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계(machine)의 관점에서의 교회건축 계획안 : 성막(tabernacle) 개념을 중심으로

        김종천 京畿大學校 建築專門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교회건축을 연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들에 중점을 둔다. 첫째로, 건축을 포함한 모든 문화는 시대가 지남에 따라 변하기도 하고, 작가의 경향에 따라 변형되기도 하며, 심지어 ‘언어의 미끄러짐’이나 본질의 왜곡으로 인해 존재가 ‘납작하게’ 되기도 한다. 이런 시각에서 이 논문의 목적은, 특정 세기의 작품이나 시대 경향, 또는 특정 작가의 작품이 아니라, 교회(성전)건축의 원점을 형성한 성막(Tabernacle)을 대상으로, 그 원리 혹은 본질을 탐구하여 새로운 시각에서의 교회 건축작업을 실험하는 것이다. 둘째로, 기계(Machine)의 관점에서 교회건축을 접근하는 시도이다. 여기서 ‘기계’ 란 ‘무엇이 되고자 하는 갈망의 조직’을 말하는데, 이는 비트루비우스(Vitruvius) 가 언급한 건축을 이루는 세 구성요소 중 하나인 ‘기계’, 그리고 하이데거가 철학적으로 음미한 ‘기술’의 의미와 유사한 맥락을 이룬다. 이런 의미에서의 기계(Machine)의 관점에서 ‘성막(Tabernacle)’의 구성 요소들과 그 속에 담겨 있는 상징체계를 분석하여, 그것을 구체적인 작업을 통해 ‘재구성’한다. 셋째로, 기계의 관점에서 성막(Tabernacle)을 해석하는 데 특히 다음과 같은 세 요소에 중점을 둔다. a) 이미지네이션(Imagination): 성막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여 표출한다. b) 테크닉(Techinique): ‘이미지네이션’이 주는 상징적 의미와 그 속에 담겨있는 구축적(구조적) 요소를 표현한다. c) 이펙트(Effect): 이미지네이션으로서의 상징성과 그것의 구축적 테크닉간의 관계에서 오는 효과를 비교하고 분석 한다. In writing this thesis, and proposing an architecture for an ecclesiastical program, I have used the following guidelines: One. With the passing of time, the contents of what was once held by architecture change. The change is caused at times by an architect's will, or even by a distortion of identities caused by the "skidding" power of language.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ity of the first Tabernacle before it underwent the trial of architecture's machination in collusion with the "skidding of language". Two. The premise of this thesis is grounded on a definition of 'Machine' as something other than "the mechanical", but as something "machinic". The work undertaken here is an attempt to formulate and interpret the various elements that comprise the machinic entity called the Tabernacle. Three. In reinterpreting the function of the Tabernacle as a machinic thing, the following three rules were applied: 1. Imagination: Analysis of symbolic meaning, and its transformation 2. Technique: Invention of appropriate structure to hold the idea 3. Effect: Persuasive power of the invention tested

