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표인주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7 호남학 Vol.0 No.41
문화의 교류는 공간적인 변화이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공간과 공간의 소통은 나들목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모든 공간의 안과 밖의 왕래가 이루어지는 유일한 출입구다. 나들목은 마을, 지역, 국가 등의 공간 규모에 따라 나누어진다. 이러한 나들목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것이 바로 길이다. 길은 육로, 초원로, 해로, 항로 등으로 구분된다. 전통시대의 길은 육로나 초원로 혹은 해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길 가운데 문명교류의 상징으로 실크로드를 언급한다. 나무꾼과 선녀설화의 형성과정을 보면 몽고의 곡녀설화(鵠女說話)가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유입되어 견우와 직녀설화로 변형되고, 그것이 다시 한국으로 전파되면서 나무꾼과 선녀설화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바리공주설화는 우즈베키스탄에서 발견된 설화와 유사한데, 이것은 한국의 바리공주설화와 실크로드 지역에 전승되는 설화와 관계성을 암시하고 있다. 줄타기는 서역으로부터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전파되고 그것이 다시 최소한 고려시대 이전에 우리나라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장치기는 페르시아로부터 발원한 격구가 터어키를 통해 중국(당나라)에 전파되고, 다시 한국(삼국시대)으로 전파되어 무인들의 무예 연마용으로 성행하다가 조선 중기 이후에 민간화된 놀이이다. 또한 사자놀이는 인도로부터 발원하여 서역의 구자국에 전파되고, 다시 한나라 때에 중국에 들어와 수당시대에 이 놀이가 중국 각지에서 성행되었으며, 그것이 신라에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실크로드는 설화의 전파 통로라는 점에서 설화문학적인 의미가 있고, 민속연희의 기원과 전파통로이기도 하기 때문에 민속예술사적인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Ethno-cultural Status and Meaning of the Silk Road Pyo, In-ju The folk tale of 'A Woodman and a Nymph,' which was originally created around Lake Baikal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China. And the tale of ‘Princess Bari’ may have to do with a tale handed down in the area of the Silk Road. Jultagi, or ‘walking on the rope’ was brought into Korea during the era of Koryeo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via the Silk Road. And Jangchigi, or ‘hitting a ball with a stick' became a popular folk game since the mid of Chosun Dynasty, which was evolved from Gyeoggu. Gyeoggu came into Korea during the era of Three Kingdoms from Tang through Persia and Turkey. And Sajanori, or 'Playing Lions' seemed to come to the Kingdom of Shilla from Han through India and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표인주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1 南道文化硏究 Vol.0 No.21
Lee kyeong hwa 1955, Kwang-ju was born in the village Ji-ne yong-jeon sangsoe was a master stroke Lee ju wan and well-known in the village gong born between Beom bu deok korean traditional music her extraordinary talents of the meals since she was a kid there were who shares the vision of president Bridges. Learning as a full-fledged Korean classical musician O gyeong hwa in 1963 in ‘Seoul geuk dong Dance art company’, led by Chief while enrolled at, a major artistic experience, Dance, Pansori, Pungmul and the like. Lee kyeong hwa the sinnatrium-gut the first half, the middle, the second half(later) made up of which the first half of the bubsa bu-jeong-cheong-bae over the negative released, it's based on the middle from the shaman in earnest gut progress, and later back from the bubsa nae-jeon through the dwi-jeon and that is released to the part. Lee kyeong hwa gut the lives the life of Korean classical musician, gut because the shaman to express an artistic experience that is taking on. By the age of 21 who have experienced prior learning is an artistic representation of the persistence of memory as the cultural skills were formed, which after 30 years as a shaman by mueop introductory activity is expressed as gut-geori while. Lee kyeong hwa not forget the new artistic experiences and cultural memories, with a new meaning by being reproduced gut reactivation culture, and that was the driving force is going to create a new gut-cultural.
