감, 분노를 중심으로, 박철옥, 안현의, 주혜선, 한국상담학회, 상담학 연구, Vol.13 No.2, 839-854, , 2012
113. 외상관련 정서의 확장: 수치심, 죄책감, 분노를 중심으로, 박철옥, 안현의, 주혜선, 한국상담학회, 상담학 연구, Vol.13 No.2, 839-854, , 2012
115. 질적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글쓰기의 전략과 방법의 탐구, 정상원, 김영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Vol.20 No.3, 5-42, , 2014
116. 관상기도에 의한 심리적 치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은정,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 2003
117. 임상현장의 작용적 신학 : 기독교상담의 방법론적 정체성, 권수영,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7 No.-, 100-123, , 2004
118. 임상현장의 작용적 신학 : 기독교상담의 방법론적 정체성, 권수영, 한국기 독교상담학회지, Vol.7 No.-, 100-123, , 2004
119. 가정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치료, 회복프로그램 개발 연구, 송성자, 김유순, 정윤경, 어주경, 최중진, 해결중심학회지, Vol.1 No.1, 35-51, , 2014
121. 기독교 청소년의 교육 생태체계와 영적발달의 상관성연구, 함영주, 개혁신학회, 개혁논총, Vol.28 No.-, 281-312, , 2013
122. 청소년자살생각에 관한 생태체계요인 탐색. 박사학위논문, 박명금, 충북대학교, , 2006
123. 화재 외상 피해자의 무용/동작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조정숙, 최태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1, 293-314, , 2016
124.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강신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 Vol-No.5, 81-143, , 1997
125. 가정폭력 피해 여성을 위한 치 료, 회복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유순, 어주경, 정윤경, 송성자, 최중진, 해결중심학회지, Vol.1 No.1, 35-51, , 2014
126.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지경진, 한국아동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 124, , 2008
127.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의 자기체계 손상과 심리적 특성, 장진이, 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 2010
129.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홍창영,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2005
130. 소설 속에 나타난 북한여성의 일상생활 연구. 석사학위논문, 최은주, 인하대학교, , 2007
131. 중학생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영아, 오주, 사회복지개발연구원, 사회 복지개발연구, Vol.12 No.1, 79-100, , 2006
13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홍창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神經精神醫學, Vol.45 No.1, 49-56, , 2006
133. 평화통일과 사회통합: 제2차 CBS-KPI 공동기획 특별포럼 자료집, 전우택, 한반도 평화연구원, , 2016
134. 평화통일과 사회통합: 제2차 CBS-KPI 공동기획 특별포럼 자료집, 전우택, 한반도 평화연구원, , 2016
13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 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김희경,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Vol.31 No.4, 1003-1022, , 2012
136. 유아의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관한 연구, 유혜정,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3
137. 찬양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예배사역자의 태도. 석사학위논문, 정은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2004
138. 북한(사회)의 폭력성이 새터민의 남한사히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정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9 No.4, 607-630, , 2005
139. 북한(사회)의 폭력성이 새터민의 남한사히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정훈, 한 국정책과학학회보, Vol.9 No.4, 607-630, , 2005
140.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기반한 인디언과 유대인 양육법 기초연구, 김일부,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Vol.6 No.2, 105-123, , 2009
141.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기반한 인디언과 유대인 양육법 기초연구, 김일부, 한국부모교육학회, 부 모교육연구, Vol.6 No.2, 105-123, , 2009
142.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자기역량의 변화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희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8
143. 기독인 탈북자의 가정생활 :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김진순, 백석대학교, , 2011
144. 아동의 분노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성정, 대구가톨릭대학교, , 2006
145.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김보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146. 장기간 반복된 외상 피해자들의 증후군: 성매매 여성을 대상으로, 이지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7
147. 또래괴롭힘 피해와 공격성간의 관계에서 적대적 귀인의 매개효과, 이경연, 황상황,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2, 283-315, , 2013
148. 복합 외상 후 정체성 변화와 통합 과정: 자기정의기억을 중심으로, 최현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2014
