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3대 신문을 통해 본 안중근 의거의 의의 ―아사히(朝日), 요미우리(読売), 마이니치(毎日)를 중심으로―

        김미옥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59 No.-

        An Jung-geun was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nationalist. On October 26, 1909, he assassinated Itō Hirobumi, a four-time Prime Minister of Japan and former Resident-General of Korea, following the signing of the Eulsa Treaty, with Korea on the verge of annexation by Japan. Ahn was posthumously awarded the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in 1962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 most prestigious civil decor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his efforts for Korean independence. In this study, 『Japaneseʼ Cognition of Ahn Jung-Geun-Focusing on The Asahi Shimbun, The Yomiuri Shimbun, The Mainichi Shimbun, From 1909 to 1910』 is the following meaning. The First, Korea under Japanese rule(from 1909 to 1910),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 Japanese people to recognize the direction of Ahn Jung-geun. The Second, Korea under Japanese rule(from 1909 to 1910), It will also be able to understand the patriotic deed of An Jung-geun were conveyed to the Japanese. The Third, it can present objective data on Japanese imperialism and Japanese consciousness, and can be helpful in deriving Japanese policies and public opinion. 안중근은 대한제국 시대 조선의 독립운동가이다. 한국과 일본의 입장에 따라, 안중근에 대한 평가는 정반대이다. 역사인식의 차이가 있으니 이는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일본에서 안중근에 대한 평가는 생각보다 다양하고 사람에 따라 그 평가는 상이하다. 이처럼 안중근에 대한 관심은 양국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심은 1909년 10월 26일에 있었던 안중근 의거, 당시 국제적으로도 큰 이슈가 되어 주목받았고 역사적으로도 의미있는 사건이었으므로 이와 관련된 연구는 상당히 많다. 그러나 당시 일본 내 자국민들, 즉 일본인들에게 안중근 의거가 어떻게 받아들였는지에 대한 구체적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09년부터 1910년까지 일본인 대상으로 발행된 일본 내 신문에 실린 안중근 의사와 관련된 신문 기사의 분석을 통해서 안중근 의거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수범위를 1909년부터 1910년까지로 정한 것은 의거 후 당시 일본에서의 안중근 의거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한 상황을 살펴보고자 함도 있으며, 이 시기가 일제강점기 전 일본이 무단정책을 실시한 시기였음으로 일본인들이 한국인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없는 시기라는 점도 하나의 이유일 것이다. 이러한 본고 「안중근 의거, 아사히・요미우리・마이니치 신문을 통해 -1909년부터 1910년까지-」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 1909년부터 1910년대까지, 즉 일제강점기 중 한국인에 대한 탄압이 심했던 시기에 안중근 의사에 대한 일본인들의 인식이 어떠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지를 살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일제강점기 당시의 안중근 의사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고, 일본인들의 의식에 대한 접근 및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셋째, 1909년부터 1910년대, 당시 안중근 의거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안중근 의사에 대한 기본 정보,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상황, 의거 장소, 의거 시간 등 가장 기초적인 정보들이 일본 내 일본인들에게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일본 정부의 정책, 목적 내용의 변천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연구이다. 이는 당시 일본제국주의의 실상이나 일본인 의식에 관한 객관적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자료는 일본의 정책과 여론 등의 파생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섯째, 정치적 이유로 한일관계는 악화 일로에 서있다. 그러나 한국인, 일본인이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공감을 갖게 된다면, 동아시아의 평화를 원하셨던 안중근 의사의 뜻을 이어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中国延辺地域の朝鮮族高年層日本語における無声破裂音

