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고급학습자들의 역번역문에 나타난 복합적 구성의 양태 표현 연구 -역번역문과 자가수정 자료를 중심으로-

        허용 ( Heo¸ Yong ),박은정 ( Park¸ Eun-ju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7

        본 연구의 목적은 역번역문을 통해 번역 전공 고급한국어 학습자들의 양태 표현의 번역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학습자들의 역번역 문장에 나타난 양태 표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태 표현을 누락시키거나 정확하게 쓰지 못하고 있다. 문장에 나타난 서술어로 문장 구성이 완료된다고 생각하는 학습자들은 서술어에 덧붙어 표현되는 양태 표현에 주목하지 않는 것이다. 둘째, 언어연수과정에서 학습한 초급 단계에서의 추측 양태 표현 ‘-(으)ㄹ 것이다’ 형태의 사용에 머물러 있다. 고급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문장에 사용되는 다양한 양태 표현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어 이런 부분에 대한 교수ㆍ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번역전공 고급학습자들이 동일한 의미의 문장을 다른 다양한 문장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모국어와 한국어는 다른 언어이므로 같은 문법구조가 아닌 다른 형태의 문장으로 나타나더라도 원문의 문장과 같은 의미 기능의 문장으로 바꿔서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런 부분에서 부족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그동안 고급학습자들을 위한 심도 있는 교육이 부족했음을 알 수 있고 번역 전공 학습자들을 위해 한국어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항목들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번역 전공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번역한 다양한 역번역 문장이 원문과 어떠한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좀 더 훌륭한 번역을 하기 위해 맥락에 가장 적절하면서 원문 저자의 의도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문장은 어떤 형태인지를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역번역이라는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인식까지 살펴보는 것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균질한 고급학습자들의 역번역문 자료를 대상으로 양태 표현의 번역 양상과 인식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의 차별성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at the translation patterns of pattern expression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majoring in translation using back-trans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expressions in the reverse translation sentences of learners are as follows. First, they either omit or do not use the correct expression. Learners who think that sentence composition is completed with the predicate shown in the sentence do not pay attention to the pattern expressions expressed in addition to the predicate. Second, it remains in the form of “-(으)ㄹ 것이다” in the form of conjecture patterns at the beginner level learned in the language training course. Although the learner is an advanced one, he is not aware of the various patterns used in Korean sentenc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se areas. Third, translation major advanced learners cannot express sentences with the same meaning in different sentences. Since the mother tongue and the Korean language are different, even if they appear in a different form of a sentence than the same grammatical structure, they should be able to be expressed in a sentence with the same meaning function as the original sentence, but that is not enough. This led to the lack of in-depth education for advanced learners 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 and to identifying the items that should be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majoring in translation.

