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network text analysis)을 통한 국내 수행공학의 연구동향 탐색

        김연경 ( Kim Yeonkyoung ),신선애 ( Shin Sunae ),송해덕 ( Song Hae-deok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network text analysis)을 활용하여 국내 수행공학(HPT)의 연구동향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6년 사이에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수행공학 관련 124편의 논문에서 369개의 핵심어를 수집 및 코딩하여 최종적으로 294개의 노드(node)와 1368개의 링크(link)로 변환시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네트워크 분석결과 `직무수행`이 가장 높은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을 보이는 노드(node)였으며, 다음으로`직무수행능력`, `수행능력`,`간호사`,`역량`, `HRD전문가`순으로 중심성이 높은 노드로 확인되었다. 둘째, 에고 네트워크(ego network) 분석결과 4개 영역(수행공학의 과정, 수행공학의 이론적가정, HRD 관점 주제, 기업환경 변화)의 6개 범주를 중심으로 수행공학의 하위 주제 연구동향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국내 수행공학의 연구동향을 관계론적 차원에서 설명할 수 있었으며, 하위 범주 연구동향을 조망함으로써 수행공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 후속 연구가 요구되는 의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uman performance technology(HPT) research trends in Korea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For this, 124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00 to 2016 were selected, and the 369 key words of the research were collected. The key words were transformed to 294 nodes and 1368 links by 7 criteria which researchers have constructed, and finally were used for network text analysis. The results were follows. The whole network consisted of 11 components. The degree centrality of `job performance` was the highest and then `job performance ability`, performance ability`, `nurse`, `competency`, `HRD professional`were followed. Additionally, 6 ego networks about four categories(HPT process, HPT fundamental, HRD perspectives topic, chang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s)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go networks were described. This research could explain HPT research trends in Korea by the relational perspective and suggest research trends of the 4 categories through the ego networks. Some implications to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in the field of HPT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ere sugges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 KCI등재

        팀 학습에서 소셜미디어 활용이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연경(YeonKyoung Kim),송해덕(Hae-Deok S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4

        소셜미디어는 개인의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고, 타인과의 상호협력을 위한 테크놀로지 기반 매체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소셜미디어 활용이 팀 학습활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소셜미디어의 유형을 조사하고, 소셜미디어의 유형이 팀 기반 학습에서 정보 선택, 정보 전달, 정보획득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5,607명의 수집된 데이터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모바일 폰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을사용한 즉각적이고 동시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였다. 둘째,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은 모든형태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정보 선택, 정보 전달, 정보 획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소셜 네트워킹 도구와 파일 공유 서비스의 활용은 정보 전달과 정보 획득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팀 학습 활동에서 커뮤니케이션 촉진을 위한 기제로서의 소셜미디어의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교수자의 효율적인 팀 기반 수업 설계 및 운영을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Many people are widely using social media 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and educators are interested in integrating it into the classroom. Social media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dialogue and collaboration, and facilitate the creation and sharing of information as well. Especially, students are expected to use social media differently for their communication purpose in team-based learn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impact of social media on team learning activities. The authors investigated preferred social media types and their effects on communication in team-based learning.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 total of 5,607 student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Subsequen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t impact of social media on three types of communication actions in team-based learning. Students preferred immediate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using chat applications on mobile phones. Chat applications on mobile phones influenced all communication types (i.e. information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Social networking tools and file sharing services significantly affect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This paper provides a different perspective of how social media applicatios used as a form of learning technology affects communication actions in team leaning while also giving an insightful guideline to educators that can use social media activities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통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전문가의 역할 및 역량 탐색

        김연경 ( Yeonkyoung Kim ),송해덕 ( Hae Deok Song ),이지현 ( Jihyun L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우리 사회가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의 도입으로 능력 중심 역량 기반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현장에서 NCS의 실행을 지원하는 NCS 교육전문가라는 전문 인력의 필요성을 제안하면서 이들의 구체적인 역할과 필요 역량을 탐색적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NCS 관련 연구자 및 정책전문가, 대학의 현장전문가를 포함한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NCS 교육전문가의 역할은 NCS 교육과정 개발자, NCS 교수설계자, NCS 교재개발자, NCS 교수자, NCS 교육훈련 평가자, NCS 직무능력 평가자, NCS 진로·직업 지도자, NCS경력·인사 관리자의 총 8가지로 규명되었으며, 학교·교육 훈련 기관과 기업·산업체의 활동영역에 따라 구분하여 제시되었다. 역할의 성공적인 수행에 요구되는 28개의 필요역량과 4개의 기초역량이 함께 추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일반적인 교육전문가의 역할과의 비교, 이론적·실천적 측면에서 규명된 필요역량의 특성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 has sought to implement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for developing competencies required in industry,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NCS urgently calls for professional supports to guide practitioners in the fields. This study proposed a need for NCS education professionals who will play a crucial part in implementing NCS, and aimed to fill the gap in a lack of prior research on their requisite roles and competencies.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carried out with 11 panelists who included NCS researchers, NCS policy experts, and NCS university professors. The results identified eight types of roles for NCS education professionals: NCS curriculum developer; NCS instructional designer; NCS material developer; NCS instructor; NCS training assessor; NCS competency assessor; NCS career consultant; and NCS career manager. The results revealed 28 essential competencies and 4 basic competencies related to the roles, which were found to exist in two different types of settings: schools/training institutes and corporations/industries. Comparisons to research on education professionals in general contexts are drawn,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addition, suggestions for developing identified competencies and further research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The study provides insight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NCS education professionals as a newly emerging subfield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NCS into practice.

