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徽慶洞出土 白磁靑華御製思修世子墓誌銘

        김울림 국립중앙박물관 2001 미술자료 Vol.- No.66

        The tomb of Crown Prince Sado(1735-1762) was discovered by Mr. Yi Jong-man at Dongdaemoon-gu Huigyeong-dong 29-1 in November 6th, 1968, where presently corresponds to a hill behind the University of Seoul. Five pairs of porcelain tomb slates with epitaph written on were excavated. In 1979, they were ultimately reverted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s national properties. The tomb consists of ten rectangular white porcelain tablets (16.7cm wide, 21.8cm long, and 2.0cm high). Blue-glaze was thickly applied to both frontal and lateral sides of the slates. Each tablets conveys an inscription on its either lateral sides ; on the right lateral side, is inscribed "Crown Prince Sado," and on the left lateral side, numbers to indicate the order of the tablets. More importantly, on the frontal side of each tablets, is inscribed an epitaph comprising more or less eight lines of 15 characters, stylized in the rectangular hand. The epitaph of the first pair of the tablets consists of 105 characters, the second, 120 characters, the third 117 characters, the forth, 120 characters, the fifth, 48 characters. The content of the epitaph may be divided into five parts. The first part(up to the sixth line of the first pair of the tablets) narrates in a rather apathetic tone the birth of the crown prince and his prominent intelligence. However, the second part(up to the third line of the second pair), instead of commemorating the virtues and achievements of the deceased, castigates his misconducts and prodigality. The third part(up to the fifth line of the third pair) gives a brief account of the Im-O Incident conducive to the death of the crown prince. Touching the climax of the epitaph, the third part explicitly reflects contrition of the heart broken father who had to kill his own son. The fourth part(up to the fifth line of the fourth pair) consoles the spirit of the deceased. The last part(up to the end) recovering calmness introduces the bereaved family members of the deceased. Although the image of the tomb of Crown Prince Sado was released by "Discovered Jmpofant Buriaj Cultural Properties," a catalogue published by the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in 1989, it did not draw much attention from art historians until December 1999. Having undergone a series of restoration, the tomb tablets made its first public appearance as a cultural property of the month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December 1999, and finally created a sensation among scholars. The epitaph on the tablets proven as important as the Im-O Diary, which describes at length the dying process of the crown prince in a rice chest,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c reference to resolve the substantial truth about the death of Crown Prince Sado.

      • KCI등재후보

        雲烟過眼錄譯解(上)

        김울림 국립중앙박물관 2000 미술자료 Vol.- No.64

        Yun-yin-guo-yan-lu(雲烟過限錄) is a catalogue of objects seen by Zhou Mi(周密 : 1232-1298). Literally translated the phrase means "recording of clouds and mists drifted before the eyes." Zhou Mi, a poet, eminent scholar, and connoisseur, evaluated and appraised a large number of paintings, calligraphic works, and antique objects. He, with the help of an other artist-scholar, Zhao Mengfu(趙孟頫 : 1254-1322), reviewed and recorded the title, artist, and provenance of each work. Additionally, Zhou also provided a concise, terse opinion of the object. As a document that chronicles not only works and their creators, but also tracks the collection history, it is considered as an extremely important primary reference in the study of Chinese art history from Southern Song(南宋) to early Yuan(元) Dynasties. After the fall of the any rulership, there is always a re-distribution of wealth and possession. The Northern Song and Southern Song Dynasties are no different. Many works of art that were once held by the royal and aristocrat class during that time became scattered and entered the possession of numerous private individuals. The dispersion of works was recorded in Zhou Mi's catalogue by tracking down each work, examining it, and re-confirming the authenticity of the piece. The importance of Zhou Mi's exhaustive efforts should not be minimized. Through the recovery of Zhou Mi's inventory of objects, the names of various artists and collectors, who had been forgotten in history, resurfaced. With this new historical information, scholars and artist had to reshape their theories on painting styles and the developmental structure of the art world. Zhou Mi's catalogue is a window into the aesthetic tasty of the times and creates a foundation for art criticism and the art of connoisseurship of those days. Yun-yin-guo-yan-lu is reproduced in three different printed texts. The catalogue appears in total in Si -ku-quan -shu(四庫全書), bu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Zhou Mi's text, due to the disjointed context and irregular organization of the text. In Pei-wen-zai-shu-hua-pu(佩文齋書畵譜) Zhou Mi's text appears in an abbreviated form with the inclus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Comparatively to the aforementioned texts, contents in Qing-he-shu-hua-fang(淸河書畵舫) and Shigu- tang-shu-hua-hui-kao(式古堂書畵彙考), are more logically structured and the context is easier to follow. However, like Pei-wen-zai-shu-hua-pu, these books contain an abridged version of Zhou Mi's text. Yun-yin-guo-yan-lu is devided into four volumes. In addition to three volumes written by Zhou mi, Tang Yun-mo(湯允謨) wrote volume four. It is an addendum to Zhou Mi's work. This article consists of the translation of Zhou Mi's Yun-yinguo- yan-lu volume 1 and 2. The translation of the Zhou Mi's catalogue volume 3 and the addendum will appear in this journal's next issue.

