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vian influenza Surveillance in wild bird in Korea between 2015 and 2016

        ( Gyeong-beom Heo ),( Eun-kyoung Lee ),( Yu-na Lee ),( Youn-jeong Lee ),( Mingeun Sagong ),( Myoung-heon Lee ),( Yong-joo Kim ) 대한인수공통전염병학회 2018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 초록집 Vol.2018 No.1

        Introduction: National surveillance of avian influenza virus (AIV) in Korea has been annually conducted for early detection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In Korea, there have been four times of outbreaks of H5N1 HPAI between 2003 and 2011. During 2014-2015, large epizootics in poultry have been caused by H5N8 HPAI viruses.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result of a nationwide surveillance for AIV in wild birds in Korea between 2015 and 2016.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by the Livestock Health Control Association and regional veterinary offices. The feces of wild birds were collected in major migratory habitats. Healthy migratory birds were captured and oropharyngeal/cloacal swabs were collected from these birds. Each sample was screened by real-time PCR. AIVs were isolated by inoculation on embryonated SPF chicken egg with samples and the presence of AIV was determined using a hemagglutination assay. For sutyping of AIV, HA and NA genes of the AIV isolates were amplified with gene-specific primers using RT-PCR and confirmed by directly sequencing. Results: Between 2015 and 2016, 28,84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wild birds. Of these, 24,091 of wild bird feces, 4,686 from captured birds, and 72 dead birds. A total of 228 viruses were isolated and the various subtypes were found including H1-H12. The major subtypes were H5 (n=59), H6 (n=39), H4 (n=33) and H3 (n=30). H5 AIV was further classified into four NA subtypes: H5N3 (n=23), H5N6 (n=18), H5N8 (n=16) and H5N9 (n=2). H5N6 and H5N8 subtypes were isolated in wild bird feces (n=18), captured bird (n=10), and dead bird (n=6), respectively. These viruses belonged to clade 2.3.4.4 and confirmed as HPAI virus. The H5N6 HPAI viruses isolated in late 2016 were phylogenetically distinguishable from the clade 2.3.4.4 H5N8 HPAI viruses previously isolated in Korea during 2014-2015. Conclusion: Between 2015 and 2016, viruses of various subtypes, including H5 HPAIVs and LPAIV, were isolated from wild bird through AI surveillance. AI Surveillance in wild birds should be enhanced for earlier detection of AIV introduced by wild birds to implement the effective control measure to prevent HPAI outbreaks in poultry farms.

      • KCI등재

        Genetic characterization of H9N2 avian influenza virus previously unrecognized in Korea

        Gyeong-Beom Heo 대한수의학회 2021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22 No.2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eviously unreported Y280-lineage H9N2 viruses from two live bird markets in Korea in June 2020. 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y were distinct from previous H9N2 viruses circulating in Korea and had highest homology to A/chicken/Shandong/1844/2019(H9N2) viruses. Their genetic constellation showed they belonged to genotype S, which is the predominant genotype in China since 2010, where genotype S viruses have infected humans and acted as internal gene donors to H5 and H7 zoonotic influenza viruses. Active surveillance and control measures need to be enhanced to protect the poultry industry and public health.

      • KCI등재후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체지방 분포와 인슐린 저항성과의 상관성

        허갑범 ( Heo Gab Beom ),김유리 ( Kim Yu Li ),안광진 ( An Gwang Jin ),정윤석 ( Jeong Yun Seog ),이은직 ( Lee Eun Jig ),임승길 ( Im Seung Gil ),김경래 ( Kim Gyeong Lae ),이현철 ( Lee Hyeon Cheol ),백인경 ( Baeg In Gyeong ),최미숙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1

        연구배경 :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그리고 고지혈증과 흔히 동반되는데, 이들 질환의 특징은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자극에 의한 포도당의 이용율이 저하되는 인슐린 저항성이 공통분모로서 이들 질환의 발병에 중용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구인과 비교할 때 비만증의 정도가 경하고 식사 습관상 지방의 섭취량이 적은 한국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인슐린 저항성의 특징과 체지방 분포 양상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병력이 5년 미만이며 공복혈당이 150mg/dl 이하인 경중의 고혈당을 보이고 당뇨병의 합병증이 없는 환자로서 정상 체중군 6예와 과다 체중근 12예중 중심성 비만군 6예와 말초성 비만군 6예를 대상으로 식사 조사, 신체 계측, Futrex-5000에 의한 체지방량 측정, 복부와 대퇴 컴퓨터 단층 촬영, 경구 당부하 검사, 혈청 지질 측정, euglycemic hyperin-sulinemic glucose clamp study로 포도당 이용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 1) 중심성 비만군과 말초성 비만군의 평균 체중은 차이가 없었고 waist/hip ratio와 체지방량은 중심성 비만군이 말초성 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2)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측정한 내장 지방 면적은 비만군이 말초성 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넓었고 피하 지방 면적은 양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경구 당부하 검사상 혈당 반응에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경구 당부하후 120분의 혈장 C-peptide와 인슐린 농도는 중심성 비만군에서 말초성 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4) 포도당 이용율은 중심성 비만군과 말초성 비만군이 정상 체중군에 비해 유의헥 낮았으며 중심성 비만군이 말초성 비만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5) 포도당 이용율과 신체 계측치와의 상관성을 보면 전체 환자에서는 waist/hip ratio가 가장 높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과다 체중군에서는 waist/thigh ratio가 가장 높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6) 중심성 비만증이 심할수록 고인슐린혈중과 높은 혈중 유리지방산 농도를 보이고 이들에서 포도당 이용율이 낮아 인슐린 저항성은 증가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한국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환자의 인슐린 저항성을 결정하는데는 신장에 대한 체중이나 체지방량 자체보다는 체지방의 분포 양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과다 체중환자에서는 적절한 식사와 운동에 의하여 신체의 체형을 변화시키는 것이 당질 및 지질 대사 장애를 개선함에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 The role of insulin resistance is known to be very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and clinical courses of human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atherosclerotic coronary vascular disease, and dyslipoproteinemia. Methods :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the pattern of body fat distribution in Korean patient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dietary survey, anthropometry, CT scan, measurement of body fat by body composition analyze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measurement of glucose uptake rate by euglycemic hyperinsulinemic glucose clamp technique were performed in 6 normal weight patients and 12 overweight-obese NIDDM patients. Six of 12 overweight-obese patients are centrally obese with waist to hip circumference ratio : WHR?1 and 6 cases are peripherally obese with WHR<1. Results : 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ean body weigh of centrally obese patients and peripherally obese patients but WHR and body fat content of centrally obes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eripherally obese patients. 2) In the centrally obese patients visceral fat area measured by CT scan was significantly wider than in the peripherally obese patients but subcutaneous fat area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3) Plasma glucose levels on oral glucose tolerance test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but plasma C-peptide and insulin levels at 2 hour after glucose loa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entrally obese patients than in peripherally obese patients. 4) Glucose uptake rate (M/I ratio) of centrally obese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eripherally obese patients. 5) The WHR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 ratio in the all patients and waist thigh circumference ratio (WTR)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 ratio in overweight-obese patients. 6) Insulin area and fasting level of free fatty acid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HR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 ratio. Conclusion :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attern of body fat distribution rather than the relative body weight for height or body fat content has a greater role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patients with NIDDM. And further a change of the body configuration through adequate diet and exercise is highly recommended for overweight-obese NIDDM patients.