149. 복합외상 경험자의 상담을 통한 자기의 회복과정 : 근거이론 적용, 박철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2015
150. 생태학적 관점에서 학교폭력 유발요인이 학교폭력에 끼치는 영향, 김희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4
151.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홍정미,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2009
152. 또래괴롭힘 피해와 공격성간의 관계에서 적대적 귀인의 매 개효과, 이경연, 황상황,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2, 283-315, , 2013
153. 청소년 가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출충동 변인의 매개효과 연구, 박정선 , 황성현,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 연구, Vol.17 No.10, 1-21, , 2010
154.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경험 및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송혜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155.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 관계상실을 중심으로』, 임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2013
156. 가정폭력경험이 자녀의 정서적, 행동적, 사회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덕희, 청소년 연구, Vol.11 No.3, 65-91, , 2004
157. 상담과정에서 정서의 활성화 및 반복적 수용의 역할. 박사학위논문, 김영근, 서울대학교, , 2014
158.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석사학위논문, 정지선, 이화여자대학교, , 2008
159. 가정폭력경험이 자녀의 정서적, 행동적, 사회부적응에 미치는 영 향, 장덕희, 청소년 연구, Vol.11 No.3, 65-91, , 2004
160.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 정책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연 구, 신수문,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3
163. 가정폭력, 가족간살인, 그리고 판결문속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읽기, 박미랑, 한국공안행정학회,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52 No.-, 106-142, , 2013
166. 가정폭력, 가족간살인, 그리고 판결문속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읽 기, 박미랑, 한국공안행정학회,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52 No.-, 106-142, , 2013
167. 구약성서에 나타난 트라우마(Trauma)에 대한 사회학적, 심리학적인 연구, 박중수, 영남신학대학교, 신학과 목회, Vol.32 No.-, 225-250, , 2009
168. 북한 가정생활에서의 여성상 연구: 2000년대 북한영화 분석을 중심으로, 안지영,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통일인문학, Vol.5 No.-, 233-261, , 2011
169. 교회와 치유음악목회 : 찬양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안성섭, 협성대학교 대학원, , 2004
170. 배우자폭력, 아동학대 피해자 보호방안-미국의 Greenbood 정책을 중심으로, 김잔디, 一鑑法學, Vol.23 No.-, 185-212, , 2012
171. 배우자폭력, 아동학대 피해자 보호방안-미국의 Greenbood 정책을 중심으로, 김잔디, 一鑑法學, Vol.23 No.-, 185-212, , 2012
172. Shafranske. 영성지향심리치료(최영민, 조아라 외 역). 도서출판 하나의학사, Edward P., Len Sperry, (원저 2005 출판), , 2008
173. Shafranske. 영성지향심리치료(최영민, 조아라 외 역). 도서출판 하나의학사, Len Sperry, Edward P., (원저 2005 출판), , 2008
175. 북한이탈주민의 반복적 대인간 외상경험, 경험적 회피, 복합 PTSD 의 관계, 원지현,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4
176.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Max van Manen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유혜령, 가족과 상담, Vol.5 No.1, 1-20, , 2014
177.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논리와 방법: Max van Manen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유혜령, 가족과 상담, Vol.5 No.1, 1-20, , 2014
178. 아동, 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정서조절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고나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8
179.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의 자기체계 손상과 심리적 특성. 박사학위논문, 장진이, 이화여자대학교, , 2010
180. 북한이탈주민 민간협력 사업 프로그램 서비서에 관한 만족도(NKDS-Model)연구, 권수영, 최정현, 북한이탈주민 후원회, , 2009
181. 북한이탈주민 민간협력 사업 프로그램 서비서에 관한 만족도(NKDS-Model)연구, 최정현, 권수영, 북한이탈주민 후원회, , 2009
183.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창영, 연세대학교, , 2005
184. 탈북여성의 군사적 경험을 통해 본 북한의 군사화와 성별 위계에 관한 연구, 정추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2
185. 가정폭력 노출 실태분석을 통한 피해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향상 방안 연구, 김정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8 No.2, 1-23, , 2003
186. 가정폭력 노출 실태분석을 통한 피해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향상 방안 연구, 김정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8 No.2, 1-23, , 2003
187. 유아의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유혜정, 신라대학교, , 1993
189. 한국의 젠더폭력과 신자유주의 젠더질서: 담론과 실천의 재구성을 위한 시론, 이나영, 허민숙,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Vol.26 No.4, 58-90, , 2014