표인주 국립무형유산원 2020 무형유산 Vol.- No.8
As human beings interact continuously, and the mind is the expansion of the body, God isnot entirely separated from this world. Rather, God is an entity that continually interacts withit. God is a symbolic entity based on human life, which i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society,and history. Folk Religions are, therefore, this-worldly beliefs to solve the woes in the believers’current lives. First, the shamanistic rituals, the village Gut and the individual Gut , have been changed andsustained as ‘Gut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Gut in Gut-dangs .’ Considering that thereligious meaning of Bujeok , the talismans used in Korean shamanism, could still be found inshamanistic behaviors, such as stone-stacking and wearing ornaments, it is crucial to considerthe shamanistic perspective. Second, the tradition of worshipping household gods has been continued in theGosa tradition. Through symbolic metastasis, the tradition of the Seongju Gosa survivesin housewarming parties, the Teoju Gosa in groundbreaking ceremonies for buildingconstructions, the Siru Gosa in store opening ceremonies, and the ship Gosa tradition in carGosa ceremonies. Third, village rituals have been transmitted as cultural heritages, now that they have been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have been employed in creating traditionalvillages. The religious meaning of village rituals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symbolicmetastasis as their values as cultural heritages, artistic performances, and festivals are beingrediscovered. Folk religions have transformed and withstood the changes in the physical basis fortransmission, which had been based on agricultural labor, as well as the changes in the conceptof time, communities, and communication. 인간은 세계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존재이고, 마음이 몸의 확장이듯이, 신은 세계의 기호적 확장이다. 신은 세계와 분리된 존재가 아니라 세계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존재이고, 자연·사회·역사 등의 영향을 받은인간의 삶에 근거한 기호적 존재이다. 따라서 인간과 신의 의사소통이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켜 주는 실천적 활동으로서 기호적 활동이고, 그것은 다름 아닌 제의를 의미한다. 제의적 의사소통은 인간 삶에 근거한 제물, 몸짓, 소리,언어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제의 방식이나 신앙인의 태도를 기준으로 보면 민속신앙은현세구복적인 신앙이고, 현재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따라서 민속신앙이 생업 방식이농업노동에서 산업노동으로 변화되고, 인구가 집중된 도시와 조직화된 종교가 발달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을 수밖에없다. 먼저 무속신앙의 마을굿과 개인굿이 ‘무형문화재로서 굿’과 ‘굿당의 굿’으로 변화되어 지속되고 있다. ‘무형문화재로서 굿’이 물리적 전승기반인 보존회나 공공 공동체의 지원을 통해 무속신앙적 의미가 문화재적이고 공연예술적 가치로 기호적 전이되어 지속되고 있다. 그리고 ‘굿당의 굿’은 1980년대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굿당 중심으로 지속되고, 굿이 가정에서 굿당으로 이동하면서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다. 그것은 굿하는 시간의변화, 무당이 모셔야 할 신격과 굿하는 분위기가 변화되었다. 가정에서 가택신이었지만, 굿당에서는 산신과 용왕신이 중요한 신격이고, 특히 호남의 가정에서 세습무가 주관하는 굿이 축제적인 분위기에서 이루어지지만, 굿당에서세습무·강신무·법사의 굿은 소규모 인원만 참여하여 주술성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개인굿의 물리적전승기반으로 장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부적의 신앙적 의미가 돌탑쌓기를 비롯하여주술적인 행동과 장신구 착용에서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무속신앙의 관점에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두 번째로 가택신앙이 고사문화로 지속되고 있다. 가택신앙은 가정의 각 공간에 좌정한 가택신에게 가족의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현세구복적인 신앙이다. 가택신 가운데 성주신과 조왕신이 중요한 신격이고, 농업노동을근거로 한 확장지향형 주거 공간 생활이 물리적 전승 기반이다. 특히 분할지향형 공간 인식을 토대로 한 아파트와같은 밀집형 주거공간이 마을의 주거 공간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가택신앙의 관념이 약화되기도 했다. 하지만가택신에 대한 고사는 다양한 현세구복적인 고사문화로 지속되고 있다. 즉 성주고사에서 집들이로, 터주고사에서 토목건축 착공식으로, 시루고사에서 개업식으로, 뱃고사에서 자동차고사로의 기호적 전이가 이루어져 다양한 고사문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로 마을신앙이 문화유산으로서 계승, 무형문화재의 지정과 연계 그리고 전통마을 만들기 차원에서 지속되고 있다. 마을신앙에 대한 문화유산의 계승적 태도가 농업노동과 공간상의 운동 경험에 근거한 ‘시간은 이동이자지속’의 시간관념을 토대로 이루어졌고, 마을제사 지내는 시간이 밤에서 낮으로의 이동은 산업노동을 근거로 한‘시간이 자원이자 돈’의 시간관념이 영향을 미친 것이다. 또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거나 연계된 마을신앙이 보존회나 공공 공동체라는 물리적 전승기...
