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이중출판시장"과 식민지 검열 -"토착성"이란 문제의식의 제기

        한기형 ( Kee Hyung Ha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7 No.-

        이 글은 ``토착성``이란 개념을 식민지의 문화구조의 한 특질로 제시하며 그러한 특질의 형성에 미친 사회적 자질로 이중출판시장과 식민지 검열의 역할을 주목했다. 출판문화는 식민지기 조선 근대문화의 핵심적인 표상체계였기 때문에 그 내용과 구조를 역추적하면 식민지 문화의 심층질서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이론적 문제의식이다. 식민지출판시장은 일본출판시장과의 경쟁, 조선 총독부의 검열이라는 이중의 압박 속에서 생존을 모색해야만 했다. 이 때문에 식민지 검열의 수위에 대한 예민한 인식, 일본출판물이 대신할 수 없는 영역에 대한 섬세한 파악이 출판전략의 관건적 사안이었다. 따라서 전통문화와 비정치적인 주제에 대한 식민지 출판사들의 집중은 어쩔 수 없는 필연적인 현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을 그 표면적인 측면이나 일반적 근대성의 시각으로 접근하여 ``식민지적 순치(馴致)``의 사례로 이해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토착성``이란 용어는 그러한 정치현실에 직면한 피식민자의 합법적 일상 이면에서 작동하는 주체성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In this paper, I presented the concept of ``indigenousness(土着性)`` as a characteristic of colonial Korea`s cultural structure. Also as the social feature which had influenced on shaping such a characteristic, I focused on dual publishing market and censorship of those days. My theoretical basis is that publishing culture was the core representation system in modernity of colonial Korea, so backtracking its contents and structure would be an active way to approach the deep order of colonial cul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Korean publishers had to seek their survival under the duplicated pressure-competition against Japanese publishing capitals, censorship by authorities. Korean publishers noticed enough that it was crucial to maintain acute sense about the severity level of censorship, and to see through accurately which part of market surely not to be encroached by Japanese publications. This means the sector of Korean traditional heritage and non-political topics became an inevitable choice for Korean publishers. However, it would be unfair to regard the then trend of Korean publishing circle only as a mere ``colonial adaptability``-a too-general viewpoint drawn from just paying attention to the ostensible aspect. In this context, ``indigenousness`` is a proper term for comprehending the form, structure, and mentality of subjecthood operating in the hidden side of people`s legal normalcy under such an oppressive political conditions.

      • KCI등재

        식민지검열의 한문자료 통제

        한기형(Han, Kee-hyung) 한국고전번역원 2012 民族文化 Vol.- No.40

        이 논문은 한문자료에 대한 식민지 검열기구의 통제방법과 과정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 필요성을 환기하기 위해서 작성되었다. 그간의 식민지 검열연구가 근대적 출판물에 집중되면서 한문자료의 검열은 연구자의 관심을 받지 못했다. 검열의 문제를 표현의 근대성이란 차원에서만 이해한 결과 전통 한문자료가 근대사회에서 수행한 역할을 주목하지 않은 탓이다. 그것은 전통문화와 근대문화가 중첩되면서 만들어냈던 근대문화의 복잡성을 지나치게 일면적으로 파악한 결과이다. 식민지 검열기구의 한문자료 취급 방식은 근대출판 시스템 속으로 들어온 전통자료들에 대한 일상검열과 식민지 이전, 혹은 식민지 法域밖에서 생산된 자료들에 대한 특별 점검의 형태로 이원화되어 있었다. 일상적인 검열을 통해 얻어진 한문자료에 대한 정보는 출판경찰의 ‘연보’와 ‘월보’를 통해 수습, 정리되었다. 후자의 경우는 조선총독부 경무국이 1934년 ‘조사자료 제37집’으로 간행한?『不穩刊行物記事輯錄』을 통해 그 구체적 양상을 살필 수 있다. 한문자료 검열에서 초점이 되었던 것은 조선의 문헌에서 일본의 권위를 부정하거나 비판하는 내용을 배제하는 것, 그리고 한문문헌을 통해 한중연대의 필요성과 가치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었다. This paper is aiming at promoting awareness of research needs for control methods and process of classical Chinese materials in colonial Korea (1910-1945). Until today the classical Chinese materials under control were outside attention. It is due to the fact that censorship has been recognized solely as an issue of ‘Modernity in Expression’. And therefore, it consequently caused unconsciousness on the role that classical Chinese might have played in transition process to modern society of Korea. This is a result from failure to notice the various facets, in other words, the complexity of modern society being created between dialectical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 culture. The way of treating classical Chinese materials by colonial censorship organ was two duplicated types. In the first, there was usual control over traditional documents under modern publishing system, and secondly existed special reviewing those of pre-colonial era or produced outside legal sphere. The information of the former, namely, about the classical Chinese materials went through censorship review was collected and organized in every Monthly Report and Annual Bulletin of Publication Police. In the latter case, ‘The Index of Seditious Publications’(『Investigation Documents』vol. 37, 1937) by the Police Administration Division may be a meaningful reference to access its concrete situation. The point of focus in the control over classical Chinese materials was to preclude criticism or denial of Japanese Empire’s authority. And furthermore, it was to block the diffusion of ‘Korea-China Conscience Solidarity’?its necessity and validity based on long history sharing a common written language by semantic symbo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법역(法域)"과 "문역(文域)" : 제국 내부의 표현력 차이와 출판시장

