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타 학습 기법의 연산층 별 학습률 설정에 따른 성능 변화에 관한 연구

        서지민(Jimin Seo),이정우(Jungwoo Lee)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은 메타 학습 기법에서 각 연산층에서 학습률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인공 신경망 내의 여러 연산층에 각기 다른 학습률을 적용한 후 Few-shot 분류 학습을 수행하여 정확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세부적인 학습률 설정이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불국사 건축과 중심불전의 주존불상에 관한 화엄교의적 고찰

        서지민(Seo Jimin)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불국사는 통일신라시대, 더 나아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사찰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보존되고 있는 곳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불국사는 화엄불국토를 구현한 사찰임이 밝혀졌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존하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건축물들이 화엄불국토의 어떤 부분에 해당하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했으며, 또 불국사의 중심불전에는 어떤불상들이 봉안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불국사는 사바세계와 연화장세계의 경계인 석단 위에 자리한다. 석단의 아래쪽에는 연화장세계를 떠받치는 향수해가 있는데, 향수해를 건너 大梯(백운교, 청운교, 칠보교, 연화교)를올라야 연화장세계로 진입하게 된다. 대제는 모두 52단의 계단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화엄경』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52단계의 보살도를 상징한다. 부처의 세계로 진입한다는 뜻의佛門(자하문)의 양 옆에는 누각 형태의 주초로 된 누각(범영루, 좌경루)이 있는데, 이는 연화장 세계의 세계해를 상징한다. 그리고 『법화경』 「견보탑품」에 근거한다고 알려진 두 석탑(석가탑, 다보탑)은 해인삼매를 통해 드러난 연화장세계를 조형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불국사고금창기』 등 관련 문헌자료들을 검토해보면, 불국사의 중심불전에 봉안된 주존불상은 사찰의 역사성을 대변하는 가장 중요한 예배존상이므로 통일신라시대의 주존불상의 도상적 전통에 따라 조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즉 현재 대웅전에 주존으로 봉안된 석가오존불상중에서 제화갈라보살상, 미륵보살상, 가섭존자상, 아난존자상은 조선 후기 도상체계를 따르는새로운 도상을 나타낸 것이지만 같은 시기에 조성된 불상과는 달리 주존 석가모니불상을 설법인을 결한 모습으로 표현한 것은 조선 후기에 불상을 조성하면서 통일신라시대의 주존불상과같은 모습으로 재현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극락전의 주존불상과 함께 조합을 이루어 불국사 중심불전(대웅전, 극락전) 구역은중생들이 직접 접할 수 있는 佛外向의 화엄불국토를 상징적으로 나타내었을 것이다. 이는석가모니의 근원적인 깨달음의 세계인 佛內證의 화엄불국토를 구현한 석굴암 본존불상과 대비되는 것으로 결국 불국사와 석굴암은 국토해와 세계해로 구성되는 화엄불국토를 유기적으로구현했다고 이해된다. Bulguksa Temple sits on a stone platform that symbolizes the Saha-loka-dhatu and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which is a paradiea of Avatamska. Below the stone platform is a Buddhist world that supports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To enter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one must first cross the Buddhist world and thereafter go up the big stairways (Baegun-gyo, Cheong-un-gyo and Chilbo-gyo, Yeonhwa-gyo). The big stairways are composed of a total of 52 stairs, which symbolize the 52-steps of Bodhisattva s Way to find enlightenment in 『Avatamsaka sutra』. On the two sides of the gate to Buddhism(Jahamun), which means entering the world of Buddha, are a bell tower (Bumyeongru) and a sutra tower (Jwagyeongru), which are orlos in the form of towers symbolizing the Buddhist world of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In addition, the two stone pagodas (Sakyamuni Pagoda and Dabo Pagoda), which are known to be based on 『The Lotus Sutra』 and 「The Chapter Apparition of a Stupa」, respectively, are thought to have shaped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revealed through Sāgara-mudṛa Samādhi. On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the main Buddha statue enshrined in the central Buddhist hall of Bulguksa Temple is assumed to have been formed according to the iconic tradition of the main Buddha statu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because it is the most important worship Buddha statue representing the historicality of the temple. That is, among the five Sakyamuni Buddha statues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as the main Buddha statues, Dipamkara Bodhiasattva statue, Maitreya Bodhiasattva statue, Mahakassapa Buddha statue, and Ānanda Buddha statue are highly likely to have been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iconic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among the Buddha statues created in the same period, the Sakyamuni Buddha image statue with preaching hands with no example of the same iconic image is in the same shape as the main Buddha statue of the central Buddhist hall of Bulguksa Templ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probably because it was newly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In addition, the Sakyamuni Buddha image statue should have been enshrined in the Geuknakjeon to symbolically represent the paradiea of Avatamska of senlightenment of the enlightenment of a high-quality Buddha to a Bodhisattva(佛外向) in the area of the central Buddha halls (Daeungjeon, Geuknakjeon) to which people can firsthand access. This is in contrast to the main Buddha statue at Seokguram that embodied the paradiea of Avatamska of the enlightenment of a lowlevel Buddha to preach to the public(佛內證), a world of fundamental enlightenment of Sakyamuni. In the end, it is understood that the paradiea of Avatamska wa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by combining 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도상 연구

