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volution of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Its Causal Relation with Road Networks in the U.S.

        Yena Song(송예나),William P. Anderson,T.R. Lakshmanan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1

        산업집적은 경제지리학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주제 중의 하나이며 지금까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산업집적 현상을 설명하고 이의 영향을 평가해왔다. 하지만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해 집적의 추이를 살펴본 연구는 아직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29년 간의 데이터를 이용해 사례로 선정된 산업들의 집적 정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시계열 패턴과 도로 네트워크의 확장이 어떠한 인과관계를 맺고 있는 지 살펴보고 있다. 집적 정도를 측정한 결과 사례로 선정된 산업의 종사자들은 지리적으로 균등하게 분포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사례 산업들 간에 공통된 시계열적 변화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각 산업의 발전 단계 및 비즈니스 환경 변화가 개별 산업의 집적 정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집적 정도와 도로교통망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각 산업 별로 Granger causality test를 실시하였고 도로 교통망이 산업 집적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몇몇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반대의 경우 혹은 상호 간에 영향을 주는 사례도 나타나 교통망과 산업집적이 보다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Industrial agglomeration is an old theme in economic geography and many studies have been devoted to this topic. But only few have empirically looked at the time trend of industrial agglomeration. This study measured agglomeration of U.S. industries over last 29 years and measurement results indicated that industrial clustering has occurred during the study period in all study industries without a common time trend shared amongst the study industries. The agglomeration levels then were plugged in to investigate causalities, i.e. causal relations, around industrial agglomeration. Three variables were selected to see causal relations with agglomeration levels based on literatures, and our focus was given to the causality between transport network and agglomeration. Causal relation from transport to agglomeration was found in various industries and this supports the argument that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fluences industrial agglomeration. At the same time inverse and bi-directional causalities were also revealed implying mor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 지속가능한 교통의 실천 -Connect2 사례 연구-

        송예나 ( Yena Song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9 No.-

        자동차 위주의 통행은 교통체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공중보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경제력이 높아지면서 자동차에 대한 의존이 높아지는 만큼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러한 추세를 역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걷기와 자전거를 도시 내 단거리 통행에 이용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이 여러 곳에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영국의 자전거-도보 기반시설 설치 프로젝트인 Connect2가 가져온 효과를 내부 자료와 관련 논문을 이용해 정리한다. Connect2 사업으로 80여 개에 달하는 자전거-도보 기반시설이 신설 혹은 개선되었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구성된 iConnect 컨소시엄은 기반시설 건설 전, 후에 대규모의 설문을 실시하여 교통, 환경, 공중보건의 측면에서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Connect2 시설은 그 자체로 통행 행태를 바꿔놓지는 못 하지만 이에 적극적으로 노출된 사람들은 걷기와 자전거 타기를 일상생활에 더많이 이용하였다. 또한 해당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체활동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이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못 해 기반시설 변경으로 인한 효과가 예상했던 모든 측면에서 나타나지는 않았다. Heavy dependence on the motorized modes has been accused of traffic,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active lifestyle. Increased economic status usually leads people to use cars more rather than active modes, such as walking and cycling. Thereby many developed countries try to reduce car uses and thus to attenuate the adverse impacts from the reliance on the motorized travels by accompanying more walking and cycling in people’s daily travels. This study describes the Connect2 project, a sustainable transport that constructs walking and cycling infrastructure in the U.K. and explores the impacts of the project using published papers and inside data. Connect2 initiatives constructed or improved approximately 80 walking and cycling infrastructure. An independent research consortium, iConnect evaluated the process and impacts of the Connect2 by conducting population surveys before-and-after the infrastructure installments. Three aspects, transport,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are the main areas of evaluation. Passive exposure to the Connect2 has not changed travel behavior but using it ha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behavior change towards walking and cycling. Also people with higher accessibility to the new or improved infrastructure tended to increase their physical activity whilst those with lower accessibility did not, which indicating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infrastructure and public health. However, in the environment aspec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was not noted.

