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대학생의 역량모델 개발

        민경석(Min, Kyung Seok),문경환(Moon, Kyeong Hwan),황문규(Hwang, Mun Gyu)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7 경찰학연구 Vol.17 No.2

        최근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대응하여 대학에서는 기존의 ‘지식습득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이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식 학습과 더불어 이를 적용하고 확장시키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경찰관 및 대학생 역량지표와 경찰대학의 교육목표를 토대로 향후 경찰대학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경찰대학생의 역량모델 및 하위요소를 제시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경찰대학생에 대한 교육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역량진단 도구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와 중요도 평정 등을 통하여 1) 전문지식역량, 2) 리더십역량, 3)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4) 자기관리역량, 5) 글로벌역량, 6) 직업의식, 7) 공동체의식, 8) 문화감수성의 8개 역량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이에 따른 진단도구로는 총 8개 영역, 19개 요소에 대해 96문항을 구성하였다. 진단도구에 대한 신뢰도 검증에서 8개 영역, 19개 요소는 0.8이상의 신뢰도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또한 적절한 이론적 모형이 가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개발된 역량지표를 통해 경찰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역량진단조사를 실시한 결과, 8개 역량 수준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더십역량, 직업의식역량, 공동체의식역량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글로벌역량, 문화감수성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역량 진단 결과에 따라 경찰대학 총 이수학점 수의 축소와 소양관련 교과목(예, 글로벌역량, 문화감수성)에 대한 확대가 필요성 등이 제안되었다. 현재 개발된 역량모델과 진단도구를 통해 매년 정례적으로 경찰대학생의 역량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향후 종단적 비교를 통해 경찰대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객관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have demanded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rather than traditional knowledge based education, in which emphases are laid on practical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for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and test for Korea National Police University(KNPU) considering KNPU educational goals, police competency and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discuss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Base on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data analysis, KNPU competency model was suggested as 8 domains, such as professional knowledge, leadership, critical problem solving, self-management skills, global competency, work ethics and cultural literacy. Then the KNPU core competency test consisted of 8 competency domains, 19 sub-domains and 96 items, which showed fairly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ompetency test was administered to KNPU students in Dec. 2016. As a result, the scores of global competency and cultural literacy were relatively low, while KNPU students showed good levels of all 8 competency domains (over 3 points out of 5 on average). Based on the test results, it is required that the number of subjects of KNPU curriculum should be reduced but subjects on global and cultural literacy have to be more emphasized. It should be also mentioned that the competency model and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base for KNPU curriculum reform and evaluation of education effects.

      • KCI등재
      • KCI등재

        경찰리더십 연구동향 분석 연구

        정준선(Jeong, Jun Seo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4

        경찰은 시민사회의 중심에서 수많은 상황에 직면하지만, 이를 현장에서 이끌어가는 리더에 대한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체계적인 경찰리더십 연구와 현장 중심 교육을 수행하기 위하여 2018년 5월에 ‘경찰대학 리더십센터’를 설립하였다. 본 연구는 ‘경찰대학 리더십센터’의 연구 ·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경찰리더십 연구을 위한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경찰’ 및 ‘리더십’을 키워드로 검색된 289편의 학위 · 학술논문 가운데 109편을 선정하여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시 중복문헌을 배제한 94편을 대상으로 리더십이론,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 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리더십 연구는 일반적인 리더십 연구 동향과 유사한 흐름으로 행정학 · 정책학 관점에서 경찰리더십에 접근하였으며, 리더십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없었고, 다수 연구가 단발성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경찰리더십 연구는 통합적 접근방식에 따라 일대일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대상은 경찰공무원 또는 경찰 업무 전체를 대상으로 중간관리자 또는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의 부하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에 편중되었다. Police face many situations at the heart of civil society. However, the education of the leaders who lead the situation in the field is not properly performed. For this reason,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was established in May 2018 to conduct systematic police leadership research and field-based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and to suggest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study of police leadership. For research purposes, 109 of 289 degrees and academic papers searched under keywords for ‘police’ and ‘leadership’ were selecte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zed. Next, in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leadership theory,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for 94 books that excluded duplicate tex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lice leadership research tended to be similar to general leadership research,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cademic papers approaching police leadership from an administrative and policy perspective. No research has been approached from a leadership perspective, and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a single fashion. Second, the study of police leadership was focused on the one-to-on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tegrated approach. Third, the research target was focused on the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leadership of the mid-level or top-level managers on the overall performance of police officers and police affairs. Fourth, the research method was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and education directions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Leadership Center”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basic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police leadership should precede. Second, qualitative and longitudinal research that reflects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leadership is necessary. Third, research on competency models for police leadership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based on field cases are necessary.

