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러시아聯邦의 經濟改革‧開放에 관한 硏究

        김정호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establishment of socialistic government by the Bolshevik revolution in October 1917 the USSR has sharply closed up as an advanced industrial country by implementation of 5-year economic Planning with the powerful reformative economy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at the reason the USSR which was an agricultural country before and about 1917 could be able to develop as a great economic power was because of it had schemed increase in quantitative production with preference of heavy industrial development under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reformative economic system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bundant natural resources. Looking into the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of the USSR in the past, it had been placed stress on quantitative growth through the concentrated investment to heavy industry until former half of 1950s and started increase in investment to the consumers' goods too concurrently with the heavy industrial policy since latter half part of 1950s and they transferred to policy toward highly regard of quality and efficiency in order to provide long-term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70s. Notwithstanding such transfer of economic policy however, the growing growth speed of economy of the USSR was started to slowdown since early part of 1960 and the sluggishness and standstill were deepened in 1970s and distrust and crisis consciousness about the socialistic regime was ascended to the climax by recording about 2% in average per annum of the economic growth rate in 1980s. The USSR for the meantime has been promoted the economic reform in repeated manner to break through its economic depression, and the first economic reform was 'Krushichov' reform in 1957 by which was reform of managerial system to the economic operation system mainly on the regional economic committee from the provincial centered economic operation system as well as reforming the agricultural sector such as price in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s, granting to transac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into the currency and etc., and the second reform was by 「Breznev」 in 1965 and by 「Kosigin」 in which the reforms were mainly of revival to provincial centered economic operation system in the industrial sector, broad reduction of inedx approv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granting economic stimulation funds, and the third one was by 「Breznev」 in 1973 for the production union and industrial union under which the collective guidance was strengthened, and the fouth reform was by 「Breznev」 in 1979 for improvement of economic management and were revival of the central economic department and restoration of the party organizations which we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fth economic reform was by 「Gorbachov」 in 1985 and is summarized by the foreign opening policy(such as permission for establishment of joint venture Co.) which urges for transfer of the USSR economy to internationally specialized system and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of the economic operation organization and strengthening of the independent profit system. And, the sixth reform was price and wage liberalization by President Yeltsin of the Russian Federation. The establishment of joint venture companies through introduction of capital and technology from the western advanced countries is to expand producing foundation of domestic industry, rearing consumer goods industry, and is to enhance dictatorial sense by own country's enterprise and the recognition of efficiency. However, such economic reformative policies by Gorbachov were encountered by confrontation deepened between the economic reformative faction and the conservative faction, the inactive attitude by party bureaucats who worried about deprivation of power and official positions and resistance by the military authorities who afraid of setback of the defense power and by loss of Gorbachov from his presidency the economic stagnation has been keeping the outcome thereof is very much questionable. The factor of economic depression in the USSR is due to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reformative economic system which is inefficient and hardboiled, sluggishness in agricultural production, accumulation of financial deficit, remarkable existence of shortage in labor force, lack of consumers' goods and etc. which are confronted tasks to be solved urgently by the USSR economy. As reorganizing to the CIS after collapse of the USSR, President Yeltsin of the Riussian Federation who has held the hegemony expands introduction of capital and technology from the western advanced countries together with steady economic reform policy in order to overcome the confronted economic crisis of his own country. Especially, the normalization in diplomatic relation with Korea which has attained by the opening foreign policy and the expansion of economic cooperative foundation gives a very important meaning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under the confrontation situation between the North & South Koreas. Since therefore, the USSR, in order to overcome the confronted economic crisis, proceeds steady economic reforamtive policy and expands introduction of capitals and technologies of the advanced western countries. Especially,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diplomacy achieved by the USSR's foreign development policy and expansion in economic cooperation foundation berween Korea and the USSR assign very important meaning in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n the confronted situa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s. It is expected that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USSR by Korea in the economic structure which is preponderated to some advanced countries market such as the USA and Japan will provide much ecnomic benefits in the aspects of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diversification of the markets. The mutual complementary econom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USSR, the latter has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vast land whereas, the former has relatively abundant l

      • ЗВУКОВАЯ ИНТЕРФЕРЕНЦИЯ И УСВОЕНИЕ КОРЕЙСКИМИ СТУДЕНТАМИ РУССКИХ ТВЕРДЫХ-МЯГКИХ СОНОРНЫХ ПЛАВНЬІХ ФОНЕМ

        김, 알레시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러시아어 유음의 음성 교육과정을 조음적, 음향적, 인지적 측면에서 단계별로 연구하였다. 실제 러시아어 습득시 한국인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모국어 간섭현상과 그 원인들을 밝히기 위해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음운체계를 대조 분석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실험 음성학을 적용하였다. 1장에서는 러시아어와 한국어 자음체계를 대조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특히 두 언어의 유음을 비교할 때, 한국어 유음 ㄹ[l/r]의 음운적 특징이 어두에 위치한 러시아어 유음 [р], [л]의 학습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왜냐하면 한국어에서 유음 ㄹ[l/r]은 변별력을 지니지 않는 하나의 음소이기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들이 러시아어 [р]를 발음할 때 긴 [лл]로 발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언어의 조음적 특징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러시아어 유음을 구별하고 발음을 익히는데 어려움을 주게 되었다. 2장에서는 위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러시아어와 한국어 유음을 실험음성학 측면에서 대조 분석하였다. 그 분석 방법으로 유음의 음향적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 및 오실로그램(oscillogram)을 현대 컴퓨터 프로그램 (Praat 5.3.60)으로 연구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러시아어 유음 발음에서 나타나는 편차와 모국어 간섭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그 원인으로 러시아어 유음의 음향적 특징인 설전음의 혀끝 떨림과 조음적 특징인 설측음으로 규정하였다. 한국인 학습자들의 설측음 발음에서 나타나는 편차는 경 설측음 [л]과 모음[а]가 결합할 때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었으며, 연 설측음 발음 시 부분적 구개음화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발음상의 편차 원인은 첫 번째로 설측음의 조음적, 음운적 차이에 있으며, 두 번째로 한국인 학습자의 모국어 음운 체계에 반 연 설측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인해 러시아어 설측음 습득 시 발음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 채 발음상의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러시아어 유음 발음시 한국 학습자들의 인지적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성학적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실험은 러시아어 초기 음성 교육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연구 자료로는 러시아어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의 발음 교육을 위한 비노그라도바 Н.В. 와 박현지의 «Русский язык: произношение аудирование. Вводный курс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для корейцев»를 사용하였다. 실험 초반 러시아어를 처음 접하는 한국인 학습자들 대부분이 러시아어 유음을 인지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발음 교육과정을 거친 후 30명의 학생들 중 70%가 러시아어 유음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이 결과는 러시아어 학습 초기단계에서의 음성 교육과정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나타내며, 음성 교육의 내용과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으로 학습 초기단계에 음성 교육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것은 커리큘럼의 변화를 수반하여야 한다. 2) 한국인 학습자가 러시아어 유음을 발음할 때 나타나는 오류를 연구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음운 체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3) 발음, 문법, 문장 교육 시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연습문제를 이용하여 음성 교육뿐만 아니라 음절, 단어 및 문장의 발음을 통해 유음과 같은 음성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라는 전통적인 교육원칙이 유음 교육에 있어서는 적용되지 않는듯하다. 한국인 학습자의 유음 교육에 있어서 선생님의 개별적인 지도가 바람직하며, 먼저 설전음 [р], [р'] 을 습득하게 한 후 [л], [л']을 학습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러시아 온라인 게임 현황 및 한국 게임 진출 성공사례 연구 : <아키에이지>,<테라>,<검은 사막>을 중심으로

