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Flipped Learning

        Noh,Jina(Jina Noh)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

        The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adopted flipped classroom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ourteen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t K University. They took a course entitled “Theor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hich adopted the flipped learning format for one semester. The researcher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to identify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ith respect to the flipped classroom.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he transcriptions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Three themes and six subcategories were derived: (a) opinion about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b) experience with flipped learning, and (c) proposals to improve flipped learning in univers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teaching support method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후보

        유아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노진아(Noh Jina),이윤숙(Lee Yun Suk),강미애(Kang Mi Ae),박동환(Park Dong Hwan),이유리(Lee Yu Ri)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육과 관련된 국내 전문학술지 논문의 질적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 분야에 나타난 질적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아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10편에 발표된 2000년부터 2010년 6월까지의 유아특수교육 관련 논문 총 52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들은 연도별ㆍ학회지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국내의 유아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는 유아특수교육연구 학술지를 중심으로 확장되었으며, 통합교육과 관련한 주제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면담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방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면서 질적 연구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도 증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의 유아특수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의 미래 방향성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trend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I/ECSE) in Korea. A total of 52 qualitative research papers in 10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0 to 2010 yea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se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the year of publication, published journal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qualitative research had increased especially in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clusive education topics had been explored mostly, interviews with teachers and/or parents had been conducted mostly. In addition,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had been made with the increased interest in 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and explore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qualitative research of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SNS 상호피드백 활동을 활용한 현장관찰수업에 관한 예비특수교사의 경험과 교사효능감에서의 변화에 관한 연구

        노진아(Noh, Jina)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이 연구에서는 SNS 상호피드백 활동을 적용한 현장관찰수업에 관한 예비특수교사의 경험과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1명의 예비특수교사에게 SNS 상호피드백 활동을 적용한 현장관찰수업을 실시하였고, 관찰수업일지, 개별 면담을 통해서 예비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서 교사효능감에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SNS 상호피드백 활동을 적용한 현장관찰 수업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효능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예비특수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원양성기관에서의 다양한 수업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1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changes of teacher efficacy in field observation of SNS mutual feedback activities. The teachers’ experiences were gathered via field journal and individual interview. In addition, teacher efficacy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field observation and analyzed by a paired t-test. The field observation of a class using SNS mutual feedback activities improved their perception toward practic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various way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discussed.

      • KCI등재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노진아 ( Noh Jina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각 지역에 있는 총 94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통계, 대응표본 t 검증, IPA 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대행동 정의하기, 기대행동 교수하기, 적절한 행동과 문제행동에 대해 반응하기, 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 구성하기 범주는 1사분면에 위치하였고, 점검하기 및 의사결정하기, 관리, 지원 범주는 3사분면에 위치하였으며, 가족참여 범주는 4사분면에 위치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유치원 현장에서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을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classroom-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Method: A total of 94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t test, and IP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categories in the first quadrant were expectations defined, expectations taught, responses to behaviors, and organized and predictable environment. Categories in the third quadrant were monitoring and decision making, management, and support. Category in the fourth quadrant was family involve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discussed how to activate classroom-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in kindergarten.

      • KCI등재

        증거기반의 행동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노진아 ( Jina N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각 지역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설문지 211부를 바탕으로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인식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지식과 자신감이 보통 정도로 나타났고, 문제행동 중재 전략의 실행에 가장 큰 걸림돌로 업무의 과중을 들었으며, 학교 단위로 문제행동 지원팀을 구축하는 것을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대부분의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을 다소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거나 반대로 증거에 기반을 두지 않은 전략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식 수준은 교사 변인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사의 연령과 근무하는 기관의 유형에 따라서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인식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연령이 어리고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증거기반 문제행동 중재 전략을 현장에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and to explore seve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these strategi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out South Korea. 211 of thos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perception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As a result, the knowledge and confidence level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at the medium level. Also, it was found that a heavy workload was a determining factor for not using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hile building a behavioral support team at each school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need. In addition, participants identified most evidence-based behavioral strategies as being important. But some of the strategies were identified as somewhat insignificant or conversely nonevidence-based strategies were identified important. The level of perception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ased on certain variables. Specifically, perceptions of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ifferent based on ages and type of institution. That is, younger teachers who worked at special schools were more likely to use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ways to facilitate evidence-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iscussed.

