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ow can family policies reconcile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Comparisons between South Korea and Sweden

        Soomi LEE,Ann-Zofie DUVANDER,Steven H. ZARIT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16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22 No.3

        South Korea has extremely low rates of fertility and labor force participation by women during their childbearing years, whereas Sweden has high rates for both. Variations in family policy models may explain differences in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Drawing upon literature that examines the effects of family policies on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this paper compares childcare support for very young children and parental leave policies in South Korea and Sweden. Thereafter,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ronger support for dual-earner rather than single-earner families to reconcile the two objectives of increasing fertility and women’s workforce participation. Specifically, it is critical to: (a) enhanc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for very young children, (b) achieve gender equality in parental leave policies, and (c) reduce gaps in th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family benefits by working parents from different social classes. 한국은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률과 매우 낮은 여성 노동시장 참여율을 보고하고있는반면,스웨덴은두지수모두높은수치를유지하고있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두 국가의 가족정책을 영유아 보육 지원과 출산/육아 휴가,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한국과 스웨덴은 이 두 가지 측면에서 맞벌이 가족들을 위한 정책 여부 및 지원방안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스웨덴은 외벌이 가족들보다 맞벌이 가족들에게 필요한 혜택들을 차별적으로 더 많이 지원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점이 출산율과 여성 노동시장 참여율을 함께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발견되었다. 출산율과 여성 노동시장 참여율을 높이고자 하는 한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은 특히 (1) 영유아들을 보육하기 위한 어린이집의 수와 질을 늘리고, (2) 출산/육아 휴가의 내용과 이용면에서의 부모간에 양성 평등을 이루며, (3) 가족 정책에의 접근과 이용면에서 사회 계층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중점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Attitudes Toward Welfare Expansion With a Tax Increase in South Korea

        Soomi Lee(이수미),Kyungmee Park(박경미) 한국정치학회 2018 한국정치학회보 Vol.52 No.3

        하나의 추세로 대두되고 있는 복지정책 확대는 재정적 한계로 인해 그 지속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사람들은 더 많은 세금을 지불하는 것에 늘 부정적이라는 일반적 통념과 달리, 복지확대를 위한 세금 인상에는 복합적 요인이 작용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세금 인상을 동반한 복지확대에 관심을 가졌다. 특히 이 연구는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정치적 요인에 주목하여 정치이념과 정당일체감이 세금 인상을 동반한 복지 확대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이익론(pocketbook hypothesis)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Large-scale social program expansions are underway in many Asian countries, but the fiscal sustainability of those programs is uncertain. Despite the common belief that people are unwilling to pay more taxes in general, people in these countries are aware that an expansion of social programs entails higher taxes. Nonetheless, in the current literatures, it is poorly understood who supports such an expansion even if it requires a tax increase. We examine the case of South Korea, where per capita income is comparable to that of advanced economies, though its welfare system is still under development. Analyz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we find it is the politically independent middle class that most strongly resists a welfare expansion associated with tax increases.

      • SCISCIESCOPUS

        Ring finger protein 126 (RNF126) suppresses ionizing radiation–induced p53-binding protein 1 (53BP1) focus formation

        Lee, Nam Soo,Chang, Hae Ryung,Kim, Soomi,Ji, Jae-Hoon,Lee, Joorak,Lee, Hyun Ji,Seo, Yoojeong,Kang, Misun,Han, Joo Seok,Myung, Kyungjae,Kim, Yonghwan,Kim, Hongtae American Society for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 2018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293 No.2

        <P>Cells have evolved sophisticated mechanisms to maintain genomic integrity in response to DNA damage. Ionizing radiation (IR)–induced DNA damage results in the formation of IR-induced foci (iRIF) in the nucleus. The iRIF formation is part of the DNA damage response (DDR), which is an essential signaling cascade that must be strictly regulated because either the loss of or an augmented DDR leads to loss of genome integrity. Accordingly, negative regulation of the DDR is as critical as its activation. In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ring finger protein 126 (RNF126) as a negative regulator of the DDR from a screen of iRIF containing 53BP1. RNF126 overexpression abolishes not only the formation of 53BP1 iRIF but also of RNF168, FK2, RAP80, and BRCA1. However, the iRIF formation of γH2AX, MDC1, and RNF8 is maintained, indicating that RNF126 acts between RNF8 and RNF168 during the DDR. In addition, RNF126 overexpression consistently results in the loss of RNF168-mediated H2A monoubiquitination at lysine 13/15 and inhibition of the non-homologous end joining capability. Taken together, our findings reveal that RNF126 is a novel factor involved in the negative regulation of DDR, which is important for sustaining genomic integrity.</P>

