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의 대표적 현대 그래픽디자이너의 표현 특성과 미의식의 재조명

        주혜영,윤민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2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전 세계 디자인계의 주목을 받는 일본의 대표적 그래픽디자이너인 카메쿠라 유사쿠, 다나카 잇코, 후쿠다 시게오, 요코 타다노리, 켄야 하라의 작품 표현특성 및 미의식을 현대적 시각에서 재조명하였다. 특히 2차 세계대전 이후의 1세대 디자이 너인 카메쿠라 유사쿠는 1964년 도쿄올림픽포스터에서 일장기의 떠오르는 태양을 단순한 원형으로 표현하여 세계적 주목을 받았으며, 다나카 잇코는 니혼부요에서 전통적 주제를 단순하고 명료하게 표현하였다. 카메쿠라 유사 쿠, 다나카 잇코의 포스터는 전통 주제를 현대적 시각으로 단순명료하게 표현하였다면, 후쿠다 시게오의 포스터는 착시의 효과를 극대화한 현대적 표현 경향이 두드러 지게 나타났다. 요코 타다노리는 포스터디자인에서 일본의 전통 소재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서구 모더니즘 양식 에서 일탈한 팝아트, 사이키델릭한 표현을 하였다. 마지 막으로 켄야 하라는 비움의 미학으로 여백의 디자인을 활발하게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원천은 사상적으로 불교(佛敎)의 공(空)과 선(禪)사상, 와비·사비(侘·寂), 슈타쿠(手澤), 축소주의를 꼽을 수 있으며 양식적 측면에서 우키요에, 린파 그리고 서양의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았다. 간략한 형태, 추상적 형상, 단순한 색채 등이 주류를 형성 하는 일본 현대 그래픽디자인은 고유한 문화성 정체성과 세계적 보편성의 조화와 균형을 꾀하면서 디자이너들은 자신만의 조형언어를 작업에 반영하였다. 모더니즘 표현 경향 속에서 일본의 전통문화와 서구 모더니즘을 융합하 려는 일본 디자이너들의 화혼양재 표현 경향이라 할 수있다. 이러한 양상은 경제대국이자 동시에 문화대국으로 서의 일본의 모던 이미지를 시각화하려는 디자인계의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특히 5인의 포스터에서 문화적 전통과 미의식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보편적 디자 인을 지향하는 일본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글로컬(glocal) 한 화혼양재를 재조명하였다. 특히 알파벳 문화권 디자인이 주류인 그래픽디자인 영역에서 일본 디자인은 한자, 히라카나, 가타카나를 사용하면서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고유한 일본 양식의 그래픽 디자인 토대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 현대그래픽디자인의 표현 특성과 미의식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중국‧일본의 철학과 미학에 내재한 보편성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계기와 함께 K-Design의 대외적 인지도 확산을 위하여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모바일 기기 UI 디자인의 방향 연구 ╶ 안드로이드의 미니멀 앱 아이콘 디자인을 중심으로╶

        박서령,이동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2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5 No.2

        Despite the recent development of displays, people's attention is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UI design,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related to the problems of excessive minimalism that currently appear everywhere. Therefore,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the present time when the design between the app GUI elements lacks differentiation, each individuality disappears,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elements become ambiguous. Minimalist UI design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design systems of modern times. Previous scuremorphism designs consumed more pixels than needed for real-life metaphor representation at limited display sizes. This has become a very fatal drawback in small displays such as mobile devices, and it can be seen that a change to a simple design that consumes fewer pixels is inevitable as mobile devices become popular. However, these minimalist designs are being abused and misused, reducing user usability and intuition, and making individuality between each element disappear.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look at the design trends and reasons for changes in the UI so far and derive problems with the current UI design, away from ambiguity in the future. After that, we seek the elements that UI design must have to escape from excessive minimalism. Finally, I would like to study the direction in which each element can have differentiation and move toward various design directions. 최근 디스플레이의 발달로 인해 UI 디자인의 중요성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곳곳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미니멀리즘에 대한 문제점과 관련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앱 GUI 요소 간의 디자인 차별성이 부족해지며 각각의 개성은 사라지고 요소 간의 경계도 모호해진 현시점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미니멀리즘적 UI 디자인은 현대의 가장 중요한 디자인 체계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이전의 스큐어모피즘 디자인은 제한된 디스플레이 크기에서 현실 메타포 표현을 위해 필요 이상의 많은 픽셀들을 소모했다. 이는 모바일 기기와 같은 작은 디스플레이에서 매우 치명적인 단점이 되었고 모바일 기기가 대중 화되는 시기와 맞물리면서 더 픽셀을 적게 소비하는 단순한 디자인으로의 변화는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은 남용되고 오용되어 사용자의 사용성과 직관성을 떨어트리고 각요소 간의 개성까지 사라지게 만들면서 극도로 단순해 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잠시 멈춰 미니멀리즘 디자인의 본질을 되찾고 앞으로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봐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의 UI의 디자인 흐름과 변화 이유들을 살펴보고 현재의 UI 디자인이 가진 문제점을 도출할 것이다. 그 후 과한 미니멀리즘에서 벗어나기 위해 UI 디자인이 갖춰야 할요소들을 모색한다. 최종적으로는 각각의 요소들이 차별성을 가지며 다양한 디자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오프라인 유통 기업들의 디자인 경영 성공요인 분석 ╶ 코스트코, 노브랜드, BGF 리테일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하,민채영,진현지,정지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1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4 No.2

