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영성과 기관 내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Spirituality and Social Support at Work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30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show the relationships in term of spirituality (i.e., meaning and purpose in life, inner resources, interconnectedness, and transcendence) and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 or co-workers (i.e. informational, emotional, tangible, and evaluative support) with happiness perceiv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on the data from a sample of 292 teachers. The results offered (1) th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of three sets of variables which teachers' happiness links with their spirituality and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work place, and (2) two regression functions that 'the meaning and purpose in life' and 'emotional support' are relatively powerful variables to predict happiness of teachers.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sufficient supportive emotional resources available in their work as well as one's own spiritual resourc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investigation in terms of spirituality dimension in teacher education.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ims to show the relationships in term of spirituality (i.e., meaning and purpose in life, inner resources, interconnectedness, and transcendence) and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 or co-workers (i.e. informational, emotional, tangi...

      The present study aims to show the relationships in term of spirituality (i.e., meaning and purpose in life, inner resources, interconnectedness, and transcendence) and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 or co-workers (i.e. informational, emotional, tangible, and evaluative support) with happiness perceiv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on the data from a sample of 292 teachers. The results offered (1) th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of three sets of variables which teachers' happiness links with their spirituality and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work place, and (2) two regression functions that 'the meaning and purpose in life' and 'emotional support' are relatively powerful variables to predict happiness of teachers.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sufficient supportive emotional resources available in their work as well as one's own spiritual resourc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investigation in terms of spirituality dimension in teache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학의 관점에 기반을 두고 영·유아교사들이 지각하는 행복감과 개인적 자원으로서의 영성 및 조직적 자원으로서의 기관 내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92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행복과 영성 및 사회적 지지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행복감(목적변수)에 대한 영성과 사회적 지지(투입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영성과 사회적 지지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으며, 영성과 사회적 지지의 측정변수들 간에도 대부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성의 하위요인 중 ‘삶의 의미와 목적’과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가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해 영향력이 높은 예측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국내·외 연구와의 비교 및 이론적 논의점을 기술하였고, 영·유아교사의 행복을 증진하는 방안으로서 영성연구의 활성화 및 영성지향 교사교육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학의 관점에 기반을 두고 영·유아교사들이 지각하는 행복감과 개인적 자원으로서의 영성 및 조직적 자원으로서의 기관 내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하...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학의 관점에 기반을 두고 영·유아교사들이 지각하는 행복감과 개인적 자원으로서의 영성 및 조직적 자원으로서의 기관 내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92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행복과 영성 및 사회적 지지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행복감(목적변수)에 대한 영성과 사회적 지지(투입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영성과 사회적 지지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으며, 영성과 사회적 지지의 측정변수들 간에도 대부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성의 하위요인 중 ‘삶의 의미와 목적’과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가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해 영향력이 높은 예측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국내·외 연구와의 비교 및 이론적 논의점을 기술하였고, 영·유아교사의 행복을 증진하는 방안으로서 영성연구의 활성화 및 영성지향 교사교육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보훈, "행복의 정의와 발달단계별 결정요인" 6 : 103-134, 2010

      2 오복자, "한국어판 영성측정도구(S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연구*" 대한종양간호학회 1 (1): 168-179, 2001

      3 정혜욱,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31-53, 2011

      4 이은철, "청소년을 위한 영성 척도의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243-263, 2010

      5 전혜성, "진로개발형 중년기 여성의 주관적 행복의 영향요인 연구: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소 49 (49): 123-159, 2010

      6 한명희, "종교성,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학지사 25-65, 2007

      7 현채송, "정서조절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8 임진형,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이경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99-113, 2011

      10 이재영,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1 성보훈, "행복의 정의와 발달단계별 결정요인" 6 : 103-134, 2010

      2 오복자, "한국어판 영성측정도구(S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연구*" 대한종양간호학회 1 (1): 168-179, 2001

      3 정혜욱,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31-53, 2011

      4 이은철, "청소년을 위한 영성 척도의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243-263, 2010

      5 전혜성, "진로개발형 중년기 여성의 주관적 행복의 영향요인 연구: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소 49 (49): 123-159, 2010

      6 한명희, "종교성,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학지사 25-65, 2007

      7 현채송, "정서조절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8 임진형,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이경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99-113, 2011

      10 이재영,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11 조성자,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25-32, 2008

      12 민하영,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및 동료교사/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와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1 (31): 1-14, 2010

      13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14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강점계발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95-415, 2012

      15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16 곽희경,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17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15-235, 2009

      18 김용미, "유아교사들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4 : 111-127, 2003

      19 박은주,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20 안선희,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47-164, 2007

      21 김정신, "영성지향적 접근을 위한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79-102, 2005

      22 전정희, "영성지능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 20~50대 성인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0

      23 김미진,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1 (11): 29-55, 2012

      24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25 권기남, "사회적 관계망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8 : 1-11, 2009

      26 김현주,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 개발을 통한 청소년 안녕감 설명 변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27 유은경,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8 명준희,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9 김정주, "보육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전문성 인식과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145-164, 2010

      30 이주일, "미국거주 한인노인과 국내노인 간 행복감의 차이 및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비교"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69-203, 2006

      31 이영미, "몬테소리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사회적 지지,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32 박창홍, "남성유아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복지감 및 이직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2