      • Leumorphin has an anti-apoptotic effect by activating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kinase in rat pheochromocytoma PC12 cells

        Lee, Byoung Dae,Kim, Soomi,Hur, Eun-Mi,Park, Yong-Soo,Kim, Yun-Hee,Lee, Taehoon G.,Kim, Kyong-Tai,Suh, Pann-Ghill,Ryu, Sung Ho Blackwell Science Ltd 2005 Journal of Neurochemistry Vol.95 No.1

        <P>Abstract</P><P>Endogenous opioid peptides, found in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 perform neuromodulatory roles, and display a wide range of function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I>in vitro</I> and <I>in vivo</I>.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dynorphin gene products on intracellular signaling events and cell survival in rat pheochromocytoma PC12 cells. Leumorphin, but not other prodynorphin gene products including dynorphin A, &bgr;-neoendorphin and rimorphin (dynorphin B), increased cell viability in PC12 cells.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leumorphin was dependent on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s, but was insensitive to both naloxone, a general antagonist of the opioid receptor, and nor-binaltorphimine, a specific antagonist of the kappa opioid receptor. Moreover, a competition-binding assay clearly revealed that leumorphin had another binding site(s) in addition to that for the kappa opioid receptor. Interestingly, leumorphin induced activation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via a Src-dependent mechanism, which was proved to be responsible for the increased survival response. Flow cytometric and microscopic analysis showed that leumorphin rescued cells from serum deprivation-induced apoptosis. Collectively, we suggest that leumorphin prevents apoptosis via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mediated activation of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s, which occur independent of the kappa opioid receptor.</P>

      • KCI등재

        일상 담화의 une espèce de N

        이수미 ( Lee Soomi ) 한국불어불문학회 2021 불어불문학연구 Vol.- No.125

        본 논문의 목적은 일상 담화에 사용된 une espèce de N의 역할과 가치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그 결과 첫째로 une espèce de N이 크게 분류하기와 규정하기의 두 용법으로 나뉠 수 있음을, 둘째로 une espèce de N이 두 용법에서 모두 대상을 대략적인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음을, 마지막으로 이러한 현상이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류 용법의 une espèce de N은 명확하게 인지되지 않는 대상에 우회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알려진 범주를 가져온다. 반면, 규정 용법의 une espèce de N은 화자가 인지한 대상의 속성을 드러내기 위해, 그 속성을 대표하는 범주를 가져와 대상을 설명한다. 분류에 사용되는 N 범주가 안정된 구조를 지닌다면, 규정에 사용되는 N 범주는 불안정한 구조를 지닌다. 안정된 구조를 지닌 범주에 une espèce de를 결합하면, 대상은 그 범주에는 속하지만, 범주의 전형적인 속성을 지니지 않는다. 그러나 불안정한 범주와 결합한 une espèce de는 대상을 명백하게 N 범주에 귀속시킬 수는 없지만, 대상은 N 범주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xaminer le rôle et la valeur de l’expression une espèce de N employée dans les discours de la vie quotidienne. D’abord, nous avons observé que une espèce de N recouvre deux emplois différents : la classification et la caractérisation. Ensuite, nous avons constaté que ces deux emplois d’une espèce de N abordent de façon approximative le référent en question. Enfin, cette expression se trouve étroitement liée à l’attitude du locuteur envers ce référent. Dans le cas de la classification, le locuteur introduit un N connu pour définir un référent, qui n’est pas précisément perçu, sous un ensemble ou un groupe auquel il appartient. La caractérisation du référent s’effectue à travers le choix du N. En effet, en sélectionnant un N, le locuteur veut appliquer les caractéristiques propres à N sur l’objet qu’il désigne. Le N utilisé pour l’emploi de classification connaît une structure stable : le référent se classe dans cette catégorie, bien qu’il soit un exemple atypique du N (par exemple, C’est une espèce de fruit). Néanmoins, concernant celui de la caractérisation, cette structure apparaît instable : le référent traduit les propriétés typiques de N dans la situation d’énonciation, mais cela n’affirme pas qu’il appartient objectivement à cette catégorie (par exemple, C’est une espèce d’idiot).

