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용 한국어 TTS 플랫폼 개발

        이정철,이상호,Lee Jungchul,Lee Sangho 대한음성학회 2004 말소리 Vol.50 No.-

        Recently, there has been considerable progress in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digital signal processing components and this progress has led to the improved synthetic speech qualify of many commercial TTS systems. But there still remain many obstacles to overcome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TS. To resolve the problems, the cooperative research among the related areas is highly required and a common Korean TTS platform is essential to promote these activities. This platform offers a general framework for building Korean speech synthesis systems and a full C/C++ source for modules supports to implement and test his own algorithm. In this paper we described the aspect of a Korean TTS platform to be developed and a developing plan.

      • KCI등재

        중기 구석기시대 석기공작에 대한 지역적 특성의 고찰

        이정철(Lee, Jungchul) 백산학회 2013 白山學報 Vol.- No.95

        본 연구는 남한강 하류에서 발굴조사된 구석기유적을 중심으로 지형ㆍ지질적, 그리고 석기 양상을 바탕으로 이 지역 구석기공작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유적은 대부분 남한강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병산리, 백석리, 연양리 유적은 하안단구의 상부에 자리잡고 있다. 이 지역에서 하안단구는 두매가 확인되는데, 하상비고 10m 내외의 하위면단구 상부에 병산리 유적이 위치하며, 하상비고 25m 내외의 상위면 단구 상부에 백석리와 연양리 유적이 입지한다. 유물은 단구 퇴적물 상부에 위치하는 점토성 퇴적물 내에서 출토되는데, 하부 쐐기구조 아래의 적갈색조를 보이는 점토층에서 유물이 공통적으로 출토된다. 그 연대는 연양리 유적의 OSL연대측정 결과를 참조할 때, 65,000BC를 전후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한편 도곡리 유적의 경우에는 사면말단부에 해당하는 골짜기부에 위치하며, 유물은 사면에서 기원한 퇴적물과 섞여 재퇴적된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MIS 3기와 관련된다. 그러므로 남한강 하류 유적의 유물층은 모두 중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 이 지역에서 발굴조사된 구석기 유물은 유적별로 수량의 차이가 크다. 하지만 비교적 단순한 다듬은 석기의 구성에서 찍개가 상당수를 점유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며, 이러한 점은 해당 지역에서 나타나는 석기공작의 특성으로 판단된다. 특히 찍개 중에서도 외면찍개가 차지하는 비율이 대단히 높다. 이렇듯 특정 지역 내에서 찍개(외면)를 위주로 한 석기공작이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점은 중기 구석기시대 타 지역권에서 보기 드문 것으로써 소위 석기공작의 지역성에 대한 하나의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자료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leolithic sites excavated in the lower reach of Namhan River Bas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stone industry. The sites were mostly located in the riversides of Namhan River, and the topography where the site were located was characteristic of being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river terrace. There were two terraces in this area: Byungsan-ri site wa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lower terrace with about 10-15m of relative height; Baegseogni and Yeonyang-ri sites were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upper terrace with about 25-30m of relative height. The artifacts were excavated within clay deposit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terrace deposits, and they were commonly excavated from reddish brown clay layer under the lower soil-wedge. The dating was estimated to be around 65,000BC, when considered of the results of the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ating on the Yeonyang-ri site. As for the Dogok-ri site, Artifacts were found in the valley part located on the slope foot, being estimated to be re-deposited by mixing when the deposits from the slope filled the valley. The paleolithic artifacts excavated in the region remains very larg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rtifacts from each site. It is remarkable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sites were chopper-chopping tools, based on the analysis of stone tools, which were estimated to stone industry characteristic of the ones found in this area. Out of the tools, choppers were considerably higher in the rate.

