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배제감에 미치는 영향

        박능후,장춘명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한국사회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배제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한국복지패널 2012년 7차년도의 자료 를 이용하여 55세 이상 70세 이하의 중고령자 14,604명을 대상 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 본은 개인의 인식에 따라 주관적 배제감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 다. 둘째, 주관적 배제감 수준에서는 경제 영역이 가장 높은 요인 으로 확인되었으며, 성별 측면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주관적 배제 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배제감에 미치 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경제영역, 고용영역, 건강영역 등에 영향 을 미쳤으며, 인구학적 특성으로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 및 혼인상태가 주관적 배제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사회적 자본 하위 영역의 경우 경제 배제감에서 신뢰, 호 혜성, 사회적 관계망이, 주거 배제감에서는 신뢰, 시민적 규범의 식, 사회적 관계망이, 고용 배제감에서는 신뢰, 호혜성, 시민적 규범의식, 사회적 관계망 등이, 건강 배제감에서는 신뢰, 호혜성, 시민의 규범의식, 사회적 관계망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주거 배제감과 건강 배제감 영역에서는 시민의 규범의식이 높을수록 주관적 배제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고령자들의 주관적 배제감을 완화하는데 사회적 자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관적 배제를 겪고 있는 중고령자 집단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강화 방안을 생활 영역별로 특화하여 강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 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eterminants of the social capital in the subjective exclusion. The cases of 14,604 middle-aged householders with 55~70 years of age(KOWEPS, 2012)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re used for this study. The main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 the level of social capital had a great affect in the subjective ex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nomy was the highest determinants in the subjective exclusion. In terms of gender side, level of female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in subjective exclusion. In the present study, the major determinants of the social capital in subject exclusion was analyzed. In aspects of economy and employment, subject exclusion was getting higher as long as trust, reciprocity, the standard of citizen’s self consciousness were getting lower. On the other hand, in aspects of housing and health side, subject exclusion was high as long as the standard of citizen’s self consciousness was getting higher. As a result of this study, social capital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group of the middle-age householders to solve their consciousness on the subjective exclusion by specializing in terms of life style.

      • 경찰활동 수준에 대한 인식이 비공식적 사회통제에 미치는 영향

        이재경,정만성,장초록,장현석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경찰의 가시성과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집합효율성 이론에 의하면 주민들의 응집력이나 결합력, 그리고 비공식적 사회통제가 강한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범죄율을 보인다고 하였다. 따라서 비공식적 사 회통제를 향상시키면 지역사회 범죄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에서 주민들 사이의 유대, 신뢰, 집합적 효율성이 높을 때 경찰에 대한 신뢰 또는 만족도 또한 높 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따라서 주민들 간의 비공식적 사회통제 역량강화에 경찰의 활동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을 도출할 수 있다. 공식적 사회통제를 담당하는 경찰의 가시적 활동이 비 공식적 사회통제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조사하였 다. 이 연구의 데이터는 2012년 형사정책연구원에서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서 실시한“지역사회 범죄위험에 관한 조사”를 활용 하였다. 종속변수로 비공식적 사회통제를 사용하였고, 여기에 영 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인 경찰활동 인식은 경찰의 가시성을 사용 하였다. 통제변수로 응답자의 연령, 성별, 수입, 학력, 거주형태, 거주기간, 사회적 무질서, 물리적 무질서를 투입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인 경찰의 활동인식은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정적(+)인 관계를 나타났다. 통제변수로 사 용된 변수 중에서는 사회적 무질서와 성별, 거주기간은 부적(-) 인 관계를 보였으며, 연령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서 비공식적 사회통제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olice visibility and informal social control. Collective Efficacy Theory claims that high cohesive community and high informal social control areas show low crime rate. So, increased informal social control will help solve the community crime problems. Also, confidence in the police studies show high bond, trust, and collective efficacy of community increases confidence in the police and satisfaction of the police. From these study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an idea of formal social control such as police visibility on the formation of informal social control. The data used was 2012 Community Risk of Crime Survey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Police visibility wa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and gender, age, income, education, residential type, residence period, social disorder, and physical disorder as control variables to conduct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olice visibility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formal social control when gender, social disorder, and residence period has negative relationship and age has positive relationship.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olitical proposals on how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informal social control in community.

