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32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levels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hel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any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Subjects were 42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first, second, and third years a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measure the subjects’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their responses on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reveal firstly that multicultural attitude was above average and that multicultural attitude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year or schooling or to whether or not the students had taken a course dealing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was above average though third year students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higher scores than did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But having taken the course o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significance on multicultural efficacy.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and their effica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levels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hel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any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Subjects were 42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levels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hel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any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Subjects were 42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first, second, and third years a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measure the subjects’ multicultural attitude and efficacy, their responses on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reveal firstly that multicultural attitude was above average and that multicultural attitude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year or schooling or to whether or not the students had taken a course dealing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was above average though third year students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higher scores than did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But having taken the course o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significance on multicultural efficacy.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and their effic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다문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다문화에 대한 효능감은 어떠한지, 태도와 효능감은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지역의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423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태도와 효능감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년과 다문화 관련 수강 경험에 따른 다문화 태도와 효능감을 하위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다문화 태도와 효능감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태도는 교사교육,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 교육과정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효능감은 대체로 보통 정도의 수준이며, 특히 인간관계 증진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교육과정 안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예비 유아교사들의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다문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다문화에 대한 효능감은 어떠한지, 태도와 효능감은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다문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다문화에 대한 효능감은 어떠한지, 태도와 효능감은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지역의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423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태도와 효능감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년과 다문화 관련 수강 경험에 따른 다문화 태도와 효능감을 하위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다문화 태도와 효능감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분석은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태도는 교사교육,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 교육과정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효능감은 대체로 보통 정도의 수준이며, 특히 인간관계 증진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교육과정 안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예비 유아교사들의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홍제, "초등체육교육에서 다문화에 관한 예비교사 및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최지연,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 및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183-202, 2009

      4 김진철, "초등 예비 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39-60, 2010

      5 지성애,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 실태와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51-369, 2006

      6 정은선,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조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황준미,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연구 : 서울시 유아교육기관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김윤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하은영, "유아교육 실제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반영과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어려움 및 지원요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3-75, 2008

      10 이규림,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과 전문적 성향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35-352, 2011

      1 신홍제, "초등체육교육에서 다문화에 관한 예비교사 및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최지연,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 및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183-202, 2009

      4 김진철, "초등 예비 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39-60, 2010

      5 지성애,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 실태와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51-369, 2006

      6 정은선,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조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황준미,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연구 : 서울시 유아교육기관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김윤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하은영, "유아교육 실제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반영과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어려움 및 지원요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3-75, 2008

      10 이규림,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과 전문적 성향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35-352, 2011

      11 윤현숙,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415-430, 2008

      12 채영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165-190, 2008

      13 배정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구조모형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55-172, 2011

      14 전덕수,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5 최현정,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6 이윤정, "예비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신념과 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7 김낙흥,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의 지식적 기반과 교수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215-240, 2008

      18 정혜욱,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감수성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09-329, 2012

      19 모경환, "사회과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교육의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199-219, 2007

      20 박윤경,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2010

      21 이춘자,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8 (8): 19-47, 2008

      22 이명희,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3 장보윤, "다문화교육 맥락에서 외국인 집단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태도 분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4 모경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75-99, 2009

      25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다문화가족관련 통계자료(2009년 8월)"

      26 김현경,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관련 변인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7 김혜자,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 실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8 노은영,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육 실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9 정대현,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실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309-328, 2009

      30 정선희,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31 서현,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89-116, 2009

      32 "교육통계분석자료집"

      33 송용숙,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4 모경환,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63-182, 2007

      35 Katz, L. G., "The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39 (39): 3-10, 1984

      36 Dembo, M. H., "Teacher's Sense of Efficacy :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86 (86): 173-184, 1985

      37 Guskey, T. R., "Teacher Efficacy :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31 (31): 627-643, 1994

      38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97

      39 Ghaith, G.,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teacher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innovation" 13 (13): 451-458, 1997

      40 Weisman, E. M., "Preservice teacher attitudes toward diversity: Can one class make a difference?" 35 (35): 28-34, 2002

      41 Sleeter, C. E., "Preparing White teachers for diverse student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Ending questions in changing contexts" Routledge and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ors 559-582, 2008

      42 Villegas, A. M., "Prepar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 Rethinking the Curriculum" 53 (53): 20-32, 2002

      43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John Wiley & Sons, Inc 2001

      44 Wasonga, T. A., "Multicultural education knowledge base, attitudes and preparedness for diversity" 19 (19): 67-74, 2005

      45 Dilworth, P. P.,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Case Studies from Social Studies Classrooms" 32 (32): 153-186, 2004

      46 Sleeter, C. E.,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John Wiley and Sons 1999

      47 Cochran-Smith, M., "Color blindness and basket making are not the answers: Confronting dilemmas of race, culture, and language diversity in teacher education" 32 (32): 493-522, 1995

      48 Nieto, S., "Affirming diversity: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multicultral education" Longman 1992

      49 Nadelson, L. S., "A Shifting Paradigm: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Efficacy" Urban Education 2012

      50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 조사" 2012

      51 한국교육개발원, "2011 교육정책 분야별 통계 자료집"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