        이수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에서는 러시아 온라인 게임 현황 및 한국 게임 진출 성공사례를 MMORPG 장르인 <아키에이지>,<테라>,<검은 사막>을 중심으로 러시아의 온라인 게임현황 및 한국 게임 진출의 성공사례를 연구하였다. 과거 러시아는 게임의 산업적 가치를 인식하지 못했으나 현재는 동유럽에서 가장 큰 게임 시장 규모를 가진 국가로 성장하였다. 현지에서는 모바일 게임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이며, 2016년에는 러시아 체육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пор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Ministry of Sports of the Russian Federation, ReSF)가 e스포츠를 정식 스포츠 종목으로 채택하는 등 게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아키에이지, 테라, 검은 사막은 국산 온라인 게임으로 국내에 출시된 이후 2014-15년 사이 러시아로 진출하였다. 국내에서와는 달리 러시아에서는 크게 호평을 받았으며 높은 인기도와 매출을 자랑하였다. 이전에도 <리니지>와 <아이온>등의 국산 MMORPG 게임들이 러시아에서 흥행을 거둔 한편 MMORPG 장르는 현재까지도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게임 장르이다. 이러한 현상은 러시아 게임 유저들의 선호도, 러시아의 게임시장의 특성, 더 나아가서는 문화와도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온라인 게임 시장의 현황과 러시아 게이머들이 선호하는 게임의 인기 정도를 국내 또는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본고에서 선정한 세 가지 게임 <아키에이지>,<테라>,<검은 사막>을 실제로 플레이 해보고 게임을 즐기는 유저 입장에서 각 게임들의 차이점을 서술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산 게임의 러시아 진출이 활발한 가운데 현지 온라인 게임 관련 선행연구가 부족한 것을 조금이나마 보충하는 것에 의미가 있으며 향후 한국의 온라인 게임이 러시아로 진출하는 데 작은 참고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In this paper, I analyze the successful launching cases and their origins of several South Korean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s(MMORPG) recently released in Russia, while examining the Russian on-line game market and its characteristics. Though the games failed financially in Korea, titles such as ‘Archeage’, ‘Tera’, and ‘Black Desert’ Online were successful in Russia. In order to explain this phenomenon,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specificity of the online game market in Russia,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ssian users who take the lead in this market. This research can hopefully provide meaningful and useful information for the marketing and promotion of future Korean games in Russia.

      • Cooperation and Contradiction of Sino-Russian relations in the Russian Far East : Focusing on the Russian perspective

        최현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과 러시아의 관계는 협력과 경쟁이 항상 존재해왔다. 러시아는 최근 아시아로 눈을 돌리면서 신동방정책과 함께 극동지역에서의 정치적, 경제적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과의 관계는 발전될 거라 예상하였지만 실질적인 협력의 진전이 보이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이를 러시아 극동지역(지역차원)과 자루비노 항만 개발프로젝트(소지역 차원)로 구분하여 두 국가간 협력이 지체되는 원인을 러시아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우선 지역차원의 극동지역에서 러시아가 중국과 대치의 이유로는 1) 중국을 이용한 미국의 ‘아시아 회귀정책’(Pivot to Asia)에 대한 견제와 이에 따른 자국의 강대국 입지 재확보와 2)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중국 부상 우려가 있다. 소지역 차원의 자루비노 항만 개발에서 러시아는 1) 접경지역에서의 중국 우세 우려와 2) 이 지역개발에 대한 낮은 수준의 책임감에 있다. 극동지역에서 러시아는 국제시스템의 미국에 대한 견제와 균형, 지역적 수준에서의 중국에 대한 위험분산(hedging)의 두 가지 단계가 관찰되어진다. 지역적 및 소지역적 차원에서 러시아는 중국과의 관계에 있어 경제적인 측면보다는 자국의 안보를 더 중시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러시아는 다른 주요 동아시아 국가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등 투자의 다양화를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은 극동지역에서의 개발참여를 통해 동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고 추후에 북한과 러시아간 3국 경제협력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개발참여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Cooperation and Competition simultaneously existed in the Sino-Russian relations. As Russia turned its attention to Asia and prioritized the “Turn to the East” policy and tried to increase its political influence and economic presence in the Russian Far East (RFE), Sino-Russian economic relations were expected to develop. However, cooperation was not showing much progress. This paper analyzed the hindrance factors from the Russian perspective by dividing in to two approaches: RFE (Regional level) and Zarubino Port Development project (Sub-regional level). In the RFE, the main hindrance factors were 1) Balancing US pivot to Asia and resurging their status of super power, 2) Wary of China's emergence in the Asia Pacific region. In the Sino-Russian border areas, the hindrance factors were 1) Wary of China's domination in the Sino- Russian border areas, 2) Low commitment to develop the border areas. In the China-Russia relations, we can observe two levels: Balancing against US on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hedging to one another to its regional level. Both regional and sub-regional level approach show Russia is more concerned to security rather than economic cooperation when dealing with China in the RFE. Accordingly, Russia is trying to diversify its source of investment by inviting other main North East Asian (NEA) countries. For Korea, this is an opportunity to improve its influence in NEA and later attract North Korea(NK) to participate in the tr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and Russi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participating the RFE development, if conditions allow.

      • 한국 기업의 對 러시아 직접투자에 관한 연구

        전민근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 A study on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of Korean firms in Russia : Focusing on Orion and LG Electronics - Jun, Min-kun Department of Russian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Russia, as the world largest country, boasts its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power. Currently, based on the natural resources it has achieved its economic development, which have attracted world's attention. after Since Mr. Putin has come to the office, its economic figures show an increase in rate. Federal government balance and trade balance are recording surplus. Those lead to the increase in government credit and improvement of Russian people's social life. There is, still, a risk. Too much focus on energy field, such as oil and gas industry, financial inefficiency, and inefficient governmental red-tapes are such risks. Changes in political system with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on FDI have been changing. Policies on foreign trade include benefits for fostering the foreign investment and restrictions on controlling the investments. In 1990s, benefit such as 'Production Sharing Agreement' was popular, but in 2000s, restrictions regulates the investment. After 2000, foreign investment policies have enjoyed a incredible improvement over the economic conditions and reforms on systems and administrative reforms. Development in economy and improvement in foreign investment policies have a positive increase FDI on Russia. EU investment is increasing. Fuel, energy, and mining industry have received the steep increase in investment. Regionally, Central Federal District which includes Moscow has received 50% of the investment. EU, USA, China, and Japan are increasing the direct investment. If Russia joins WTO, those 4 countries will enlarge their investment on where they have the competitive advantage. Jindo has started its direct investment in 1989 on fur industry, whole and retail sales, the first Korean direct investment on Russia. In 2000, as the Russian economic development, a lot of companies have started its direct investment on Russia. However, it is general evaluation states the economic and mutual cooperation is hard to observe, not even to the potential level. Mid to long term strategy on Russian direct investment should be preceded to settle such inefficiency. Orion, the company which has overcome the Moratorium crisis, continues its investment. Specified in food industry, Orion is enjoying a great success with Choco-Pie. Following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ory and looking over the incentives of direct investment and its shape, Orion applied its strategy to grab the market share. They have built a local factory to cut transport, establishing a local company, a form of economic incentive. Choco-Pie, introduced by peddlers, boasts 60% of cookie market share, primarily by premium, standardization, and localization strategy. Orion has another factory near to Moscow, and they have a plan to set up a new factory near to Novosibirsk, which will be of great help in occupying Commonwealth of Independence States market. In mid 1990s, LG Electronics has considered a Russian branch investment, however due to the unstabl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LG has kept doing the direct export. After Putin has come to the office, LG built a factory in Russia. LG Electronics performed a localization strategy, and operated its sales retail store called LG Brand Shop. As of now, LG is proud to have the 4 of its product as the national brand of Russia. This study focuses on evaluating Korean Direct investment on Russia and its limitations, and analyzes the successful launch. This study distinguishes from the other studies as it focuses on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ory to evaluate the investing firms' incentives of investment and its shape.