      • 機械로 構築된 建築으로서의 집과 정원 設計

        신창호 京畿大學校 建築專門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71

        『해석을 요하는 것은 사물이 아니라 그 해석이다』 -미쉘 드몽떼뉴- 『권위가 존경을 불러일으킨다면 혼돈과 불합리는 사회의 보수적 기류를 강화한다. 그 이유는 첫째, 명확하고 논리적인 사유는 지식의 축적을 가져오며 (자연과학의 발전이 좋은 예), 지식의 진보는 불원간 전통적 질서를 잠식하기 때문이다. 반면, 흐리멍텅한(명확하지못한) 사유는 구체적으로 도달하는 데가 없기 때문에 이 세상에 어떤 영향도 끼치지 못하면서 무한정 탐닉 할 수가 있다.』 -안드레스키- 지식의 생산은 항상 ‘알고자 하는 그 무엇’이 우리 앞에 실제로 발생함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학문의 범주에는 지적 호기심이 포함되어 있고 알고자 하는 대상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작업에 절명적으로 요청되는 것은 조작적 사고(우리가 ‘알고자 하는 그 무엇’을 알기 위해서 그것을 사물의 조작을 통해 발생 시켜 보아야한다) 와 인과적 사고(조작적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현상들을 원인과 결과에 따라 관련시켜 보아야한다)이다. 현대 건축은 현대 물리학과 같이, 그 문화적 원천과는 상관없이, 건축 과학을 위해 서구가 쏟아온 지적인 투자에 따라 그 틀이 설정된 문제들의 측면에서, 서구과학의 중심문제들을 어떻게든 다루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논의에 반대하려고 해도, 필연적으로 서구 건축의 화법 체계에 의존해야 한다. 건축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우리는 늘 서구 건축과학에 의존해 왔다. 서구 과학이건 동양의 과학이건 건축의 진의에는 변함이 없겠지만 우리는 늘 우리가 진행해 온 작업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축적된 규정들이 없었기 때문에 학문으로 전수 가능한 무엇이 되지 못했다. 건축을 수행하는 전문가로서 우리는 객관적으로 대화 가능한 범주를 설정해야 한다. 본질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그저 찾기만 하면 될 수 있도록 우리 바깥에 객관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그런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의 주관적인 사물관과 뗄 수 없도록 엉켜 있다. 무엇이 본질적이라고 말하기 위해서 우리는 본질적인 것과 비본질적인 것을 가르는 선을 그어야 한다. 그런데 그 가르는 선은 어디서 오는 가? 몇몇 이론가들은 그 선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가 인식하고 개념화하며 이해하기 이전에 사물에 적용하는 “범주(category)”라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 건축의 본질이라고 하는 개념은 1700년 이후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는데, 그것은 페레즈 고메즈(Perez - Gomez)가 기술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가 “필수적인” 구조와 “우연적인” 장식간의 구별할 수 있는 것은 그 시점 이후에 가능해 졌다. 본 논문은 그런 의미에서 ‘건축이 무엇인가’ 하는 건축에 대한 건축이며 건축의 범주(category)를 설정함과 동시에 본인이 진행하는 건축 작업에 있어서의 자리 매김(positioning)을 목적으로 한다. ‘건축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어려운 질문이다. 환각제와 전자 기술의 출현에 의해 「모든 것이 건축」 인 상황이 출현한 이래 이 질문은 더 한층 어려운 질문이 되었다. 모든 것이 건축으로 되어 버린 이전에는 ‘건축이란 물질적인 구축’이라는 정의가 가능했다. 물질화 된 것, 즉 물질이라는 것을 건축에 있어 거의 결정적인 요건으로 보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모든 것이 건축이라는 상황이 나타나고 물질적인 것과 비물질적인 것이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상태가 출현함으로서 물질은 건축에 있어 어느새 결정적인 요건이 될 수 없게 됐다. 물질의 특권성을 상실하게 된 것이다. 물질이 특권성을 상실한 때에 건축에 무엇이 남아 있는 걸까? 건축은 그저 건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건축은 모든 것은 아니지만 단지 건물만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건축에는 그것보다는 무언가가 더 있는 것이다. 본인은 ‘건축이 무엇인가’ 하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비트루비우스(Vitruvius)의 『建築十書』로부터 출발했다. 비트루비우스는 그의 저서에서 건축을 ‘건물들, 기계들, 시계들’로 정의했다. 그리고 이를 다시 폴 셰퍼드(Paul Shepheard)는 『건축이란 무엇인가』 라는 저서에서 ‘건물들(building),기계들(machine),경관들(landscape)’ 로 해석했다. 본 논문은 그 두 저서를 건축에 대한 아이디어를 이끌어내는 텍스트로 삼았다. 그리고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건축의 또 다른 범주로서 ARTE/ MONSTRARE/ MACHINA라는 주제의 탐구를 통해 건축의 진의의 일면을 재구해 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 후의 논문에 개재할 건축에 대한 정의와 그에 따른 이번 작업들이 모두 진리라 단언 할 수는 없지만 편견이 없이는 학문은 성립 불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후는 해석의 문제이다. On progress of construction, we always need to select. At some moments, the choices are assigned to the teachers share, who give construction works as a task, but mostly, students themselves have to decide. In the former case, students should accept the teachers ideas, adopt them as a text, and mak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works, adopting them as a prerequisite. And in the latter case, students themselves should advance the construction works, deciding everything from the theme. Whichever cases they select, students will have to accept all circumstances and advance their works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The studio subject during this thesis semester is house and garden. They are used in our everyday lives. However, both house and garden are not the already given objects, so that they do not have any specific shape, and their meanings always transform, reflecting changing time and space according to each different cul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Therefore, house and garden not only vary in their shapes under their different interpretation methods, but also the meanings change. Garden means enclose place, so its sense is the same as that of yard. The sense of paradise is also the same as the above, which reminds us of garden concept. The meaning of enclose is indispensable for house. Accordingly, house and garden have a function of enclosing something, so, without objects, they cannot be completed. Then what do they enclose? This question forms the architectures dimensions, which require imagination. The concepts of an inevitable absoluteness toward the reality and an unavoidable need of taking shelter dont consider the fact that house and garden are not actual objects but a sheer idea, when considering their kernel. Strictly speaking, that means heaping up the idea of enclosure, and these art and technique have command of the architectures functions. Then, what is the objects of enclosure in architect? Is that the human, space, or time? what architectures enclose is a difference caused by the 3-angled folds of worlding, along the both axes of order and chaos. Architect includes the both sides on the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and house-garden always includes the concept of maze.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enclosure tries to include the wilderness that lies in beyond the line of logos symbolized by Minot(a monster with mans body and cattles head). Thomas Han. These contents are about the teachers exibition that started right before this study has began. These contents are not only this studys main text but become every considerations starting point.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adopt the meaning of house and garden as that of enclosure and to heap up the ideas of objects.

