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Cultural Hybridity in the Discourses of Marriage Migration

        Suan Lee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6

        The sociological research on the marriage migrant women has been mainly of the women’s victimized reality as subjects of human trafficking marriages. It is high time for a full-scale research on the cultural hybrid phenomena of these women who are now rising as the subjects of migrant culture formation. Focusing on the premise of cross-border marriage as ‘the hybridization through the meeting of two cultures,’ a cultural analysis looking into the discourses surrounding marriage has been attempted, centralizing on Bhabha’s and Young’s cultural hybridity theories and Minh-ha’s discussion of othering. The promotional material that marriage agencies offer in regard to South Asian culture, such as marriage, family values, and attitudes toward sexual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Korean man’s selection of a wife, and is thus a most important factor in cultural hybridiz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various cultures related to marriage migration, the modes of hybridization, promotional material and postscrip ts written by bridegrooms, and a TV program. Tracing two trends of the maledominated unilateral process of marriage and cultural assimilation and the process of cultural hybridity in which woman’s agency is performed, prospects for a positive hybridization in which one culture does not emerge into the other could be made.

      • KCI등재

        대도시 산보자의 도시공간 향유 양식의 계보학

        이수안(Suan L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2 No.-

        이 논문은 도시공간 향유 양식에 대한 연구로서 벤야민으로부터 시작되어 오랫동안 도시공간 논의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해온 ‘산보자(flâneur)’, ‘산보하기(flânerie)’의 개념이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발달한 지금의 사회적 환경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또한 도시공간을 향유하는 방식이 이전의 근대적 산보하기를 통한 방식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점을 보여주는지를 특히 감각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 이론적인 배경 이해를 위해 벤야민의 ‘산보자’와 ‘산보하기’ 개념을 중심으로 한 논의, 근대 도시공간 연구를 위한 짐멜의 도시문화 이론, 문화사회학적 문화풍경 논의와 감각인간(homo sensus)으로서 테크노 산보자,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있어 감각활용과 융합적 소통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분석은 일종의 ‘산보자의 계보학적 추적’으로서 벤야민의 대도시 거리 산보자로부터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구보씨, 그리고 지금의 SNS활용 세대인 테크노 산보자의 도시 공간 향유 양식을 비교하여 훑어 보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테크노 산보자의 산보하기는 개인의 고독한 걷기를 넘어 공유와 소통으로 새로운 감각의 공동체를 만드는 단계에 접어 들어 이전의 산보자 개념을 점차 수정해나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enjoyment style of urban space in a huge city, like Seoul. The main concepts in this study are ‘flâneur’ and ‘flânerie’ which were adapted by Walter Benjamin in Passagenwerk, and ‘techno-flâneur’ which is developed and defined first time in this paper. How the concept of ‘flâneur’ is developed and changed last over hundred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Benjamin through ‘Mr. Gubo’ to techno-flâneur is studied according to the genealogical tracing of various modes of flâneurs; flâneur of Benjamin, novelist Mr. Gubo in the novel of Park Tae Won, One Day of Novelist Gubo and techno-flâneur like blogers and users of instagram who are using SNS and communicate with enormous public. Through this study, it is resulted that the ‘flânerie’ of techno-flâneur is on the process of evolution which transcends the lonely walking of an individual above and enters the stage of construction of sense-sharing community.

      • KCI등재후보

        지속 가능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로서 ‘상호관용’과 ‘상호보살핌’

        이수안(Suan L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09 문화와 사회 Vol.7 No.-