        黃永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5 No.-

        본고는 중국연변지역의 조선족노년층화자가 1945년 이전의 일본식민지시기에 일본어교육을 통해 습득한 일본어에 나타나는 음성영역(특히, 무성파열음)의 사용실태를 통해 70여 년 간 유지되어 온 동아시아지역 식민지일본어의 유성음ㆍ무성음의 보존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광복 이전의 일본어와의 접촉형태ㆍ접촉기간이 다르고 광복 이후에는 일본어와의 접촉이 거의 없는 피조사자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담화조사와 (읽기 방식의)조사문조사의 결과를 대조하면서 음환경 및 어종별로 그 보존 실태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관련한 언어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한국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파열음의 구별능력은 1945년 이전의 일본어와의 접촉도와 현재의 일본어능력에 따라 화자별로 연속성을 띠면서 보존되고 있다. 한편, 일본어가 제3언어환경에서 제2언어로서 보존되고 있는 중국지역보다 제1언어환경에서 제2언어로서 보존되고 있는 한국지역에서 보다 많이 나타나고 있다. (2)무성음화와 고착된 유성음화는 거의 보이지 않으며 사용수와 정확도에서 볼 때 중간언어적인 양상을 유지하고 있다. 음환경면에서는 ‘語中[t]→[d]의 유성음화’가 두 지역 모두 현저하지만, 특수음 다음에는 유성음화현상이 적게 나타난다. 그리고 어종별로는 고유어에서 가장 많다. (3)(잠정적인 결론이지만) 식민지일본어는 메타언어에 의한 일본어음성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당시의 일본어학습환경에 기인해 일본어능력이 낮은 층을 중심으로 ‘무성파열음의 유성음화’가 화석화된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analyzed for retention mechanism of unvoiced plosive sound in L2 retention period through the actual use situation of ethnic elder Koreans speaker of China Yanbian region appearing to learn the Japanese under the colonial education environment. Discourse research for four informants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Japanese since 1945) were carried to the subject of the sentence reading investigation while results combined. They are different to the contact form, contact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escribing in detail the actual conditions that held in the sound environment and language external factors that are relevant.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Korean colonial Japanese data, the followings were found. (1)(Voiced/Unvoiced) Plosive sound of the distinct ability of contact to Japanese before 1945 has been preserved by the continuous phase, depending on the current speaker of the Japanese language skills. On the other hand, the voiced plosive sound of Japanese appear much more preserved in Korea as L2 in L1 environment than the area being preserved as L2 in L3 environment. (2)Unvoiced/Fixed vocal sound of maintenance and the intermediate language can be used when viewed from the aspect and accuracy. The environmentally sound ‘in word [t]→[d] voiced’, China has more less the voiced sound and most often in the words of native language types. (3)Having tentative conclusions, it can be said that the Japanese colonial education has made the Japanese voice did not ‘silent voiced plosive’ focused on the lower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group due to the learning environment of not meta-language been in fossilized state.

      • KCI등재

        올림픽을 통해 본 일본정부의 인바운드 관광전략과 국가이미지홍보전략 ─ 1964년과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중심으로 ─

        강성우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학연구 Vol.48 No.-

        본고는 일본의 인바운드 관광전략과 국가이미지 개선 전략을 1964년과 2020년 올림픽을 통해 고찰한 것이다. 1964년 도쿄올림픽은 일본이 일본 국가를 홍보하고 군군주의적인 국가이미지를 평화적인 이미지로 전환하는 변곡점이었으며 국제사회에 일본의 국가적 지위를 향상시킨 올림픽이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본은 2020년 올림픽을 통해 성취하려고 하는 명확한 전략과 아젠다를 가지고 있다. 일본은 올림픽 개최국으로 선정 된 것이 일본의 문화와 매력을 세계에 알리는 절호의 기회이며, 일본의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 중 하나인 인바운드 관광 정책 추진의 모멘텀(momentum)이라고 전제하고 외국인의 방일을 장려하는데 총력을 쏟고 있다. 또한 일본은 2020년의 올림픽을 일본의 이미 긍정적인 국가이미지를 더욱 강화하고 경제와 문화적인 측면에서 3.11 지진과 쓰나미 재난 이후에 일본의 회복 모습을 전 세계에 발신하는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본의 인바운드 관광전략과 국가이미지홍보 전략을 1964년과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려고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Japan’s strategy for promoting inbound international tourism and enhancing its nation-branding via the hosting of the Olympics. The 1964 Tokyo Olympics was a turning point for Japan to increase inbound international tourism and to transform its image from a militaristic (or ultra-nationalistic) nation to a peace loving one. At the same time, Japan succeeded in elevating its international standing. Similarly, for hosting of the 2020 Tokyo Olympics Japan has a clear strategy and agenda.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2020 Tokyo Olympic Games will be a great opportunity for Japan to revitalize its economy and elevate its nation brand around the world. Also, through the 2020 Olympic Games, the Japanese government attempts to boost inbound international tourism by promoting Japan as a tourism-oriented country. In the process, it hopes to recover Japan’s nation-brand, which has been tarnished due to two decades of economic slump and 3.11 disaster.