      • KCI등재

        움직이는 전통, 변화하는 시선-밀양백중놀이의 장애 표현과 그 형상화 시선 연구-

        허용호 ( Yong Ho He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8

        이 글은 밀양백중놀이를 대상으로 장애 표현의 양상과 그 형상화 시선에 대해 살핀 것이다. 논의는 연구 대상과 방향에 따라 크게 두 양상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이루어진 논의는 현재 연행되는 밀양백중놀이에 나타나는 다양한 장애 표현 양상을 살피고, 장애가 연행 속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살피는 것이었다. 이어지 논의는 밀양백중놀이 관련 자료들을 대상으로 장애를 형상화하는 다양한 시선의 존재와 그 변화 양상을 살폈다. 논의된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현행 밀양백중놀이에는 장애 인물이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를 가장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장애인으로 가장한 농민들은 양반을 모욕하고, 신명나게 춤을추며, 끝내는 양반까지 변화시켜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판을 만든다. 여기서 장애는 일상의 위계를 무너뜨리고 자유로운 풍자와 비판을 하게 만든다. 또한 장애를 가장한 이들의 신명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게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이들의 신명까지 불러일으키게 한다. 장애가 자유와 해방의 축제적 가면의 역할을 하는것이다. 현 밀양백중놀이에서의 장애 가장하기는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넘어서게 한다. 그렇다면 현 밀양백중놀이에서 추론되는 장애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의 형상화에서 엿볼 수 있는 시선은 반성적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반성적 시선이 현행 밀양백중놀이에서만 지배적으로 나타나고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장애 자체를 희화화 시키는 사례``, ``한이나 애환을 중점적으로 드러내려 하는 사례``, ``양반을 풍자하기 위해 장애를 덧입히는 사례`` 등이 이전 자료들에서 발견된다. 이는 밀양백중놀이가 변화 없이 전승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전 자료들을 살펴보면, 밀양백중놀이에는 배타적 시선,동정의 시선, 반성적 시선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장애를 보는 서로 다른 시선들은 한동안 공존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부정적 시선들이 점차 사라져 갔다. ``배타적인 시선의 축소와 삭제``, ``반성적 시선의 전면화``, ``무심한 시선에 대한 예민한포착과 지우기``가 밀양백중놀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밀양백중놀이는 그동안 꾸준히 움직였으며, 그 과정에서 장애를 형상화하는 시선 역시 변화해 온것이다. In this paper, I study the figuration viewpoints and disability representation of Miryangbaekjungnori.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object of research, this paper progress two phase. First, I investigate various aspects of disability representation, and ratiocinate a function of disability in performance. Subsequently I investigate existence of various viewpoints and the aspects of change. As a result of study are as follows. The characters who appear on the present Miryangbaekjungnori are not he disabled. They are disguised as the disabled. The characters who are peasant insult Yangban, exciting dance, change Yangban, and finally make a carnival space which bring them all together. On that occasion, the disability function as a carnival mask of free. The disability-disguise of characters which appear on the present Miryangbaekjungnori make the borderline between disability and non-disability to pass over. Therefore the viewpoint of disability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present Miryangbaekjungnori is a positive. And the viewpoint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figuration of disability is a reflexive. By the way, the present Miryangbaekjungnori which have a reflexive viewpoint do not hand down monotonously. To investigate the materials of former days, a exclusive viewpoint, a sympathetic viewpoint, a reflexive viewpoint are discovered. As the different viewpoints of disability coexisted, negative viewpoints of disability were gradually disappeared. The process of change are revealed ``a reduction and elimination of exclusive viewpoint``, ``a keen capture and elimination of unintentional viewpoint``, ``a domination of reflexive viewpoint``. Miryangbaekjungnori have moved constantly to the present, the figuration viewpoints of disability have been changed in the proces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자문화지도 연구에서 민속 테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

        허용호(Heo Yong-ho) 비교민속학회 2006 비교민속학 Vol.0 No.31

        The main point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is, for a grasp of diversified culture, a design of three dimensional structure of timeㆍspaceㆍsubject, security of all sorts of media data as research resources, then investigate three dimensional interpretation. In this aim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I study a reason of attention of folk field, limits of folk data, practice of folk database construction, an application aspect of constructed folk database. A study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is not merely construction of database. Construction of database is just the start, on the base of constructed database atlas of diverse subject is drawn, through internet constructed database and electronic atlas are held in common, and through an active application of constructed database and embodied electronic atlas diverse study is connected. In this paper, I refer to a possibility of this result of a series of process, and there is quite a possibility. Specially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study that is climax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study deserves to attention on the pursuit of dimensional thought and interpretation. It is expected that dimensional and positive evidence of established discussion is presented, or considered a established discussion from a different standpoint.

      • KCI등재

        두 번의 연행, 일곱 편의 조사 자료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16 韓國民俗學 Vol.64 No.-