      • 러시아 아방가르드 물성(faktura)의 건축적 해석에 관한 연구 : Vladimir Tatlin 이론과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오웅걸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건축을 구성하는 물리적 토대인 건축재료가 가지는 물질로서의 본질인 물성이 어떻게 건축화 되는지에 대한 탐구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건축에 있어 물성의 문제를 부각시킨다고 해서 단순히 생산 방식의 문제를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어떤 특수한 재료의 특성을 말하는 것도 아니며 그러한 보편직인 의미뿐 아니라 그것을 초월하여 물성의 의미를 건축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으로 해석하여 건축조형을 생성시키고 그 형식을 통해 환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된다. 근대초반이지만 가장 진보적이고 활발한 예술창작 활동을 펼쳤던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물성Faktura에 대한 인식은 근대이후 우리에게 익숙해져 있는 보편적으로 언급하는 물성Material의 개념의 차원을 벗어나고 있다. 러시아 아방가르들이 말하는 물성Faktura는 물성Material과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주로 회화나 조각에서 많은 실험들이 이루어 졌다. 러시아 아방가르드에서 말하는 물성Faktura은 물질로 구성된 실재로서의 재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넘어서 시에서 사용될 단어, 음악에서의 음향, 회화에서의 안료 등은 모두 'Faktura'이다. 그러나, 20세기 초 다양하게 전개되어왔던 근대건축에 대한 각종 실험들 중 성공적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근대건축의 한 분파였던 국제주의 스타일을 통해서 우리에게 인식된 물성은 물성의 개념을 본격적으로 다루어왔던 러시아 구성주의자들의 그것과는 많은 차이를 갖고 있다. 이는 근대이후 사회의 가치기준이 경제성과 기능성에 기초함으로서 물성이 갖고 있는 다양한 가능성중 생산성과 기술성에 집착함으로써 초창기 러시아구성주의자들이 제기했던 Faktura의 개념이 축소되어왔기 때문이다. 논문에서는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가 블라디미르 Tatlin의 이론과 작품을 주요분석 대상으로 한다. Tatlin의 작품을 살펴봄에 있어서 그의 건축작업보다는 회화나 조각 등 예술작품들을 주 대상으로 하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물성Faktura를 규명한다. 논문에서는 부동한 재료의 사용방식이나 특성이 건축형태와 어떤 인과율을 구축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 주된 관심사로 한정되어왔다.. 그러나, Tatlin의 작품에서 나타나듯이 러시아구성주의자들의 물성에 대한 생각은 재료의 물리적 한계를 뛰어 넘어서 재료자체가 사이트나 주변환경과 반응을 하고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실험을 주 작업으로 하고 있다. 오늘날 건축행위는 단지 물질의 물성이란 주제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며 그 외의 다른 개념들에 의한 복합적 양상을 띄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서는 러시아구성주의자의 작업중 Tatlin의 작업을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 제기한 물성의 개념을 다루려고 하며, 이에 기초한 건축해법을 현대사회의 특성 중 문화와 상업의 관계가 가장 잘 드러날 수 있는 대학로의 사이트를 대상으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실험 진행과정: 1. site분석-상업공간에 의해 잠식되어 가는 대학로 문화공간. 2. 재료의 물성에 의한 형태 만들기-확장되어 가는 상업공간을 묶는 개념. 3. 빛에 의한 문화공간과 상업공간의 개념표현. 4. 재료의 Faktura를 통해 빛의 표현실험. 5. site를 묶음으로 나타나는 공간적 형태-Faktura의 발현에 의한 건축의 형성. 6.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한 갤러리와 휴식공간의 계획 본 논문은 다양한 건축의 다양한 형태를 끌어내기 위한 실험이다. 결과적으로 물질이라는 척도를 통해 러시아 아방가르드에서 탄생된 물성Faktura.의 시각으로 현대건축을 재해석함으로써 러시아아방가르드가 추구했던 Faktura가 오늘날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는 현대건축에 새로운 해석의 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searching how, architectural material which consist the physical basis of architecture, materiality which is essence of matter becomes architecture. Therefore I am not going to comment simple production method and some particular material. The meaning of matter is interpreted as a motive power to make architecture possible and it form architecture modeling. Even though it was the former term of modernism, the most progressive and vigorous art creator Russian avant-garde recognized differently the meaning of Faktura compare to us who are familar with universal concept of material since modern times. Faktura, mentioned in Russian avant-garde, is not only matter which is made up material, but also a word in a poem, a sound in a music and a pigment in a painting. But the materiality recognized to us through International style, which was one of successful modern architecture experiments in early 20th century and still exist , has a lot of differences compare to Russian Avant-garde who pursued the concept of materiality in earnest. As a result of tenacity for productivity and technology among lots of materiality's possibilities, the concept of Russian constructivist's Faktura has been reduced. One of most famous Russian avant-garde artist Vladimir Tatlin‘s theory and works are main analyzed objects in this thesis. When his works are analyzed, artistic works, such as paintings and sculptures, are more frequent than architectural works. And Faktura is examined in his artistic works. In many Thesisses But the concepts of Russian constructivist's material, as showed in Tatlin's works, are more than physical matter. Material itself could respond to and converse with the site or environment. It is true that comtemporary architecture is not interpreted by only the materiality of a matter, and many other concepts have an effect on it. In this thesis, concepts of materiality are treated with Tarlin's works. He was one of Russian constructivist. And the site is located in Deahakro where the place has well visibl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commerce. Process: 1. Site analysis - cultural space encroached by commercial space 2. Shape forming by material's materiality-the concept, tying the expending commercial space. 3. Concept expression of cultural spade and commercial spade by light. 4. Expression experiment of light through material's Faktura 5. Spatial form to express site as a bundle - architecture forming by the revelation of Faktura 6. Gallery and rest space plan through repeated feedback of this procedure In the result, through a index called material, by reinterpreting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the view of Faktura which is created by Russian avant-garde, I present that Faktura, pursued by Russian avant-garde, can be a new framework to interpret contemporary architecture which expressed in various ways.