      • KCI등재

        함병업의 『愛国百人一首詳解』 연구 - 함병업이 발견한 ‘일본정신’-

        박상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2 No.-

        본고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학계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함 병업의 개인사와 저술 활동을 새롭게 발굴하여 체계화했다. 둘째, 그의 저술 가운데 태평양전 쟁기에 출판된 『애국백인일수상해』를 분석하여 그가 출간 취지에서 힘주어 말했던 ‘일본정 신’이 무엇이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그가 ‘애국백인일수’에서 발견한 ‘일본정신’은 ‘천 황은 현인신이다’, ‘일본국민은 국가를 사랑한다’, ‘일본국민은 우수하다’, ‘일본국민은 국토를 예찬한다’, ‘일본국민은 천황에 충성한다’, ‘신들이 일본을 지켜준다’, ‘일본국민은 멸사봉공한 다’, ‘일본국민에게는 무사도 정신이 있다’, ‘일본국민에게는 상무 정신이 있다’, ‘일본국민에 게는 황국신민으로서의 기쁨이 있다’, ‘일본국민에게는 팔굉일우의 이상이 있다’였다. 그가 ‘발견’한 ‘일본정신’은 태평양전쟁을 수행하고 있던 제국일본이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신민에 게 요구했던 ‘일본정신’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함병업은 『애국백인일수상해』를 통해 식민지 조선에 ‘애국백인일수’를 보급하고자 했을 뿐만이 아니라 당시의 침략전쟁에도 적극 협력했 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ly, in this article, we have newly discovered and systematized Ham Beung-Up's personal history and writings. Secondly, I analyzed One Hundred Patriotic Poems as well as detailed explanations among the writings. Additionally I specifically informed Ham Beung -Ups about the true meaning of the Japanese spirit (that he previously spoke about). Th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Japanese spirit that he found in One Hundred Patriotic Poems is that 'the Emperor is the ever present god', 'the Japanese people love their country', 'the Japanese people are excellent', 'the Japanese people praise their country' ‘the Japanese people are loyal to the Emperor’, ‘the gods protect Japan’, ‘the Japanese people are in a deadlock’, ‘the Japanese people have a spirit of safety’, ‘the Japanese people have a sense of duty’ and ‘there is joy of the people as part of the empire. The Japanese spirit that he discovered was the Japanese spirit of Imperial Japan. Imperial Japan was conducting the Pacific War and demanded that spirit from Japanese and colonial Joseon citizens. In that sense, he cannot but say that he cooperated with the war of aggression by Imperial Japan, as well as trying to diffuse the One Hundred Patriotic Poems’ to colonial Korea.