      • 비형식적 차원(Informal dimension)에서 발생하는 움직임과 이벤트의 통합을 적용한 Builing Landscape 계획안

        서범수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비형식적인 차원(informal dimension)인 다이어그램(diagram)에서 발생하는 건축적 사건 중 특히 사건에서 확장되는 움직임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현대 도시사회에서 건축의 형태와 용도, 경제적 인과 관계는 더 이상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진부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건축은 단순한 형태를 의미하지도 않고, 양식의 문제도 아닌 그렇다고 언어적으로 함축되는 것도 아니다. 건축의 비물질적(dematerialize)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사람들의 행위와 사건(event)은 공간내에서 이루어지는 신체적 움직임에 대한 개념으로 확장된다. 사건과 공간은 서로 합쳐지는 것은 아니지만, 서로간에 관여하며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곧 프로그램(program)의 문제를 야기시키는데, 현대 건축에서의 프로그램은 매우 가변적이어서 학교나 박물관이 이래야 한다라고 단정할 수 없으며, 테마 공원의 구성을 단정할 수 없다. 건축 프로그램은 불확정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건물의 내용, 용도, 의미조차도 공간과 용도에 대한 충돌을 빚어내고 , 공간과 용도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대시킨다. 무한한 목록이지만, 늘 형성되거나 조직되지 않은 소재, 그리고 형식화되거나 목적화되지 않은 기능, 분리될 수 없는 변수와 항상 관계를 맺는 이 비형식적인 새로운 차원을 푸코(Foucault, Michel)는 다이어그램(diagram)이라 정의한다. 다시 말해 건축은, 형식화되거나 목적화되지 않은 수 많은 변수들과 관계를 맺으며 생성되는 비형식적인 차원으로서, 다이어그램적(diagrammatic)이다. 건축은 끊임없이 구축물을 생산해내며, 무한히 유동적이고, 비형식적이며, 유연하다. 또한 불안정한 물리적 체계를 형성하며, 불균형상태이다. 건축이 다이어그램적(diagrammatic)이라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건축은 시간적-공간적 복수성을 가지며, 그것들은 서로 유연한 힘의 관계를 구성하며, 증여와 역증여를 반복하며, 변이를 만든다. 변이를 만드는 건축은, 다이어그램적이며, 다이어그램의 연속과 불연속의 연결방식은, 뒤틀리고 구부러진 외부의 선을 지시하고 있다. 힘들은 생성속에 존재한다. 힘들의 생성의 존재는 다이어그램이 힘들 사이의 관계들의 집합을 보여주는 한 장소(lieu)가 아니라 오히려 '비장소 (non-lieu)'임을 의미한다. 즉, 다이어그램은 단지 변이의 장소이다. 더 이상 사물들은 지각되지 않고 또 명제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말하여지지 않는다. 수 많은 계열들의 사회적 장(場)-field 인 다이어그램은, 힘의 작용 및 다른 힘들과의 관계 속에서 힘의 작용이나 반작용을 표시하는 특이적인 점(singular point)을 통과한다. 본 논문은 site내의 건물군의 성격을 세 개의 선분성(a segment of a line)으로 나눠 프로그램을 계획하고자한다. 1. Rigid line- 다주 상가 표준화되고 고정된 정체성을 추구하는 몰적-molar(위계화되고 구조화된 질서의 조직화) 선이며, 이분법적 주체성을 형성하거나 사회의 구성체로서 학생, 군인, 직장인등의 단계적 주체성을 형성한다. 2. Supple line- 다주 상가와 랜드스케이프, 수산물 직판장이 만나서 통합되는 공간 제도적으로 형성된 개별적 주체성에 균열이 생길때 나타나는 분열성(schizophrenic)으로 예를 들면, 남자인 나 속에 여성성을 느끼게 되거나 계급 구성원의 객관적 제약을 벗어나려고 하는 속성을 갖게되는 경우이다. 유연한 선분성, 즉 분열적 흐름(schiz flow)은 상대적 탈영토화(deterritorializing)의 작용을 하면서도 탈영토화를 봉쇄하고 경직된 선으로 다시 돌아가려는 재영토화(reterritorializing)로 작용할 수도 있는 일종의 전이적 상태로 개념화된다. 따라서 전이적 상태는 line of flight와 rigid line은 일차적인것이며, supple line은 그 둘 사이에서 동요한다. 3. Line of flight- 기존 수산물 직판장과 어린이 공원 극단적으로 탈영토화(deterritorializing)되고 탈코드화(decoding)된 흐름을 상징한다. 사회적 구조나 질서,제도적으로 틀지어진 주체성의 제약, 일반적인 구조 질서에서 벗어나 끊임없이 새로운 대상과 새로운 접속을 추구하는 욕망의 능동적 에너지를 말한다. 생산적이며 창조적일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파괴적이고 공격적일 수 있다. This thesis particularly focused on the relations of movements that spread from events, among architectural events that happen in diagrams, or informal dimension. Forms, uses and economic causations of buildings are no longer absolute but conventional in modern urban society. Architecture does not mean a mere form, nor a matter of style. It can not be implicated in language, either. People's acts and events done in dematerialized dimension of architecture are extended to a concept on physical movements conducted in space. Although events and space can not be incorporated, they give effects to and intervene in each other. This causes problems in programs. As programs of modern architecture are very variable, forms of architecture such as schools, museums and theme parks, are not fixed and definable. Since architecture programs vary indefinitely, even contents, uses and meaning of buildings cause conflicts on spae and uses, and deepen the uncertainty of space and uses. Michel Foucault defines the new informal dimension that is always concerned with matters, which is endless list, unformed, unorganized, unformalized and unfinalized fuctions, and the two variables being indissolubly linked, as diagram. In other words, architecture is informal dimension that resulted from a number of relations with variables which are not formalized nor intended, and it is diagrammatic. Architecture is indefinitely mobile, informal and flexible, and continuously produces buildings. In addition, it is in an unbalanced state and forms unstable physical systems. That explains why architecture is diagrammatic. Architecture has spatial and temporal plurality which consists flexible force relations, repeats gifting and reverse-gifting, and produces variations. Architecture that makes variations is diagrammatic, and the method to connect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diagrams indicates outside line distorted and twisted. Forces exist in becoming. The existence of the forces' creation is not a lieu where diagrams show sets of force relations, but a non-lieu. That is, diagrams are a mere place for variation. Objects are no longer perceived, and propositions are no longer presented in the same way. Diagrams, a social field for a number of systems, pass through singular point, a special point indicating action or reaction of forces amidst action of forces or relations with other forces. This study aims to plan a program by dividing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in site into three segments of line. 1. Rigid line - Dajoo-stores It is a molar line (organizing hierarchical and structurized order) to seek standardized and fixed identity, and forms dichotomous subjectivity or gradual subjectivity of students, soldiers, and salaried people as members of society. 2. Supple line - space where Dajoo-stores, landscape and fisheries wholesale markets are integrated Taking schizophrenic that comes when individual subjectivity systematically formed are cracked as an example, this is like a man finding feminity in himself or the case to get an attribute to be free from objective constraints of class members. Flexible segment of a line, or schiz flow, is conceptualized as a transitional state where it functions as relative deterritorializing, but also as reterrirorealizing at the same time, tending to seal deterritorializing and return to rigid line. therefore, line of flight and rigid line in a transitional state are primary, and supple line is swayed between the two. 3. Line of flight - existing fisheries wholesale markets and theme parks It symbolizes the flow that extremely deterritorialized and decoded. It refers to active energies desiring to break away from social structure or order, constraints of systematically formed subjectivity and general structural order, and continuously seek new connections with new subjects. It can be productive and creative, but also destroyable and aggressive at the same time.