        After COVID-19, the online market has been activated and the offline market has been relatively stagnant. However, among offline retailers, Costco, a warehouse-type discount store, No Brand, and BGF Retail, a convenience store franchise, are making efforts to continue their long-term growth through consumers' continued use of their plans despite the sluggish offline marke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success factors of design management of offline distribution stores by investigating how offline stores use design management for corporate management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In order to analyze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three criteria were derived from the literature: corporate management strategy, brand experience strategy, and store experience strategy. Through research methods such as interviews, surveys, and field trips,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a consumer's point of view, and common success factors were derived aft er comparing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mpanies. In addi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that each company should consider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were proposed. 코로나 19 이후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되고 오프라인 시장은 비교적 침체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오프라인 유통 기업 중에서도 창고형 할인 매장인 코스트코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인 노브랜드, 그리고 편의점 프렌차이즈인 BGF 리테일의 경우 오프라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에서도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이용을 통해 장기적인 성장을 이어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 기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매장이 어떻게 디자인 경영을 기업 경영에 활용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오프라인 유통매장의 디자인 경영 성공 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자인 경영 전략 분석을 위해 기업 경영 전략, 브랜드 경험 전략, 매장 경험 전략의 세 가지 기준을 문헌으로부터 도출하였다. 인터뷰와 설문, 현장 답사 등의 방법을 통해 소비자의 관점에서 조사 분석하고 기업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한 뒤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성공 요인을 도출했다. 더불어 향후 각 기업들이 개선을 위해 고려해야할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술·디자인학연구』 연구 동향 분석 ╶ 1998~2022년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김소명,임민지,김동언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3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ommemoration of the 25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the academic journal 『Journal of Art &Design Research』 issued by the Art and Design Research Institute at Kyung Hee University, and in conjunction with its inclusion in recognized journals. The aim was to expand the scholarly and unique domains of art and design pursued by the journal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promot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o achieve th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525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and the 935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from 1998 to 2022.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several key insights. In response to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papers, it was suggest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journal publications. The expansion of the editorial board's composition, considering diversity in contributors and authors based on region, affiliation, and academic field, was recommended. Additionally, the findings emphasized the need to enhance collaboration and research functions among the nine centers, promo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rough increased exchanges.