      • KCI등재

        ‘天保竹島一件’의 재검토를 통해 본 독도 영유권 - “竹嶋渡海一件記”를 중심으로 -

        박지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49 No.-

        이 연구는 1836년에 울릉도를 불법으로 침탈한 혐의로 일본 상인과 하마다번의 관료들이 처벌을 받은 사건의 진술서인 『죽도 도해 일건기』를 중심으로 사건의 본질과 독도 영유권에 대한 일본 측의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일본 측은 이 사건을 근거로 삼아 독도에 대한 영유권 을 주장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반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사건은 1833년과 1834 년에 일본 하마다 지방의 상인 하치에몬 일당이 울릉도에서 벌목 등을 자행하여 영리를 취한 것에 대해 당시의 일본 정부가 불법행위로 판단하여 처벌한 것이다. 두 번에 걸쳐서 한국의 영토인 울릉도를 침탈하여 목재와 해산물을 불법으로 약탈한 일본 상인들은 그 자체가 일본 의 국내법을 어긴 불법 도항이었으며, 그들의 불법행위를 묵인하거나 방조한 하마다번 관료 들의 행위 또한 에도막부의 금령을 어긴 불법행위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하마다번의 전 번 주조차도 주민 및 가신들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처벌을 받아 당시 일본의 상류사회에도 큰 충격을 준 사건이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일본 측은 하치에몬 의 진술서를 근거로 하여 독도로 건너가는 것은 불법행위가 아니었다고 주장하며, 독도에 대 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당시의 판결문에는 독도로 건너가는 것을 정당한 행위라고 용인하고 있지 않았으며, 오히려 울릉도 뿐만 아니라 독도도 한국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명확하게 입증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이 이미 17세 기 후반에 형성된 것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했다. 그러므로 일본 국내법에 따라 처벌을 받 은 범죄자 하치에몬 일당의 진술을 토대로 한 일본 측의 주장은 그 근거를 상실한 억지 주장 일 뿐으로, 독도 영유권에 대한 일본 측의 주장은 부정당해 마땅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Japanese perception of the sovereignty of Dokdo, focusing on the affidavit of a case where Japanese merchants and officials of the Hamadaclan were punished for illegally invading Ulleungdo in 1836. Through an analysis of this case, we can see that the Japanese claims of sovereignty over Dokdo which are currently based upon this case are precarious. In the years between 1833 and 1834 merchants from the Hamada region of Japan were making profits by logging in Ulleungdo, the Japanese government judged this as illegal and through the Hachiemon, punished them for profiting from it. The Japanese merchants who invaded Korea's territory on Ulleungdo, illegally plundered timber and seafood and on two occasions were themselves charged with illegal acts that violated Japanese domestic laws. The actions of the Hamadaclan officials who tolerated or aided their illegal activities were of the Edo Shogunate. This was an illegal act that violated the prohibition of this case. Even the former lord of the Hamadaclan was punished for failing to properly manage and supervise his residents and vassals. It was an incident that shocked Japanese high society at the time. However, Japan currently argues that it was not illegal to cross into Dokdo based upon Hachiemon's statement, and is using it as a basis for claims of sovereignty over Dokdo. Through this study, it is clear that the judgment at the time did not tolerate crossing into Dokdo as a legitimate act. Instead, it clearly proves that Ulleungdo and Dokdo were recognized as Korean territory. This study makes it clear that this perception had already been formed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fore, Japan's claim based on the statements made by Hachiemon's party (who was punished under Japanese domestic law), is only a compelling claim and it has lost its legitimate basis, therefore Japan's claim upon Dokdo's sovereignty should be denied.

