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학 영어번역 양상 멀리서 읽기(1): 현대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유건수,김보경,김지윤,전세진,정기인,정성훈,Seth Chandler 한국근대문학회 202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4 No.1

        This article examines trends in English transla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1931-2023) in terms of number of publications by time period, genre, author, author’s gender. Published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have shown a quantitative expansion since the 2010s, along with a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works published domestically and an increase in those published in the UK and US. In terms of genre, translations of poetry were generally most common until the 1990s, with fiction becoming the majority from the 2000s. Until the 1990s, translated authors were largely those considered canonical in Korean literary history, while translation after the 2000s has concentrated on authors receiving contemporary attention from Korean literary critics and publishers. Up through the 1980s, male authors made up nearly 90 percent of all translated authors, but since then the proportion of female authors has increased, nearing parity in the period from 2016~2020.

      • KCI등재

        한국문학 영어번역 양상 멀리서 읽기(2)-고전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전기화,김지윤,유건수,전세진,정기인,정성훈,Seth Chandler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한국 고전문학의 영어번역양상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1889년부터 2023년까지 번역된 1868개의 고전문학 작품과 206권의 단행본의 목록을 만들고, 그 서지 사항을 근거로 하여 시기별 발간량 추이, 여성 작가의 비율 추이, 장르별 번역 추이, 작가와 산출 연대별 번역 추이, 번역가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고전문학 분야의 연간 발간량은 지난 60년 동안 일관된 증가나 감소 추세를 보이지 않았으며, 특정한 고전문학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재번역 및 재출간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성 작가의 비율은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 특히 2011년부터 2020년 사이에 데이터 수집 기간 중 가장 높은 16.8%를 기록했다. 이러한 여성 작가 비율의 증가는 번역자 개인의 관심과 영미 학계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장르별 추이를 살펴보면, 한글문학, 한문학, 구비문학 순으로 비중이 높으나, 이 비중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1960년대 이전까지는 구비문학이 중심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기록문학 중심으로 전환되었고, 2000년대 이후 한문학 및 산문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작품이 가장 많은 횟수에 걸쳐 번역된 작가들은 鄭澈, 黃眞伊, 尹善道 등 고전시가 작가들로 확인되며, 번역 작품의 가중치를 고려할 경우 상위 작가 명단은 金萬重과 惠慶宮 洪氏 등 고전산문 작가들로 나타난다. 번역된 작품에서는 조선시대 작품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16세기와 17세기 작품이 다수 번역되었다. 한편 번역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볼 경우, 초기 선교사 번역가들과 20세기 중후반 한국학 개발 시기의 번역가들의 작품이 여전히 주요 비중을 차지하며, 이들의 개인적 취향과 환경이 번역 양상에 영향을 끼쳤다. 현재로서는 고전문학의 실제적 다양성을 영어번역에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최근 연구자들의 문제의식이 번역 양상에까지 충분히 반영되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다. This preliminary study offers a comprehensive view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 Using bibliographic data from 206 books and 1868 works of translation published between 1889 and 2023, it analyzes trends in the number of translations published over time, the proportions of female authorship, literary genre, and historical era among source texts, and the translators of classical literature. This analysis indicates no consistent increase or decrease in publishing over the past 60 years, and finds a tendency for specific works to be retranslated or republished. Female authorship of source texts gradually increases over time, reaching a maximum of 16.8 percent in 2011-2020. This increase may reflect individual interests of specific translators and the influence of English-language academia. In terms of genre, Hangul literature makes up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hen oral literature. However, this changes over time, shifting from oral literature prior to 1960 to written literature in the 1970s. From the 2000s, prose and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grew. Authors with the most translated works include classical poets like Jeong Cheol, Hwang Jin-i, and Yun Seon-do, while a weighted measure of translated works results in prose writers like Kim Man-jung, Lady Hyegyeong, and Il-yeon. Joseon-era source texts are predominant, particularly from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Early missionary translators and those activ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from the mid-to-late twentieth century remain the largest overall contributors, with their personal tastes and available resources influencing overall trends. This suggests that the concerns of recent researchers, who argue for a fuller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of classical works, are not yet sufficiently reflected in English translation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s a wh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