      • 충남대 잔디밭 토양 중 <sup>40</sup>K과 <sup>137</sup>Cs의 방사능 농도 및 경년 변화

        김진아 ( Jina Kim ),노형아 ( Hyungah Noh ),홍기민 ( Kimin Hong )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2022 충남과학연구지 Vol.39 No.1

        The radioactivity levels of <sup>40</sup>K(Potasium) and <sup>137</sup>Cs(Caesium) in the soil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ere measured using a high-growth ray spectrometry system consisting of a detector (HPGe, High Purity Germanium) and a multi-wave analyzer. The radioactivity level of <sup>40</sup>K in the topsoil in the second half of 2022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CNU), was 863 Bq/kg-dry and the radioactivity level of <sup>137</sup>CS was lower than the minimum detectable activity(MDA). The radioactivity level of <sup>40</sup>K in the subsoil was 882 Bq/kg-dry, and the radioactivity level of <sup>137</sup>Cs was not detected. This is a valu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direction of secular change in radiation levels.

      • Associations between Smoking-free Policies and Secondhand Smoking Exposure among Community Stakeholders in Seoul

        Jieun Kim,Jina Choo,Songwhi Noh,Ah Hyun Park,Jinbeom Park,Jihae Choi 한국간호과학회 2021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Aim: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moking-free school-policy would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HS exposure and to examine its impacts on SHS exposure compared to a smoking-free home-policy among community stakeholder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Participants were 295 students, 141 school staffs, and 275 parents of the students recruited from five primary schools in Seoul, South Korea. We selected primary schools firstly by regional deprivation index and the degree of designation of smoking-free schools, and then recruited five primary school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esent study. SHS exposure was defined as any exposure from either in-school or out-school areas and assessed by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Of the participants, 48.1% of students, 29.8% of school staffs, and 43.7% of parents were exposed to SHS. Students with a smoking-free school-policy had significantly lower SHS exposure rates than those without a smoking-free school-policy (adjusted odds ratio [OR] = 0.22, 95% confidence interval [CI] = 0.070 – 0.681). Students with a smoking-free school-policy had significantly lower SHS exposure rates than those with a smoking-free home-policy (adjusted OR = 0.22, 95% CI = 0.063 – 0.794). Students with both smoking-free school and home-policies had significantly lower SHS exposure rates than those with a smoking-free home-policy only (adjusted OR = 0.17, 95% CI = 0.050 – 0.578). However, these associations were not apparent among other community stakeholders. Conclusions: The smoking-free school-policy may be effective, and even stronger on the reduction of SHS exposures than a smoking-free home-policy among students in primary schools.

      • KCI등재

        통합유치원에서 협력적 자문을 통한 교사의 놀이개입이 중도중복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민경원 ( Min Kyungwon ),노진아 ( Noh Jina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적 자문을 통한 놀이개입이 통합 상황에 있는 중도중복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유치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유아 1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시작행동, 반응행동, 상호작용 행동에서의 변화를 단일대상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 전에는 또래의 목소리와 장난감 소리에 반응행동을 주로 보였으나, 중재 후에는 또래에게 놀이를 제안하거나 긍정적인 신체 접촉을 시도하는 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반응행동이 증가하였다. 중재가 지속되면서 또래들이 연구 대상 유아에게 보이는 시작행동이 증가하였고, 동시에 연구 대상 유아 역시 또래에게 보이는 행동이 증가하면서, 연구 대상 유아의 더 많은 사회적 반응행동이 유도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연구 대상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율은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에 비해 더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연구에서 실시한 협력적 자문을 통한 교사의 놀이개입이 연구 대상 유아와 또래 간에 집중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연구는 한 교실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통합유치원에서 중도중복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lay intervention, facilitated through collaborative consult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kindergarten. The child’s social initiation, response, and interaction behaviors were observed using a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s social initiation behaviors increased. Before the intervention, the child mainly reacted to peers’ voices and toy sounds. However, post-intervention, the child began to suggest play and initiate positive physical contact with peers. Second, the child’s social response behaviors also increased. As the intervention progressed, the initiation behaviors displayed by peers toward the child increased, which in turn led to an increase in the child’s response behaviors towards peers. Third, the child’s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potentially due to the teacher-led intervention, which encouraged intensive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 and pe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concrete strategies for enhancing interaction between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kindergartens where education is implemented in one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