      • KCI등재

        依頼場面における丁寧表現の使用/不使用に影響する要因の分析 ― 日本人と韓国人の比較を通して ―

        辛昭静,石崎雅人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2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연령과 조직에서의 관계를 동일한 조건으로 고정한 후 ①입장의 차이(의뢰를 하는 화자의 입장/의뢰를 받는 청자의 입장), ②상대와의 관계(친/소), ③대화의 상대(외국인/내국인)의 조합에 따른 정중표현의 사용/비사용에 대한 선택과 평가를 조사했다. (1) 표현에 대한 선호일한 모두 의뢰하는 경우와 의뢰받는 경우에 따라 정중표현의 사용/비사용에 대한 선택확률이 달랐다. 의뢰를 받는 경우에는 정중표현을 선호하지만, 의뢰를 하는 경우에는 상대와 친한 관계라면 정중표현의 비사용을 선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일본인은 친한 외국인/일본인에게 의뢰하는 경우에, 한국인은 친한 한국인에게 의뢰하는 경우에 정중표현의 비사용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한편, 한국인은 친한 한국인에게 의뢰받는 경우에 일본인(이 친한 일본인에게 의뢰 받는 경우)보다도 정중표현의 비사용이 적당하다고 선택하는 확률이 높았다. (2) 정중표현의 사용/비사용의 선택과 관계가 있는 평가요인일본인은 의뢰하는 경우에도 의뢰받는 경우에도 주로 표현의 「자연스러움」에 대한 인식의 영향을 받아 선택이 바뀌지만, 한국인은 「자연스러움」「친근함」「정중함」에 대한 인식의 영향을 받아 표현의 선택이 바뀌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사실에서 일본인보다 한국인이 보다 다각도로 평가하여 표현을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정중표현의 비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일한 모두 반말은 친한 상대에게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은 공통적이었지만, 일본인보다도 한국인이 너무 정중한 말투보다는 반말이 서로의 심리적인 거리를 좁힐수 있으며 지나치게 정중한 말투는 친한 인간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장해가 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외국인도 경어 사용법을 제대로 배워야 한다는 인식은 공통적이었지만, 일본인보다 한국인이 외국인의 경어 사용이 틀리는 건 괜찮지만 반말을 사용하면 불쾌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일본인도 한국인도 정중표현의 비사용은 친한 관계가 전제조건이며 특히 일본인보다도 한국인의 경우가 그 경향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사실로부터 한국인은 친하지 않은 상대가 반말을 사용하면 불쾌함을 느끼는 정도가 일본인보다 높다고 추측할 수 있다. 정중표현의 비사용에 대해서는 더욱 다양한 장면에서의 검토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커뮤니케이션 장면에 있어서 반말이「오용」이라고 평가되는 이유의 하나가 화자와 청자의 입장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by Japanese and Korean by analyzing the data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question items concerning th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in eight hypothetical scenes constructed from a combination of the participants' roles (addresser/addressee), their familiarity, and whether the language they speak is native or not, and general perceptions for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honorifics, while their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age and when they join the company being the same. The obtained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1)Korean/Japanese preferences towards the us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Binominal test is applied to the preferenc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Both Korean and Japanese prefer polite expressions when they are requested to photocopy the papers for business. More Korean choose non‐polite expressions when they request a familiar native friend in the company to photocopy the papers, while more Japanese select non‐polite expressions when they request familiar native/non‐native company friend. (2)Korean/Japanese perceptions on polite/non‐polite expressionsCorrelation ratio is calculated between the preferenc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the perceptions of the expression such as briefness, naturalness, friendliness, and politeness. Naturalness, friendliness, and politeness are associated with the selection of the expressions for Korean; mainly naturalness for Japanese. Korean seem to decide on the use of the polite/non‐polite expressions with multiple perspectives than Japanese. (3)General perceptions for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honorificsBinominal test is used to examine the judgment on the us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s and honorifics. Both Korean and Japanese think that non‐politeness expressions should be used for close friends, while more Korean recognize that non‐polite expressions lessen psychological distance to the other and polite expressions can be a hindrance to amicable relations than Japanese. Both Korean and Japanese consider the proper use of honorifics necessary for non‐natives; Korean do not care non‐natives' misuse of honorifics, but feel uncomfortable for their inappropriate use of honorifics than Japanese. In summary, the use of non‐polite expressions is recognized to be allowed between familiar friends in Korean and Japanese. However, Korean think this condition more rigid and thus feel more discomfort for the use of non‐polite expressions by unfamiliar friends than Japanese. Although this study does not examine all factors underlying the use of polite/non‐polite expression for Korean and Japanese, it sheds light on the reasons for improper use of non‐polite expressions.