      • KCI등재

        MOOC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및 과제기술적합성의 조절효과

        김효진 ( Hyojin Kim ),송해덕 ( Hae-deok Song ),윤혜주 ( Hyejoo Yun ),김연경 ( Yeonkyou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K-MOOC를 수강하는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지각된 유용성, 학습몰입, 과제기술적합성,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K-MOOC 참여 대학으로 선정된 서울시 소재 4년제 A 대학에서 개설된 4개 K-MOOC 강좌의 수강생 179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며, 학습몰입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MOOC에서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MOOC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MOOC에서 과제기술적합성은 자기조절학습능력,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몰입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고 학습지속의향 간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K-MOOC에서 학습지속의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환경 설계의 필요성과 학습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engagement, task technology fit, and learning persistence of learners taking K-MOOC. The participants included 179 students from four K-MOOC courses opened at a four-year university A in Seoul, which were selected as K-MOOC participating universitie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ing persistence, while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an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Seco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Third, learning engagement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Fourth, task technology fi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engagement as well 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importance of designing a learning environment to enhance learning persistence in K-MOOC was discussed.

      • KCI등재

        교사 자율성과 성취목표지향성이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예찬(Yechan Lee),구자원(Jawon Koo),김연경(YeonKyoung Kim),송해덕(Hae-Deok Song)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202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교사의 ICT 수업 혁신행동과 조직 차원의 특성에 해당하는 교사 자율성과 개인 차원의 특성에 해당하는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초·중·고 교사 총 693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변인 간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자율성은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ICT 수업 혁신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은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에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ICT 수업혁신 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ICT 수업 혁신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교사의 자율성, 성취목표지향성과 ICT 수업 혁신행동 간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성취목표지향성과 ICT 수업 혁신행동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ICT 수업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 차원 요인과 관련된 실천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autonom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digital literacy, innovative teaching behavior with IC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693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analyze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autonomy and teach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sta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digital literacy, but only teacher's autonomy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teaching behaviour with ICT. Teachers' digital literacy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teaching behaviour with ICT, and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eachers' autonom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teaching behaviour with I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affect teachers' innovative teaching behavior with ICT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Development of Student Engagement Scale for University Flipped Learning

        Hae-Deok Song(송해덕),Ah Jeong Hong(홍아정),Yeonkyoung Kim(김연경),Juyeon Hong(홍주연)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1

        최근 플립드 러닝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제 대학 현장에서 플립드 러닝의 활용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플립드 러닝의 성과가 무엇인지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플립드 러닝에서 강조하는 구성원 상호작용과 능동적인 학습이 학습몰입과 관계된다는 측면에서, 학습 몰입은 플립드 러닝의 주요한 교육성과로 볼 수 있다. 그렇지만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에 대한 측정은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플립드 러닝의 수업단계를 고려한 학습 몰입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평가도구 개발을 위하여 먼저 플립드 러닝 및 학습 몰입 관련 선행연구와 교수자 및 학습자 인터뷰, 수업 관찰 등을 통해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대학생 45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 타당도 분석, 신뢰도를 분석하여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평 가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토하는 본조사에는 대학생 376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총 10개 요인(학습 열정, 교실 밖 상호작용, 교실 안 상호작용, 사전학습내용 활성화, 학습내용 통합, 학습경험 만족, 메타인지 활용, 적극적 도움추구, 학습계획 수립, 학습전략 활용), 41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플립드 러닝 학습 몰입 평가도구의 향후 활용을 중심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Despite the current attention on flipped learning (FL), FL is not largely adopted into university classes. One reason can be found that the educational outcome of FL is not clearly defined. Given that FL emphasizes active learning and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student engagement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outcomes for FL.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student engagement in FL class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assessing student engagement for university FL. To do this, the factors and items were drawn from reviews of relevant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one university from Seoul, Korea. Fist, explan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collected from 458 university students to identify the factor of the instrument. Nex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376 university studen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e derived 10 factors were as follows: Learning Enthusiasm, interaction outside the classroom, interaction inside the classroom, pre-class contents activation, contents integration, learning experience satisfaction, using meta-cognition use, help-seeking, planning for learning, and using learning strategi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suggested with discussions for future studies for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 KCI우수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Presence

        이지연(Ji Yeon Lee),송해덕(Hae-Deok Song ),장승경( Seung Gyeong Jang),김연경(YeonKyoung K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7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가상 환경이 새로운 학습환경으로 대두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생자들의 상호작용, 학습지속의향, 학습몰입, 학습실재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ZEPETO 등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가상 수업 공간에서 토론, 평가, 연구 활동 등 각종 학습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 총 199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최종 193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대부분이 대학생 혹은 대학원생(77.8%)이었다. SPSS 23.0, AMOS 23.0, PROCESS Macro로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연구결과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이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섯째, 학습실재감이 상호작용과 학습몰입에 대한 조절효과가 연구결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실재감이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에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적인 근거를 검증한 의의가 있다. In the midst of a mixture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after the pandemic, the “metaverse” platform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verify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according to learning presence in order to sustain online learning using the metaver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learners who had experience taking online lectures using the metaverse. Data from 193 learne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the metavers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Learning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and its effectivenes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as verified. Learning presence had a moderating effect on intera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In a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metaverse,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mpirical basis for the factors in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