      • KCI등재

        안성천 유역 구석기 조사의 전개와 성과

        이정철(Lee Jungchul)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안성천 유역의 구석기 조사는 특정 계기를 바탕으로 탐색기, 개시기, 발전기, 확산기로구분할 수 있는데, 탐색기 이후 개시기-발전기-확산기의 시간적 범위는 대단히 짧은 편이다. 탐색기는 안성천 유역 내 구석기의 분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지점에서 구석기의수습이 진행되었던 2003년 이전의 시기이며, 개시기는 2003년 평택을 시작으로 수원·안성·화성·천안 등 여러 지역에서 구석기 조사가 진행되기 시작하는 2003~07년까지의 기간이다. 발전기는 핵심적 유적이 조사되고 이를 통해 이 지역 구석기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되는 2007~11년, 마지막으로 확산기는 구석기 조사가 이루어지는 지점의 공간적 범위가더욱 확대되는 2012년에서 현재까지이다. 안성천 유역의 구석기 조사는 크게 네가지 측면에서 그 성과가 정리되었다. 첫째, 유적의입지와 지형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비교적 활발한 토양·퇴적물 분석 등 자연과학의적용을 통한 유적 형성 환경이 추론되었다. 셋째, 유물층과 그 시간적 편년의 설정이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구석기공작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 구석기공작의 일양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 기존 구석기 조사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여 안성천 유역 구석기 조사의 성장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aleolithic surveys in the Anseong-cheon area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namely exploration stage, start-up stage, development stage and expansion stage based on specific moments. The time range of the start-up, development, and expansion stages following the exploration stage is very short. The exploration stage was before 2003 when the possibility of the distribution of the Paleolithic artifacts in the Anseong-cheon area was confirmed, and the start-up stage was from 2003 to 2007 when Paleolithic excavations began in Pyeongtaek, Suwon, Anseong, Hwaseong and Cheonan. The development stage is from 2007 to 2011, when main sites were excavated, an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leolithic in the region were specifically identified. Finally, the expansion stage is from 2012 to the present, when the spatial scope of the Paleolithic excavations has further expanded. Through the Paleolithic survey of the Anseong-cheon area, the location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sites were confirmed. In addition, scientific analysis has been applied to relatively active soils and sediments. Also, the artifacts layers and their chronology were established. Finally, a result was achieved that enabled discussions on the nature of the Paleolithic industry. It is my hope that the Paleolithic surveys in the Anseong-cheon area will grow by overcom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previous surveys in the future.

      • KCI등재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의 성격과 의의 -최근 10년간(2009~2018) 조사·보고된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이정철(Lee Jungchul)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1

        The study of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in the Namhan river basin was conducted in 10 main open sites. The sites were concentrated in the downstream, compared to the upstream. artifacts were excavated in the clay deposit above the river terrace and the clay or sandy clay deposit at the end of the pediment. Layers which artifacts were excavated are divided into four parts by conventional research. The uppermost part is A layers group (after 16~15 ka), 1st artifacts layer at Botong-ri, Songho-dong and Suyanggae Loc. . The B1 layers group (40~16 ka) include artifacts layer at Sinpyeong-ri, 1 st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Songam-ri and Yeonyang-ri , 2 nd artifacts layer at Songho-dong and Botong-ri, 3 r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1st and 2 nd , 3 rd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2 nd , 3 rd and 4 th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The B2 layers group (65~40 ka) include 1 st artifacts layer at Hoamdong, 2 nd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and Songam-ri, 3 rd artifacts layer at Botong-ri, 1 st and 2 n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The lowest part is C layers group (before 65 ka), 2 nd and 3 rd artifacts layer at Hoam-dong and Yeonyang-ri . While quartz-quartzite raw material is dominant in most sites, other raw materials are increasing with the emergence of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from the B1 layers group. The stone industry is transformed from large tools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to small tools, and small tools are gradually miniaturized. The significations of the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can be summarized addition of absolute dating data to the middle paleolithic,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tone industry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and confirming stone industry in late middle paleolithic. In the upper paleolithic, it is noteworthy that the identification of artifacts layer in many areas, the origin, emergence and diffusion of the blade technique, additional confirmation of sites related to the micro-blade technique and providing evidence of artifacts layer classification in B1 layers group. 최근 10년간 조사·보고된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에 대한 연구는 10개의 주요 한데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적은 남한강의 상류에 비해 하류에 집중되며, 하안단구 상부의 점토층이나 산록완사면 말단에 퇴적된 점토 및 사질점토층에서 석기가 출토된다. 석기가 출토되는 퇴적층은 기존 연구를 통해 네 매로 구분할 수 있다. 최상부는 A퇴적층(16~15ka 이후)으로 단양 수양개 지구 1유물층, 원주 송호동 1유물층과 보통리 1유물층, B1퇴적층(40~16ka)에는 평창 송정리 1유물층, 단양 수양개 지구 1·2·3유물층와 수양개 지구 2·3·4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3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1유물층, 원주 신평리 유물층과 송호동 2유물층 그리고 보통리 2유물층, 여주 연양리 1유물층, B2퇴적층(65~40ka)은 평창 송정리 2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1·2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2유물층과 호암동 1유물층, 원주 보통리 3유물층, 최하부는 C퇴적층(65ka 이전)으로 충주 호암동 2·3유물층, 여주 연양리 2·3유물층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유적에서는 석영계돌감이 우세하지만, B1퇴적층부터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이 등장하면서 기타 돌감이 증가하고 있다. 석기공작은 찍개 위주의 대형석기에서 소형석기 중심 공작으로 전환되며, 소형석기는 점차 소형화된다. 구석기 신자료의 의의는 중기 구석기시대에는 절대연대 자료의 추가 확보, 찍개 중심 석기공작과 지역성, 중기 구석기시대 말기 석기공작의 확인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후기 구석기시대 에는 여러 지역에서의 유물층 확인, 돌날 기법의 기원·출현과 (재)확산, 좀돌날 기법 관련 유적의 추가 확인, B1퇴적층 내 유물층의 세분 가능성이 주목된다.