      • KCI등재

        절차적 공정성 인식이 경찰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 합법성 인식과 경찰신뢰의 연속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준하,조영일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절차적 정의 이론에 대한 의의를 시민들이 법집행 기관에 협력하고 법에 순응하는 ‘인지적 그리고 심리적인 경로를 설명’하는 점에 집중하여 절차적 공정성의 증가가 경찰 협력 의사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심리적 경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절차적 공정성 인식과 경찰 협력 의사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로서 합법성 인식과 경찰 신뢰를 선정하였다. 또한 절차적 공정성 인식의 증가가 경찰 협력 의사 제고까지 이어지는 인지·심리적 경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연속 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SPSS 25.0과 Mplus 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차적 공정성 인식이 경찰 협력 의사를 예측하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절차적 공정성 인식과 경찰 협력 의사의 관계에서 합법성 인식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절차적 공정성 인식과 경찰 협력 의사의 관계에서 경찰 신뢰의 완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넷째, 절차적 공정성 인식과 경찰 협력 의사의 관계에서 합법성 인식과 경찰 신뢰의 연속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잘 활용되지 않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수들의 관계를 더 명확하게 검증했다는 점과 연속 매개모형을 통해 절차적 공정성 인식이 어떠한 인지적 및 심리적 경로를 통해 시민의 자발적인 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procedural justice theory on understanding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pathways” that increase procedural fairness affects the enhancement of police cooperation intentions. To verify this relationship, based on prior research, the lawfulness and trust in police were selected as dual mediation variables. This dual mediation model was established to understand in detail the psychological pathways that increased awareness of procedural fairness leads to the enhancement of police cooperation intentions. First, the path where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predicts police cooperation inten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aw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and police cooperation inten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police tru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and the police cooperation inten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and police cooperation intenti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lawfulness and trust in poli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clearl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at are not well utilized in previous studies. Also,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what cognitive and psychological pathways the perception of procedural fairness affects citizens' voluntary cooperation intentions through dual mediation models.

      • KCI등재

        경찰관의 신체적 물리력 행사에 대한 연구: ‘美 조지 플로이드 사건’을 중심으로

        옥정석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1 치안정책연구 Vol.35 No.2

        경찰관의 신체적 물리력 행사는 경찰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 지난해 5월, 美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발생한 40대 남성의 사망 사건은 미국 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경찰 물리력 행사에 대한 강렬하고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해 주었다. 흑인 남성이라는 인종적 갈등 문제뿐만 아니라 경찰관에 의한 과잉된 물리력 행사라는 불법적 행위가 사회적 비난의 근거가 되고 있다. 경찰관의 과잉대응 문제는 경찰 법집행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 부분이다. 경찰 목적 달성을 위해 신체적 물리력을 행사할 때 과잉대응 문제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2019년 11월부터 시행된 경찰 물리력 행사 규칙(경찰청 예규 제550호)상 구체적 판단·행위 기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 물리력 행사 규칙상 다양한 물리력 중 신체적 물리력에 집중했고, 특히 美 조지 플로이드 사건에서 드러난 목 제압의 위험성 측면에서 경찰 물리력 행사 규칙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목 제압 방식에 대한 구체적 행위 기준 부재, 관련 교육 미실시 등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경찰 현장에서 대상자의 안전과 법집행 정당성 확보를 위해 목 제압 방식에 대한 구체적 행위 기준 마련, 동료 경찰관 개입 의무 신설, 신임 경찰 교육기관에서부터 체계적인 교육 실시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hysical force by police officers should be limited to the minimum necessary to achieve the police purpose. In May last year, the death of a man in his 40s in Minneapolis, Minnesota, delivered a strong and significant message about use of force in the United States and around the world. Not only the racial conflict of black men but also the illegal behavior of excessive physical force is the basis for social criticism. The problem of police officers' overreaction is a part of continuing to think and improve to secure the legitimacy of law enforcement. In order not to lead to excessive response problems when police officers exercise physical force, it is necessary to examine specific criteria for judgment and conduct under the Police Use of Force Rules (Police Agency's Regulation No. 550), which took effect in November 2019. This study focused on physical force among the various forces in the Police Use of Force Rules, especially in terms of the risk of neck restraints revealed in the George Floyd case in the Police Use of Force Rules were reviewed. As a result,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specific standards for physical force on the neck and the failure to implement related training were identified.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ubject and the legitimacy of law enforcement, measures such as preparing specific standards of conduct for the neck restraint, establishment of obligations to intervene by fellow police officers, and systematic education from Central Police Academy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국민 시각을 반영한 112신고 코드 체계에 관한 연구