      • KCI등재후보

        변화하는 일의 형태에 따른 공유오피스 공간 디자인 연구 ╶ 국내 공유오피스 사례지를 중심으로╶

        하시은,이동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2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about the space design’s limitations of the shared office and the direction of the shared office space design according to the changing types of work is examined. Despite the economic downturn caused by the corona virus, the use of shared offices in Korea is increasing. As companies choose to work from home, the proportion of freelancers, including digital nomads, is increas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work shifting from the center of the metropolis to the center of the region, it seems that more research on spaces with various meanings is needed. For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shared offices were explored, and the space design was examined using field visits. First, the change in the form of work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was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shared office was investigated through previous researched cases.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space design by examining the actual use of personal work space rather than public work space. A standard table for spatial design classification was created as a standard for case site visits. A total of four domestic shared office tour sites were selected and visited and used for a total of 7 days. They visited the office, Fast Five, WeWork, and Musinsa studios located in Seoul to summarize each feature, space design, and service. In addition, based on this, a diagram was created based on the previously prepared reference table so that the difference could be clearly identifi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the growth and limitations of the workspace were identified, and in order to explore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hared office, a conclusion was drawn by classifying space elements into variability, mobility, and versatility. 본 연구에서는 공유오피스의 공간디자인과 한계를 살펴 보고 변화하는 일의 형태에 따른 공유오피스 공간디자인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래 공유 오피스의 모습을 그려보고, 모색하고자 한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 불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공유오피스의 이용은 활발해지고 있다. 기업이 재택근무를 택하면서 디지털 노마드를 포함한 프리랜서의 비중이 늘고 있고 이들은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며 더 다양한 환경에서 일하고 원하는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고자 한다. 또한 대도시 중심에서 지방 중심으로 바뀌어가는 일의 개념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있는 공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 다. 연구를 위해 공유오피스의 현황과 사례를 탐구하고 현장답사를 활용해 공간디자인을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의 배경이 되는 일의 형태 변화에 대해 조사 하였다. 공유오피스의 현황을 기존에 연구된 선행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에 근거해 공용 업무 공간이 아닌 개인 위주의 업무 공간 사용 실태를 살펴보고 공간디 자인을 분석하였다. 사례지 탐방에 기준이 되는 공간디 자인 분류 기준표를 만들었다. 국내 공유 오피스 중 총네 곳의 탐방지를 선정하였으며 총 7일간 방문하고 이용 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집무실, 패스트 파이브, 위워크, 무신사 스튜디오를 방문하여 각 특징과 공간디자인 및서비스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이에 근거하여 기존에 작성한 기준표를 토대로 다이어그램을 만들어 차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합 분석을 통해 업무 공간의 성장과 한계를 확인하였 으며 공유오피스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하기 위하여 가변성, 이동성, 다목적성으로 공간 요소를 분류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금융기업의 디자인 경영 모델에 관한 연구 ╶ 라이프 플러스와 현대 카드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욱,설진희,정지연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1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4 No.1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gan and the boundaries between industries collapsed. And as competition intensifies, various corporate management problems are emerging. As customers' needs become vast, companies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them. To solve this, the need for design as a key element of management has become more noticeable. In particular, this trend is evident in financial firms that have relatively lacked awareness of the value of design. Accordingly, Hanwha Life Plus and Hyundai Card were selected as research targets to examine how financial companies perceive design as management factor. It first looked at each management strategy and drew limitations. Then, they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design management strategy for financial firms was derived based on common features. So, it will propose design management as a key strate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oday's companies, provide design management models applicable to today's competitive financial industries.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산업 간 경계가 무너지고 기업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업 경영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고객의 욕구가 더 개인화되고 방대해지면서 기업들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업 경영 전략으로서 디자인 경영 활용의 필요성이 더욱 주목받기 시작했다. 특히, 디자인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기업 내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던 금융 기업들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금융기업들이 어떻게 디자인을 기업 경영의 핵심 요소로 인지하고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화 라이프 플러스와 현대 카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각 기업의 경영 전략과 특성을 살핀 뒤 한계점을 도출해냈다. 다음으로 두 사례를 비교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나타난 특징들에 기반해 금융기업을 위한 디자인 경영 전략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국, 전통적인 기업 경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디자인 사고와 전략으로 디자인 경영을 제안할 것이며 현대적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경쟁이 극대화되는 금융 산업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 경영 모델을 제시하여 경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디자인의 사례를 통한 특성에 관한 연구

        이정선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2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5 No.1

        Recently, there have been growing expectations and concern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 key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enhance human life qualitatively. This phenomenon is also appearing in the design field, so it was judged to be an important time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The research method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process of design,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 order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were derived through case studies and design production through the homep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were finally verified based on professional designer interviews. In conclusion, four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efficiency, economy, functionality, and diversity, and the capabilitie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did not hav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s, the direc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process and the designer role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was propose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design can move toward empathy with users and grow into a designer with the capabilities requir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 KCI등재

        대학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예술디자인연구원의 역할 연구

        임민지,김소명,박 상 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3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6 No.2

        The Art and Design Research Institute serves as a crucial space for foster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playing a key role in discovering new ideas and solutions across diverse fields of art and design. Researchers at such institutes are expected to drive change in response to contemporary trends, undertake pioneering research in the arts and design, and lead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ly understand and document the key roles and responsibilities within the 'Kyung Hee University Art and Design Research Institute,' establishing goals and expectations for fulfilling these roles and envisioning the future. The research involves analyzing policy white papers on design, cultural arts education, reports on university-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and various research reports to grasp and systematize the content related to the roles of art and design research institut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development, the study identifies the perceived limitations by researchers in design institutes and derives the roles that institutes should play in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The Art and Design Research Institute should actively contribute to both academic achievements and practical advancements by fostering idea-sharing platforms through conferences and workshops, strengthening student guidance, enhanc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exchanges, supporting researchers, and emphasizing interdisciplinary design, thereb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integrated design.