      • KCI등재

        한강유역 구석기유적의 편년과 석기공작

        이정철(Lee Jungchul) 한국구석기학회 2012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an aspect of the paleolithic by setting the chronological system of open sites in the Han River basin through the comparison study and by identifying various statuses of stone industry of the time. Through the study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stratigraphy, the division of period of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Han River Basin can be devided into three parts of Phase Ⅰ, Phase Ⅱ, Phase Ⅲ. The boundaries were 37,000BP and 24,000BP respectively. As the results, Yeonyang-ri, Byungsan-ri 2nd and 3rd cultural layer, Dogok-ri, Suyanggae Loc.Ⅲ 1st cultural layer, Sam-ri 3rd cultural layer was classified as sites of Phase I. Also, Deokso 3rd layer, Hopyeong-dong 1st cultural layer, Jisaewool 2nd cultural layer, Dongbaek-li Ⅱ and Ⅲ cultural layer, Changnae was classified as sites of Phase Ⅱ. Finally, Phase Ⅲ included Sam-ri 1st and 2nd cultural layer, Deokso 2nd layer, Hopyeong-dong 2nd cultural layer, Jisaewool 1st cultural layer, Suyanggae Loc.Ⅰ Ⅳㄴ layer(upper paleolithic cultural layer), Suyanggae Loc.Ⅲ 2nd cultural layer, Dongbaek-li Ⅰ cultural layer, Byungsan-ri 1st cultural layer, Duhak-dong Joongmal. As far as the raw material and the artifacts composition in the stone industry were concerned, quartz and quartzite were dominant from Phase Ⅰ to Phase Ⅲ. However, in Phase Ⅱ some other good raw materials appeared and then in Phase III good quality materials such as obsidian increasingly appeared surpassing the quality of quartz and quartzite. From the perspective of artifacts composition, the artifacts in most sites were products of knapping process such as core, flake and debris were. However, there were some sites that had many shaped tools,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limitation of study scope and the possibility of site transformation. In debitage, the artifacts composition of knapping process and property of general cores and flakes were analyzed. Regarding general cores and flakes were dominant in all Phase. However, in Phase Ⅱ, blade cores and blades, and micro-blade core and micro-blade came to be seen. In the property analysis of cores and flakes, it was found that they came to be miniaturized and good quality raw materials increased. In debitage, preparation of striking platform was made more actively and the utilization of core was maximized as time went by. For the shaped tools, the composition and property analysis of main stone tools were performed. As far as shaped tools were concerned, in Phase I, core tools