      • KCI등재

        ‘중국잔류 일본인’을 둘러싼 포섭과 저항 : ‘본국 귀국자’라는 다중적 아이덴티티의 가능성

        현무암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비평 Vol.- No.8

        1972년의 중일국교 정상화 이후, 특히 1980년에 들어서 전후에 중국으로부터 귀환하지 못했던 많 은 ‘잔류 일본인’이 귀국하게 되었다. 이들이 일본 패전 후의 극심한 혼란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중국인의 가정에 들어가게 된 이른바 ‘잔류부인’ 및 ‘잔류고아’다. 하지만 간신히 조국의 품에 안 기게 되었어도 ‘중국잔류 일본인’에 대한 일본 정부의 냉대와 사회적인 차별 속에서 이들은 사회 적인 마이너리티 그룹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자신들에 대한 지원과 존재의 정당성을 위 해 국가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는 등 싸워나가야 했다. 그 결과 일본 정부는 여느 전쟁 피해에 대 한 소송에서처럼 ‘국가의 책임’에 대해서는 ‘전쟁피해 수인론(受忍論)’을 가지고 부정하면서도 실 질적으로는 ‘특별한 조치’를 통해 구원 정책을 펼치게 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수인론’과 전쟁 책임론 사이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는 ‘중국잔류 일본인’을 통해 기민과 이산이라는 역사성이 투영되는 이들에 대한 일본의 정책과 제도, 그리고 일본 사회 속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위치 및 전후 역사인식 속의 의미와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Following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Japan in 1972, many of Japanese who remained in China after WWII because they could not be repatriated during the postwar period returned to their homeland, especially in the 1980s. These people, known as “Japanese orphans” or “Japanese women remaining in China,” are people that lived on along with the Chinese people in order to survive the aftermaths of Japan’s defeat. They were able to return to their motherland with difficulty, however, they were treated not as Japanese but as a foreigner. Therefore, as a minority, they had to struggle to receive reparation from the nation, which required having to prove their residency in Japan. In the end, the Japanese government denie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based on the ‘war damage endurance theory.’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special policy’ to support them. This paper examines Japan’s policies toward the Japanese who remained in China after WWII, which stand on the border between the ‘war damage endurance theory’ and the ideology of war responsibility. This paper considers the position of these people as well as the meaning that they hol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consciousness’ during postwar Japan.