        지구화가 가속화되면서 전 지구적 노동력 이동이 본격화되고 이로써 문화간의 갈등과 교섭은 다양한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제 논리의 지배는 지속적으로 타자적 존재를 양산하면서 공동체적 윤리를 무너뜨리는 데 있어 주요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의 도래를 목격하면서도 우리 사회 안의 타자들을 적극적으로 공동체의 일원으로 받아들일 태세가 되어 있지 않은 현 상황 속에서 본 논문에서는 ‘상호관용’과 ‘상호보살핌’ 가치가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지탱해 갈 사회적 가치로서 확산 가능한지 점검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보살핌’과 ‘관용’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살펴보고 일방적으로 베푸는 방식이 아닌 쌍방간의 상호성을 중심으로 한 보살핌과 관용이 긴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특히 결혼이주여성들의 경우 우리 사회의 타자적 존재로서의 대표성을 중첩적인 타자성을 통해 담보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이들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 사회의 배타적인 문화에 대해 쌍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관용을 가정하면서 한국의 시민들과 상호보살핌을 실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로써 상호관용과 상호보살핌이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굳건히 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라는 점을 논증할 수 있었고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이 정책의 차원에서보다도 우선적으로 인간관계의 설정과 역할 수행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the cultural conflicts and their negotiations are appearing in various aspects. The logic of economy has been playing the domin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social minority and the 'others' on the global scale continuously. As the result, the ethics of community has been demolished. Although confronting with the rush of multicultural society, we are not ready to accept the others in our society as the regular members of the community actively. Regarding to this background, the values of 'mutual tolerance' and 'mutual caring' are examined theoretically and conceptually in this paper as the adequate social values which support and bear up the sustainable community, and furthermore can be disseminated. It is largely received that female marriage migrants are representative altered people in our society and the alterity of this group is multi-layered. On the base of this thesis, it is important to search the possibility for Korean citizen to practice the mutual tolerance and mutual caring with the migrants in the reciprocal action for each other. As the conclus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ssemination and spreading of the social values like mutual tolerance and mutual caring in the human relations are more efficient as the administrative policies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대중매체와 성형의료산업의 연동 구조 속 여성 몸 이미지 전형의 재강화 기제와 포스트페미니즘 해석의 모순적 공존

        이수안(Lee, Suan)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2

        이 논문은 대표적인 메이크오버쇼 프로그램인 〈렛미인〉 시리즈를 중심으로 메이크오버쇼가 여성의 몸을 전시하면서 여성의 미의 기준을 정형화하여 제시하고 이 과정에서 대중매체와 성형의료산업이 연합하여 사회적으로 정형화되고 강제되어 여성에게 내면화된 여성의 몸 이미지를 자본의 도구로 삼는 방식에 대해 비판하고자 기획하였다. 이로써 분석의 과정에서 몸 이미지와 외모지상주의, 이와 관련한 대중매체의 소비자본주의적 권력 행사, 여성의 몸에 대한 태도와 인식, 한류에 편승한 성형의학의 상업자본주의적 세력 확대와 이의 영향력 범주에 들어있는 여성들의 태도와 행위성 등을 메이크오버쇼의 이미지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쇼 프로그램에서는, 연예인들이 출연하여 진행하는 리얼리티쇼를 분석한 기존 포스트페미니즘 연구에서 논의되는 ‘이미지 주체(image subject)’로서 주체성과 행위성이 포착되기보다는 성형의료산업과의 자본주의적 상호 연동구조 속에서 여성의 정형화된 몸 이미지를 재강화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미디어의 기능이 일종의 문화권력으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이 재삼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과정에 참여하는 여성들은 자발적일지언정 이미지 주체로서 행위성을 발휘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포스트페미니즘적 해석이 때로는 공존하는 듯 보이면서도 내용적으로 보면 매우 제한적으로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way how makeover-show like 〈Let Mi-In〉 series presents the standard of women’s beauty by displaying women’s body on television, and ultimately how the alliance of media capital and surgical capital render socially forced, stereotyped and finally internalized women’s body-image as the tool of capital accumulation. For accomplishing this aim of the study, the following aspects are critically examined; the formation of body-image and appearance-centrism (lookism), exercise of consumption-oriented power of mass-media, the attitude and understanding on women’s body, the global influence of surgical medicine jumping on Korean wave, and attitude and their agency of women about cosmetic surgery which are included in the field of this influence. The important point of this analysis lies on whether young women have subjectivity and agency can be interpreted with postfeminist perspective when they participate in the makeover-show on their own initiative as object of cosmetic surgery and treatment for the purpose to remodel their lif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can be resumed that it is hard to say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makeover-show obtain subjectivity and agency in terms of postfeminism even though they persue ‘femininity’ passionately.