190. siegel, Marion F. Solomon, 외. 감정의 치유력(노경선, 김건종 역). 서울: 눈 출판그룹, Diana Fosha, Daniel J., (원저 2009 출판), , 2013
191.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애착손상 및 상대-특성 불안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미아, 심희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133-145, , 2015
192.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애착손상 및 상대-특성 불안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희정, 서미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133-145, , 2015
193. 아동의 학대경험과 자아 탄력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수준에 미 치는 영향, 한경은, 명지대학교,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5
195. 탈북남성과 남한 남성의 가정폭력 비교연구: 남한사회적응과 PTSD 를 중심으로, 남보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2
196. siegel, Marion F. Solomon, 외. 감정의 치유력(노 경선, 김건종 역). 서울: 눈 출판그룹, Daniel J., Diana Fosha, (원저 2009 출판), , 2013
197.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자기역량의 변화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정희진, 이화여자대학교, , 2008
198.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 관계상실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임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 2013
200. 가정폭력 경험이 청소년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폭력범을 중심으로, 이경은, 장덕희, 청소년학 연구, Vol.7 No. 1, 95-123, , 2000
204. 학대와 자아 탄력성이 복합 PTSD에 미치는 효과: 가정폭력 피해여 성을 중심으로, 양계령,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8
205. 가정폭력 경험이 청소년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 년 폭력범을 중심으로, 이경은, 장덕희, 청소년학 연구, Vol.7 No. 1, 95-123, , 2000
206. 복합외상경험과 경계선 성격특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의 중재효과 와 매개효과, 이아람,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207. 복합외상경험자의 상담을 통한 자기의 회복과정: 근거 이론 적용. 박사학위논문, 박철옥, 이화여자대학교, , 2015
208. 아내폭력가정 자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쉼터 거주 아동을 중심으로, 장희숙,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Vol.-No.55, 255-281, , 2003
210. 장기간 반복된 외상 피해자들의 증후군: 성매매 여성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이지민, 부산대학교, , 2007
211.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백경숙,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2, 181-198, , 2011
212.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 의 매개효과, 한수경,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3
213. 복합 외상 후 정체성 변화와 통합 과정: 자기정의기억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최현정, 서울대학교, , 2014
214. 생태학적 관점에서 학교폭력 유발요인이 학교폭력에 끼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희선, 이화여자대학교, , 2014
216.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김보라, 아주대학교, , 2010
218.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박사학위논문, 홍정미, 숙명여자대학교, , 2009
219.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주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220.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경험 및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송혜리, 성균관대학교, , 2010
221. 부모 간 갈등과 아동의 분노감, 적대감 및 신체적 공격성이 친구에 게 미치는 영향, 이삼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223. Jefrey Akaka 외.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권준수, 김재진, 남궁기 외 역). 학지사, A. Lieberman, V. Jeste, (원저 2013년 출판), , 2015
224. Jefrey Akaka 외.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권준수, 김재진, 남궁기 외 역). 학지사, V. Jeste, A. Lieberman, (원저 2013년 출판), , 2015
225. 북한이탈주민의 가정폭력 및 사회적 차별 경험이 심리 사회적 적응 에 미치는 영향, 박정순, 박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 2014
226.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 정책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수문, 고려대학교, , 2013
229. Creswell.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학지사, John W., (원저 2007 출판), , 2010
234. Creswell.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조흥식, 정선욱, 김 진숙, 권지성 역). 학지사, John W., (원저 2007 출판), , 2010
235. 북한이탈주민의 반복적 대인간 외상경험, 경험적 회피, 복합 PTSD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원지현, 광운대학교, , 2014
240. 폭력가정의 아이들 실태조사. “폭력가정의 아이들”. 제23회 특수상담사례연구발표회, 이창호, 권해수, 조은경, 한국청소년상담원, , 2002
241. 폭력가정의 아이들 실태조사. “폭력가정의 아이 들”. 제23회 특수상담사례연구발표회, 권해수, 조은경, 이창호, 한국청소년상담원, , 2002