      • 건축에 이르는 문

        성정일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작업은 패티시즘의 개념을 기반으로 문에 들러붙어 있는 욕망의 구조에 주목하여 건축작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한다. 문이 없는 건축은 없다. 건축행위는 장소 만들기 곧 경계제작 행위로서, 문은 그 한가운데 존재하기 때문이다. 문은 건축의 경계 지점에서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안팎의 공간을 관계시킨다. 건축공간은 그래서 경계를 넘고자 하는 욕망 곧 어떤 쾌락의 약속이자 그 쾌락을 조절하는 권력의 축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대지 또한 일종의 문이다. 그 경계는 출입을 통제하며 그 안에 담고 있는 무엇을 닫고 열어주는 벽이다. 건축공간의 경험은 대지를 여는 행위에서 비롯한다. 이 작업은 이러한 일련의 은유적 상상으로 건축행위 자체를 문을 제작하는 행위로 간주한다. 문은 이미 문틀과 경첩을 수반한다. 여기서 경첩은 대지의 경계선의 교차점으로 유추된다. 문은 두 개의 교차점으로 비로소 열 수 있으며, 그리하여 주어진 대지는 20개의 문을 가지게 된다. 여기에 현실적인 욕망 곧 최적용도의 논리에 따르는 선들이 분할된다. 도로 측에서 출발하여 대지 내로 들어가는 건축적 움직임은 일련의 문들을 열고 닫는 연속적인 행위다. 현실적 욕망으로 발생하는 공간의 체적(12자의 방과 통로를 위한 4.5m크기) 또한 하나의 문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피난계단을 위한 최소 폭인 2.5m에 간격은 문들을 배치하는 현실적 권력이다. 대지를 닫고 여는 20개의 문들은 공간화의 욕망으로 때로는 제거되고 때로는 변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형의 틀은 은유적으로 유지되며 환유적으로 하나의 구조를 이룬다. 대지로 향하는 우리의 욕망은 '형'과 '태'를 만든다. 그것들은 우리의 시선을 관음적 욕망으로 흡인한다. 문들과 그들 사이에 소통하는(관음증을 유발하는 뚫린) 공간은 차이를 발생시키면서 새로운 공간을 생성한다. 이 작업은 '다른 건축'을 향한 하나의 시도이며, 우리의 욕망을 순수하게 한곳으로 집중시켜 '建築 可能'과 '建築 不可能'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고자 하는 하나의 실험이다.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look for a possibility of the architectural works focused on structure of desire related to the door based on concepts of fetishism. There is no architecture without a door.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are activities making spaces, those are the activities making borders, and the doors exist in the middle of the borders. The doors on the borderlines of architecture relates the ins and outs with various forms and functions. Therefore, the architectural space is a desire to jump over the borderline, that is promise for some pleasure and it is created as the core of the authority that controls the pleasure. A site is also a kind of a door. The borderline of a site controls the entrances and exits, and is the wall that opens and closes something that is inside of it. An experience of architectural space starts front the behavior of opening the sites. By applying these series of metaphorical imaginations, this project regards the architectural activity itself as a activity of making a door. A door already accompanies a doorframe and some hinges. The hinges are analogized to the intersections of the site. The door can be opened by two intersections and then the given site possess 20 doors. The realistic desire, namely the logic of the best use gets divided. Architectural movements that starts from the road and enters into the site, are the continuous activities of opening and closing the series of the doors. The volume of a space derived from the realistic desire can also be defined as a door. The intervals of 2.5 meters, the minimum width for safety stairs are the realistic powers that arrange the doors. The 20 doors closing and opening the site, metonymically forms a structure with sometimes removed and sometimes transformed by the desire to form a space. Our desire oriented to the site creates the shapes and the forms. Those absorbs our sights into voyeuristic desires. Doors and the space(hole inducing the voyeurism) that flows through the doors make the differences and creates the new spaces. This project is a trial for the different architecture and a experiment to access the both sides of the borderlines between the possibilities of architecture and the impossibilities of architecture by focusing our desire purely to one point.

      • 마그리트의 '낯설게 하기' 회화 수법을 응용한 건축설계안 : Row house renovation 계획

        김효영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1920년대에서부터 문학과 회화에서 활발하게 벌어졌던 초현실주의 운동은 세계대전의 혼돈아래 합리주의가 도달한 막다른 길에 대한 반격과 타개로 인간 상상력의 해방과 일체의 제약에서 벗어난 사고의 기록을 추구했던 운동으로, 회화분야에서는 가장 주요한 전략인 '낯설게 하기'를 통해 '오브제의 개체 해방'을 실현하였다. 이러한 초현실주의의 '낯설게 하기' 전략은 모든 예술장르에 많은 영향을 끼쳐 현재까지도 주요한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축에서도 이미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실제로 러시아의 구성주의와 이탈리아의 합리주의는 초현실주의의 직접적인 영향아래 있었으며, 현대에는 신합리주의와 네오-모더니즘, 해체주의로 이어지며 '낯설게 하기' 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이미 현대의 도시는 초현실주의적 형식의 시각어휘가 너무도 흔해져서 새로움조차 의식하지 못하게 된 포스트-초현실주의 문화 속에, 익숙한 낯설음을 지나치며 살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다시 마그리트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의 회화가 가지고 있는 일상성과 낯설음의 지속성 때문이다. 그는 일반적 초현실주의 작가와는 상이한 주제 및 방법론을 사용한다. 초현실주의의 화가들이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자동주의'와 같은 우연성의 기법들을 발명하며 기괴함의 형태로 충격적으로 그려내는 반면, 그는 정밀한 전통적 구상의 표현으로 일상적인 오브제를 사용하면서도 오브제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며 낯선 순간들을 만들어낸다. 일상성 뒤에 한 겹 가리워 진 낯선 관계는 관찰자의 사고작용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낯설음이다. 거주라는 건축의 기능적 속성은 건축을 항상 일상으로 창조하기 때문에 새로움이나 낯설음을 거의 불가능하게 하는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마그리트의 회화에서는 일상성이 지속적인 낯설음을 만들어내는 수단으로 작용하며 기이한 형상의 피상적 낯설음을 뛰어넘어 사물의 본질과 현실(reality)에 대한 사유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낯설게 하기'의 전략을 이용하여 건축의 불가피한 일상성을 통해 낯설음의 순간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며 건축에서의 풍부한 경험적 사건과 일상 또는 건축 그 자체에 대한 인식에 대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건축의 형상과 기능, 행위에 독립적인 의미의 고찰과 관계를 통한 새로운 경험과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일상에 대한 본질적 직시와 끊임없는 사유의 발생에 의해 시정을 환기시키는 더욱 의식적인 '낯설게 하기'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계속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Surrealism, the cultural movement, which began actively in 1920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visual art, was to make a full documentary of human mind and imagination without any bounds or limits against the rationalism after the world war. Surrealists proposed the strategic method in their painting that called 'depaysement' in which the artists could liberate objects from the system of a pictorial context and a common recognition. 'Depaysement' has been the main strategy in other artistic genr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modern architecture such as Russian Constructivism and Italian Rationalism leading to Neo-rationalism, Neo-modernism and Deconstructivism. The post-surrealistic cultural era supplies surplus of unfamiliar expressions such that no one perceives the ordinary. In other words, the novelty of surrealistic impact seems to has disappeared. The reason we should focus on Rene Magritte is that he kept his study of everyday common experiences with unfamiliar strange perception. He worked with different themes and methods from other surrealist artists. While they used techniques such as 'automatism' to draw the world of fantastic unconsciousness. Magritte achieved new meanings and unfamiliar moments by using ordinary objects depicted with traditional figurative painting techniques. One who observes Magritte's works could recognize the extra ordinary moments in the reading of the ordinary. This paper endears to study the strategy of 'depaysement' in order to bring unfamiliar moments through the unavoidable commonness of architecture. Such a perspective could b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rue reality of architecture and the human behavior.