표인주 전남대학교호남문화연구소 2001 호남학 Vol.28 No.-
The fried-flower cooking play is conducted in March 3 every year. This folk play is held in a liberated place from being in daily life and to get energy for an energetic life. It is a kind of folk play for women in our men-centered society and to strengthen the ties among women. A tug-of-war play is generally held in the 15th of the first lunar month of January. Then the residents make a rope as a symbol of the 'dragon' and that go around with the rope on their shoulder from the neighborhood to fields. In particular, going around with the rope means to go about with the dragon god. The folk play grew out of praying for everlasting water and a good harvest.
마을축제의 영상도식과 은유체계의 이해 - 전남 장성군 삼계면 생촌리를 중심으로
표인주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68 No.-
The ritual sacrifice (dangsanjae), which is continued in the modern society, places more emphasis on the economic value over the realization of religious value. This phenomenon will spread over the nation and will be accelerated. Whereas the dangsanjae in Saengcheon-ri is a ritualistic event for the village god, jisinbapgi is a pungmulgut to appease the house god and the tug-of-war connects the dangsanjae and jisinbapji. The tug-of-war is the event which realizes the sense of community, which is why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dangsanjae, tug-of-war, and jisinbapgias a single village festival. In conclusion, the village festival in Saengchon-ri consists of the dangsanjae, which serve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gods and human beings, the tug-of-war, which connects people to people, and jisinbapgi, which connects families to families. Such events constitute the religious ceremony to pray for abundant crops and the peace in the village, but this village festival could also be interpreted as a cultural ceremony which realizes the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unity between humans and gods (enthusiasm) as well as the integrity among human beings. 현대사회에서 지속되고 있는 당산제가 농사의 풍요나 마을의 안녕이라는 신앙적인 목표, 즉 종교적 가치는 약화되고, 공동체정신을 계승하려는 공동체행사로 진행되거나, 경제적인 도구의 하나인 상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이것은 종교적인 가치 구현보다도 경제적 가치를 우위에 두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나타날 것이며,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생각한다. 생촌리의 당산제가 마을신을 위한 제의적 행사라면, 지신밟기는 가택신을 위무하는 풍물굿이고, 줄다리기는 당산제와 지신밟기를 연결한다. 줄다리기야말로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가 당산제, 줄다리기, 지신밟기를 하나의 마을축제로 이해하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생촌리의 당산제는 시간(제일), 인간(제관), 공간(제당-신)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사 지내는 시간은 연결 도식과 수직성 도식에 근거하여 마을사람들과 마을신의 만남을 결정하고 가정의 공간적인 통합, 그리고 인간과 신의 일체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두 번째로 제관은 연결 도식에 근거하여 마을의 대표성을 지닌 존재이며, 항상 정화된 몸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세 번째로 제당은 수직성 도식에 경로 도식과 반복 도식이 덧씌워져 그것에 근거하여 마을신과 마을사람들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면서 마을신의 영험성과 신성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공간이고, 신앙적인 의도와 결과를 확인하는 곳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본질적으로 차단 도식에 근거한 것이지만 그릇 도식이 덧씌워져 행해지는 금줄치기와 황토놓기는 제당을 완벽한 정화의 공간으로 만들려는 의도임을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사 내용으로서 제사음식은 과정 도식에 근거하여 지극 정성으로 준비되며, 제사절차에서 핵심적인 것은 독축, 음복, 헌식이다. 독축은 경로 도식에 근거하여 인간이 소망하는 내용을 신에게 전달하는 것이고, 음복은 연결 도식에 근거한 인간과 신의 접촉이며, 헌식은 중심-주변 도식에 근거한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제사절차이다. 결론적으로 당산제는 농사의 풍요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신앙적 행사이지만, 마을의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집단적 행사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촌리 줄다리기는 연결 도식과 경로 도식을 근거로 줄을 제작하고 줄 메고 돌아다니며, 음양 도식에 근거하여 줄을 결합하고, 힘의 구조인 흡인 도식에 근거하여 줄다리기의 승패를 결정한다. 줄다리기가 끝나면 묶음과 풀다 도식에 근거해 줄감기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보면 생촌리 줄다리기는 마을의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민속놀이지만,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인 행사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생촌리의 지신밟기는 힘의 구조에 따른 강제 도식/흡인 도식과, 과정 도식/경로 도식/연결 도식에 근거하여 기호적 경험으로 확장된 가정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풍물굿이지만, 마을의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민속놀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생촌리 마을축제는 신과 인간의 의사소통방식으로서 당산제, 인간과 인간의 연결로서 줄다리기, 가정과 가정의 연결인 지신밟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농사의 풍요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종교적 행사이지만, 인간과 신의 일체성(신명성), 그리고 인간과 인간의 통합성을 토대로 한 공동체성을 구현하는 문화행사라고 해석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