        본 연구는 1936년 8월 31일 사리원 경암산 아래 광장에서 벌어진 봉산탈춤에 대한 조사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이때의 봉산탈춤 연행은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 관심만큼 여러 조사 자료들이 산출되었다. 필자는 바로 이 조사 자료들에 주목한다. 1936년 봉산탈춤연행과 관련된 조사 자료들에 대한 섬세한 검토를 수행하려는 것이다. 관련 조사 자료들의 특징과 관계가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라 필자는 기대하고 있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36년 사리원에서의 봉산탈춤 연행과 관련된 조사 자료들은 총 여덟 편이다. 이 조사자료들은 크게 참여 관찰기와 채록 자료로 대별할 수 있다. 참여 관찰기로는 무라야마 지쥰의 참여 관찰기와 스텐 베리만의 참여 관찰기가 있다. 이 두 참여 관찰기 사이에 영향 관계는 전혀 없다. 채록 자료로는 오청 채록본, 오청 일어번역본, 구자균 필사본, 송석하 채록본, 최상수 채록본, 임석재 채록본 등이 있다. 그런데 오청 일어번역본, 구자균 필사본, 송석하 채록본, 최상수 채록본 등은 오청 채록본을 바탕으로 번역 · 필사 · 전재 등을 한 2차 가공자료들인 것이다. 따라서 채록 자료들은 크게 오청 채록본 계열과 임석재 채록본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상 채록 자료는 오청 채록본과 임석재 채록본으로 대별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또 다른 연구 과제들을 제기한다. ‘오청 채록본과 임석재 채록본의 섬세한 비교 연구’, ‘참여 관찰기의 비교 연구’, ‘봉산 구읍 연희자들 주도의 봉산탈춤 존재 연구’ 등이 그것이다. 이 연구들은 본 연구의 과정에서 산출된 것이며, 동시에 문화 정치학적 논의와 깊게 연관되는 것이다. 이렇게 1936년 봉산탈춤 연행에 대한 조사 자료의 특징과 관계 정리라는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 달성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연구 과제들이 생성되었다. 어쩌면 본 연구의 본래 목적이 여기에 있었다고 할 수도 있다. 연속되거나 새롭게 떠오르는 과제들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본 연구가 자리 잡은 것이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research materials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took place on August 31, 1936, in the plaza beneath Mt. Gyeongam in Sariwon. That performance drew a lot of interest. As a result of this interest, a number of research materials were produced. I pay attention to those research materials, which were reviewed delicat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s among those research materials. To sum 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a total eight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the 1936 Bongsan mask dance-drama performance at Sariwon. Those materia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and oral records. In the category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y, there are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of Jijyun Murayama and that of Stern Bergman. No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were found. As for the oral record materials, there are Cheong Oh’s oral records, Cheong Oh’s Japanese translation version, Ja-gyun Gu’s transcript, Seok-ha Song’s oral records, Sang-su Choe’s oral records and Seok-jae Im’s oral records. It should be noted that Cheong Oh’s Japanese translation version, Ja-gyun Gu’s transcript, Seok-ha Song’s oral records, and Sang-su Choe’s oral records are secondary processing materials which were transcribed, translated, and reprinted based on Cheong Oh’s oral records. Therefore, the oral record materials related to the 1936 Bongsan mask dance-drama performance are divided into the oral records of Cheong Oh and the oral records of Seok-jae Im. In fact, the oral records are mainly divided into those of Cheong Oh and Seok-jae Im. These study results have led to the initiation of other studies. Those are “A comparative study of the oral records of Cheong Oh and Seok-jae Im,” “A comparative study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A study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is led by performers in the old town of Bongsan.” The studies have been produce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and they are connected with cultural politics discussion. Based on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the arrang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materials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took place on August 31, 1936, in the plaza beneath Mt. Gyeongam in Sariwon, various research projects have been created. Maybe, the original purpose of this study may be said here. This study was established in a prior study to study the emerging study assignments in earnest.

      • KCI등재

        사진, 이후의 사진시대와 다큐멘터리사진의 표현방식 변화 -‘다큐멘터리 스타일(documentary style)’을 중심으로 -

        허용무 ( Heo Yong Moo ) 한국사진학회 2020 AURA Vol.0 No.45

        ‘Documentary style, which is said to have presented a new paradigm for modern art after the 1980s, effectively expresses the changing modern social culture and reality based on ontology about the reproduction of photographs and a developed digital technology. A broad spectrum is displayed in its expression method and has thus become the mainstream in contemporary art. It can be viewed as its own style and strategy that appears broadly in the course of configuring the expressive forms of modern art using concept art and post-modernism as its background.