      • Envelope의 재인식과 context의 결합을 통한 community park 구축 : 아현동 달동네와 재개발지역 사이 공간 대상으로

        황효철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모더니즘은 18세기 계몽주의로부터 시작된 이성중심주의 시대이며 인간 이성에 대한 믿음을 강조한 합리적 사고를 중시했다. 이러한 유토피아(Utopia)는 후기 구조주의와 해체주의에 의해서 탈 중심, 이탈, 분리, 이접으로 대변되는 디스토피아(Dystopia)로 전환되었다. 탈 이론의 중심에서 새로운 예술을 만들고자 했던 운동이 러시아의 아방가르드며, 회화, 조각, 건축에서 기존의 공간결합방식의 변화와 캔버스(canvas)로부터 독립된 회화를 선보이며 기존의 전통과 통념을 벗어난 작업들을 하였다. 또한 유럽의 회화에서는 Automatism이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꿈을 표현한 그림이 등장한다. 이를 초현실주의라고 하며 이들은 의식과 무의식을 넘나들며 간극의 공간 가능성을 보여주며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으로부터 모티브를 얻고 있다. 1920년대의 러시아의 아방가르드와 초현실주의의 작업은 기존의 질서와 규범에서 탈피하는 작업이며 대립(對立)구도 사이의 여백의 가능성에 대한 실험이다. 그 후60년대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이론과 건축에서의 구축적 해체주의 전시회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Musume of Modern/New York)에 의해서 해체주의는 주목의 대상이 된다. 이는 건축의 자유로운 폭발을 의미하며 현대건축이 가지는 모호성과 불확실성, 불확정성, 우연성 등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비투르비우스(Vitruvius)의 건축십서가 가지고 있던 건축규범의 힘은 점점 상실해져 갔으며 삼원칙에 의해서 더 이상 건축은 설명될 수 없게 되었다. 건축에 나타나는 것들이 서로 다른 해석으로 인해 다(多)의미의 상태로 되는 것이다. 더 이상 건축은 한정되지 않으며 주변의 context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 program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고전주의 건축이 가지는 입면에 표출되는 규범, 배경, 방향성, 기능 또는 program을 해체하고 있다. 그리고 공간이 주어질 뿐 고정된 기능과 형상은 불명확해지며 방향성 또한 지니지 않는다. 더 이상의 질서와 비례로 이야기 하던 Facade은 모호함과 우연성 속으로 들어가 새로운 해석들을 야기 시켰다. Bernard Tschumi는 새로운 등식 '건축=운동*이벤트*움직임'으로 말하고 있으며 다시 'vector & envelopes'로 표기하고 있다. 과거 건축은 양식, 구조, 아름다움에 대한 것이지 외부의 surface나 내부의 vector에 대한 생각은 중요하지 않았다.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부분이 중요해지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미술이나 철학에서 출발하여 건축에서도 나타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는 envelope에 대한 변화 가능성. 즉 배경에 의해서 의미의 변화와 형상이 변화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지역 또는 국가가 가지고 있는 정체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맥락에 의해서 변형된 envelope는 사회의 한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접을 통해 경계를 모호하게 한다. 서양이 가진 맥락은 우리와 다르며, 기존의 의미가 전위의 가능성을 지닐 수 있고 또한 새롭게 해석할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맥락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envelope는 명확하지 많은 상태 즉 과정의 상태로 놓인다. 형태적 접근 전략은 보이지 않는 힘을 Vector로 보고 지형이 가지는 방향성과 힘에 의한 변형의 과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입면에 대한 재인식으로 기존의 정면을 부정하며 지역적 특색과 정체성에 영향을 주며 사회, 문화적 context에 의해서 Program이 결정되고 이접(disjunction)의 가능성이 발생한다. Modernism is the rationalism-oriented era starting from the Enlightenment of the 18th century and it emphasized the belief that human beings have reasonable thought process. However, this kind of Utopia was transferred to Dystopia representing de-center, seccesion, separation and removal by the Post-Structuralism and Deconstruction. The movement to create a new art genre based on the de-theory was the Avant-garde, which worked out beyond then conventional concepts like introducing paintings independent from canvas, or changing established method of space combination in paintings, sculpture and architecture. In addition, Automatism appeared in Europe with paintings, which expressed dreams with new technique. This movement was called Surrealism and it did not set a boundar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howing the potential space gap and got motive from Freud. Works from Avant-garde and Surrealism in Russia in the 1920's were to break from existing rules as well as orders, and an experiment to show the possibility of the margin between oppositions. After that, in the 1960's, Deconstruction drew attention by deconstruction of Jacques Derrida and the exhibition of Deconstructive Architecture in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in New York. This can be explained as ambiguity, uncertainty, indetermination and contingency of what modern architecture had with meaning of liberal explosion of architecture. The power of the architecture rule belonged to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of Vitruvius got weak and eventually could not be explained by three principles any longer. It meant that things shown in architecture had multifold meanings by different translations. Architecture was no longer limited itself and was shown various forms and programs according to the context deconstructing rules, background, direction, function or programs revealed the elevation of the classic architecture. It is that space was given but fixed function and form became ambiguous without any direction. Facade was no more talked as order and proportion but triggered new translation by saturating with ambiguity and coincidence. Bernard Tschumi came up with the new equality; architecture=movement*event*activity, and marked it again as 'vector & envelopes'. In the past, architecture was about style, structure and beauty not including thoughts on surface of outside or vector of inside. Things that were not considered important started to be important leading this movement to architecture after affecting areas such as fine arts and philosophy. The research with this background is about the possibility on changes regarding envelope. That is, changing in meanings and forms can be possibl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nd affects the identity of the region or the nation. The changed envelope by the context does not decide the limitation of the society but makes the boundaries vague through disjunction. The context of the western nations differs from ours and shows that existing meaning can contain the possibility of dislocation or new translation. Envelope affected by context is put as the process status, in other words, ambiguous condition. Configuration access strategy considers the invisible power as Vector and signifies the direction of the geographical features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by power. This is the recognition of the elevation again that affects the geographical features and identity deciding programs by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occurring the possibility of disjunction.