      • KCI등재후보

        중국 명·청 시대의 전통문양을 적용한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산시성 핑야오 쇠고기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유택봉,정병국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2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products by selecting the package design of Shaanxi Pingyao beef as a case and integrating Chinese traditional patterns into the package design through a modern perspective and design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existing beef package design and the five design proposals presented by the researcher, the final evaluation criteria were presented through operational definition in accordance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study. The evaluation items were analyzed centering on aesthetics, attention, reliability, uniqueness, and relevance.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ing degree for beef package design were evaluated and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and consumers preferred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the thesis to see if the purchase rate was high.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of the 5 designs presented by the researcher obtained relatively higher scores than existing commercial products in 5 evaluation items. Receiv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erms of purchase, works using traditional printmaking techniques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he survey analysis by age group, consumers under the age of 20 obtained the highest scores in both preference and purchase for works that applied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hinese patterns. 본 연구의 목적은 산시 핑야오(山西平遥) 쇠고기의 패키지디자인을 사례로 선정하여, 현대적 시각과 디자인 방법을 통해 중국 전통문양을 패키지디자인에 융합함 으로써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하는 것이다. 기존의 쇠고기 패키지디자인과 연구자가 제시한 디자인 시안 5 개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의 평가기준에 맞게 조작적 정의를 통하여 최종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평가항목은 심미성, 주목성, 신뢰성, 독특성, 연관성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쇠고기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구매도를 평가,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소비자는 어떤 디자인에 대하여 선호도 및 구매도가 높은지 그 결과를 논문에 제시하였 다. 연구 결과, 연구자가 제시한 5개의 디자인의 대부분이 5개의 평가항목에서 상대적으로 기존의 시판제품 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으며, 특히 전통판화기법을 적용한 작품은 4개의 평가 항목에서 시판제품의 패키지디 자인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구매도 또한 전통 판화기법을 적용한 작품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각 연령별 조사 분석에서는 20세 미만의 소비자들은 중국 전통문양의 현대화를 적용한 작품에 대하여 선호도와 구매도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 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 태권도공연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탐색

        유한철,이영석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2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5 No.2

        This study poses with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Taewondo performance curriculum. The Taekwondo performance curriculum is a new curriculum that combines Taekwondo and performing arts majors. The Taekwondo performance curriculum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some universities, but for continuous development and supplementation, diverse professionals from all levels of society should participate as curriculum developers. The process of intent, reaching an agreement and coordinating with each other is essential. Walker's naturalistic model emphasizes the process in which curriculum developers establish each other's platforms and coordinate public opinion through deliberation. This model is suitable for the participation of curriculum developers with absolutely different majors and background knowledge, such as Taekwondo and performing ar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naturalistic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Taekwondo performance curriculum.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aekwondo performances and related subjects, and the deliberation group should consist of diverse professionals related to Taekwondo and performing arts. In addition, the poses point of the development of the Taekwondo performance curriculum should be a platform, and a deliberation process is needed to review the appropriate methods among the various alternatives based on the value pursued by the Taekwondo performance. When making decisions at the design, the vision of Taekwondo performance, martial arts, and aesthetics should be kept in mind. 본 연구는 태권도공연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에서 출발 한다. 태권도공연 교육과정은 태권도와 공연예술 전공이 융합한 새로운 교육과정이다. 이미 일부 대학에서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지만 지속적 발전과 보완을 위해 각계각층의 여러 전문가들이 교육과정 개발자로 참여해야 한다. 더불어 참여자들이 서로 의사소통하고 타협,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Walker의 실제적 교육과정 개발모형은 교육 과정 개발자들이 숙의를 통해 서로의 강령에 반응하고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을 강조한다. 이러한 모형은 태권도와 공연예술과 같이 전혀 다른 전공 분야와 배경지식을 가진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참여에 적합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적 교육과정 개발모형이 대학 태권도공연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숙의 집단은 태권도와 공연예술 관련 전문가 및 관계자들로 다양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태권도공연과 관련과목이 가진 특수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태권도공연 교육과정 개발의 출발점은 관련 참여자들의 ‘강령’이어야 하며, 태권도공연이 추구하는 가치를 바탕으로 여러 대안 중 가장 적합한 방안을 검토하는 길고 성실한 숙의 과정이 필요 하다. 설계 단계에서 의사결정을 진행할 경우에는 태권도 공연의 비전과 무도성 및 예술성을 염두에 두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