      33 심은주, "교육학 분야 영성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37-158, 2012

      34 배수희, "교사의 행복감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5 허영주, "교사의 영적 성숙을 위한 교사교육과정의변화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261-290, 2010

      36 Myers, D. G., "Who is happy?" 6 : 10-19, 1995

      37 Antonucci, T. C.,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on different continents" 58 (58): 617-626, 2002

      38 Lent, R. W., "Toward a unifying theoretical and practice perspective on well-be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51 : 482-509, 2004

      39 Cervantes, J. M., "Toward a meaningful spirituality for people of color : lessons for the counseling practitioner" 11 (11): 69-81, 2005

      40 Deci, F. L., "The"what"and"why"of goal pursuit :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 227-268, 2000

      41 Myers, J. E., "The wheel of wellness counseling for wellness : A holistic model for treatment planning" 78 : 251-266, 2000

      42 Good, M., "The role of spirituality versus religiosity in adolescent psychological adjustment" 35 (35): 41-55, 2006

      43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56 : 218-226, 2001

      44 Meehan, M.,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to positive life events and subjective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21 : 49-55, 1993

      45 Greenglass, E. R.,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in the development of burnout in teachers : Examination of a model" 11 : 267-278, 1997

      46 Palmer, P., "The courage to teach" Jossey-Bass 1998

      47 Ryff, C. D., "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9 : 1-28, 1998

      48 Hills, P.,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33 (33): 1073-1082, 2002

      49 Steger, M. 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 Assessing the presence of and search for meaning in life" 53 : 80-93, 2006

      50 hooks, b., "Teaching to transgress: Education as the practice of freedom" Routledge 1994

      51 Palmer, P., "Teacher with heart and soul : reflections on spirituality in teacher education" 54 (54): 376-385, 2003

      52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 Three decades of progress" 125 : 276-302, 1999

      53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 301-357, 1985

      54 Burkhardt, M. A., "Spirituality: Living our connectedness" Delmar 2002

      55 Perez, J. E., "Spiritual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school-based sample of adolescents : A longitudunal examination of mediated and moderated effects" 44 : 380-386, 2009

      56 Baruch-Feldman, C.,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7 : 84-93, 2002

      57 Sarason, I. G, Sarason, B. R., "Social support : The search for theory" 1 : 133-147, 1990

      58 Jonathon, R., "Social comparison and burnout : The role of relative burnout and received social support. Anxiety, Stress" 19 (19): 259-278, 2006

      59 Tucker, L. M., "Quest for wholeness : Spirituality in teacher education" 23 (23): 1-10, 2010

      60 Monroe, S. M., "Prediction of psychological symptoms under high-risk psychosocial circumstances : Life events, social support, and symptom specificity" 92 : 338-350, 1983

      61 Seligman, M., "Positive psychology : An introduction" 55 : 5-14, 2000

      62 Cohen, S.,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13 : 119-125, 1983

      63 Fredrickson, B. L., "Positive emotions broaden the scope of attention and thought-action repertories" 19 : 313-332, 2005

      64 Schoonmaker, F., "Only those who see take off their shoes : Seeing the classroom as a spiritual space" 111 (111): 2713-2731, 2009

      65 Ryan, R. M.,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52 : 141-166, 2001

      66 Park, C. L.,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30 : 115-144, 1997

      67 Russell, D. W., "Job-related str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lassroom teachers" 72 (72): 269-274, 1987

      68 Veenhoven. R., "Is a happiness relative?" 24 : 1-34, 1991

      69 Tamara, S., "Help seeking preferences and burnout : Junior high school teachers in Japan" 49 : 438-448, 2001

      70 Scoffham, S., "Happiness matters : Towards a pedagogy of happiness and well-being" 22 (22): 535-548, 2011

      71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72 Robbins, M., "Happiness as stable extraversion :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29 : 89-94, 2010

      73 Argyle, M., "Happiness as a function of personality and social encounters, In Recent advances in social psychology: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Elsevier Science 89-203, 1989

      74 Noddings, N., "Happiness and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5 Heffe, G., "Exploring the counselor’s experience of working with perpetrators and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15 : 393-412, 2000

      76 Ryff, C. D., "Experience and well-being : Explorations on domains of life and how they matter" 20 : 193-206, 1997

      77 Tolliver, D. E., "Engaging spirituality in the transformative higher education classroom" 109 : 37-47, 2006

      78 Howden, J.,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Texas Woman's University, 1992

      79 Slattery, P.,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postmodern era" Routledge 2006

      80 Mayes, C., "Cultivating spiritual reflectivity in teachers" 28 (28): 5-22, 2001

      81 Dunkel-Schetter, C., "Correlates of social support receipt" 53 : 71-80, 1987

      82 Fried, J., "Civility and spirituality, In Transforming campus life: Reflections on spirituality and religious pluralism" Lang 2001

      83 Lauterbach, S. S., "Caring for self : Becoming a self reflective nurse" 10 (10): 57-68, 1996

      84 Rolph, J., "Can there be quality in teacher education without spirituality?" 16 (16): 49-55, 1991

      85 정윤경, "CTT(Courage To Teach) 교사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11 (11): 53-76, 2005

      86 Brady, M. J., "A case for including spirituality in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 oncology" 8 : 417-42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