      • KCI등재

        광주광역시 음식점 개폐업과 교통접근성의 상관관계 분석

        송예나 ( Yena Song ),장한울 ( Hanwool Jang ),이금숙 ( Keumsook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2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3 No.4

        우리나라는 자영업자의 비중은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이들이 설립한 업체의 생존 기간은 다른 업체에 비해 짧게 나타난다. 이는 자영업자들의 잦은 창업과 폐업으로 이어져 고용과 수입의 불안 및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음식점은 자영업자들이 쉽게 진입하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5년 생존율이 20%에 미치지 못해 생존 기간이 더 짧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음식점을 사례로 음식점생존 기간과 교통 접근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피고자 한다. 편리한 입지는 음식점의 매출 향상과 지속적인 운영에 중요한 요소로 꼽혀왔고, 이러한 입지는 높은 수준의 교통 접근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생존분석을 통해 교통 접근성과 음식점 업종별 영업 기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하철 접근성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도로 접근성은 생존 기간 연장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광주광역시에서 운행 중인 지하철이 활발히 이용되지 않아 이에 대한 접근성이 경제적 의미를 갖기 어려웠던 것으로 해석되는 동시에 다른 지역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In Korea, the proportion of self-employed and unpaid family workers i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OECD countries and the operation periods of their businesses are generally shorter than others. This indicates frequent startups and closures and thus unstable employment status and income, which inevitably generates huge social costs. Restaurants are a representative business that self-employed workers easily enter and their 5-year survival rate is found to be lower than 20%. This is shorter survival period than other business secto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transport accessibility with restaurants’ survival in Gwangju metropolitan area. Convenient location has been known to be a crucial factor for sales improvements and longer operation and such location is closely linked with good transport accessibility. Results from survival analysis on empirical data show that better access to road network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nger survival of restaurants though subway accessibility is not. This can be explained by low modal share of subway in the study area and at the same time, requires further case studies where more developed and matured subway systems are in operation.

      • KCI등재

        도시철도 역세권의 지가분포 변동: 광주시 사례연구

        구자웅 ( Jaung Gu ),송예나 ( Yena Song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3

        대도시에서 도시 내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철도를 도입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국내의 여러 대도시에서도 도시철도를 운행하고 있는데, 이는 교통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지역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는 광주도시철도를 대상으로 도시철도 건설과 지가, 특히 역세권 내의 지가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본다. 광주광역시 도시철도 노선 발표 이전부터 완공 이후까지의 지가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역사와 가까울수록 높은 수준의 지가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인접 도로의 폭이 넓을수록 지가도 높게 나타나는 패턴을 확인할 수있었다. 또한 지가변동 및 용도지역 분포를 이용하여 역사를 분류한 결과 구도심과 신도심이 명확히 구분되며 도시 외곽 지역의 역사가 따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도시철도 네트워크를 비롯한 교통 네트워크와 지가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동시에 도시계획이 광주시 역세권 내 지가 변동과 관계가 있음을 증명해준다. In a densely developed metropolitan area, the subway system is often constructed to address the mobility problems. Subway 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Seoul in late 1970s, then Korean metropolitan cities began to adopt the system later. Subway systems not only resolve the mobility problems, but also interact with regional socioeconomic landscap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ubway network and land rent within the subway catchment area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a spaciotemporal framework.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proximity to the subway station and the size of nearest roa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and rent. Also from a cluste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ld and new Central Business Districts as well as stations at peripheral areas had distinctive land rent change characteristics. This empirical analysis indirectly proves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land rent and urban planning and also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and rent and transportation networks.

      • KCI우수등재

        도시철도 네트워크와 아파트 가격의 상관관계

        김화환(Hwahwan Kim),박성필(Sung-Pil Park),송예나(Yena Song)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5