      • '音'의 建築 : 도시 음환경의 시각적 재구성을 통한 건축 디자인 가능성 탐구

        김두용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개인적인 음악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그것이 건축과의 연장선상에서 어떤 식으로 연관성을 갖고 서로의 영역에 대해 반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일종의 탐구과정에서 시작되었다. 사실 음악과 건축의 상관성은 그 구조적, 창조적 유사성으로 인해 과거 그리스시대로 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이때의 음악과 건축은 현대에 와서 행해지는 아방가르드적 사고들의 결과물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본다. 즉 그 당시의 음악이나 건축에 있어 그 배경에는 짙은 종교적 성향에 가치기준이 있었고 또 그 표현의 결과로서 이해되어졌다. 음악과 건축에 있어서의 직접적인 영향 또한 다소 추상적이고 무형적 성격이 짙은 음악의 감성적 요소들이나 작가적 심상, 또는 음율 이나 화음 등의 구조적 요소들이 건축으로 직접 치환되어지는 예가 많았었고, 인체와 자연으로부터 이끌어온 황금비등과 같은 수치, 비례의 원리들을 통해 음악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들만이 있어 왔다고 본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시대의 변화는 가치관의 변화와 맞물려 수많은 사상과 이즘을 등장시켰다. 그러한 변화들을 실험하고자 했던 많은 급진적 작가들이 있었고 그중에서도 다다와 초현실주의를 넘어서면서 '우연성'이란 개념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작업들이 예술 전반에 등장하게 되었다. 음악에서는 이러한 우연성의 가치에 대해 John Cage를 비롯하여 Stockhausen, Xenakis 등의 많은 작곡가들이 그들의 작품을 통해 실험을 하였고 그 영향력은 곡의 우수성을 떠나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도전과 실험, 시야의 확대를 위한 노력 등의 결과로 현대에 음악을 비롯한 예술분야 전반에 커다란 자극제가 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실험들은 건축이 역사 이래 끊임없이 추구해온 가치와 질서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게 하는데 일조하였고 각각의 예술의 영역을 뛰어넘는 크로스오버적인 작업들이 많은 건축가로부터 탐구되기에 이른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입장을 기준으로 음악과 건축에 있어서의 과거로부터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 현대건축에 드러나는 또 다른 가치로서의 음악과 건축의 상관성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며, 그 건축화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가능성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건축과 음악의 연관성을 이야기할 경우 건축의 입장에서 크게 세 가지 관점으로 그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음계나 화음, 악곡구성의 법칙을 건축 공간이나 입면 비율, 평면의 계획 등에 대입하는 구조적 분석방법과 음이나 소리, 소음 등이 갖는 고유 주파수 및 음의 성질에 따라 분석하는 수치적 방법, 그리고 건축과 마찬가지로 작가의 역량과 감성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 창조적 측면으로 음악으로부터 느껴지는 작가적 감성과 감응을 건축의 공간구성과 성격에 은유적으로 대입하는 방법이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이 세 가지 접근법 중 두 번째 방법인 수치적 분석에 대해 관심을 갖고 중점적으로 건축화 과정을 진행 시키고자 한다. 그 이유는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모든 공간과 물리적 매개체 사이에는 보이지는 않지만 항상 어떠한 형태로든 Sound와 Noise, 즉 다양한 음원들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객관적인 데이터스케입에 의한 구성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하였던 것처럼 음악에 있어서 '소리'에 대한 근본적인 가치와 가능성들에 대한 실험적 작곡가들의 정신을 건축에서 다시 한번 발현하고자 하는 본인의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사이트 주변에서 생산되어지는 소음은 건축적 형태로의 출발을 가능하게 할 '개념적 재료'의 역할을 하게 되며, 컴퓨터는 이를 시각화하는 '도구'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컴퓨터를 통한 공간적 가능성들을 탐구하고 실제 모델링 스터디를 통해 구체화함으로써 비가시적인 '소리'라는 대상을 시각화하고 공간화하여 건축 디자인의 모티브로 삼고 이를 반복하는 작업을 통해 최종적인 건축 형태로서의 '소리의 공간화', '소리에 반응하는 공간'을 만들어 내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의미는 이처럼 사이트를 통해 국지적으로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시각화의 과정에 있으며, 이를 건축 디자인의 요소로 적용 하고 사이트의 구체적인 Context로 이해함과 동시에 Noise가 지니는 부정적 측면, 즉 공해로 인식되어지는 청각적 대상만이 아닌 시각적, 공간적 지각의 형태로 유도되고 변화됨으로 서 또 다른 지각반응과 함께 긍정적 요소로서 사람들에게 인식될 수 있는 가능성들을 실험하는데 있다. Starting from a personal interest in music, this study was begun from a kind of searching process as to which way it has correlation on an extension line with the architecture and which way it can respond to mutual sphere. In fact, the correlation between music and architecture can go back up to the past Greek age due to its structural and creative similarity.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 music and the architecture at this time has a little difference from the result of avant-garde thoughts, which are being performed in modern times. In other words, as for the music and the architecture at this time, its background had the value criterion with deeply religious inclination, and also it wa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the expression. Even as for the direct effect on music and architecture, there were many examples that sensitive elements of music with somewhat abstract and deep-intangible feature or the structural elements such as an artist's mental image, tone or a chord, are directly replaced as architecture, and it is thought that there were only attempts to structurally analyze music through principles of numerical value and proportion such as a golden ratio, which arose from the human body and nature, and to apply this to design. However, as time goes on, a change in an era allowed numerous thoughts and isms to be appeared, with going in gear with a change in value system. There were radical artists who tried to experiment such changes, and the works, which show an interest in a concept called 'contingency,' came to appear in the whole of arts, passing over dada and surrealism even among them. In terms of music, many composers such as Stockhausen and Xenakis including John Cage experimented as to the value of contingency through their works, and it is a fact that its influence became a stimulus to the wholly artistic fields including music in modern times, as the result such as an effort for the challenge and experiment toward the new world and for the expansion of vision, aside from the excellency of a melody. These experiments assisted in seeking for the conversion into the new viewpoint toward value and order that the architecture has pursued on and on since history, and the cross-over works surpassing each of the artistic sphere, allow many architects to explore. This report aims to retrace a meaning from the past in terms of music and architecture on the basis of this position, to search for the correlation between music and architecture as another value, and to seek for possibilities that are revealed through its architectural process. In case of mentio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usic and architecture, from the position of architecture, it can be found its linking pin with largely three viewpoints. Those include the structurally analysis method that substitutes the rules of the musical scale, a chord, and a musical composition for an architectural space, facade ratio, and a plane scheme, the numerical method that analyzes in accordance with the peculiar frequency being possessed by tone, sound and noise, and with properties of sound, and a method of metaphorically substituting an artist's sensitivity and inspiration being felt from music, for a space constitution and the feature of architecture, as the creative aspect that is influenced by an artist's capability and sensitivity as well as architecture. This project aims to focus on progressing the architectural process while having an interest in the numerical analysis, which is the second method among these three approaches. That is because it can be seen that sound and noise in any form, namely, various sound sources always exist in all the space and in a space of physical media where we are living, even though being invisible, and because of judging that it is possible to be formed by the objectively data scape based on this. And, as mentioned beforehand, it is included the intention of the person in question who tries to once again manifest experimental composers' spirit in the architecture, in terms of the basic value and possibilities for 'sound' in music. In conclusion, the noise, which is produced around a site, enables a role of 'conceptual material,' which will make it possible for the starting as the architectural shape, and a computer comes to be in charge of the function of 'a tool,' which visualizes this. In this study, it comes to make 'the space of sound' and 'the space responding to sound' as the finally architectural form through the repetitive work of this, by having it as the motif of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visualizing and spacing the target named invisible 'sound,' by searching for the spatial possibilities through this computer and by specifying through virtually modeling study. Accordingly,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e process of visualizing as to 'sound' that locally occurs through a site like this, and in experimenting the possibilities that can be recognized by people as the positive element along with another perceptive response, through being induced and changed into the form of visual and spatial perception, other than only the negative aspect being possessed by noise, namely, the auditory target, which is being recognized as pollution, as well as in applying this as the element of architectural design and in understanding as the specific context of a site.