      • 러시아 자동차산업 클러스터의 잠재력과 성과 연구 :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과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김학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러시아 자동차산업 클러스터의 잠재력과 성과 연구: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과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러시아 자동차산업 클러스터의 지역별 잠재력과 자동차산업의 성과 사이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 지역은 자동차산업이 발달한 14개 지방이다. 즉, 중앙연방관구의 모스크바, 모스크바주, 칼루가주, 블라디미르주, 북서연방관구의 상트뻬떼르부르그, 레닌그라드주, 칼리닌그라드주, 노브고로드주, 프스코프주, 볼가연안연방관구의 타타르스탄공화국, 니제고로드주, 사마라주, 울리야놉스크주, 극동연방관구의 연해지방 등이다. 14개 지방 중에서는 승용차 생산량, 자동차분야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자동차산업이 해당 지역의 산업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등을 감안하여 6개 지역을 선정하여 주요 검토 대상 지역으로 하였다. 6개 지역은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하나는 러시아 로컬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집중되어 있는 볼가연안연방관구의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타타르스탄공화국, 사마라주, 니제고로드주)이고, 다른 그룹은 외국계 브랜드 승용차를 주로 생산하는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상트뻬떼르부르그, 칼루가주, 칼리닌그라드주)이다. 분석 기간은 2005년에서 2014년까지 약 10년으로 정하였다. 자동차산업 중에서는 승용차분야를 중심으로 하고 부품산업도 일부 포함하였다. 러시아 정부는 2010년을 전후하여 클러스터 정책을 산업정책의 주요 수단의 하나로 활용하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클러스터 정책 시행의 목적은 산업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기업, 연구소, 교육·서비스 기관의 협력과 경쟁력 강화를 통한 고성장과 경제 다각화에 두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지리적 요소와 연구·개발 요소를 포함한 클러스터 구성 요소들 간 연계성을 강조하는 형태로 클러스터를 정의하고 있다. 산업 클러스터 성과에 대한 평가는 이론적으로 명확하게 정해진 방법은 없지만 설정한 정책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 통계 분석과 정성 평가 방법을 병행하여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정부가 광공업정책, 자동차산업 정책, 지역경제정책, 클러스터 정책 등에서 제시한 정책 목표와 목표 달성을 위한 평가 지표를 감안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 분석틀에서의 기본적 검토 요소는 ‘분석 대상 지역(A)’, 자동차산업 지역의 ‘클러스터 요소별 잠재력(B)’, ‘자동차산업의 성과(C)’ 등이다. 주요 분석 방향은 (A)지역들에 있어서의 (B)와 (C) 간의 연관성을 비교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 지역(A)’은 주로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과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클러스터의 요소별 잠재력(B)’은 ‘지역별 클러스터 요소의 종합적 잠재력’과 ‘지역별 클러스터 요소별 잠재력’으로 구분하였다. 전자는 러시아의 전문기관들이 평가한 지역별 ‘투자환경’(‘신 프로젝트 추진 전략 주도청(ASI-The Agency for Strategic Initiatives)’의 Russian Regional Investment Climate Index)과 ‘투자잠재력’(Expert RA Rating Agency의 Investment potential of Russian regions) 자료를 활용하였다. 후자는 개별적인 클러스터 요소들 중 고정자산 투자, 연구·개발 및 인력 양성, 근로자 양성, 소득 및 월평균 임금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동차산업의 성과(C)’는 러시아연방 전체의 자동차산업의 성과와 지역별 자동차산업의 성과로 구분하였다. 주요 검토 대상은 러시아 정부가 산업다양화를 통한 지속적 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제시하는 분야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혁신, 인력 양성, 노동생산성 증진, 지역별 투자환경 개선, 투자유치 확대 등이 그러한 분야다. 그 구체적인 검토 대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클러스터 구성 요소들의 잠재력에 대한 비교 분석이다. 둘째, 자동차산업 클러스터와 관련 있는 14개 지방의 각종 경제적 성과에 대한 지역별 비교 분석이다. 셋째, 러시아연방 자동차산업 육성정책의 성과 달성 여부다. 넷째, 지역별 클러스터 구성 요소들의 잠재력 차이가 자동차산업의 성과와 어떤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다. ASI(The Agency for Strategic Initiatives)의 러시아 지역별 ‘투자환경’ 평가 순위는 Expert(Expert RA Rating Agency)가 2000년대 초반부터 평가해 온 지역별 ‘투자잠재력’ 평가 결과와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ASI의 지역별 ‘투자환경’ 평가는 행정적 규제, 사업 지원 기관의 서비스, 중·소 비즈니스 지원 등 행정 당국의 정책의지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주요 평가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에 비해 Expert 사는 노동, 소비, 생산, 금융, 제도, 혁신, 하부구조, 천연자원, 관광 등 각 지역이 지니고 있는 고유의 경제적 잠재력을 평가 대상으로 한다. 정책적 노력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요소가 ASI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Expert사의 ‘투자잠재력’을 ‘클러스터 요소의 잠재력’ 평가 기준으로 간주하여 자동차산업과의 연관성을 검토했다. ASI와 Expert사의 평가는 서로 다르게 평가된 지역이 많다.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에 대해 Expert사는 10위권 이내의 투자잠재력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했지만 ASI는 타타르스탄공화국은 1위로, 사마라주(45위)와 니제고로드주(46위)는 중하위 수준으로 평가했다.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의 상트뻬째르부르그에 대해 Expert사의 평가(3위)와 ASI의 평가(26위)는 많은 차이가 있다. ASI의 ‘투자환경’과 Expert사의 ‘투자잠재력’을 모두 ‘클러스터 잠재력’이라고 간주할 때 혼란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Expert사의 ‘투자잠재력’을 ‘클러스터 요소’로 활용하였다. 러시아 자동차산업 육성 프로그램에서 제시한 2020년까지의 목표 대비 2014년까지의 중간 결과로 보면 수출, 수입, 주민의 승용차 보유 면에서는 양적인 목표는 달성했다고 볼 수 있지만 질적 측면에서 보면 당초 의도했던 목표와는 거리가 멀다. 자동차 생산 목표는 예상 범위에서도 비관적 전망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지역별 클러스터 일부 요소와 자동차산업과의 연관성 검토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5~2012년 기간 동안 총 고정자산 증가율 면에서는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이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보다 더 높았지만 자동차산업분야에 대해 미친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의 작은 연구·개발비와 연구 종사자 수의 많은 감소는 자동차산업의 성과와 연관성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임금, 소득, 실업, 전문 근로자 양성 등의 요소는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과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으로 구분되는 뚜렷한 특징은 없었다. 임금, 소득, 실업, 근로자 양성 등의 지역 간 차이는 자동차산업 분야 성장과의 연관성은 비교적 약했다. 2005~2013년 기간 동안 제조업 생산액, 예산 납입액, 고정자산, 고용자 수, 수출액 등 대부분의 지표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편중도는 확대되었다. 러시아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 및 산업다양화 정책과 지역균형정책은 성과를 내지 못했고 지역 불균형은 더욱 심화되었다. 러시아정부가 로컬 자동차산업의 육성을 위해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의 기계 및 수송기계 부문의 생산 비중은 오히려 감소했다. ‘투자잠재력’ 순위와 지역총생산 증가 폭이 컸던 칼루가주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에서는 투자잠재력 순위와 지역총생산 간의 연관성을 찾기가 어려웠다. 2005~2013년 기간 동안 제조업의 생산구조에서 ‘수송수단 및 장비’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에서는 5~11%p 감소했지만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에서는 36~47%p 급증하였다.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이 연구·개발 분야에서 성과가 더 낮았음에도 자동차 생산과 외국인 투자 유치면에서 더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런 점에서 연구·개발 분야 성과와 자동차산업 분야 성과와의 연관성은 찾기가 어려웠다. 투자잠재력의 ‘혁신’ 요소 또한 자동차산업의 성과와 관련성이 크지 않았다. 2005∼2013년 기간 동안 러시아연방 전체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는 2.5배 증가한데 비해 자동차 생산부문에 대한 직접투자는 7배 늘어났다. 자동차산업분야의 외국인 투자 유치는 상대적으로 성공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2013년 직접투자 잔고기준으로 보면 자동차 생산 분야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는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인 상트뻬떼르부르그, 칼루가주 2개 지역에 전체 직접투자의 2/3가 집중되었고,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에는 전체 직접투자의 1/5에 그쳤다. 상트뻬떼르부르그를 제외하고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이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보다 투자잠재력이나 투자등급이 높게 평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 유치 실적에서 뒤처졌다.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의 칼루가주는 타타르스탄공화국, 사마라주, 니제고로드주보다 투자등급이 더 낮게 평가되었지만 투자 유치 실적은 더 많았다. 또한 사마라주와 타타르스탄공화국은 투자등급이 서로 비슷하고 지리적으로도 인접해 있는 니제고로드주보다 많은 투자를 유치했다. 그런 점에서 Expert사의 지역별 ‘투자잠재력’과 자동차산업 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 유치성과와는 서로 연관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투자잠재력의 세부 요소별로 볼 때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이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 요소는 ‘하부구조’였다. 2010년대 들어서의 외국인 투자는 대체로 완성차 조립공장의 소재지에 집중되고 있다. 그런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러시아 자동차산업분야 외국인 투자와 관련된 클러스터 요소는 ‘하부구조’와 완성차 공장의 ‘지리적 위치’라 할 수 있다. 기타, ‘투자잠재력’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칼루가주가 투자 유치 실적이 좋았다는 점에서 ‘투자잠재력의 개선 속도’ 또한 투자 유치와 일부 관계가 있다 할 수 있다. 2005~2014년 기간 동안 러시아 로컬 브랜드 승용차 생산은 약 91만대에서 약 42만대로 줄었다. 반면 외국계 브랜드는 약 16만대에서 약 128만대로 8배 증가하였다. 그에 따라 승용차 생산에서 볼가연안연방관구의 생산 비중은 2000년의 97.4%에서 2011년에는 42.6%로 줄었다. ‘투자잠재력’이 높게 평가되고 있는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에서 승용차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고, ‘투자잠재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에서 생산량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클러스터 잠재력과 승용차 생산과의 연관성은 찾기 어렵다. 2014년 초 기준으로 로컬 브랜드 승용차 생산의 현지화 수준은 70~95%, 외국계 브랜드 승용차는 15~50% 수준을 보였다. 현지화 수준과 직결되는 요소는 클러스터 잠재력보다는 ‘공업 어셈블리’와 같은 정책적 요소다. 2005~2014년에 걸친 약 10년간의 러시아의 지역별 각종 자동차산업 관련 통계의 추이로 보았을 때 지역별 클러스터 잠재력과 자동차산업 성과와 연관성을 지니는 요소는 많지 않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런 점에서 러시아의 지역별 투자환경 개선이나 클러스터의 정책에 대한 점검이 필요할 것이다. 광공업정책 중 핵심 산업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향후 자동차산업 정책 방향은 물론 지역별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선도개발구역’에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고 지역별로 가공산업을 육성해 나간다는 지역경제정책도 좀 더 세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연구·개발 성과가 자동차산업의 성과와 연관성이 낮았다는 것은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에 대한 외국계 자동차 메이커들의 투자 진출이 해당 지역의 산업과 관련된 연구·개발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이 기술혁신에 대한 많은 지출에도 불구하고 성과가 낮았다는 것은 연구·개발의 효율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러시아 정부입장에서 볼 때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에서는 외국계 자동차 메이커들이 연구·개발에 보다 많이 관심을 기울이게 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에 대해서는 연구·개발과 혁신 정책들이 실질적인 산업생산과 연계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동차산업 육성정책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자동차산업 지역’에서는 자동차 생산량이 줄어들고 제조업 비중이 감소하였지만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자동차 생산량이 늘어나고 제조업 비중도 증가하는 성과가 있었다. 따라서 지역균형정책에 입각하여 모든 지역에 제조업을 육성하기보다는 ‘신흥 자동차산업 지역’ 등 성공적인 지역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개발시키는 정책이 현재의 러시아 지역 경제 여건에서 보다 성공 가능성이 높은 정책일 수 있다. 