        이지은,최 훈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3 치안정책연구 Vol.37 No.2

        As the demand for police services increased rapidly while police personnel failed to comply, the police introduced a 112 code system as part of a differential police response. However, the public is still demanding a quick and professional response from police officers. This study sought to reflect the public's perspective in the 112 reporting code in order to harmonize the seemingly contradictory code system with the problem of public satisfac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the public and the police with 100 cases based on actual reported cases, and analyzed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a mixed-model two-way ANOVA using pre-code (code0/ code1/ code2/ code3/ code4) and group (public/ poli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de by respondents as 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main effect of pre-code’and 'interaction between pre-code and group' were found. In addition, through independent t-test for all cases, cases in which the public and the police officer assigned different cod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s, the public respondents tended to give more urgent codes than the police for reports related to "human damage" and "public safety," and the police tended to give more urgent codes for "material damage" and "report with unclear contents." In addition, public respondents gave high codes for infringement of public risk and life, low codes for noise and traffic inconvenience, and moderate codes for property infringement. In addition, they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assigning codes based on practical risk rather than legal punishment. In order to reflect these analysis results in the code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3-track approach, that is, ① reflecting the public's perspective, ② maintaining the existing police position, and ③ improving public awareness. In general, the public's perspective should be reflected in the police code, and reports with unclear contents should maintain a high cod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public awareness through media and local police activities regarding 112 reports on other institutions' work. 경찰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급증하는 반면 경찰 인력은 그에 따르지 못하자 경찰은 차별적 경찰대응의 일환으로 112신고 코드 체제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국민들은 여전히 경찰관의 신속하고 전문적인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듯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코드 체제와 국민 만족도 문제를 조화시키고자 국민 시각을 112신고 코드 체계에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신고사건을 토대로 100건의 사례를 구성, 국민과 경찰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접수 당시 코드(코드0/코드1/코드2/코드3/코드4)와 집단(국민/경찰)을 독립변수로, 응답자가 부여한 코드를 종속변수로 하여 혼합설계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한 결과, 유의한‘접수당시 코드의 주효과’ 및 ‘사전 코드와 집단간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전체 사례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국민과 경찰관이 서로 상이하게 코드를 부여한 사례들을 선별하였다. 이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국민은‘인적 피해’ 및 ‘공공 안전’과 관련된 신고에 있어 경찰보다 더 긴급한 코드를 부여하고, 경찰은 ‘물적 피해’ 및 ‘내용이 불명확한 신고’에 있어 더 긴급한 코드를 부여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국민은 공공위험과 생명신체에 대한 침해에 대해서는 높게, 소음․교통불편․분실습득 등에 대해서는 낮게, 재산 침해에 대해서는 중간 정도의 코드 부여를 하였고, 법정형보다는 실질적 위험성을 기준으로 한 코드 지정, 주취 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코드 부여 및 분실 습득에 대한 최하위 코드 부여 등의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코드체계에 반영하기 위해 신고 접수 요원 및 지역 경찰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종합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3-track 접근, 즉 ① 국민 시각 반영 ② 기존 경찰 입장 유지 ③ 국민 인식 개선의 방식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분야에 있어서는 국민의 시각을 반영하되, 내용이 불명확한 신고의 경우 현재처럼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코드 지정을 하도록 하고, 타기관 사무임에도 자주 신고되는 유형의 신고에 대해서는 경찰 소관 업무가 아님을 언론 및 지역 경찰 활동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함으로써 국민 인식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경찰공권력에 대한 시민의 인식이 범죄안전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규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8 치안정책연구 Vol.32 No.1

        Police officers must perform their duties legally and strictly. Because police power is the basis for maintaining order. However, the situation of policing in Korea is different from the expecting role of modern nation police. Field police officers are suffering from the performance of their duties due to serious violence against the law or order violators. The neglect of police power can create various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police power on the crime safety of citize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ublic perception of compliance with basic order, perception of neglecting public power, and perceived appropriateness of punishment for violators of police authority were negative compared to the averag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ions in perception of police power. As age increased, the perception of neglected police power was low. Sex was not a factor in the perception of police power. Third, influencing factors of crime safety were: ① crime response satisfaction of police (p <.001) ② compliance perception of basic public order (p <.001), ③ perceived seriousness of weakening police authority (p <.05). 경찰공무원의 적법한 직무권한은 엄정하게 집행되어야 한다. 경찰공권력은 치안질서를 유지하는 근본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에서 경찰권이 집행되는 여건과 수준은 회의적이지 않을 수 없다. 경찰관들은 법규 또는 질서위반자들로부터 심각한 수준의 항거와 무분별하고 부당한 불응으로 인하여 적법한 직무집행에 심각한 방해를 받고 있다. 정당한 공권력에 대해 저항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경찰공권력의 권위를 저하시키는 부작용을 야기하게 된다. 저하된 경찰공권력은 시민들에게 불안감을 가중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경찰공권력에 대한 인식이 시민들의 범죄안전감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려는 목적에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들이 인식하는 기초질서 준수와 공권력 존중은 평균보다 낮았다. 경찰공권력 침해자에 대한 법적처벌의 적정성도 평균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둘째, 경찰공권력에 대한 인식에서 세대 간 차이가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낮은 연령층에서 경찰공권력 경시풍조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경찰의 범죄대응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경찰공권력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범죄안전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경찰의 범죄대응에 대한 만족도(p<.001), 국민의 기초질서 준수에 대한 인식( p<.001), 경찰공권력의 침해의 심각성인식(p<.05) 순서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치경찰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소고

