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삶을 위한 이야기 교육의 뜻

        김수업(Kim, Su-eup)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6 No.2

        이 글은 이제까지 아이들의 삶을 돌보고 북돋우지 못한 우리나라 국어 교육, 나아가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빗나간 길을 되돌리는 첫 걸음의 열쇠로서 이야기 교육을 내세우고자 했다. 먼저 우리네 학교 교육이 빗나간 까닭이 무엇이며 빗나간 끝이 지금 어떠한지를 살피고, 이어서 이야기란 무엇인가? 이야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고 또 있는가? 사람들이 21세기로 들어서면서 왜 새삼스럽게 이야기에 다시 눈길을 돌리는 것인가? 이런 물음의 대답을 찾으며 주제인 이야기 교육에 다가서고자 했다. 마침내주제에 다가서서 아이들의 삶을 살리고 세상을 살리는 열쇠 노릇을 해낼수 있는 이야기 교육의 힘, 곧 이야기 교육이 지닌 아이들의 삶과 세상을 살려 낼 수 있는 힘으로 하나 되기, 응어리 풀기, 세상 만들기, 죽음 넘어서기, 이렇게 넷을 꼽아 보았다.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narrative education, which is the key step to turning over and normalizing our distorted school education. Because Korean education has failed to tend and improve students' trying lives.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theme, this paper raises a few questions. What is the reason our school education has deviated from the right track, and what results its deviation has caused? And What does the story means? Are we sure that the story exists? What kinds of story, if any, are there? How come people bring up the story abruptly at 21st century? I try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t the same time approaching the very issue in narrative education. Finally, stepping up to conclusions, I find four ways out of our current fetters which are destroying our students. They come from the power of story, will rehabilitate students's lives and play a critical role in saving the destituted world. Through the story education bringing students' lives and the world back to life, I suggests these : First, I suggest the coordination. Second is venting grudge. Third is creating the world, and fourth, transcending deat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우리말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문학작품 고르기

        김수업(Kim, Su-eup)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5 No.1

        우리말을 배우고 가르치는 노릇에는 다루어야 할 자료가 있어야 한다. 그 자료는 크게 두 가지다. 말[言語, language]과 말꽃[文學, literature], 곧 일상의 말과 예술의 말이다. 이 글은 이들 두 가지 가운데서 말꽃을 다루되, 우리말을 배우고 가르치면서 다루어야 할 말꽃송이[文學作品, literary works]를 어떻게 골라야 할지를 논의하는 것이다. 우리말을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들이 말꽃송이 고르기를 걱정하기 비롯한 것은 새로운 세기로 넘어들던 때부터다. 그로부터 이미 꽤 많은 글을 썼고 책도 나왔지만, 우리 현실에 맞추어 차근차근 터전과 바탕을 마련하지 않고 뜬금없이 ‘정전(正典, canon)’을 들먹이며 서양 흉내에 열을 올리는 바람에 힘쓴 일이 현장에 보탬이 되지 않는다. 아무리 바빠도 차근차근 현실에 맞는 터전을 닦고 바탕을 마련하면서 우리말을 배우고 가르칠 적에 다루어야 할 말꽃송이를 올바로 고르는 길을 찾아야 한다. 이 글은 ‘말꽃송이 고르기를 해야 하는 까닭’에서부터 ‘말꽃송이 고르기에 앞서 짚어 둘 일’을 거쳐 ‘말꽃송이 고르기에 쓸 가늠자’까지 바탕이 되는 디딤돌을 놓아 보려고 했다. 앞으로 여러 사람이 함께 슬기를 모아 말꽃송이 고르는 길을 열어 나가면서 믿고 딛어도 좋을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Suitable materials are a fundamental necessity in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are largely of two kinds: everyday texts that deal with ordinary language and works of literature that deal with artistic language. This paper discusses how to select suitable literary works when we choose literatur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was since the beginning of the new century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began to be concerned about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Numerous articles and books have been written on this topic, but almost all are impractical for actual classes because they have just been copying western ways of education by referring to canons without steadily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selection conforming to our realities. What is needed is a systematic way to select works of literature for practical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his paper establishes a basis for systematic selection by covering reasons for having to select literary works for teaching, what to consider before selecting, and selectional criteria. My aim is to open a way for selecting appropriate literary materials and thereby to lay reliable stepping stones for our collective instructional wisdo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교육 지역화의 뜻