      • 《매수필사군자도(梅瘦筆四君子圖)》와 조희룡(趙熙龍)의 유배시기(1851~53) 회화세계

        김울림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2 동원학술논문집 Vol.5 No.-

        조희룡은 19세기 중인 출신 서화가로서 추사 김정희와 함께 19세기 예술계의 핵심인물이었다. 그러나 오늘날까지 단지 추사의 글씨와 그림을 방불하게 그려냈던 추사파의 일원, 혹은 문인화가 담아야 할 정신세계보다는 손재주를 앞세운 벽오사 출신 여항문인의 한 사람으로 취급되어왔다. 필자는 계급적, 집단적 평가를 동반하는 거시적 관점 속에서는 조희룡이라는 인물의 생애와 예술이 간과되기 쉽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보다 미시적 분석을 위하여 고찰 대상을 3년간의 유배시기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매수필사군자도(梅瘦筆四君子圖)》(8폭)가 이 시기의 작품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그의 회화세계를 살펴보았다.

      • 오파(吳派)의 난정수계도(蘭亭修禊圖)에 대한 고찰

        김울림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0 동원학술논문집 Vol.3 No.-

        난정수계도(蘭亭修禊圖)는 중국의 전통적 고사도의 하나이다. 중국 동진 목제 영화9년(353)에 명사들이 절강성 소흥의 명승지인 난정에 모여 제사[禊]를 행하고, 곡수(曲水)에 술잔을 띄워 돌리며 시(詩)를 지었던 일을 나타낸 것이다. 난정수계 고사의 주인공은 당시 동진(東晉)의 대서예가이자 중국 역사에서 서성(書聖)으로 추앙받는 왕희지(王羲之, 307-364)였다. 수계를 묘사한 고사도는 우리나라와 중국에 몇 점이 전해지는데, 난정수계도 중 많은 수가 명대 오문화파의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중국에서의 난정수계도 발생과, 오문화파 작품에서 나타는 양식성과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중국 난정수계도의 성격과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의 수계도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화문 보검(李花文 寶劍)>과 광무·융희년간 예도(禮刀)·예검(禮劍)