      • 낙인 이론에 입각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경로 과정: 정신보건세팅별 비교 연구

        민소영,오금주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한국사회연구 Vol.17 No.1

        정신보건서비스의 궁극적 목적은 이용자의 삶의 질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정낙인이론에 근거하여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지속적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낙인이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 관계를 갖는지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특히 이러한 경로 과정이 주요한 정신보건세팅인 정신보건센터, 정신요양시설, 사회복귀시설 내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조직 형태별로 사회 복지적 개입방안의 차별성을 찾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총 563명의 정신장애인이며, 정신보건센터 233명, 사회복귀시설 142명, 정신요양시설 188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 었다. 주요연구결과는 첫째, 공동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는 치료진의 지지가 높을수록 낙인지각이 높았다. 둘째, 타인의 지지 나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아지고 삶의 질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비하감이나 낙인지각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떨어졌다. 끝으로,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삶의 질을 설명하는 변수들 간의 경로가 세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ultimate goal of mental health services is to increase quality of life of mentally ill per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associations in social support, perceived stigma, reBection experience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 by comparing different mental health service setting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has been conducted with 233 persons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142 persons from 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and 188 persons from mental nursing facilities. Pulled data analysis showed that while mentally ill persons with more support from treatment providers perceived more stigma. Second, those who received more supports from others and family member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more self-worth and higher quality of life. Third, more self-deprecation and perceived stigma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quality of life. The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service settings showed the different process of association among interest of variables.

      • 외국인에 대한 수용태도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를 중심으로

        최명현,이민식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한국사회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매년 정책지표 개발과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수집하는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의 2010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주민들의 외국인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른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시 중에서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외국인이 체류하 고 있는 영등포구 거주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범죄에 대 한 두려움은 외국인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일수록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영등포구 거주민들은 본 연 구에서 설정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기타 변인들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가 높고, 사회참여 정도가 활발할수록, 가구의 소득이 높을수록 더 큰 범죄에 대 한 두려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연구범위 를 일부 지역으로 제한함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추측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고려해 지역 토착민의 외국인에 대한 수용정도는 그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강한 결정요인으로 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지역 주민과 체류외국인 모 두가 만족하고 공존할 수 있는 다문화사회의 정착을 위해 서 로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이 확대됨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native peoples’ attitude toward foreign people affect their fear of crime. The topic was examined using the 2010 Seoul Survey data execu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rom this data, 1,884 people are selected whose dwelling place located in the Yeongdeungpo-gu where the top late residental area to foreign people in S. Korea. The findings show the residents who have favorable Attitude toward Foreign People are less likely to feel fear of crime victimization, this result satisfies the hypothesis. whereas the people who more participate local club and trust local government are more likely to perceive fear of crime victimization, these results counter previous research and research hypothesis.

      • 표본조사를 활용하는 사회과학연구에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개념적 고찰

        이 건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한국사회연구 Vol.17 No.1

        사람들의 생각, 태도, 개인적인 신념 등에 관한 조사는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지 않고 주로 모집단의 일부인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함으로써 전체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한다. 이러한 표본조사방식은 시간·비용적인 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표본을 이용한 동시에 조사는 많 은 오차를 수반한다. 그렇기에 표본조사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관리가 조사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조사 과정에 잠재되어 있는 모든 오차를 일컬어 종합조사오차 (Total Survey Error)라고 하는데, 종합조사오차를 구성하는 오차들을 유형화 해보면 모집단의 일부만을 조사함으로써 생 기는 표본오차(sampling error), 목표모집단과 표본추출틀 (sampling frame)과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커버리지오차 (coverage error), 표본추출을 통해 생성된 모든 조사대상자 들과 (단위 무응답자들을 제외한) 응답자들의 체계적인 응답성향의 차이로 나타나는 무응답오차(nonresponse error), 면접원, 응답자, 질문지, 사회소망성(social desirability)현상 등에서 비롯되는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 그리고 조사 후에 코딩 등의 오류로 인한 처리오차(processing error) 등 크게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 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차들의 유형별 제 개념 및 이러한 오차 들이 조사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고 한국의 비표본오차에 대한 조사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Survey research is commonly used when a researcher wants to investigate people's opinions, attitudes, and beliefs in a particular area or society. A sample survey is a very efficient tool in that one can estimate population characteristics with a small number of samples. The sample survey, however, involves many potential errors, known as total survey error (TSE)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SE includes sampling error which arises when a sample is used instead of the population, coverage error stemming from a mismatch between the target population and sampling frame, nonresponse error which results from systematic differences in responses between total sampled persons and respondents, measurement error due to interviewer, respondent, questionnaire, and social desirability, and processing error stemming from human errors such as coding after data collection. This study will mainly discuss what TSE means and how it negatively affects the survey data quality, and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quality survey research in Korea.