      • 에셔의 판화분석을 통한 反事實 건축공간설계의 연구 : 『Hand with reflecting sphere』 분석을 중심으로

        김유경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불가능한 공간의 구현은 인간의 끝없는 도전이다. M.C. Escher는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는 불가능한 공간을 이차원의 회화에서 존재 가능한 공간으로 구현하였다. 이는 무한히 반복되는 공간의 지각사이에서 특유의 공간감을 자아낸다. 본 연구는 에셔가 판화에서 보여주는 이러한 공간 분석에서 출발한다. 에셔의 판화에서 이차원 공간은 이전의 회화들과는 다르게 삼차원 공간으로 보이는 다양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에셔는 실제 공간을 회화로 재현함에 있어 이전의 회화에서의 원근법이 아닌 자신만의 해석과 방법으로 공간을 구성한다. 에셔는 자신의 판화에서 인간이 습득되어 알고 있는 사실의 한 부분을 도전하고 인간의 인식체계를 공격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에셔의 방법과 인간의 인식체계를 공격하기 위해 사실의 부분을 치환하여 판화의 면을 구성한 공간을 설계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에셔의 판화 중 「Metamorphose」「Three worlds」 「Hand with Reflecting Sphere」의 분석은 에셔의 수학적인 방법론과 철학적인 공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재현해 내는 공간의 다양한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에셔의 판화의 특징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에셔가 주로 사용한 석판화라는 회화의 기법과 석판화의 재료의 속성 둘째, 화폭에서 왜상 제작방법의 이용과 Tessllation의 공간기표방법, 세 번째, 무한공간과 반사실, 거울상 공간 등 철학적 공간인식이다. 이 특징들은 공간형성과 긴밀한 연관을 가지고 건축설계에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회화에서 이차원 공간이 삼차원 공간으로 보이기 위한 시도들이 실재 공간으로 구축되려면 많은 해석과 디자인 방법론이 연구된다. 에셔의 방법론의 특징중, 특히 「Hand with Reflecting Sphere」 공간의 구체적인 분석를 통해 프로그램과 대지를 선정하여 에셔의 판화에서 보여지는 인식체개의 공간과 실재 구현 되는 삼차원 공간의 특성들을 파악 실재공간으로 디자인 하고자 한다. 이 결과 관객과 배우의 공간이 혼재하는 원형극장이라는 프로그램을 선정하였고 대지는 극장이라는 프로그램에 알맞은 정동 부지를 선택하며 지표공간은 보행자의 녹지공간으로, 하부 공간은 극장으로 설정된다. 하부 극장공간 중 무대는 절토된 단면과 지표공간의 Sunken Garden으로 인해 내부 공간이나 외부 공간이 되는 특성을 가지며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관계가 모호한 공간이 Seat과 Foyer 사이에 설정되어 에서의 회화에서 보여지는 인간의 인식체계를 허무는 공간으로 설계되었다. 에셔의 판화에서 보여지는 무한의 공간 공간의 외부와 내부의 변용을 통해 틈을 만들어 낸다. 틈에 의한 이면공간은 프로그램을 통해 변용하며 이 공간은 반사실의 공간이 된다. The Design of Archiectural Space based on The Analysis of 『Hand With Reflecting Sphere』 Embodiment of impossible space is human being's endless challenge. M.C. Escher has embodied the space which made imaginary and impossible space to exist on the two-dimensional pictures. The Result is the infinity repeating perception between the real ansd the imaginary.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analysis of the space in Escher's lithograph. Unlike other former works, two-dimensional space in Escher's lithograph's has special characteristic which could be showed in three-dimensional space. Escher composes with his distinctive analyse and methods. Escher defies a part of everyone's leaned 'real'. In this way, Escher attacks the human system of perception. This research purposes to design the three dimensional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real is substituted to collaps the human system of recognition. Among Escher's lithographs, 『Metamorphose』, 『Three worlds』, and 『Hand with Reflecting Sphere』 have been analyzed for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hich embody the methodological and philosophical spaces. Peculiarities of Escher's lithograph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 the materiality Escher's painting method and the peculiarity in the lithograph's technique; second, the sequence for anamorphosis and locations of tessellation-space; third, the recognition of philosophical space such as Non-Real space in the reflecting mirror. These peculiaritie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mbodiment of space and show the possibility that this could be utilized in Architecture. The three-dimensional space can be designed with the space of recognition and the embodiment of three-dimensional space in Escher's prints for architectural space. The program of amphitheater was chosen for the Chong-dong site since it is suitable for the amphitheater program. The program has the reflective characteristics of having the actors the audiences in the seeing and being-seen relationship. The ground plane is set as a garden for pedestrians and the space under of the ground is set as an amphitheater which has the section which was made by geological stratum and sunken gardens. The resulting would confuse space perception of inner spaces from outer spaces. The fragile relationship between the one who sees and the one who is being seen will be set between the seat and the foyer, The space would make human perception collapse like Escher's lithographs do.