        徐志敏(Seo Jimi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2

        이 논문에서는 창안설과 전래설이 대두되면서 쟁점화되었던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도상 문제를 새로운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 한 방법으로 그 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불상의 광배와 대좌에 표현된 도상 표현에 주목하였다. 득 비로자니불상의 광배와 대좌에 나타나는 佛ㆍ菩薩像을 인도와 중국의 중기밀교계 존상들과 비교ㆍ고찰하여 통일신라 비로자니불상에 내포된 도상의 상징적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비로자나불상의 성립과 전개과정을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적인 배경 속에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 지권인을 결한 비로자니불상이 화엄종과 선종의 주존불상으로 조성되었던 도상의 성립배경으로는, 法身 비로자나불이 주존으로 등장하는 『八十華嚴經』이 8세기 초반 통일신라로 전래되어 80화엄 신앙에 의거히는 새로운 본존불 도상이 필요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8세기 중반에는 唐에서 중기밀교가 전래되면서 금강계 대일여래 도상에 대한 인식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새로운 도상이 전래되는 것을 계기로, 8세기 중반 통일신라 화엄종에서는 금강계 대일여래의 도상을 80화엄의 주존불 도상으로 채용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후 9세기에는 義林, 不可思議를 비롯한 승려들이 중기밀교를 익히고 귀국히며, 法門寺의 사리공양의식을 實見하였다는 崔致遠의 『法藏和尙傳』의 기록과 금강계 대일여래의 변화법신을 일컫는 36尊을 비로자니불과 함께 조성하라는 내용이 있는 『三國遺事』卷3의 「五萬眞身」條를 볼 때 중기밀교의 도상이 보다 직접적으로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기밀교 도상의 구체적인 이해는 9세기 중반 이후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의 도상에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글에서는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을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도상의 변화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8세기 중반에서 9세기 초반에는 통일신라의 전통적인 불상양식의 토대 위에서 지권인의 수인을 비롯한 불신만이 새로운 요소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9세기 중반에서 9세기 후반에는 唐에서 새롭게 전래된 것으로 보이는 圓形에 가까운 형태의 대좌형식을 갖춘 동화사 비로암 비로자나불상 유형과 전통적인 팔각연화대좌 형식의 축서사 비로자나불상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들 두 가지 형식의 비로자나불상은 지권인의 수인 외에도 광배와 대좌에 중기밀교와 연관되는 다양한 불ㆍ보살상을 표현하고 있었다. 즉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의 광배에 표현되는 화불은 唐代 法門寺 출토 〈?金四十五尊造像錄頂銀函〉(871)과 비교되는 중기밀교의 금강계오불의 변용으로 보았으며, 대좌의 불ㆍ보살상은 법문사 출토 〈奉眞身菩薩像)(871)의 대좌에 나타나는 중기밀교의 변화법신보살이며, 그 외에 香爐나 三華文 그리고 七獅子 등의 표현도 중기밀교 경전에서 설한 大日如來의 도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이다.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의 비로자나불상은 9세기 중반에 정립되었던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 고유의 도상은 전승되고 있지만 각 도상의 세부적인 표현이 와해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이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의 대좌와 광배에 중기밀교 도상을 배열하는 것은 인도와 중국의 중기밀교 존상과 같이 광배와 대좌에 대일여래의 변화법신을 배열하여 주존이 갖는 교학적인 상징성을 압축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다. 통일신라 비로자나불상이 이러한 중기밀교의 도상 구도를 채용함으로서, 결과적으로는 모든 불ㆍ보살의 근원으로 十方에 항상 충만하다는 80화엄의 法身佛이 갖는 교학적인 의미를 보다 효과적이며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과 관련되는 조상기록을 당시 불교사적인 배경 속에서 규명해 보면, 통일신라하대 화엄종과 선종에서는 당시 불교도들과 유리된 비현실적인 교학체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기밀교적인 의례를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볼 때 통일신라하대 화엄종과 선종에서는 중기밀교의 법신불 도상을 채용하여 주존불로 봉안할 수 있는 신앙체계도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중기밀교 도상의 전래과정을 추정할 때 80화엄의 법신불로서의 통일신라 비로자 나불상에 대한 이해는 경주지역에서 가장 먼저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후 왕실과 중앙귀족의 願刺이 경주 외곽지역에 건립되면서 현재의 경북지역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고찰을 통하여 같은 시기 중기밀교의 영향으로 菩薩形의 금강계 대일여래상이 유행하였던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통일신라의 전통을 유지하는 한편 중기밀교 도상요소를 채용하여 새로운 80화염의 법신불 도상으로 재창안하고 있는 통일신라 불교계의 뛰어난 역량과 불상조상사의 한 단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conography of Vairocana Imag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aureoles and pedestals. and thus attempts to explore their symbolic meaning of Vairocana Images. The Auatamsaka sutra in 80 fascicles and Esoteric Buddhism of the middle phase. which adopted the dbarmak??ya Vairocana as the central Buddha, must be considered with the question of when and how they were transmitted to Silla It is said that the Auatamsaha surra was already known in the early 8th century as seen in the Hwaeomgyeong munui yogyeol mundap by Pyowon or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Ojin. Since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when the illustration of the Auatamsaka sutra was created. it is considered to have been recognized indirectly about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by introducing the Auatarnsaka sutra in 80 fascicles. Later in the 9th century Buddhist when monks including Uirim and Bulgasaui learned the middle-phase Esoteric Buddhism and returned to Silla and as in the Biography of Fazang by Choe Chi won and the Omanjinsin 五萬眞身 of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amgukyusa 三國遺事)』, by introduction regular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it is considered that Iconographic also was understood much more concretely. This study shows on the developing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Iconographic, dividing Vairocana Imag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nto two periods largely. From the middle of 8th century to the early of 9th century, only Mudra 法身 of Vajramudra was expressed into new factors on the basis of traditional style of the image of Buddha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and from the middle of 9th century to the early of 10th century they were divided broadly into Biroam Vairocana Images type of Donghwa temple with Pedestal Type near the prototype that seems to have been introduced newly from Tang Dynasty and Vairocana Images type of Chookser temple with traditional Eight Angles and Lotus Flowers Pedestal Type, These two types of Vairocana Images has been expressing various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related to in Nimbus and Pedestal and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in addition to Mudra of Vajrarnudra That is to say, Nirmanakaya expressed in Nimbus was considered as expression of the five Buddhas of Vajradharma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compared with <Sarira Reliquary (Yugeumsasibojonjosangnokjeongeunham ?金四十五尊造像?頂銀函)〉 excavated from Beommun temple in Tang Dynasty (Sarira Reliquary (Yugeumsasibojonjosangnokjeongeunham ?金四十五尊造像?頂銀函)〉, and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in Pedestal was Astamahabodhisattvas Images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appearing in Pedestal of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Bongjinsinbosalsang 捧眞身菩薩像)〉 excavated from Beommun temple. Besides, the expression of the incense burner, the pattern with three flowers, and the pattern with seven lions has also proved to be related directly to Iconographic of Maha-Vairocana recorded in the sutra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After all, arranging Iconographic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for Nimbus and Pedestal of Vairocana Imag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Nirmanakaya is considered as showing to have been transmitted the characteristic of Iconographic from the purpose to express by condensing the doctrinal teaching symbolism that the nobility of Dharma had by arranging Dharmakaya of Maha-Vairocana for Nimbus and Pedestal like the main image of Buddha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in Indai and China. Futhermore , Iconographic of Vairocana Imag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s to interpret as expressing more effectively doctrinal teaching meaning that Dharmakaya of the 80 fascicles of Huayanjing said, fill always in all directions and places as source of all images of Buddha and Bodhisattva, had by adopting Iconographic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When it comes to consider the fact about the record of ancestors or creation of Mug