        김울림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4 동원학술논문집 Vol.15 No.-

        조선말기 서세동점의 세계사적 흐름 속에서 고종은 황제국으로서의 위상 제고와 근대국가 발전의 계기 마련을 위해 독자 연호인 ‘광무’와 ‘대한’이라는 국호를 사용하고 천제를 올리기 위한 환구단을 건립했으며 『대한예전』에 따라 각종 의례와 제도를 정비하고자 하였다. 복식제도에 있어 칙령 제78호 「육군복장규칙」은 재래식 군복의 혁파와 서구식 군복의 도입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비록 무관의 복장에 국한되는 것이었지만 새로운 형식의 예도가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수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칙령 제14호 「문관복장규칙」(1900)과 「궁내부 및 예식원예복규칙」(1906)이라는 두 차례의 큰 계기를 거치면서 대한제국의 예도는 무관뿐만 아니라 문관으로까지 패용 범위가 확대되었고, 그 형식도 세분화되어 갔다. 대한제국 예도는 융희년간을 거쳐 한일병탄(1910)에 의해 일본식 예도로 교체될 때까지 약 13년간 짧지만 선명한 흔적을 근대사에 남기고 있다. 현재 전하는 대한제국기의 예도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이화문 보검>(1906-1910) 외에도 한국자수박물관의 <민철훈 예검>(1901), <박기준 예검>(1906-1907), 부산박물관의 〈박기종 예검>(1907이전), 광주시립민속박물관의 <김봉선 예검>(1906), 경인미술관의 〈대한제국 육군예도〉(1907이전) 등 모두 6점이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대한제국기의 예도를 구체적인 형태와 도상에 따라 크게 태극무궁화문 육군예도, 봉수형 무궁화문 예검, 정두형 이화문 예검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To lift the country status to an empire and to provide the ground for the development into a modern country, King Gojong adopted his peculiar era name ‘Gwangmu’ and new country name ‘Daehan’, He built Hwangudan to offer the worship to heavenly god and arranged diverse rituals and systems according to Daehan Yejeon. Though it was confined to the costumes of military officers, ‘Army officer costume regulation’(1897) became a first case that a new type of sabre was introduced in Korea. Since then, with two great revisions of ‘Civil officer costume regulation’(1900) as No.14 Edict and ‘Imperial household officer costume regulation’(1906), the sabre came to be worn by civil officers as well as military officers in Korea and its types were diversified. Sabre of Korean Empire used for about 13 years till the colonialization by Japan(1910) has left a clear mark in Korean modern history during such a short while. Presently extant sabres of Korean Empire are six in total: ‘sabre of hammerhead shape and prune design’(1906-1910) in National Museum of Korea, ‘sabre of Min Cheolhun’(1901) in the Museum of Korean Embroidery, ‘sabre of Park Gijun’(1906-1907), ‘sabre of Park Gijong’(before 1907) in Busan Museum, ‘sabre of Kim Bongseon’(1906) in Gwangju Folk Museum and ‘sabre of the Korean Empire Army’(before 1907) in Kyung-In Museum of Fine Art. All these sabres of Korean Empire were not traditional but western style. According to their shape,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3 types: ‘sabre of the Korean flag and Rose of Sharon design’, ‘sabre of the Phoenix head shape and Rose of Sharon design’ and ‘sabre of the hammerhead shape and prune design’.

      • 국립중앙박물관 남산분관품(南山分館品)과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감식안(鑑識眼) :  

        김울림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5 동원학술논문집 Vol.7 No.-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남산분관품으로 분류되는 소장품이 4천1백여 점 소장되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유물들은 근대 일본의 저명한 종교철학자이자 민예운동가인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1961)가 설립한 조선민족미술관의 수장품으로 출발하여, 한국민속학의 선구자인 석남(石南) 송석하(宋錫夏, 1905-1948)의 국립민족박물관을 거쳐 한국전쟁의 와중에 국립중앙박물관 남산분관품으로 접수이관된 것이다. 이 남산품은 크게 송석하의 문화민족주의를 실증하는 콜렉션으로, 일본에서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사상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증명하는 조선민족미술관 콜렉션으로 인식하는 두 가지 방향에서 학계에서 그 존재가 언급되어 왔다. 남산품은 그 현재적 의의와 민감성에도 불구하고 실제적 성격규명을 위한 노력이 적극적으로 경주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남산품의 성격규명을 위해 이관품 목록을 통해 밝혀진 현존유물뿐만 아니라 망실품 및 결번품 그리고 이관이전 타 박물관 대여품 등의 계량적 규모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물질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산품 전체에 대한 실체적 자료를 도출하며, 기존에 발표된 문헌자료들과의 대조를 통하여 원 콜렉터에 대한 추정과 이에 따른 성격분류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남산품이 전시 및 출판을 통해 어떠한 모습으로 공개되었으며 근현대 한국 및 일본의 미술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유물의 역사적, 현재적 의미를 되새겨보았다.

