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육군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 자살생각이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925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 자살생각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각 변인들이 어떠한 인과관계를 통해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군 병사 29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 자살생각과 군 생활 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결과를 보였다. 둘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자살생각과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사회적 지지원과 군 생활 적응, 사회적 지지 유형과 군 생활 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결과를 보였다. 넷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 자살생각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각 변인들이 어떠한 인과관계를 통해 병사들의 군...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 자살생각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각 변인들이 어떠한 인과관계를 통해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군 병사 29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 자살생각과 군 생활 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결과를 보였다. 둘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자살생각과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사회적 지지원과 군 생활 적응, 사회적 지지 유형과 군 생활 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결과를 보였다. 넷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ilitary adjustment of army soldiers, the impact of their suicidal ideation and social support for military adjustment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an effort to analyz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military adjustment of soldi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about military lif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litary 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that as well. Second, stress about military life and suicidal ideation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support. Third, the source of soci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ilitary adjustment, and the type of soci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that as well. Fourth, Social support produced mediation effects when stress about military life and suicide ideation affected military adjust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ilitary adjustment of army soldiers, the impact of their suicidal ideation and social support for military adjustment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an effort to analyze influential factor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ilitary adjustment of army soldiers, the impact of their suicidal ideation and social support for military adjustment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an effort to analyz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military adjustment of soldi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about military lif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litary adjustment, and suicidal ide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that as well. Second, stress about military life and suicidal ideation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social support. Third, the source of soci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ilitary adjustment, and the type of soci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that as well. Fourth, Social support produced mediation effects when stress about military life and suicide ideation affected military adjust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군 생활 스트레스
      • 2. 자살생각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군 생활 스트레스
      • 2. 자살생각
      • 3. 사회적 지지
      • 4. 군 생활 적응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측정도구
      • 3. 자료분석방법
      • Ⅳ. 연구결과
      •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 군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3. 군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 4. 사회적 지지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5. 군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익, "해외파병부대원의 스트레스 요인과 행동성향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04

      2 서혜석, "해군 신세대병사의 진로발달과 군생활 적응 간의 관계-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81-102, 2009

      3 성선진,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4 서혜석,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서연, "직업군인 상담자를 위한 대화기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99-104, 2012

      6 김승현, "중대급 제대 군 사고 발생 억제를 위한 보호관심병사 분류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서혜석, "자아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육군병사의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원 36 (36): 23-41, 2010

      8 김용분, "자살개념분석" 12 (12): 394-401, 2003

      9 서혜석,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신세대 병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7 (17): 49-76, 2010

      10 박강돌, "육군장병 자살요인 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입대전 청소년 자살요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3

      1 김진익, "해외파병부대원의 스트레스 요인과 행동성향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04

      2 서혜석, "해군 신세대병사의 진로발달과 군생활 적응 간의 관계-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81-102, 2009

      3 성선진,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4 서혜석,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5 김서연, "직업군인 상담자를 위한 대화기술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99-104, 2012

      6 김승현, "중대급 제대 군 사고 발생 억제를 위한 보호관심병사 분류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서혜석, "자아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육군병사의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원 36 (36): 23-41, 2010

      8 김용분, "자살개념분석" 12 (12): 394-401, 2003

      9 서혜석,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신세대 병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7 (17): 49-76, 2010

      10 박강돌, "육군장병 자살요인 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입대전 청소년 자살요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3

      11 엄경태, "육군 조직내 자살사고의 실태분석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12 서혜석, "육 해군병사의 진로발달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5-43, 2009

      13 신민섭, "우울증과 충동성이 청소년들의 자살 행위에 미치는 영향" 10 (10): 286-297, 1991

      14 이영선, "우울증과 자아정체감이 군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09

      15 황문식, "영내 병사들의 자원봉사활동과 복무 스트레스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2

      16 강재기,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육군병사의 군 생활 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2008

      17 서혜석, "신세대병사의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16 (16): 55-74, 2010

      18 이태우, "신세대 장병의 스트레스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19 최건용, "신세대 장병의 병영생활 적응을 위한 발전방안" 한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20 서혜석, "신세대 병사의 진로발달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6 (16): 33-49, 2008

      21 서경원, "신세대 병사의 자살사고 실태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7

      22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3 이주희,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4 손봉기, "성격적 강점이 군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5 이용일, "부모와의 대상관계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26 육군본부, "병영 스트레스 원인과 대책" 육군본부 1999

      27 정은주, "병사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대처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2

      28 서혜석, "병사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가족기능의 구조적 관계와 진로희망의 잠재평균 분석" 한국군사회복지학회 8 (8): 5-23, 2015

      29 김정은, "병사의 군생활 적응 위한 스트레스 대처모델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회 6 (6): 5-38, 2013

      30 박영주, "병사의 군대적응요인과 사회복지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31 이혜영, "병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군 생활 적응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32 김윤근, "병사들의 군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주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33 하정희,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대처방식, 완벽주의, 우울, 충동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149-1171, 2008

      34 정민화,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군 적응정책 방안" 동아대학교 2011

      35 정새봄, "군장병의 외상경험과 불안, 우울, 군적응"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3

      36 박현철,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37 현명선, "군인들의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 18 (18): 305-312, 2009

      38 이승용, "군인 자살의 실태와 예방대책 : 병영내 폭행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1

      39 김종임, "군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이 전․의경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 15 (15): 387-394, 2008

      40 김동연, "군생활 스트레스가 군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 절망감, 삶의 이유,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41 서혜석, "군사회복지 이론과 실천" 양서원 2008

      42 김효영, "군복무 스트레스에 따른 군생활 적응 :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43 안현의, "군복무 부적응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6

      44 차정철,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심리상담을 위한 권한부여 과정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5

      45 금병규, "군복무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가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46 김기현, "군복무 병사들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군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47 김용주, "군내 스트레스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진단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45-367, 2012

      48 장보선, "군 장병의 스트레스 실태와 사고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49 정희정, "군 장병의 스트레스 대처유형과 군 생활 적응" 경북대학교 2007

      50 최혜란,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9

      51 엄덕희,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2 이성열,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정서적 환경지각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53 이상록, "군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 명확성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3

      54 이홍철, "군 부적응 사병과 일반사병의 충돌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2009

      55 구희곤, "군 병사의 스포츠참여와 집단응집성, 군생활적응성, 조직효과성 간의 인과모형" 한국체육학회 50 (50): 295-307, 2011

      56 이남순, "군 병사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1

      57 정미경, "군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453-483, 2009

      58 이창훈, "군 내 자살사고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59 구성본, "가정환경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60 정영제, "가정·학교폭력 피해경험 유무에 따른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 대인관계능력, 자아탄력성의 영향 구조 분석"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3

      61 Stauffer. S. A., "The american soldier : Adjustment during army life" Princton Univ 1949

      62 Cohen, S.,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13 : 99-125, 1983

      63 권세기, "G세대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육군 제 2작전사령부 병사들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2011

      64 Reynolds, D., "Examining Spirityality among Woman with Breast Cancer" 20 (20): 118-121, 2006

      65 Bolton, C., "Developing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Suicidal Behaviour and Risk and in People with a Diagnosis of Schizophrenia: We know they kill themselves but do we understand why?" 27 (27): 511-536, 2007

      66 국방부, "2012 군 사고 통계분석" 국방부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1 2.11 2.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7 2.33 2.15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