      • `하나'와 `둘'사이의 관계에 대한 `알레고리'로서의 집

        박승민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건축을 "순수건축"(pure architecture) 과 "응용건축"(applied architecture)으로 구분해 본다면 "순수"건축의 영역에서 오브제 만들기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실용적 목적에 도움이 되기 위함이다. 이 연구에서 건축은 열려진 장(open field)으로 생각한다. 다시말해서 열려진 장이란 사고와 실행의 다른 분야의 건축의 역학적인 관계로 인해 그 경계를 한정하지 않음을 뜻한다. 그래서 이 연구의 전제는 건축의 경계바꾸기(boundary shifting)를 탐구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조적인 작업 즉 오브제 만들기라는 행동(activity)에 기초한다. 이 연구의 이론적인 측면은 상징화와 건축 사이의 역사적인 결연한 정신적 긴장에 기대한다. 연금술적인 집(Alchemical House)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나는 창조활동을 통한 결정이 역사적인 결정의 골격내에 포함됨에 있어 무리없는 가능성에 대한 물음을 추구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건축의 재료와 상징적 기능의 '적정화'(titration) 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making an object in terms of "pure" architecture if we may allow architecture into two "pure architecture" and "applied" architec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rve a practical purpose. This study regards architecture as an open field whose boundaries are defined by architecture's dynamic relationship with other fields of thought and practice. Therefore,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founded on the activity of object-making as a creative act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questioning of architecture's boundary-shifting. The theoretical aspect of this study rests on the historically determined tension between 'symbolization' and 'architecture'. In designing an "Alchemical House", I sought to inquire into the possibility of reconciling what remains within the framework of historical determination, with what comes from that which await determination through a creative act. This study, therefore, is a "titration" of the material and the symbolic operating within architecture.

      • 高密度 高層都市의 下部領域 活性化를 위한 計劃에 대한 硏究 : 建築空間과 빛의 相關關係

        허희승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도심지역의 급격한 인구증가와 도시기능의 복잡·고도화에 의해 도시기능의 수용력은 한계에 이르고 있다. 도시 고밀도화의 진전으로 도시의 평면적 확산과 도시 내의 가용토지의 절대적인 부족에 따라 도시의 3차원적인 공간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도시가 고층화 되어가면서 고층 건물군이 밀집된 도심지역의 특성상 발생될 수 있는 하부영역에 나타나는 단점들을 극복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기술적·계획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물의 존재와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생명력으로서 빛은 사물과의 물리적·심리적 현상 및 작용의 결과로 다양한 공간효과를 발생시킨다. 건축공간에 있어서 빛을 활용하는 의의는 빛이 갖고 있는 무형의 잠재력을 공간의 연출을 위한 창조의 주제 혹은 소재로 공간구성의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쾌적하고 안락한 건축적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채광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고밀도 고층도시의 하부영역의 활성화를 계획하면서 3차원 입체도시를 계획하고자 한다. 논문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고층도시의 건축적 의미와 함께 앞으로의 과제와 활성화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본다. 2. 빛이 건축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3. 쾌적한 건축공간을 위해 자연광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입체도시에 대한 제안을 한다. All the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have reached their limit in terms of accommodation capacity due to the rapid growth of population and transition of cities to a more complex sophisticated structure. The continuous proliferation of high density urban regions and the issue of limited land has made it evident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more aggressive three-dimensional urban space and to apply this concept in urban planning. With the increase of high-rises in the cities, some specific problems characteristically can be found in the lower region of such cities, len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an architectural, technical research on how to overcome such problems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for the public. Light has alway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rchitecture. Sunlight was often as a source for plotting the design of space due to the various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it has. The practical use of light means using its potential energy as a principal and medium to present a pleasant architectural environment. This thesis focuses on the practical use of lower urban region of high density, high-rise cities and three-dimensional urban planning. The thesis shall proceed as follows : 1. Research on high density, high-rise cities and analysis on the ways of revitalizing the lower urban region. 2.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light in an architectural space. 3. Proposal on the use of natural light in creating a pleasant architectural space and performing three-dimensional urban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