최근 동향은 클러스터 정책과 병행하는 ‘공업-생산형 경제특구(Industrial and Production Special economic zones)’와 ‘기술-혁신 경제특구(Technology and Innovation Special economic zones)’ 등은 대규모 완성차 조립업체 유치와는 거리가 멀고, 중소 부품업체들은 일부 유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조립업체들은 러시아 자동차 내수 시장을 목표로 한 한정된 규모의 투자만을 진행하고 러시아 내에서 시장 수요 이상으로 생산하여 외국으로 수출할 계획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에 비해 부품업체들은 ‘공업 어셈블리(industrial assembly)’ 협약에 따른 현지 조립업체들의 부품현지화정책에 필요한 부품 공급과 러시아 현지 자원 이용 등의 목적으로 러시아에 진출할 가능성이 있다. 러시아 정부입장에서는 대규모 생산 공장 유치보다는 러시아의 높은 인건비를 상쇄할 수 있도록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 유치로 정책 방향을 맞출 필요가 있다. 러시아의 기술력과 융합시켜 새로운 기술력 있는 상품을 생산하여 수출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자동차 클러스터 정책과 생산 현지화 정책이 일정 수준 한계에 달하게 되면 러시아 정부는 정책을 변화시켜 갈 것이다. 러시아 시장에 관심이 있는 기업들은 러시아의 광공업 정책 방향과 자동차 산업의 현실 및 향후 추진 방향, 지역경제정책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협력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러시아 정부가 추진하는 혁신 정책과 기술 개발 정책 방향에 맞추어 공동 기술 개발을 하고 생산품을 제3국에 수출하는 방향으로 협력해 나가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A Study on potential and performance of the automotive industrial clusters in Russia -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raditional and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in Russia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luster potential of the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and the performances of the automotive industry in Russia. Geographically, the research focuses on the 14 regions across the country which have demonstrated successful development paths in the automotive sector. They are Moscow, Moscow region, Kaluga region, Vladimir region in the Central Federal District, St. Petersburg, Leningrad region, Kaliningrad region, Novgorod region, Pskov region in the North West Federal District, the Republic of Tatarstan, Nizhny Novgorod region, Samara region, Ulyanovsk region in the Privolzhsky Federal District and Primorsky Territory in the Far East Federal District. Among the 14 regions, 6 regions are picked as a reference group based on production volumes of passenger cars,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trends, contributions of the automotive industry to the regional output, etc. The 6 regions, in turn, a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which are the major targets of this study. The first sub-group, so called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includes the Republic of Tatarstan, Samara region as well as Nizhny Novgorod region, and the second sub-group, namely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is comprised of St. Petersburg, Kaluga region and Kaliningrad region.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ve primarily engaged in manufacturing foreign-brand vehicles. The timeline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approximately 10 years (2005-2014). Major interests of this study lie on passenger car sectors rather than the entire automotive industry in Russia, while some auto parts sectors are also mentioned in this paper. Having utilized as the principal of its various industrial policies since 2010, the Russian government has set the goals of the cluster policy on enhancing mutual cooperation among corporations, research institutions as well as education/service organizations, achieving higher economic growth, expediting economic diversification and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It has also defined the cluster as a form to solidify correlation among component factors like geographic location and R&D performance. Although the theoretical rationale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industrial clusters has not been clearly justified, it is generally accepted to utilize both statistical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measuring goal achievements of the cluster policy. He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tic tools reflecting the policy goals and the evaluation indexes which the Russian government has presented for developing manufacturing, automotive, regional economies as well as industrial clusters. Fundamental review factors in the analytic tools of this study are “the target regions (A)”, “the factors potential of the regional automotive industrial clusters (B)” and “the performances of the automotive industry in Russia (C).”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 and (C) in (A) region is a major direction of this study. The target regions (A) are comprised of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and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The factors potential of the regional industrial clusters (B) are broken down into “the comprehensive potential of the regional cluster factors” and “each factor potential of the regional clusters.” The former is based on “Russian Regional Investment Climate Index” by ASI (The Agency for Strategic Initiatives) as well as “Investment Potential of Russian Regions” by Expert Rating Agency. The latter utilizes a wide range of data including fixed assets investments, R&D activities and workforce developments, labor trainings, monthly incomes and wages across the cluster factors. The performances of the automotive industry in Russia (C) differentiate the activities of the regional automotive industries and the performances of the Russian automotive industry as a whole. Major interests of this study are placed on expediting innovation, developing human resources, enhancing labor productivity, improving regional business climates and promoting FDIs, all of which the Russian government has regarded as important factors for industry diversification an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particular, this study puts its analysis priorities on the following four issues; (1) comparing the factors potential of the regional clusters, (2) comparing the economic performances of the 14 automotive industrial clusters, (3) measuring the goal achievements of the Russian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for the automotive industry, (4) identifying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potential of the regional clusters and the performances of the automotive industry. However, it is noted that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ASI’s Russian Regional Investment Climate Index and Expert’s Investment Potential of Russian Regions. In the evaluation process, ASI focuses on variable factors including administrative regulations, local supporting services, SME business supports, all of which are heavily depended on the wills of policymakers. Unlike ASI, Expert pays attention to the sole economic potential of regional factors including labor, consumption, production, finance, institution, innovation, substructure, natural resources and tourism. Compared with ASI’s model, therefore, Expert’s evaluation tool is likely to be less affected by the policy changes. In order to better judge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potential of the regional clusters and the performances of the automotive industry, this study adopts Expert’s approaches. As noted above, ASI and Expert have presented different evaluations for certain regions. For instance, Expert viewed the investment potential of top 10 regions within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as high. But ASI rated the investment potential of the Republic of Tatarstan as No.1, while it assessed the investment potential of Samara region (45th) and Nizhny Novgorod (46th) as a low-mid level. Regarding the investment potential rankings of St. Petersburg within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a substantial gap between the ratings of Expert (3rd) and ASI (26th) is noted too. If we regard both the investment climate by ASI and the investment potential by Expert as the cluster potential, it could lead to confusion. Hence, Expert’s investment climate is utilized for the cluster factor of this study. Looking at the interim results till 2014 under the 2020 target presented in the Russian government’s automotive industry development program, it can be said that the country has met quantitative goals in terms of export and import volume, vehicle ownership per capita, etc. In terms of qualitative aspects, however, it can be concluded that Russia is still far from the initial expectations and the outlook for the country’s automotive production remains cloudy. Followings a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focuses on identifying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potential of the regional clusters and the performances of the automotive industry in Russia; From 2005 to 2012,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d shown better performances than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in terms of growth of total fixed assets, but the former had demonstrated less influences on the automotive industry than the latter. Small R&D expenditures as well as downsizing research staff in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seem to be related in the disappointing performances in the region. With regard to wage, income, unemployment and professional