        곽영길,이승철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9 치안정책연구 Vol.33 No.3

        현재 한국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자치경찰제가 실시되고 있고 제도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진정한 의미에서 자치경찰제는 요원한 상황이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지역에 적합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치경찰제의 도입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이에 현 정부에서는 「경찰법」을 전면 개정하여 「국가경찰 및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을 의원입법으로 발의하였고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이 법률은 자치경찰제 도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주민 수요에 적합한 다양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 전체의 치안역량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참여의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현 정부안에서 도입하려는 시·도 경찰위원회를 고찰하고 이와 함께 일선 공무원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파악한 자료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시·도 경찰위원회제도의 구성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 정부안의 시·도 경찰위원회는 과거 역대 정부가 주장한 시·도 경찰위원회를 다소 발전시킨 방안으로 생각되나, 시·도 경찰위원회가 실질적이고 능동적인 주민참여의 통로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향후 입법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보다 심도 있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첫째, 시·도 경찰위원회는 단순한 심의·의결기관으로 형식적인 주민참여가 아닌 능동적이며 실질적인 주민참여의 실현과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독립적인 행정위원회 기관형태로 설립되어야 한다. 또한, 시·도 경찰위원회의 자치경찰에 대한 관리·감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도 경찰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결정권과 감독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입법화해야 한다. 둘째, 주민참여를 활성화하는 측면에서 시·도 경찰위원회의 위원은 7인 이상 10인 이하로 하는 것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적정하다고 사료된다. 이때 1인의 위원을 대법원이 추천하는 것은 주민참여의 취지와 부합하지 않으므로 재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시·도 경찰위원회의 서무는 독립하여 수행토록 하고, 위원회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사무국을 시·도 경찰위원회 내에 두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urrently, only the Jeju Special Municipal Province has a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and due to the incomplete system, the real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is a long way off. Therefore, it is said that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a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that can provide adequate security services to the regions nationwide. Accordingly, the current government proposed the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Municipal Autonomy Police」 by revising the 「Police Act」 and is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law aims to provide various security services suitable for the needs of residents and strengthen the security capabilities of the entire nation by providing legal ground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unicipal Autonomy police system. In this study,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were reviewed to introduc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guarantee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at the same time, based on data identified through a survey of the perceptions of frontline government officials, the government wanted to present desirable measures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 system. While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are thought to have improved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somewhat, they believe that the following matters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legislation process in order to ensure that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function as channels for practical and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First, the institutional form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committee to ensure active and practical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political neutrality, not as a mere deliberation and decision-making institution. In addition, a measure should be enacted to give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the right to decide and supervise the policies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at least seven members of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 terms of boosting residents’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it would be appropriate to make up a seven-ten-member committee, and the Supreme Court’s recommendation of a single member should be raised to be far from public particip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ordination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independent and to consider having the secretariat within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to carry out the commission’s duties.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정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윤현석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7 치안정책연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pressure and physical risk from the job enthusiasm, the social support of the police officer who can change the cognitive function and the attitude toward the job, the job passion, the ego resilienc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7 police officers who were working at the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ve statistics and variables. Hierarchical linea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pectively. Baron and Kenny 's proposed mediator effect validation method was applied and the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of police officers, there was a partial correlation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ers and social support, job passion, and self-reliance.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of police officers can be considered as a factor explaining job passion and ego-resiliency.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police officers and job enthusiasm can be interpreted as the job enthusiasm of police officers in combination with ego–resiliency. 본 연구는 직무자체에서 오는 심리적 압박과 육체적 위험, 일선 현장에서 시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대해 인지작용의 변화와 직무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지지, 직무열정,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정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시에 재직중인 경찰공무원 357명이며,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하였고, 변인들 간의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선형 중다회귀분석(HLMR)을 산출하였다. Baron & Kenny의 제안된 매개효과 검증법을 실시하였고, 매개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Sobel test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변인 구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경찰공무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직무열정, 자아탄려성 간이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경찰공무원의 변인 구성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경찰공무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열정과 자아탄력성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예측할 수 있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정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경찰공무원의 직무열정은 자아탄력성과 결합하여 직무열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정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더해져 효과를 얼마나 높이는지를 확인하고 경찰공무원의 직무열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