including chopper were discovered frequently, while in Phase Ⅱ, retouched tools including side scrapers increased and end scrapers appeared. In Phase Ⅲ, retouched tools remained as dominant stone-tools with the decrease of side scrapers and the increase of end scrapers, notch and other kinds of retouched tools In the property analysis, production differences of choppers according to production times were not identified. In case of side scrapers, there were many convex edges and straight edges of single edges. There was change in the number and the shape of edge in Phase Ⅱ and it became more conspicuous in Phase Ⅲ. The edge of end scrapers was changed from wide round one to narrow round o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hape, circle, oval and square types were dominant in Phase Ⅱ, while rectangle and thumb nail scrappers increased in Phase Ⅲ. In notches, ordinary or complex notches were dominant in Phase I, while the share of clactonian notches became higher in Phase III. Tanged tools were produced in a standardized form and it is deeply related with the blade technique. 본 연구는 한강유역의 주요 한데유적을 대상으로 비교연구를 통하여 편년 체계를 설정하고, 각 시기별 석기공작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형과 층서를 대한 연구를 통해 구석기유적의 시기 구분은 Ⅰ기ㆍⅡ기ㆍⅢ기로 삼분하였으며, 그 경계는 각각 37,000BP, 24,000BP이다. Ⅰ기의 유적으로는 연양리, 병산리 2ㆍ3문화층, 도곡리, 수양개 Ⅲ지구 1문화층, 삼리 3문화층, Ⅱ기의 유적은 덕소 3지층, 동백리 ⅡㆍⅢ문화층, 호평동 지새울 2문화층, 호평동 1문화층, 창내, Ⅲ기의 유적에는 삼리 1ㆍ2문화층, 호평동 지새울 1문화층, 호평동 2문화층, 덕소 2지층, 두학동 중말, 수양개 Ⅰ지구 후기 구석기문화층, 수양개 Ⅲ지구 2문화층, 병산리 1문화층, 동백리 Ⅰ문화층이 해당된다. 석기공작은 우선 돌감과 석기 구성을 보면, Ⅰ기에서 Ⅲ기까지 대체적으로 석영ㆍ규암계 돌감이 우세하나 Ⅱ기에는 양질의 기타 돌감이 등장하기 시작하며, Ⅲ기에 이르러 일부 유적에서는 석영ㆍ규암계 돌감을 능가하는 흑요석을 비롯한 양질의 돌감이 급증한다. 석기 구성은 대부분의 유적에서 몸돌ㆍ격지ㆍ조각 등 박리작업 유물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일부 유적에서 다듬은 석기의 빈도가 높은데 이는 조사 범위 제한, 유적 변형의 가능성과 연관된다. 박리작업에서는 박리작업 유물의 구성과 일반적인 몸돌과 격지에 대해 속성분석을 진행하였다. 박리작업 유물의 구성은 모든 시기에 일반적인 몸돌과 격지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Ⅱ기에 돌날몸돌과 돌날이 관찰되며, Ⅲ기에는 돌날몸돌과 돌날, 좀돌날몸돌과 좀돌날이 나타난다. 몸돌과 격지의 속성분석을 통해 그 크기는 늦은 시기로 갈수록 소형화되고, 양질의 돌감이 증가한다. 또한 박리작업은 늦은 시기로 갈수록 타격면 조정이 활발하고, 몸돌의 활용을 극대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듬은 석기는 그 구성과 주요 석기에 대한 속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듬은 석기의 구성은 Ⅰ기에는 찍개를 중심으로 하는 몸돌석기의 빈도가 높고, Ⅱ기에는 긁개를 중심으로 잔손질석기가 급증하며 밀개가 등장하며, Ⅲ기에는 잔손질석기가 여전히 우세한 가운데 긁개는 약간 줄지만 밀개ㆍ홈날ㆍ기타 잔손질석기가 증가한다. 주요 다음은 석기의 속성분석에서 찍개는 시기에 따른 제작차이는 확인되지 않으며, 긁개의 경우 외날의 볼록날과 곧은날이 많지만 Ⅱ기에 이르러 날의 수, 날의 형태에 변화가 나타나며 Ⅲ기에 그 양상은 보다 뚜렷하다. 밀개의 날은 넓은 둥근날에서 좁은 둥근날로 변화하며, 그 형태는 Ⅱ기에는 원형, 타원형, 네모형이 많고 Ⅲ기에는 긴네모형과 소형의 엄지손톱형 밀개의 증가가 뚜렷하다. 홈날은 Ⅰ기에는 잔손질된 홈날이 우세하지만 Ⅲ기로 갈수록 클락토니안식 홈날의 비율이 높다. 그리고 슴베찌르개는 매우 정형화된 제작이 이루어졌는데 돌날기법과 관련이 깊다.