        도시철도는 지역 내 접근성을 높여주고 사람들에게 이동성을 제공해줌으로써 혼잡한 도시의 교통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더해 도시철도 네트워크는 역사를 중심으로 그 영향권을 형성하여 도시 내 토지 이용과 지대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가 운행되고 있는 지방 대도시의 사례를 통해 도시철도 네트워크 분포와 아파트 거래 가격 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네 곳의 지방 대도시에서 거래된 아파트의 단위 면적당 거래가격과 인근 역사와 거리 사이의 관계를 확인했을 때 역세권 내의 아파트가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래된 개별 아파트의 특성을 통제한 뒤에도 인접 역사와의 거리와 단위 면적당 거래가격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음의 관계를 나타내 도시철도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성과 아파트 가격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하지만 개별 도시별로 살펴보면 광주광역시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나 이러한 일반론이 모든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는 없으며 기존에 형성된 도시구조와 활용 현황이 아파트 가격 형성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the urban rail transit networks improve the local accessibility and provide mobility to passengers and therefore help alleviating urban transportation issues. It also has impacts on urban land-use and housing prices especially nearby the station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urban rail transit networks and the apartment transaction prices using data from four metropolitan areas within which urban rail transit networks operate. It was found that the transaction prices per square meters appeared higher within the station catchment areas than outside of them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n statistical modelling followed and the properties of each apartment were controlled. The results from the models indicated that the distance from the nearest station indeed had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transaction prices per square meters. As such the accessibil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partment transaction prices in the metropolitan areas. When we analyzed the data by each city, the results appeared the same except Gwangju. In Gwangju the opposite trend was found, which suggests own local contexts could have larger impacts on the apartment prices rather than the accessibility to the networks in certain areas.

      • KCI우수등재

        COVID-19 시기의 음식점 개폐점 연구 - 서울시를 사례로

        김현(Hyun Kim),이금숙(Keumsook Lee),이영현(Yeong Hyeon Lee),송예나(Yena Song)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1

        음식점은 소규모 업체가 많고 대체재가 풍부한 업종으로 경제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가진다. 2019년 말 COVID-19은 그 정체를 확인하기도 전에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약물을 이용해 COVID-19의 확산을 막을 수 없었기 때문에 비약물적 개입 전략을 사용한 각국 정부는 사람들의 이동과 만남을 제재하였고, 이는 음식점이 포함된 접객산업에 큰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사례로 COVID-19의 확산과 음식점 개폐점의 패턴 변화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기간동안 감염병 확산이라는 외부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음식점의 생존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급격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2020년 폐점 음식점의 영업 기간은 이전 해에 비해 통계적으로 짧게 나타났으며 11월 감염병의 확산기에 들어서면서 폐점이 증가하는 시간적 패턴을 보였다. 개폐점의 공간적 패턴을 차이를 보기 위해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2019년과 2020년의 분석결과에서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개점과 폐점 사이에 일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감염병의 확산은 개점보다는 폐점과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의 공간적 패턴에 대한 영향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찾을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사례 지역에서 COVID-19이 가장 크게 유행을 시작하던 2020년 11월까지의 자료를 사용한 초기 단계의 연구라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음식점의 생존은 매출과 같이 영업 환경 변화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감염병 확산의 영향을 즉각 반영하지 못 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시의적절한 실증자료를 제공하고 후속 연구를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정책적 의의를 가진다. Restaurants are easily influenced by the change in economic environments because of relatively high ratio of small businesses and abundant substitutes. At the end of 2019, COVID-19 has spread worldwide even before confirming its identity as a new infectious disease. Governments introduced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in order to stop rapid spread of COVID-19 because existing pharmaceutical interventions have not been found effective yet. Thereby movements and meetings of people began to be restricted, which has negatively impacted on the hospitality industry including restaurant business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diffusion of COVID-19 and the survival of restaurants in Seoul. In general, rapid change in survival patterns of restaurants was not found eve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ew disease. However, it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restaurants closed in 2020 had fewer operating days than those closed in 2019. Further the increase in closure was noted in November 2020, which coincides with the rapid diffusion period of COVID-19 in Seoul. Spatial patterns showed differences between opening and closure of restaurants rather tha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ffusion of infectious disease is associated with the death of restaurants but not with the birth of them nor spatial patterns of survival activities. This study used data up to November 2020 when the most confirmed cases were reported and survival activities do not promptly reflect the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s so our study may not be able to access the impacts of the new disease. But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at it can provide timely evidences based on empirical data and lead subsequent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