      • KCI등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스트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저장 관리자 구현

        이수안(Suan Lee),김진호(Jinho Kim),신성현(Sung-Hyun Shin),남시병(Si-Byung Nam) 대한전자공학회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6 No.3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스트림 데이터이다. 이 스트림 데이터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와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저장하고 분석 및 질의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기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끊임없이 들어오는 스트림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 관리자를 구현하였다. 이 저장 관리자는 무선 센서 환경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정제, 반복적으로 센싱되는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축소 기능, 장기간의 스트림 데이터를 경동 시간 구조로 유지하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또 이 연구에서는, 구현된 저장 관리자를 건물의 온도, 습도, 조도 등을 수집하는 건물 화재 감시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이 저장 관리자는 스트림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현저히 줄이며, 건물화재 감시를 위한 장기간의 스트림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였다. Stream data, gathered from ubiquitous sensor networks, change continuously over time. Because they have quit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raditional databases, we need new techniques for storing and querying/analyzing these stream data, which are research issues recently emerging . In this research, we implemented a storage manager gathering stream data and storing them into databases, which are sampled continuously from sensor networks. The storage manager cleans faulty data occurred in mobile sensors and it also reduces the size of stream data by merging repeatedly-sampled values into one and by employing the tilted time frame which stores stream data with several different sampling rates. In this research, furthermore, we measured the performance of the storage manager in the context of a sensor network monitoring fires of a building.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storage manager reduces significantly the size of storage spaces and it is effective to manage the data stream for real applications monitoring buildings and their fires.

      • KCI등재

        대중문화 공연에 재현되는 양극화된 젠더 디스플레이와 몸 이미지의 성애화 방식

        이수안(Lee, Suan)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4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중문화, 특히 아이돌 그룹의 연예상품, 즉 공연과 뮤직비디오 등에 나타나는 젠더 디스플레이를 젠더 몸 이미지와 연동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 가설적 전제로 성립될 수 있는 논제는 한국의 아이돌 그룹의 연예상품에서 젠더 디스플레이는 한류를 지원하는 정책, 이윤추구의 연예기획사, 그리고 소비대중의 팬덤이 상호 연동되어 양극화된 젠더 디스플레이와 성애화된 몸 이미지 재현의 방식을 추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분석을 위하여 TV의 음악방송과 공연, 뮤직비디오등을 1차 자료로 사용하여 고프만의 젠더 디스플레이의 분석지표를 차용한 월리스의 분석지표를 몸짓, 눈빛, 의상, 안무 내용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틀을 설정하여 젠더 디스플레이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 젠더 디스플레이를 통해 포착되는 성애화된 몸 이미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한국의 아이돌 여성그룹의 공연은 선정성 표방이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이룬다. 둘째, 여성그룹의 안무와 의상은 복종과 권력없음의 전형적 여성성과 연결되어 몸의 성적 표현에 집중되는 반면 남성그룹의 안무와 의상은 지배와 권력, 힘의 과시와 연관된다. 셋째, 이로써 여성그룹과 남성그룹은 확연히 차별적인 젠더 디스플레이를 보여준다. 소비대중이면서 또한 아이돌 그룹을 역할모델로 하여 선망의 대상으로 삼는 청소년층을 주축으로 하는 젊은 세대에게 제시할 수 있는, 젠더 이분법을 극복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방식과 스타일의 대중문화 창달을 위해 문화생산의 방식이 숙고되어야할 것이다. This paper is designed for analysing of the polarized aspects of gender display in Korean popular culture which appear when idol singer groups perform in their music videos and TV music programs. It is assumed that girl groups express highly presented eroticism by dancing with various gestures and costumes. The main variabl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ender display are official supports of government for Hallyu, the profit-oriented management of entertainment agency, and the fandom which accelerate the phenomenon. For the analysis of gender display, the theory and indicators of Goffman and Wallis are adopted. Thre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performances of idol girl groups consist of erotic dancing mainly. Secondly, dance and costumes of female groups are related to the typical femininity which is characterized by obedience and powerlessness, and are concentrated to the sexual expressions of body, while those of male groups are related to domination, authority and display of power. Third, female and male groups polarized gender display definitely. These hypotheses are verified with this analysis.