      • KCI등재

        조선 후기 초상화 초본(草本)의 유형과 그 표현기법

        李秀美(Lee Soomi),윤진영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0 美術史學 Vol.- No.24

        초상화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 문화의 여러 방면에서 ‘초본(草本)’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회화 분야의 ‘초본’은 작품의 틀을 구상하면서 처음 그리는 그림을 말한다. 곧 초상화 초본이란 초상화 제작의 시작 단계에서 인물을 묘사하는 밑그림을 말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초상화 초본의 바탕 재질과 그 표현기법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초본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겠다. 초상화 초본의 제작은 초상화의 성립과 함께 시작되었을 것이나 아쉽게도 유존하는 초본은 조선 후기 이후에 집중된 분포를 보이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초상화 초본을 주 대상으로 검토해 보겠다. 초상화를 제작 단계의 측면에서 초본(草本)과 정본(正本)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초본은 초상화의 시작 단계에서 인물을 묘사하는 밑그림을 말하며, 이에 반하여 정본은 초본 제작의 단계에서 수정과 보완을 거친 후 완성된 초상화를 일컫는다. 초상화 제작 과정에서 주목해 볼 것은 대부분의 초상화 초본이 ‘유지화(油紙化)’한 종이에 그려졌다는 것이다. 유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종이에 기름을 먹여서 반투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앞면의 전채(前彩)와 뒷면의 배채(背彩)가 합쳐져 생기는 효과를 미리 시험해 볼 수 있었다. 유지초본에 이뤄진 채색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에 이어지는 비단 정본(正本)의 채색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유지화’하는 또 다른 이유로는 이미 존재하고 있는 초상을 다시 모사하고자 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종이를 반투명하게 하면 밑에 깔린 원본의 초상을 쉽게 비춰 볼 수 있으므로, 유지를 원본 위에 두고 쉽게 초본을 뜰 수 있었다. 현존하는 초상화 초본의 앞면을 그린 전채(前彩) 재료를 살펴보면 목탄(木炭), 먹, 붉은 먹, 채색 등 다양하다. 또한 그 표현 기법의 정밀도 역시 초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그 종류를 목탄초(木炭草), 먹선초(墨線草), 선염초(渲染草), 필묘초(筆描草)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찾아보았다. 목탄초는 나무를 태워 숯 상태로 만들어 그린 초본이다. 유탄초로는 《칠분전신첩(七分傳神帖》 속의 초상을 들 수 있다. 두 번째, 먹선초로는 먹만으로 인물의 윤곽을 그린 초본을 말한다. 김창업(金昌業, 1658-1721)이 그렸다고 전하는 〈송시열 초상〉 초본은 의복의 윤곽과 크기를 잡기 위해 신체에 여러 번 붓질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세 번째, 선염초는 먹선으로 얼굴의 윤곽을 설정하고 엷은 담묵(淡墨)이나 담채(淡彩) 혹은 엷은 안료로 얼굴의 입체감을 묘사한 초본을 말한다. 네 번째는 필묘초로서 얼굴에 무수하게 가는 선을 그어 입체감을 살렸다. 정밀하게 반복되는 무수한 필묘는 안면의 피부를 매끄럽게 보이게 하여 흡사 정본 초상화의 필묘 상태를 연상시킨다. 초상화 초본의 전채 기법과 함께 배채(背彩) 기법 또한 매우 중요하다. 배채는 화면 바탕의 뒷면에 채색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초상화의 중요한 특징으로서 초상화 초본과 정본에 모두 사용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배채한 후에 앞에서 전채(前彩)하여 얼굴 묘사를 완성하였으며 이렇게 실험하여 얻은 초본의 채색 방식은 동일한 인물의 정본을 제작할 때 그대로 적용되었을 것이다. 즉 초본에 구사된 화면 효과를 보고 이 초상화의 수요자는 정본의 채색 방향을 정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지 바탕에 섬세한 필치의 전채와 배채를 구사한 유지초본(油紙草本)의 형식이 언제 성립되었는지는 아직 확단하기 어렵다. 단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명현화상(名賢畵像)》을 보면 18세기에는 유지와 배채의 요소가 갖춰진 유지초본의 전통이 확립되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초상화의 전체 제작 과정에서 초본은 정본의 밑그림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비단에 옮기기 전에 미리 그 효과를 실험하는 견본작이라고 할 수 있다. 초상화의 주문자들은 이러한 초본의 결과를 참고하여 정본 제작의 방향을 정하였다. 이미 초본에서 실험하여 정해진 구도, 배색, 선염, 필묘 등의 세부 사항 등은 정본에 적용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특히 얼굴 묘사의 완성도가 매우 높아서 Chobon are outline drawings that serve as "drafts" for paintings. Portrait chobon, or portrait drawings, are generally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by the type of the portraits produced. The first type is dosa (real-life drawing), meaning that the painter sketches the sitter from life. The second type is mosa (copy). In this case, the drawing is copied from an existing portrait. The third type is chusa (posthumous drawing). In this case, the painter creates an image of the deceased, based on the recollections of friends and family. Outline drawings and completed portraits often reveal colorings on the back of the paper or the silk. This back coloring is called baechse in the Joseon period. This technique not only prevents the color pigments from being scraped off, but also contributes to the subtle transparency of the overall color. In this technique, the back of the paper is also painted when the drawing is made. That way, the portraitist and the patron can judge the finishing touches on the front in light of the transparent effect of the back coloring. One characteristic of portrait drawings is the use of oiled paper. When paper is soaked in oil, it becomes semi-transparent. Thus the portraitist can see in advance the effect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coloring and the back coloring. This way, the drawing provides an accurate preview of the final work. The original color of the oiled paper is semi-transparent yellow, just like pure silk. However, the Joseon period drawings that still exist show some discoloring of the aging oiled paper. In extant portrait drawings, various kinds of materials were used for the front coloring such as charcoal, ink, red ink, and color. The drawings also differ in terms of the technical details. They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first, moktancho, which uses moktan, a charcoal, to sketch the image; second, meokseoncho, which outlines the image with ink; third, seonnyeomcho, which completes the image with seonnyeom, coloring and shading; and fourth, pilmyocho, which gives more details by pilmyo, drawing fine lines on the surface. The facial details of extant portrait drawings are extremely fine, to the extent that the drawings are almost identical to the final works. This is because the patrons and painters decided how the final works should look while discussing these drawings. A chobon therefore functioned as a sample work that provided a preview of the portrait before it was finally painted on silk.