      • KCI등재

        조맹부의 사실적 회화세계와 문인화의 혁신

        김울림 한국미술이론학회 2023 미술이론과 현장 Vol.- No.35

        원대 문인서화가로 유명한 조맹부는 부친 조여은의 취향과 감식안의 영향 하에서 초기부터 사생과 같은 사실적 기법을 깊이 탐구하였다. 중기에는 희작과 같은 북송수묵화 양식들을 폭넓게 수용한 뒤, 이를 자신만의 방법으로 변용하고 결합시킴으로써, 사생과 묵희의 개념을 새롭게 확장시켰다. 장난삼아 사생한다는 뜻의 ‘희위사생’론은 ‘공필사생’과 ‘묵필희작’ 이라는 이질적 기법의 집성을 통해 ‘기운’ 혹은 ‘정성(情性)’을 얻는다는 혁신론이었다. 이는〈이양도〉를 비롯한 일련의 작품들에서 보이는 고도로 복합적이고 균형잡힌 조형세계의 또다른 층위를 해석하는 열쇠를 제공한다. 이렇듯 사실적인 회화세계의 토양 속에서 조맹부는‘전신의 묘’를 다하지 못한 당시 사부화가들에 대한 비판의식을 발전시켜 나갔다. 본고는 문인화에 사실적 화법을 접목시키려는 조맹부의 탐구와 혁신적 방법론에 포커스를 맞춤으로써원대 회화 및 그 향방을 좌우한 그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새롭게 확장시켜준다. Guided by his father’s refined tastes and connoisseurship, Zhao Mengfu’s early artistic pursuits were marked by a realistic approach and a technique of drawing from nature. During the middle period of his career, he embarked on a transformative journey by assimilating various Northern Song ink painting styles, notably playing with ink, and subsequently infusing them with his distinctive creative vision. Central to his innovation was the concept of Xiwei Xiesheng, which sought to achieve a high level of spiritual resonance or inner character through the integration of such techniques as fine drawing from nature (Xiesheng) and brush stroke for fun (Xizuo). These conceptual keywords serve as valuable tools for interpreting the multilayered and intricately balanced artistic world found in his works, such as Sheep and Goat. Within the realm of these realistic paintings, Zhao Mengfu developed a critical perspective prevailing over the shortcomings of his contemporary scholar-gentlemen painters who failed to capture the essence of the natural world. This study enhances our comprehension of Zhao Mengfu’s artistic contributions, emphasizing his exploration and innovative approaches to realistic experiments in literati painting.

      • KCI등재

        원대元代 복고주의와 소동파蘇東坡 이미지

        김울림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34

        Su Shi was portrayed by Cheng Huai-li, He Chong, Monk Miao Shen, Taoist monk Miao Ying, Li Gong-lin, and etc. at his time. Some accredited images of Su Shi were first established in Yuan dynasty. There are Zhao Mengfu’s version, Monk Miaosheng’s version, and half-body portrait image in it. In full body portrait image, he was depicted standing with a bamboo stick, or standing sternly with crossing his hands under his robe. These portrait images always convey a subtle sense of movement with some iconic motifs like wide sleeves of the robe, high hat so called ‘Dongpo-jin’, and black leather shoes. At the same time, they seem to reveal his upright spirit as literati with long torn eyes, mustache, and emaciated cheeks. In half body portrait version in woodcut, he was usually depicted wearing a squarepillar- shaped hat with it’s head folded back and having some constellation shaped dots on his right face. Interestingly, we can easily find out the same dots on the images of famous scholar like Zhu Xi in Song dynasty. These images of Su Shi were carried over to the Ming and Qing Dynasty, and this, I think, shows an aspect of the revivalism of the Yuan Dynasty as a bridge connecting the Song and the Ming and Qing, China. 소동파의 초상은 송대에 정회립程懷立, 하충수재何充秀才, 묘선대사妙善大師, 묘응도사妙應道 士, 이공린李公麟 등에 의해 그려지기 시작했고, 원대에는 소동파에 대한 공인된 이미지가 확립되기 시작하였다. 송설본松雪本과 묘성본妙聲本 및 반신소상본半身小像本 등이 그것이다. 전신상의경우 지팡이를 짚고 있는 책장도와 양손을 모아 차수례를 올리는 듯 보이는 공수도가 있는데 모두심의深衣와 도포, 높은 동파건東坡巾과 흑피혜黑皮鞋를 신은 우안칠분면右顔七分面 입상으로서정지한 듯 미묘한 운동감을 전달해주고, 봉안鳳眼에 성근 수염과 수척한 뺨으로 꼿꼿한 선비의 기상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유사한 점을 가졌다. 원대 판각본을 통해 전승된 반신소상은 머리 부분이뒤로 접힌 방건을 쓰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특히 오른편 광대 쪽으로 나타나는 북두칠성과같은 수개의 사마귀 점은 당시 주자의 반신소상에서도 나타나고 있어서 주목된다. 이러한 동파상들은 명대를 통해 청대로 이어진 것이 확인되는데, 이는 송과 명을 이어주는 교량자로서의 원대복고주의의 일면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