      • 360 도 비디오의 객체 증강 saliency map 생성 방법

        심유정(Yoojeong Shim),서지민(Jimin Seo),이명진(Myeong-jin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6

        360 도 영상은 기존 미디어와 다른 몰입감을 제공하지만 HMD 기반 시청은 멀미, 신체적 불편함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시청 디바이스 보급 문제, 네트워크 대역의 문제, 단일 소스 다중 이용의 수요 등으로 일반 디스플레이 기반 서비스 수요도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360 도 영상의 일반 디스플레이 서비스를 위한 뷰포트 추출에 필요한 영상 내 객체의 동적 속성을 활용한 시각적 관심 지도 증강 기법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구조를 제시한다.

      • 컴퓨터교육 : 보안교육 ; NXT 기반의 염도센서 보정 알고리즘 연구

        박병훈 ( Byunghoon Park ),장연진 ( Yeonjin Jang ),오영빈 ( Youngbin Oh ),서지민 ( Jimin Seo ),장명호 ( Myungho Jang ),김희주 ( Heeju Kim ),김석희 ( Seokhee Kim ),김동정 ( Dongjung Kim ),정대용 ( Daeyong Jung ),임종범 ( Jongbeom Li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7 No.1

        ``나트륨의 과다섭취가 성인병의 요인이 된다``는 최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염분 섭취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면서 저염도 식품 등 염도 측정이 필요한 분야에서 염도 측정의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염도 측정과 관련된 분야의 연구 결과를 활용해서 NXT 기반의 염도센서를 제작하고, 제작한 염도센서에서 산출된 결과 값을 이용하여 저염도 측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염도 측정의 부정확함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NXT 기반의 염도센서에서 나오는 저항값을 토대로 정확한 염도값을 구하기 위한 보정 알고리즘을 연구하였고 이를 프로그래밍하여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해 저염도 구간에서의 염도측정의 정밀함을 개선하는 결과를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