      • KCI등재

        프랑스어 명사의 현동화

        이수미(Soomi LEE) 프랑스학회 2017 프랑스학연구 Vol.82 No.-

        Ce travail concerne l actualisation des noms en français : les signes linguistiques qui n ont rien à voir avec la réalité peuvent renvoyer aux objets réels grâce à l actualisation. L actualisation en linguistique est donc un processus indispensable servant à lier les signes linguistiques à la réalité. Les noms communs montrent de façon claire cette actualisation : ils se combinent presque toujours avec un déterminant. Ils ne comprennent que les propriétés sémantiques abstraites, et les déterminants délimitent ces propriétés pour désigner des référents concrets. Autrement dit, le locuteur est obligé de choisir un déterminant pour renvoyer à l objet qu il veut montrer. On peut donc considérer que s il n y a pas de déterminant, le nom n est pas actualisé : normalement, il ne peut pas désigner l objet réel. Cependant l observation nous montre que la combinaison avec un déterminant n est pas toujours obligatoire, même si le nom réfère à un objet réel(ex. une femme à chapeau). Et les noms propres, comme ils désignent les référents individuels et particuliers, n ont pas besoin d être déterminés pour identifier leur référent(ex. Paul, Valence etc.). Mais on peut quand même trouver les noms propres combinés avec les déterminants(ex. La France, La loire etc.). C est la raison pour laquelle nous avons voulu examiner l actualisastion des noms.

      • IMT - 2000 시스템의 reliable SRLP 프로토콜

        이수미(Lee Soomi),황운희(Hwang Woonhee),이종원(Lee Jongwon),양신현(Yang Shinhyun),예정화(Ye Jungwha)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A

        IMT-2000 시스템에서 링크 계층은 LAC(Link Access Control) 부계층과 MAC(Medium Access Control) 부계층으로 구분되어진다. LAC 부계층은 메시지에 대한 reliable ARQ 기능을 제공한다. MAC 부계층은 주로 SAR(Segmentation And Reassembly) 기능을 제공한다. IMT-2000 시스템에서 dedicated channel을 통해 시그널링 데이터를 전송할 때 MAC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SRLP(Signaling Radio Link Protocol)이다. SRLP는 SAR를 위한 최소한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시그널링 메시지의 경우, 메시지 세그먼트에 대한 기본적인 sequence check 기능도 제공되고 있지 않다. 때문에 기존의 SRLP의 경우, 메시지 세그먼트에 대한 기본적인 sequence check 기능도 제공되고 있지 않다. 때문에 기존의 SRLP는 메시지 세그먼트를 모두 재결합한 후에나 메시지가 손상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CRC를 통해 점검할 수 있어서 손상된 메시지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지 못하며 또한 세그먼트를 저장하는 버퍼의 낭비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reliable RLP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