training, no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regions were found. This draws a conclusion that correlations between the growth of the automotive industry and the regional differences in wage, income, unemployment and workforce training were not strong. From 2005 to 2013, in terms of manufacturing output, fiscal revenue contribution, fixed assets, employment as well as export volume, it is noteworthy that economic concentration on certain regions had grown in Russia. It indicates that the Russian government’s policy to develop manufacturing sector and to expedite industrial diversification had not only been failed but intensified the regional imbalances. Moreover, the production shares of machinery and transport equipment in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d been declined over the same period despite the Russian government’s strenuous efforts to develop local automotive sector. Except for Kaluga region which had showed rapid growth in both the investment potential and the regional gross output, it is difficult to find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investment potential and the regional gross output for the rest of the target regions. From 2005 to 2013, the shares of transport equipment to total manufacturing output in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d declined by 5-11%p, while those in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d soared by 36-47%p. Having generated less positive R&D performances than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d demonstrated better results in terms of vehicle production and FDI promotion. Accordingly, major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R&D activities and the automotive sector performances have not been detec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the innovation factor of the investment potential and the performance of the automotive sector, either. While FDIs into the entire Russian Federation grew 2.5 times during 2005-2013, FDIs flowed into the country’s automotive production sector jumped 7 times. In this context, Russia’s strategy to promote FDIs in the automotive industry might be considered quite successful. Based on the outstanding value in 2013, however, it is revealed that FDIs into the Russian automotive production sector were excessively centered upon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In particular, St. Petersburg and Kaluga region accounted for two thirds of total FDIs, while the entir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took only one fifth of total FDIs flowed into the Russian automotive sector. Regardless of greater investment potential and higher investment grade,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ve reported worse FDI results than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For instance, Kaluga region in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s attracted more FDIs than the Republic of Tatarstan, Samara region or Nizhny Novgorod region, all of which have higher investment grades. FDIs into Samara region and the Republic of Tatarstan have also been larger than those into the neighboring and equal investment grade-holding Nizhny Novgorod region. This implies that Expert’s Investment Potential of Russian Regions has no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FDI promotion performances in the automotive sector. Looking at detailed evaluation factors for investment potential, it was the “substructure” that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ve earned greater points over their counterparts. From 2010, FDIs into the Russian automotive sector have been principally focused on the locations with assembly factory lines for finished products. In this regard,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main cluster factors affecting FDIs into the Russian automotive industry are the substructure and the geographic location of finished production facilities. Given the fact that rapid progress in investment potential has made Kaluga region to report excellent FDI promotion results, it could also be said that the speed of improvement in investment potential influences FDI promotion performances. Production volume of domestic brand vehicles has decreased from 910,000 in 2005 to 420,000 in 2014, while foreign brand vehicle production has grown 8 times from 160,000 to 1,280,000 over the same period. Accordingly, the contribution of Privolzhsky Federal District to the country’s passenger car production have plummeted from 97.4% in 2000 to 42.6% in 2011. In other words, despite higher investment potential,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ve substantially deteriorated in terms of production volume, whereas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with lower investment potential have increased their production volume. Hence, correlations between the cluster potential and the production volume were hardly found. As of early 2014, product localization of domestic brand passenger cars in Russia stood at 70-95%, while the localization level of foreign brands remained low at 15-50%. Primary factors directly affecting the product localization seems to be such policy directives as “the industrial assembly” rather than the cluster potential. The trends obtained in the regional automotive statistics across the country over the last 10 years (2005-2014) led to a conclusion that there are no major interrelations between the regional cluster potential and the automotive industry performances. In this regard, the Russian government is recommended to improve investment climates at regional economies further and to review the cluster policy carefully. As for the automotive industry, it also needs to examine the policy direction as well as to scrutinize the regional economic policies with FDI promotion into the Priority Development Territories. In this regard, followings deserve consideration. Low correlations between the results of R&D activities and the performances of the automotive industry indicate that increasing FDIs into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ve failed to generate higher R&D achievements in the region. Innovation performances in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ve been lackluster despite increasing expenditures. It also means that R&D activities in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remained inefficient. For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therefore, the Russian government needs to implement such policies that foreign automakers would have keen interests in the regional R&D sectors. For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R&D and innovation policies should be more geared to link with effective industrial production. Notwithstanding the Russian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automotive industry, the production volume and the manufacturing contribution in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have diminished. But those in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sectors have increased. Given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regional economies in Russia, the choice and concentration policy on the prospective regions such as the emerging automotive industrial regions is expected to bring better results than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strategy for manufacturing sectors across all regions. Being implemented with the cluster policy, the programs of the Industrial and Production Special Economic Zones and the Technology and Innovation Special Economic Zones seem to fail to attract major foreign OEM automakers. Instead, recent trends show that there have been increasing possibilities to invite small and medium auto parts manufacturers to the Russian market. Global OEM automakers are highly unlikely to increase their Russian investments beyond the domestic market capacities. On the contrary, foreign auto parts makers are expected to make inroads to the Russian market in order to utilize domestic resources as well as comply with the industrial assembly agreement which requires higher product localization. Hence, the Russian government’s investment promotion policies need to be redirected to focus on foreign high-tech SMEs rather than large production facilities. By doing so, the country would be able to address high labor cost issues. Effective policies are also encouraged to manufacture leading-edge products for overseas market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Russian technologies and foreign investments. When the automotive cluster policy and the product localization strategy reach their limits, the Russian government is likely to change its industrial policy direction. Corporations interested in the Russian market should develop cooperative measures based on comprehensive reviews for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s, the automotive sector’s present and future paths, the regional economies’ policy courses, etc. It is also advised that corporations should join the Russian government’s initiative to expedite innovation and to develop advanced technologies. It will help them hav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sell more products to overseas markets.