      • KCI등재

        재조일본인 미디어의 모던 걸 부재와 여급의 표상 - 『조선급만주(朝鮮及滿洲)』와 『조선공론(朝鮮公論)』을 중심으로 -

        이가혜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50 No.-

        본 논문은 1930년대의 시대현상으로 존재한 모던 걸의 수용을 재조일본인 사회의 특질과 관련하여 검토함으로써 재조일본인 사회의 모던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일본과 조선에는 모던 걸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여성이 등장하며 직업 부인의 주요한 특질로 거론되는 데 반해, 재조일본인 사회에서는 모던 걸로서의 직업부인 담 론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 이유로는 첫째, 직업부인 중 다수가 접객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재조일본인 사회의 특성 상 서비스직이 성적매력과 결부되며 부정적 이미지를 갖게 된 점, 둘째로 식민지 시기 재조 일본인 사회에서 유통된 매체의 주필자가 식민자의 특권을 가진 지식인들이며 직업부인은 이 들의 발언을 통해 대상화되었다는 점, 셋째로 재조일본인 지식인의 입장에서는 ‘내지’의 문화 를 모방하면서 성장한 식민지 조선의 모던한 문화와 모던 걸은 ‘내지’의 모조품 또는 저열한 문화 정도로 인식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30년대의 재조일본인 문예물에서의 여급은 ‘내지’의 카페와 비교선 상에 놓임으로써 카페의 설비와 여급의 외모 및 서비스 부분에서 상대화 되는 모습을 보이기 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1930년를 전후하여 크게 유행한 탐정소설 속 카페는 소설의 장 르적 특성과 결합하여 조선이라는 로컬색이 소거된 상상의 공간으로 재탄생되게 양상이 두드 러진다. 이처럼 ‘외지’와 재조일본인이 아닌, 무명의 모던한 공간과 인물의 등장은 ‘내지’의 근대적인 문명에 대한 동경과 낙후된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만들어진 상상의 공간으로서, ‘외지’라는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근대문명에 융화되고자 하는 재조일본인의 열망이 투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In both Japan and Joseon after the mid-1920s, a new type of woman called modern girl appears, and it is mentioned a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career women. In the society of Japanese people in colonial Korea, however, it is hard to find the discourses on career woman as a modern girl. For its reason, there was no group or magazine mainly held by career women in the society of Japanese people in colonial Korea, so that the discourses on career woman as a modern girl could not be spoken out for themselves. Thus, the discourses were distributed through general magazines with male chief editors equipped with privileges as a colonist. Those articles show a remarkable tendency to handle career women as an object of criticism like just highlighting the point of using their sex appeal as a purchase strategy and regarding them as something against healthy family and maternal love of a country at war, instead of paying attention to the professionalism of career women or modern girls as a cultural phenomenon. In this background, the cafe waitress in literary works by Japanese people in colonial Korea of the 1930s, is described into an image of ‘decadent woman giving off erotic charm’ and ‘fancy Western appearance’ by appearing as a mysterious character involved in a crime at a space of cafe with exotic and modern atmosphere, on top of the popularity of the Western detective stories. Also, as they are compared with cafe of ‘native country’, they go through the continuous relativization process in the facilities of cafe, appearance of cafe waitress, and service. The representation of cafe waitress within Japanese people in colonial Korea is diversely divided according to region(‘native country’/‘foreign country’), and ethnic group. Concretely, the comparison of ‘native country’ and colonial Joseon is defined on the basis of the superiority of ‘native country’ and inferiority of Joseon. Through this, they are described as Japanese women of superior empire while they are also described as Joseonized-depraved women, which is divided into discriminative beings.

      • KCI등재

        1980년대 일본의 「국제화」 인식 - 「일본의 아이덴티티」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

        金弼東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4 No.-

        1980년대의 일본은 경제대국의 지위에 상응하는 「국제국가」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내외의 요구에 직면하게 된다. 이 논리는 「일본의 아이덴티티」 주창과 맞물리면서 일거에 일본의 대국화= 「국제화」라는 등식을 양산하기에 이른다. 그 무렵 일본사회의 「국제화」는 다양한 방면에서 논의되었으나 광의적으로 보면 개방화ㆍ국제교류ㆍ국제공헌ㆍ국제국가ㆍ대국화 등의 개념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따라서 「국제화」의 개념도 산업화ㆍ근대화이후의 일본사회의 비전제시를 통한 통합의 논리와 경제대국일본의 국제적 지위 변화를 반영한 국제공헌의 가치구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80년대 일본의 「국제화」 논리를 일본사회의 통합화와 일본의 대국화라는 2개의 관점을 중심으로, 그것이 일본사회에서 어떠한 성격을 띠고 전개되었고, 동시에 그 시대적 의미와 한계가 무엇인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In 1980s, Japan had been faced with demands, which has to carry out the role of ‘global nation’ indicated economic superpower, from domestic and foreign. This discourses encouraged with the argument of ‘identity of Japan’ so that during the period produced the equation about that great power of Japan is same as global nation. In those days, Japan society had discussed the methods for globalization in the many ways. In effect, globalization, global exchange, global contribution and the superpower were inevitably connected with globalization in the aspect of broad sense. Accordingly,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can be defined by global contribution, which reflected change of position to Japan as economic superpower nation, and suggestion of vision, which was discussed after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From the concept and discussion mentioned, the article analyzes globalization based on two core concepts that are about Japan as a superpower nation and integration for Japan society. Following the statement, the article researches impacts on the society and coincidentally analyzes the meaning and limits from the statement mentioned for the period.