        김수업 한국어문학회 2003 語文學 Vol.0 No.80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set up the principle of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and this was further emphasized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How to apply the decentralization, however, does not seem to have been given proper considerat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ways in which Korean as a subject could be made more relevant at the local level. The issue of local implementation of education is discussed on the basi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6th and 7th National Cuticula. This reveals a serious mismatch between the stipulations found in the 'Curriculum Management and Operation in General' section and those found in the 'Individual Subject Cuticula' section. This suggests inadequ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l education experts and the particular subject experts who designed the curricula. The principle of making Korean as a subject more relevant to local circumstances has not been translated into concrete applications. In a bid to fill this gap, some suggestions are put forward, which include the use of authentic language materials coming from local settings, and the tailoring of educational aims and teaching methods to the needs of the local students. This would be consistent with a humanistic perspective of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어교육 지역화를 해야 하는 까닭

        김수업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3 No.-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는 1992년에 고시한 제6차에서부터 지역화 교육을 해야 한다고 했다. 1997년에 고시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지역화 교육을 해야 한다고 거듭 내세웠다. 그러나 10년이 지난 지금까지 국어교육의 지역화는 조금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5차 교육과정 때부터 별도로 지역화 교육을 시작한 사회과를 빼고 나머지 교과들이 모두 같은 사정이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10년을 넘도록 현실에서 이처럼 외면당하고 있는데도 국가의 교육 부처에서는 아무런 조처도 마련하지 않았다. 교육과정의 의도가 현장에서 실현되지 않아도 국가의 부처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는 까닭은 지역화 교육의 의지가 부실했던 탓이다. 지역화 교육을 하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지역화 교육의 명분과 이념을 우리 교육 안에서 찾아야 한다. 남들이 하니까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지역화 교육을 해야 하는 말미를 찾아 붙들어야 한다. 그것은 세 가지 길로서 찾을 수 있다. 첫째는 지난 1700년 동안 이어온 학교 교육이 잘못 걸어온 길을 뼈아프게 뉘우치는 길이다. 둘째는, 지난 50년 또는 100년 동안 걸어온 국어 교육의 길을 가슴 아프게 뉘우치며 나아가고자 하는 길이다. 셋째는, 지구 가족의 시대가 열리면서 세상 구석구석에 지역화 운동을 일으킨 채찍에서 찾은 길이다. 나를 내버려두고 남을 쫓아서 배우려 달려가던 1700년의 학교교육을 되돌리고, 토박이말을 업신여기고 남의 말을 우러러보며 내달려온 반세기 동안의 국어교육을 바로잡고, 세상 곳곳에서 불러일으킨 지역화의 바람에 힘입어 저절로 찾아나가는 길이다. 이것은 우리 겨레의 얼을 깨우고 삶을 북돋우는 커다란 문화사의 사건이지만 억지로 만들어 일으키는 일이라기보다 우리 안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기운에 말미암은 일이다. In 1992, the National Curriculum stated that, from the 6th Curriculum onward, it would be necessary to localize educational aims,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is was subsequently reitera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owever, localization has yet to be implemented. This holds for every school subject, with the exception of Sociology, for which localization started with the advent of the 5th Curriculum. It would appear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ts related institutions have so far been reluctant to initiate the move required from presenting the policy of localization to the public to putting it into actual practice. Meanwhile, teachers have been carefully sidestepping the issue for over a decade. The chief reason why the governmental bodies avoid recognizing the fact that this curriculum policy has held little appeal for people in schools, the author contends, is that the governmental policy was lacking in earnestness right from the outset A sure fact is that the government should not pursue the ideology of localization because it is being done elsewhere. Instead, we should ask ourselves whether localization is desirable in our educational setting, and if so, on what grounds. The issue can be dealt with in at least three ways. First, we could examine the whole history of our 1700 year-old school system in order to see what defects may have been inherited. Second, we could also admit that, for the past century or a half (if counts after the independece 1945), the teaching of Korean in schools has been less than successful, and we could then set out to find what was wrong with it. Third, we could also compare a number of localization initiatives abroad in order to seek an answer. These approaches have one feature in common: They do not rely on simply imitating a foreign trend.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would do well to stop trying to initiate policies gleaned from other countries and to stop using foreign, pedantic jargon because this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y devalue our mother tongue. Localization will represent a true 'paradigm shift' in our education system if, rather than being foisted upon us, it is interpreted as a policy sprouting from a natural tendency to acknowledge our 'national spirit,' and as an initiative that gives a greater sense of purpose ou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