      • KCI등재

        충청도 사혼제 속의 연행 인형 연구

        허용호(Heo Yong-ho) 한국무속학회 2002 한국무속학 Vol.0 No.4

        본 연구는 ‘연행 인형’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충청도 사혼제 속에 등장하는 허수아비에 주목한다. 생명이 없는 짚으로 만들어진 허수아비가 어떠한 과정을 거치며 무엇인가를 의미하는 생명이 있는 존재, 곧 연행 인형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살핀다. 이러한 고찰의 과정은 곧 충청도 사혼제 속의 허수아비들의 연행 인형화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허수아비의 조형 과정과 외양에서 연행 방식 그리고 의미화에 이르는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덧붙여 이러한 연행 인형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특징들의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도 함께 추론해 보았다. 논의의 결과, 충청도 사혼제 속 허수아비들은 그 조형 과정과 외양에서 짚과 헝겊 등 내구성이 약한 재료로 금기와 제약을 거친 제작자가 짧고 단순한 제작 공정을 거쳐 평면적이고 소박한 연행 인형을 일회적으로 제작한다는 특징을 드러낸다. 연행방식의 경우, 그 발화 연행에서 ‘보이는 연행자 발화의 대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움직임 연행에서는 ‘보이는 연행자의 공공연한 조종’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연행 방식은 ‘드러내는 연행 방식’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의미화 과정의 경우 ‘축성이라는 의례를 거쳐서 초자연적인 존재인 미혼인 채로 죽은 영혼으로 영속적 변환’이라는 양상을 보인다. 충청도 사혼제 속 허수아비들의 연행 인형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들은 종교ㆍ주술적 문화 전통이라는 문화적 기반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즉, 충청도 사혼제의 연행 공동체는 질병이나 재앙의 퇴치 또는 정신적 안정을 보장받기 위해 초월적 존재를 대상으로 제의를 준비한다. 이를 위해 그 대상이 될 연행 인형을 제작한다. 굿이라는 제의 문맥 속에서 초자연적인 존재 인 미혼인 채로 죽은 영혼을 의미하는 연행 인형을 제작한다. 초자연적 존재를 인형과 동일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술적이다. 주술적 의미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강조되며 중요시되는것은 재미나 흥미 또는 신기함보다는 주술적 효용이나 효과이다. 따라서 연행 인형의 외양이나 연행 방식에 강조점이 두어지지 않는다. 그 결과 나온 특징적 양상이 단순하고 소박한 외양과 드러내는 연행 방식이다. 충청도 사혼제 속 연행 인형의 외양적 특징은 공유된 종교 주술적 믿음 체계 속에서 관념적 존재를 환기시키는 데에 그 강조점이 두어진 주술적 조형임을 드러낸다. 드러내는 연행 방식 역시 종교 주술적 믿음이 중요하고 의례적 행위가 요구되는 주술적 연행 방식임을 드러낸다. 의미화 양상 역시 연행 인형과 초자연적 존재를 동일시하여 연행 인형을 영속적으로 전환시키는 주술적 의미 작용의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논의는 그 동안 인형극에만 한정된 우리의 인형 연행 연구의 편향성을 교정하는 계기가 된다. 오락ㆍ예술적인 인형극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주술ㆍ종교적 인형 연행의 양상을 살피게 되어 우리의 인형 연행의 또 다른 측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는 인형극이라는 한정된 연구에서 인형 연행이라는 보다 개방적이고 너른 연구 영역으로 나아가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 믿는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Heo-su-a-bi(scarecrow: 허수아비) in Chungcheong-do SaHonJe(Soul marrage ritual: 사혼제). For this, I will use the concept, 'puppet performing object' which means the material images of humans, animals, or spirits that are created, displayed, or manipulated in narrative or dramatic performance. In chapter Ⅱ, I examine the process of moulding puppet performing object and aspects of their appearances. The process of moulding puppet performing object are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by shamans who are confined by taboo. The appearances of puppet performing object are figure of the whole body in full dress with a humble and flat face.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moulding puppet performing object and aspects of their appearances are the process of completing non-individual appearance with natural markers(biological, and material traits) through the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by the producer who is restrained with taboo. To make puppet performing object animated, the performance by a human performer is needed. Chapter Ⅲ deals with the acts of a human performer. The performance of a human performer is mainly presented in a way of utterance performance and movement performance. Utterance performance is 'object of a visible performer's utterance'. In this utterance performance, there is no utterance of puppet, which only exists as the object of performer's utterance. Movement performance is 'overt operation by a visible performer'. These performance methods of puppet performing object are common to revealing in performance process. In chapter Ⅳ, I look into the signification of puppet performing object as the whole including the appearance, utterance, and movement. The signification of puppet performing object is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which shows 'transformation(perpetual transformation)' as supernatural existence(the sprit of youth put to death as an unmarried). After passing through some ritual process,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begin to speak and move and are regarded as a living thing by a performer, and then they are transferred into supernatural existence. In chapterⅤ, I examine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and cultural grounds.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of SaHonJe features result from the cultural grounds. The cultural grounds according to each featu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eatur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uppet performing object are the product of cultural grounds as 'incantatory or religious orientation' which evokes an ideational existence in belief system. In performance process of , the revealing performance is related with the incantatory performance demanding the ritual ceremony and religious belief. In signification of puppet performing object is described as the incantatory signification of ritual performance producing the perpetual transformation into supernatural existenc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