      • KCI등재

        한글표기 일본어 및 가나표기 한국어의 접촉언어적 특징

        이길용(Lee Kil Yong),이이슬(Lee Lee Seul)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4

        본 연구는 한일 양국어의 접촉언어의 언어적 특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분석자료는 한국의 '디시인사이드'와 일본의 '2ch'에서, 2012년 1년간 가나표기 한국어에서는 '데스(です)'를 검색어로 하고 한글표기 일본어에서는 「ニダ(니다)」 · 「ニカ(니까)」와 「セヨ(세요)」를 중심으로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한글표기 일본어를 926예, 가나표기 한국어는 165예를 수집하여 문법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음성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글표기 일본어는 분리형 구조와 더불어 '데스(です)'와 전접항목인 한국어가 융합된 융합형 구조(통합적 관계, syntagmatic relation)가 일부 사용된다. 분리형구조와 융합형 구조의 일부에서는 모어인 한국어의 구조를 활용한 것이고, 이러한 한글표기 일본어의 사용주체는 일본어학습 경험자임을 알 수 있다. (2) 한국어의 문법항목에 존재하지 않는 일본어의 종조사는 일본어 문법의 독특한 특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데, 일본어다움을 지표하기 위하여 종조사가 과잉사용되기도 한다. 또 조사 '노'를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격조사 대신에 '노'가 사용되기도 하며, 주격조사와 노가 더불어 쓰인 예도 있다. 일본어의 조사 「の」가 한국어의 경우와는 다르게 N1와 N2의 결합에 필수요소라는 점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3) 일본의 '2ch'에서 수집한 가나표기 한국어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서는 ニダ의 전항의 활용이 완결적인 형태로 사용되어 ニダ와 전항이 분리형 구조(병렬적 관계, paradigmatic relation)를 이루고 있으며, 일본어 구조가 사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의 ニダ는 です와 대응치환 관계에 있다. 다만 일부에서는 일본어의 문말에 ニダ를 첨가한 구조도 사용된다. 이들의 형태적 기본구조는 '삽입형 코드스위칭'이고 ニダ는 です와 대응치환 관계를 이루지 않는다. Lately, due to the fast growing of digitization of knowledge in our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SNS, new forms of language contact, such as code switching, can be seen in SMS and smartphones' messages. This research analyzes structural aspects of language contact between Japanese and Korean used in internet communities. The analysis centered on 926 examples of the use of Japanese 'desu' written in Hangeul and 165 examples of Korean 'nida' written in Katakana. The data was collected in two sites, Japanese '2ch' and Korean 'DC inside' for a period of one year since 2012.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1) Two patterns of structures were observed: 'separate structures pattern' and 'mixed structures pattern'. In this last one, we notice that 'desu' is bounded to the previous elements of the sentence forming a syntagmatic relation with them. In both patterns, Korean language structures are mainly used by learners or former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2) There is an overuse of Japanese final particles with no correspondence in Korean grammar. The use of these final particles conveys some 'Japaneseness' to the sentence. (3) The use of 'nida' was seen in separate structures patterns. In this case, sentence elements 'nida' can be detached from the other elements of the sentence and form a paradigmatic relation with 'desu'. It means that 'nida' and 'desu' can be replaced one by the other. (4) In some cases of Katakana-Korean, structures where 'nida' is added to Japanese sentences are observed. In such structures, 'nida' is inserted in the sentence and cannot be replaced by 'des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