      • KCI등재

        감각중심 디지털 문화와 포스트휴먼 징후로서 `호모 센수스(homo sensus)`의 출현

        이수안(Suan L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문화와 사회 Vol.18 No.-

        이 논문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더불어 감각의 활용이 극대화되고 융합감각의 결정체로 존재하는 포스트휴먼화 과정에 인간이 놓여있다는 전제하에 이때의 인간을 ‘호모 센수스(homo sensus)’로 명명하고 이 호모 센수스의 포스트휴먼적 존재 조건과 양태에 대해 감각이론을 중심으로 탐구하고 있다. 사회의 ‘감각적 전회(sensual turn)’가 전면화되는 문화변동의 현실을 목격하면서 먼저, 감각의 문화사회학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다지기 위해 시각과 촉각의 의미, 촉각의 사회성 등에 대해 탐구하였다. 디지털 기기의 사용과 더불어 감각의 매개가 중요해지는 지금의 인간 존재 양태를, 인간과 기계가 형성하는 공감각(synesthesia), 디지털 기기를 통해 소통하는 인간의 사회적 정동(affect)의 층위, 디지털 문화 세대의 스타일과 정서의 조합과 구성에 감각이 동원되는 양상 등에 초점을 맞추어 예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호모 센수스에 주목하는 이유는 디지털 시대의 문화적 조건이 인간의 감각세계와 감각에 대한 집중도와 세정도(high definition), 확산도에 있어 이전의 인간이 경험하던 차원과 획기적으로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감각 사회학의 이론적 토대 마련을 위하여 짐멜로부터 시작하여 최근의 사회과학에서 감각 연구(sensory studies)로 집약되고 있는 감각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링기스, 크래리, 하위즈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감각 비율의 변화, 감각과 신체와의 관계에 대한 매클루언의 ‘미디어로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비롯해서 젠킨스의 융합문화, 그리고 헤일즈의 포스트휴먼 논의 등 관련 이론을 재검토해보면서 호모 센수스 등장의 징후와 관련한 설명틀을 구축하려 시도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conditions and modes of existence of Homo Sensus as the posthuman with the theories of senses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human is in the process of posthumanization while the utilization of senses is maximized and so that the human exist as the composition of converged senses according to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aying attention to the cultural changes emerged by ‘sensual turn’, the meaning of visibility and haptic sense, sociality of touch are examined for the theoretical basis to establish the cultural sociology of sense as the first step. For the analysis of the mode of existence of homo sensus, synesthesia between the human and machine, the formation of social affect by the communication with digital devices and applications, and the phenomenon of mobilization of senses for the forming of style and sensation in the generation of digital culture are dealt with as important contents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homo sensus becomes the central theme in this paper is that the cultural conditions in digital era are epoch-making in the level of concentration, high-definition and extension about senses and sensual world of the human. For the formation of theoretical basis for sensual sociology, various discussions about senses and sensory studies in social sciences from Simmel to Lingis, Crary, Howes & Classen are reviewed. Furthermore, the ratio of senses and the relation of senses and body in the context of ‘the human beings as media’ in the writings of McLuhan, convergence culture of Jenkins, and the discussion on the posthumanism of Hayles give inspir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this study. The aims of this study lie in the formation of theory of homo sensus aa posthuman which can serve as basis for future case studies as empirical researches, so the import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is trial for the theory building is the first step to earn the precise understanding on the society of se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