      •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발전유형 비교연구

        후홍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주제는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발전유형 비교연구입니다. 이 같은 주제를 선택하게 된 배경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체제 경쟁 속에서 페배한 중국과 러시아가 자본주의를 도입했으나 상이한 실행절차 및 방법의 적용 결과로 인해 그 성과의 차이가 현격함을 발견한데 있습니다. 이는 양국 간의 정치, 경제, 사회적 환경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한 결과로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화적 접근방법을 인용해서 왜 동일한 자유주의적 자본주의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러시아의 실행방법 및 성과의 차이가 발생했는지를 규명하는데 일차적 목적을 두었습니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얻고자 하는 유용성은 후진사회주의 체제가 서구자본주의 모델을 적용할 때 유이해야 될 점은 제시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면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 속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받은 타격의 강도는 어떠했는지? 왜 이 같은 타격을 받았으며, 중국과 러시아가 받은 타격의 차이점은 어디에 근거하고 있는지? 본고에서 제시된 자료에 의하면 중국보다 러시아의 타격이 훨씬 높았습니다. 이 같은 논증이 세계화 수용상의 유의할 점이 될 것입니다. 러시아는 뿌찐대통령 집권 후에 고속성장을 결과하였지만 단기간에 과도한 외국자금 도입으로 인하여 세계적 범주의 경제위기가 발생했을 때 타격이 클 수밖에 없었습니다. 반면에 중국은 엄청난 규모의 외환보유고 약 2조 달러를 보유함으로써 유동성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으며, 내수증진이 가능한 조건 속에서 잘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더욱이 중국은 해외 장기투자를 유치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자국의 자본을 경제발전에 효과적으로 동원함에 따라 러시아와는 대조적 결과를 낳았습니다. 중국은 20 여 년 간의 개혁기간 동안 외국인의 직접투자 유치에 의한 기업경쟁력을 강화한 결과로 인해 국민 1인당 구매력을 4배로 끌어올리는데 성공한 데 비해 러시아는 단기성 투기자본의 비중 과다로 인한 기업경쟁력 약화로 1인당 구매력이 3분의 1로 축소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중국은 이념적 4대원칙에 의한 사회주의 노선, 프롤레타리아 독재, 공산당의 영도, 맑스 ․ 레닌주의와 모택동 사상을 견지함으로서 개혁 기간 동안 정치 안정을 도모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부강한 중국건설을 우선시한 후, 사회주의를 건설한다는‘실용주의’노선에 의거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였으며, 사기업의 자유를 보장하면서, 상대적으로 중국정부는 통화 규제를 통하여 자본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일정 선까지 부패를 막을 수 있는 통제력을 유지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러시아는 자유민주주의 원칙과 거의 완전한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함으로서 기업활동의 자유보장 및 다당제 채택을 통한 자유의 확대로 시민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결제개발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았습니다. 따라서 정부의 통제력 약화로 인한 체계적 경제관리를 할 수 없었으며, 더욱이 관료주의적 병폐로 인한 시장기능의 외곡이 자율적이며, 효과적 발전을 저해 시켰습니다. 결과적으로 중국은 성공적이며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루어내 수백만 인민을 가난과 기아에서 구해낼 수 있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러시아는 개혁기간 동안 국민의 빈곤 율이 50%까지 치솟는 것을 지켜보아야 했습니다. 중국은 직업창출과 기업창업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 투자 기반을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국은 인플레이션을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러시아에서는 제조업에 대한 투자보다는 상대적으로 천연 자원과 물물교환이 중심이 되는 경제체제로 전환한 점이 두드러진 차이입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러시아에서 일고 있는 자주노선의 필요성 제기이기도 합니다. 특히 과거중국과 러시아가 같은 사회주의나라이며, 경제적인 면에서 두 나라 공히 고속성장을 지속 및 유지할 수 있었지만 경제개혁 및 경제위기 대처방법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보인 결과는 대조적일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역사적 교훈으로 삼아야할 것입니다.

      • 2000년대 러시아공산당의 세력유지 요인 분석

        최성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소련의 몰락 직후인 1990년대의 러시아는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웠다. 옐친대통령은 강력한 지배체제를 만드는데 실패하였고, 러시아 의회인 국가두마에도 여당 세력 구축에 실패하였다. 여당이 부재한 국가두마에는 다수의 군소 정당들이 의석을 확보하였고, 이중 러시아공산당은 가장 많은 의석수를 확보하며 국가두마를 주도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푸틴이 옐친의 후임으로 등장하며 러시아의 정치상황은 급변하였다. 푸틴은 압도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강력한 지배 체제를 구축하였고, 국가두마에서도 여당인 통합러시아당이 푸틴의 인기를 바탕으로 다수의 의석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 1990년대부터 활동하던 구정당들은 정당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고, 대부분 소멸되거나, 국가두마 의원이 없는 원외정당으로 몰락하였다. 그러나 유독 러시아공산당은 국가두마 내에서 상당수 의석을 확보하며 원내 제1야당으로 활동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대 러시아공산당의 세력 유지 요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공산당의 세력 유지 요인으로 러시아의 경제적인 요인과 정치문화적인 요인으로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 대한 보완차원에서 다른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정당의 외부적 요인으로 러시아의 제도적인 측면에서 선거제도의 변화와 정당법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높은 비례대표 하한선 기준과 2007년부터 더욱 강화된 하한선 및 비례대표 전면 실시, 정당 등록 기준 강화와 같은 선거제도 및 정당법의 변화는 2003년, 2007년 선거에서 러시아공산당이 국가두마 의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2011년 선거에서 의석수가 크게 증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선거제도 및 정당법의 변화는 러시아공산당의 세력 유지에 영향을 끼친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정당들에게도 도움이 되었다. 이에 러시아공산당의 세력 유지에 대한 두 번째 요인으로 정당의 내부적인 측면에서 정당의 개혁과 변화에 대해 강령 및 정책 변화를 통해 분석하였다. 러시아공산당은 생존을 위해 공산주의 이데올로기 약화와 우파와의 연합을 추구하기도 하였지만, 무엇보다도 러시아공산당은 민족주의적 성격을 가미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정당 강령에서 애국 세력 구축을 목표로 설정하며 민족을 강조하였고, 국가주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러시아인들의 성향을 고려하여 당의 정책적 노선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러시아공산당의 변화와 정책 선택은 러시아공산당이 1990년대부터 활동하던 다른 정당들과는 다르게 선거에서 대중들에게 지지를 받으며 국가두마에서 꾸준히 원내정당으로 활동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Since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in 1991, Russia was swept by tremendous political turmoil throughout the 1990s. Yeltsin failed to establish a strong government; organize a powerful ruling party in the State Duma, the federal assembly of Russia was of no avail. The State Duma devoid of a strong majority party was occupied by a number of small minor parties; consequently, the Russian Communist Party with the largest number of seats became the majority to lead the State Duma. However by 2000s, the political climate of Russia shifted with the emergence of a new political leader Putin as a successor of Yeltsin. Encouraged by people's overwhelming support, Putin established a strong governing system, and his popularity led the ruling party, the United Russian Party to win majority of the seats at the State Duma. Amidst these changes, those parties that had been actively involved in the political field since 1990s started to suffer in undertaking their political activities and thus gradually dissolved from the political arena or lost its place in the parliamentary circle. The Russian Communist Party, on the other hand, becam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political forum as the leading opposition party securing a considerable number of seats in the State Duma. Under such context,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are the factors that served to keep the Russian Communist Party to prevail to the 2000s?". The previous studies attributed to the economy and the political culture of Russia. To complement those studies, this study aims to find and analyze other factors.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s changes in the electoral system and the law on political parties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in terms of its system. Changes such as the increased party threshold for eligibility to win seats, more strictly applied threshold after 2007, and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proportional electoral system which are the key factors that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the Communist Party to win a stable number of seats in the State Duma in the two elections of 2003 and 2007 and help them attain more seats in the 2011 election. These changes which contributed greatly to the Russian Communist Party to sustain its authoritative power also helped those new opposition parties in the 2000s. Under this backdrop, this paper examines, as the second factor for the Russian Party to retain power within the internal aspect of the party with analysis on party platform and the policy changes. In order to thrive, the Russian Communist Party made a number of efforts, at times weakening its Communist ideology or setting up a coalition with the right wing. Most of their efforts however, had been focused on adding nationalistic hue to the party's character. The party’s platform stresses nationalism with goal to establish a patriotic power circle; the party took into consideration the traits and the preferences of the Russians who demonstrate high tendency toward nationalism in determining the party lines. The aforementioned changes of the Russian Communist Party and their political decisions are the key factors that made it possible, unlike other political parties of the 1990s to stay as one of the inner political parties of the State Duma winning continuous support from the people in the elections.