      • 특수교육분야에서의 캐리어 이행 지원을 둘러싼 거시적 통찰

        조원일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연구 Vol.19 No.-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분야에서의 캐리어 이행 지원을 둘러싼 거시적 통찰을 위해 일본의 상황을 중심으로 다음의 두 가지 연구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본의 장애인을 둘러싼 사회보장 전반의 거시적 시좌에 관해서, 한일 양국의 사회보장 전반의 공 통점과 차이점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상기 분석을 바탕으로 한 캐리어 이행 지원교육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학령기 때의 캐리어 이행 지원에 관해서는 일본 특별지원교육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고찰 결과, 향후 한일 특수교육계가 지향해야 할 바로서, 캐리어 이행 지원의 목적이 직업의 영위를 넘어 장애인의 생애주기 전체를 염두에 둔 사회 전체 문제에 대한 대응이 되어야 할 것, 그 과정에서 장애 당사자(부모)의 욕구에 기반한 자기 결정권의 존중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acro review of carrier transition support at special education. Firstly, I considered common ground and difference of social security system between Japan and Korea. Secondly, I considered meaning of carrier support through above mentioned analysis, especially focused on special support education of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in Japan. As results, I suggested the goal special education academy in Japan and korea should pursue as follows. Firstly, the purpose of carrier support should be put not as vocational rehabilitation but as coping with total social problem. Secondly, respect of self determination based on disabled people or their parents should be done.

      • 방과후돌봄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또래애착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준호,주은선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한국사회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방과후돌봄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방과후돌봄은 가족돌봄과 사회적 돌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돌봄과 사회적 돌봄의 한 형태인 방과후교육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영향 여부와, 또래애착 및 공동체의식의 매개역할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가족돌봄의 질은 부모의 친구관심으로 대표된 다. 방과후교육은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다양한 돌봄서비스 이용 경험으로 측정한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KCYPS) 2011년도 초등 5학년 아동과 보호자 2,200명의 데이터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방임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다. 둘째, 방과후방임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부적인 영향은 일부 공동체의식을 통해 매개된다. 셋째, 가족돌봄의 질 제고는 공동체의식과 또래애착을 증진시켜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인다. 넷째, 방과후 교육은 공동체 의식과 또래애착을 증진시킴으로써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oles and importance of the after-school-care.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effects of the after-school-care on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children in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concept of afterschool- care includes family care and after-school-education which is one of social care types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reveal the effects of the family care and after-school-education on the school life adapt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er attachment and the sense of community. If the family care is not provided after school, as it were, the child is alone during the weekdays is the first independent variable. The second independent variable is the quality of family care which is represented as the degree of parents’ interests in their child’s friends. Thirdly After-school-education is measured as the experience of various public or private education for children. We use the data KCYPS which includes 2,200 cases of parents and children in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hose. First, the care gap of after-school-care has negative effects on the school life adaptation, however medi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are not valid. Secondly, some parts of negative effects of the care gap are mediated by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children. Thirdly, the quality of the family care promotes the school-life adaptation by increasing peer attachment and the sense of community. Fourthly, afterschool- education increases the school-life adaptation. These effects are mediated by enhanced peer attachment and the sense of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