        한기형 ( Kee Hyung Han ) 민족문학사학회 2010 민족문학사연구 Vol.44 No.-

        일본 제국 내부의 지역 간 검열 편차와 그 텍스트적 영향을 "법역"과 "문역"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려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법역"은 법과 규칙, 행정행위 등 검열 수단이 특정지역과 그 인구집단에 미치는 효력 범위를 뜻한다. 조선은 일본 제국의 영토로 간주되었지만 법 규정과 행정규칙, 검열기준 등이 "내지"와 동일하지 않았다. 이러한 "법역"의 차이는 검열 강도와 연계되고 이는 다시 식민지 지식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쇄를 통해"내지"와 식민지 텍스트의 비대칭성이 제도적으로 구축되었다. 그 비대칭성으로 인해 각 "법역"에서 허용되는 서술가능성의 임계를 의미하는 "문역"의 이질화가 야기되었다. 하지만 "문역"의 차이를 초래한 원인이 법과 그 운영의 문제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일본 출판자본의 전 제국적 운동 또한 식민지 텍스트의 특수성을 조성하게 만든 요인 가운데 하나였다. 그것은 국가 권력과 자본 활동의 통합적 시각 속에서만 식민지 "문역"의 성격이 제대로 규명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It is supposed there was certain regional deviation in censorship, which caused comprehensive influence on text-reading materials-, inside the Japanese Empire. Demonstrating this point of view, through the unique conceptions-"jurisdiction" and "limits of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in each jurisdiction"-, is what this paper focuses on. The "jurisdiction" means certain sphere within which the criteria such as law, rules and administrative acts applied to censorship were in force over specific region and its residents. During colonial times, Korea was territorially belong to Japanese Empire, but was under the differential censorship criteria unequal to Mainland Japan. This distinction of jurisdiction came to be linked to the strictness differential in censorship, and this situation generally influenced the intellectual culture of colonial Korea. And by extension, this linkage became the background that made an asymmetrical structu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between colonial texts and texts of mainland. As a result, the apodictic distinction due to this asymmetry was brought to the "limits of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in each jurisdiction." Meanwhile, it was not an issue only to be confined to law and its application what caused all these phenomena. That is to say, also the Japanese publishing capital working throughout the empire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factors that created distinctiveness of the colonial texts. These views bespeak that the "limits of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in colonial jurisdiction" could be properly characterized, just with the comprehensive insight into state power and capitalistic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차등 근대화와 식민지 문화구조 인쇄본 구소설과 `하위대중`의 상상체계

        한기형 ( Han Kee-h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2 No.-

        식민지 시기 간행된 `인쇄본 구소설`을 전통문화의 잔재로 이해하는 기존의 일반적 관념을 벗어나 그것을 근대문화의 일부로 간주하고 근대성 해석의 새로운 촉매로 사고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출발점이다. 20세기의 구소설은 식민지 조선 안에서 발흥하고 있던 서구적 근대문화와 공존했다. 그것은 외형적으로 문명 교체기에 나타나는 보편적 중첩의 형태를 띠고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식민지적 간섭이 개입되어 나타난 특별한 문화구조의 산물이기도 했다. `이중출판시장` 상황에서 `내지`의 출판물과 경쟁할 수 없었던 조선출판자본의 강요된 선택이라는 측면과 차등근대화의 전략으로 사회적 헤게모니를 추구하던 조선인 엘리트들에 의해 구시대의 유물로 배제된, 두개의 차별이 구소설과 같은 조선의 전통문화가 근대적 대중화의 과정에서 겪었던 생존의 조건이었다. 그렇지만 구소설은 식민지 `하위대중`의 주체적인 문화결정을 상징하는 존재였을 뿐 아니라 당대 대중의 사회인식과 문화심리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 가운데 하나였다. 그동안 우리는 서구 문화형태를 주류적인 것으로 전면화하려는 압박으로 인해 전통사회의 인식방법과 미학체계가 한국의 근대문화에 미친 실질적인 영향에 대해 무관심했다. 하지만 전통서사에 대한 진화론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그 작용과 파장의 실체를 새로운 각도에서 설명할 수 있다면 한국 근대성에 대한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해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This paper started from these points : printed old style novels during colonial period of Korea ought to be considered not only as a part of modern culture, but also be deservedly comprehended as a new catalyst for appreciating modernity. In other words, we need to be free from a prejudice thinking `printed old style novels` were nothing more than the vestige of old days. In fact, old style novel of 20th century co-existed with western modern culture rising in colonial Korea. It externally seems to be a usual overlapping in age of civilization shift. In other hand, however, we may not miss that it was a result from an unusual cultural structure due to the colonial intervention. There were dual discriminations in the survival condition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old style novel : Publishing old style novels was an inevitable choice for Korean publication capitals who could not compete with advanced publications from mainland Japan; at the same time, old style novels were excluded as a old days legacy by new elites of colonial Korea who were pursuing the social hegemony with a strategy ― discriminated modernity. However old style novel was what symbolized `Colonial Subaltern`s cultural subjectivity and also one of important elements that influenced on social perception and cultural psychology. Due to pressure which would generalize western culture as a main stream, we have been ignorant about essential influences of both the perceptive method of traditional society and aesthetics system. If the substantial role and impact of traditional narrative could be explained from a new perspective, not from evolutionary analysis, I think it might be possible to shed light on the modernity of Korea in a different leve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