242. 아동, 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정서조절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나래, 이화여자대학교, , 2008
244. 북한이탈주민 자녀들의 특성 연구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한 출 생 학생들을 중심으로, 유진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5
245. 아내학대와 아동학대의 중복발생을 둘러싼 여성주의비판모델과 여성복지적 과제의 검토, 정혜숙,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Vol.25 No.4, 109-139, , 2009
248. 탈북여성의 군사적 경험을 통해 본 북한의 군사화와 성별 위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정추영, 이화여자대학교, , 2002
249. kashani, Wesley D. Allan. 가정폭력이 아동 및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조미숙 역). 경기: 21세기사, Javad H., (원저 1998 출판), , 2005
251. kashani, Wesley D. Allan. 가정폭력이 아동 및 청소년에게 미치 는 영향(조미숙 역). 경기: 21세기사, Javad H., (원저 1998 출판), , 2005
252. 아동의 학대경험과 자아 탄력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경은, 명지대학교, , 2005
253. 탈북남성과 남한 남성의 가정폭력 비교연구: 남한사회적응과 PTSD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남보영, 연세대학교, , 2012
254.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적용의 문제: “체험연구”의 현상 학적 토대와 해석학적 확장, 김애령, 탈경계 인문학, Vol.2 No.1, 231-257, , 2009
255.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적용의 문제; “체험연구”의 현상 학적 토대와 해석학적 확장, 김애령, 탈경계 인문학, Vol.2 No.1, 231-257, , 2009
258. 학대와 자아 탄력성이 복합 PTSD에 미치는 효과: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양계령, 강원대학교, , 2008
259. 복합외상경험과 경계선 성격특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이아람, 덕성여자대학교, , 2010
260.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한수경, 가톨릭대학교, , 2013
261. 부모 간 갈등과 아동의 분노감, 적대감 및 신체적 공격성이 친구에게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삼사, 충북대학교, , 2011
26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주연, 이화여자대학교, , 2006
263.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단 미 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임하연, 한국미술치료학회,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 2015
264. 북한이탈주민의 가정폭력 및 사회적 차별 경험이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박정순, 서울기독대학교, , 2014
267. 남편의 폭력이 아내의 정신 병리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대처 양식, 사회적 지지를 중재변인으로, 박유숙,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1
268. 북한이탈주민 자녀들의 특성 연구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한 출생 학생들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유진아, 서강대학교, , 2015
270. 탈북여성의 이주경험을 통한 정체성 변화과정: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이성 관계를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이화진, Vo1.21 No.3, 173-211, , 2011
27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박사학위논문, 임하연,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 2015
275. 남편의 폭력이 아내의 정신 병리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를 중재변인으로. 석사학위논문, 박유숙, 부산대학교, , 2001
276. 남북한 사회통합을 저애하는 심층적 문제로서의 심리적 요인에 대 한 분석과 소통 통합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김경숙, 장로 회 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277. 화해와 치유의 생명 공동체인 하나님 나라의 온전성을 지향하는 지역교회 교육 연구:“공적 교육 공동체 모델”을 중심으로, 장신근, 기독교교육총론, Vol.42 No.-, 133-168, , 2015
278.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탈북여성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이화진,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2010
279. 화해와 치유의 생명 공동체인 하나님 나라의 온전성을 지향하는 지 역교회 교육 연구:“공적 교육 공동체 모델”을 중심으로, 장신근, 기독교교육총론, Vol.42 No.-, 133-168, , 2015
280. 국제협약상 난민자격 결정기준으로서 '젠더'박해와 그 근거에 관한 연구:북한 여성의 난민자격에 대한 성인지적 해석을 중심으로, 민지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03
281. 남북한 사회통합을 저애하는 심층적 문제로서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분석과 소통 통합을 위한 교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김경숙, 장로회 신학대학교, , 2009
282.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탈북여성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화진, 한양대학교, , 2010
283. 국제협약상 난민자격 결정기준으로서 '젠더'박해와 그 근거에 관한 연구:북한 여성의 난민자격에 대한 성인지적 해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민지원, 이화여자대학교, , 2003
285. 성폭력 가해자의 심리적 분열과 성적 공격성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 : 오토 컨버그(Otto Kernberg)와 제임스 폴링(James Poling)의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허선호, 계명대학교 대학원,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