      • 러시아연방의 행정쟁송 제도에 관한 연구

        장휘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paper (study) introduces the current status of the Russian Federation's administrative lawsuit system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ussian Federation's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s, precedents, and theories. In order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more easily,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administrative law of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evolut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system are introduced together. Currently, the administrative lawsuit system of the Russian Federation consists of administrative trial (adjudication)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was newly established. Administrative lawsuit system in the Russian Federation follows historical trends: 1) Administrative lawsuit system at the time of system transition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2) Administrative lawsuit system after the judicial reform promoted by President Vladimir Putin while he came to power, and 3) Administrative lawsuit system after the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Code It turned into a dispute system. The Russian Federation treats administrative litigation as a special case of civil and commercial litigation, while classifying the administrative trial (adjudication) system as a separate remedy under administrative law. With the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ode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2015, administrative litigation was separated from civil and commercial litigation as an independent litigation system. Since the structure of legal relations under the administrative law of the Russian Federat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Korea, there are many parts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administrative law of Korea. Furthermore, since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rial laws of all countries are based on the administrative law,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of the Russian Federation, which is ultimately the subject of this paper, also has many parts that can be compared with Korea's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rial law.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rial law of the Russian Federation,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administrative law of the Russian Federation. Administrative adjudication in the Russian Federation refers to relief in administrative law by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established by the Act on Administrative Agency or Individual Administrative System, and falls under the area of police administration called “settlement of administrative disputes” in the Administrative Act. A feature of administrative adjudication in the Russian Federation is that the judicial body capable of revoking or invalidating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is the administrative adjudication committe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the Individual Administrative System or the higher authority of the relevant administrative institution. This means that the administrative agency cannot review it on its own.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a full hearing, and is based on the parties' lawsuit. In classifying administrative disputes, the economic value of the dispute and the existence of illegality in administrative actions are considered. In the former case, administrative disputes are classified into general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administrative commercial litigation based on the existence of economic value. According to the law, administrative acts are classified as administrative violation lawsuits based on the existence of illegality. Therefore, there are two types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the Russian Federation: 1) general administrative litigation involving disputes between administrative entities regarding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administrative law, 2) administrative commercial litigation involving disputes between administrative entities regarding economic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administrative law as the litigation body and 3) consists of administrative violation lawsuits with administrative punishments for illegal administrative acts of administrative entities as the subject of litigation. 본 연구는 러시아연방의 행정쟁송 제도의 현황을 러시아연방의 행정쟁송에 관한 법령, 판례 그리고 학설을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으로 소개하면서 러시아연방의 행정쟁송을 독자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러시아연방의 행정법에 관한 총칙 사항과 행정쟁송 제도의 변천사를 함께 소개하고 있다. 현재 러시아연방의 행정쟁송 제도는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정심판 제도의 경우 소련의 행정심판 제도에 기초하여 발전하였고, 행정소송 제도의 경우 소련 때의 행정소송 제도와는 완전 다른 모습으로 새롭게 정립되었다. 러시아연방의 행정쟁송 제도는 역사적 흐름에 따라 크게 ㉠ 소련 붕괴 후 체제 전환 당시의 행정쟁송 제도, ㉡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추진한 사법개혁 후의 행정쟁송 제도 그리고 ㉢ 행정소송법전이 제정 및 시행된 후의 행정쟁송 제도로 변천하였다. 러시아연방은 행정소송을 민사소송과 상사소송의 특별소송으로 취급하면서 행정심판 제도는 별도로 행정법상 구제 수단으로 분류하고 있었다. 2015년 행정소송법전이 제정 및 시행되면서 행정소송은 민사소송과 상사소송으로부터 독자적인 소송체계로 분리되었고, 궁극적으로 러시아연방은 헌법이 열거하고 있는 각각의 소송의 유형(헌법소송, 민사소송, 형사소송, 상사소송 및 행정소송)을 독자적인 소송체계로 정립하기에 이르렀다. 러시아연방의 행정법상 법률관계의 구조는 우리나라의 행정법상 법률관계의 구조와 완전 다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행정법과 비교될 만한 부분이 매우 많다. 더 나아가 모든 나라의 행정쟁송법은 행정법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본 논문이 주제로 하는 러시아연방의 행정쟁송법 또한 우리나라의 행정쟁송법과 비교될 만한 부분이 많다. 따라서 러시아연방의 행정쟁송법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러시아연방 행정법의 총칙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러시아연방의 행정심판은 행정기관 또는 개별행정체계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설치된 행정심판위원회에 의한 행정법상 구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행정법상 ‘행정분쟁의 해결’이라는 경찰행정 영역에 해당된다. 러시아연방의 행정심판의 특징이라 함은 행정처분을 취소 또는 무효시킬 수 있는 심판기관에는 해당 행정기관의 상급기관 또는 개별행정체계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설치된 행정심판위원회이며, 행정기관이 행한 행정처분에 대하여 해당 행정기관이 스스로 재검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행정소송의 경우 완전심리소송이며, 당사자소송에 기초하고 있다. 그리고 행정분쟁을 구분하는 데에 있어서 해당 분쟁에 경제적 가치와 행정행위의 위법성의 존재 여부를 고려한다. 전자의 경우 행정분쟁의 경제적 가치의 존재를 기준으로 일반행정소송과 행정상사소송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후자의 경우 행정주체의 위법한 행정행위에 대하여 법적인 제재를 부과하는 행정처벌에 관한 법률인 행정위반법전상 행정행위의 위법성의 존재를 기준으로 행정위반소송으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연방의 행정소송의 종류는 ㉠ 행정법상 권리·의무에 관한 행정주체 간의 분쟁을 소송물로 하는 일반행정소송, ㉡ 행정법상 경제적인 권리·의무에 관한 행정주체 간의 분쟁을 소송물로 하는 행정상사소송 그리고 ㉢ 행정주체의 위법한 행정행위에 관한 행정처벌을 소송물로 하는 행정위반소송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