      • KCI등재

        경기 남부 내륙 구석기유적의 연구 -진위천과 그 지류를 중심으로-

        이정철(Lee Jungchul)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8

        본 연구는 경기 남부 내륙의 구석기유적을 대상으로 지형·지질학적 분석과 석기공작의 분석과 해석을 통하여, 이 지역 구석기공작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구석기유적은 상당수가 산록완사면의 말단에 집중되며, 토양·퇴적물의 형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유적 내에는 사면퇴적의 양상을 보여주는 사질의 퇴적물과 그 위로 풍성기원 등에 의한 점토성의 퇴적물이 확인된다. 구석기 유물은 이러한 퇴적물 내에서 확인되는데, 사면퇴적물 내의 유물층에서 변형이 크다. 대체적으로 사질의 퇴적물은 MIS 3기, 점토성 퇴적물은 MIS 3기 후반에서 MIS 2기에 걸쳐 형성되었다. 유물이 포함된 퇴적층은 토양·퇴적물의 구조 및 입도, 색조, 절대연대 등으로 5개의 군으로 구분된다. , 유물층군은 변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안정적인 층 내에 위치하며, , 유물 층군이 속한 퇴적층은 변형과 안정의 양상이 모두 나타난다. 한편 유물층군이 속한 퇴적층은 변형이 뚜렷하다.석기공작의 분석과 해석에서는 우선 각 유물층군 내 유적의 석기 공간 분포와 구성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유적 변형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오산리와 청계리, 천리 유적을 제외한 모든 유적에서 변형이 나타난다. 따라서 유적 변형이 나타나는 곳을 제외한 , , 유물층군에 해당되는 오산리와 청계리 유적의 주먹도끼, 찍개와 긁개에 대해서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지역 구석기공작의 단편적인 성격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석영제 돌감의 강도와 형태가 다듬은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징을 결정짓는 핵심적 요소라는 점을 파악하였다. 경기 남부 내륙의 구석기유적에 대한 지질고고학적 접근을 통하여, 다수의 유적에서 변형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 지역에서 구석기공작의 해석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석기유적의 시간적 범주를 고려한 연구는 유적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stone industry in the Paleolithic sites of the southern inland area of Gyeonggi-do through geoarchaeological methods. Many of the Paleolithic sites in this area are concentrated at the end of the piedmont slope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oil and sediments. Within the sites, sandy deposits formed in MIS 3 showing the aspect of colluvium and clay deposits of aeolian accumulated from latter part of MIS 3 to former part of MIS 2 are identified. Paleolithic artifacts are identified in these sediments. Artifact layers within slope deposits are largely transformed. Artifact layers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s by structure, granularity, soil and sediments, color, and absolute date. The 1st and 2nd artifact layer groups are generally stable, and the 3rd and 4th artifact layer groups are both transformed and stable. In the 5th artifact layers group, sites transformation is clearly identified. The aspect of additional sites transformation,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stone assemblage in each artifact layers group was indentified. As a result, site of Osan-ri, Cheonggye-ri and Cheon-ri was stable. By analyzing the hand-axes, chopperchopping tools and scrapers of Osan-ri and Cheonggye-ri that correspond to the , and artifact layers group, It’s found fragmentary patterns of stone industry in this area are that strength and form of quartz are key factor that determine the technological and morphological fe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