      • KCI등재후보

        비만인에서 체중 감소가 당질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허갑범 ( Heo Gab Beom ),정윤석 ( Jeong Yun Seog ),박석원 ( Park Seog Won ),이현철 ( Lee Hyeon Cheol ),임승길 ( Im Seung Gil ),이영해 ( Lee Yeong Hae ),이종호 ( Lee Jong Ho ),백인경 ( Baeg In Gyeong ),박유경 ( Park Yu Gyeong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4

        연구배경 : 비만증 치료의 중요한 목적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만인에게 식이, 운동 및 행동요법을 포함하는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체중감소가 당질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방법 : 건강한 중년의 과체중 및 비만인 여성 30예와 남성 9예가 6개월간의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과 시작한 후 6개월에 인체계측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내장지방, 피하지방 면적 등을 측정하였다. 내당능 검사를 시행하여 포도당, 인슐린, C-peptide, 유리지방산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중성지방, LDL, HDI, total 콜레스테롤도 측정하였다. 결과 :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참여 전보다 6개월 후에 여성 3.9 kg, 남성 4.1 kg의 체중 감소를 보여주었다. 경미한 체중감소는 혈청 LDL과 총 콜레스테롤을 여성과 남성 모두에서 23 내지 48% 감소시켰으며, HDL과 총 콜레스테롤 비율을 50 내지 130% 증가시켰다. 여성과 남성 모두 연구 시작시에 총 복부지방 면적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여성의 경우 피하형 비만이었던 반면에 남성의 경우는 내장형 비만을 보였다. 체중조절 프로그램 참여 전에 여성과 비교하여 남성에서 혈청 중성지방, 유리지방산과 인슐린 면적들이 증가되어 있었다. 체중 감소시에 총 복부지방 면적이 여성과 남성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특히 내장지방 면적은 남성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남성의 경우 내장지방의 감소가 유리지방산을 감소시켰으며, 유리지방산의 감소는 중성지방을 49%, 인슐린 면적을 56% 감소시켜 주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비만인들에서 보여지는 비정상적인 혈청 지질과 지단백은 경미한 체중 감소시에 정상화되어서 심혈관질환의 유병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6개월이라는 장기간에 거린 올바른 식품선택 방법과 운동법을 교육함으로써 비만인들에게 올바른 체중조절법을 습관화시켜 주어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obesity treatment is to attain optimal body weight and to maintain weight loss.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weight loss with a program including dietary education, exercise and behavioral modification of lifestyle on obese subjects. Methods: Middle-aged obese women (n=30) and men (n=9) participated in a 6-month weight-management program.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reas at the umbilical level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weight loss. Serum levels of lipids and response areas of glucose, C-peptide, insulin and free fatty acid(FFA)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ere determined. Results: Body weight fell and average of 3.9 kg(6.3) in women and 4.1 kg (5.4%) in men. Modest weight loss showed a 23 to 48% decrease in the levels of serum LDL and total colesteorl and a 50 to 130% increase in the ratio of HDL to total cholesterol in all subjects. Although intraabdominal total fat area of females before weight loss was not different from males, females showed subcutaneous-type obesity and males visceral-type obesity. Compared with females, males before weight loss showed and increase in the levels of triglyceride, FFA and insulin. Although weight loss caused a decrease in intraabdominal total fat area in all subjects, a significant decrease in visceral fat area was only shown in men. Decreased visceral fat in males lowered FFA level and decreased FFA level lowered serum triglyceride level (49%) and response area of insulin (56%) in me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odest weight reduction through a weight management program can be viable approach to help normalize plasma lipids and lipoproteins in obese individuals. Modest and gradual weight loss can also help obese individuals succeed in the difficult task of losing weight and maintaining this substantial weight loss.

      • KCI등재후보

        한국 중년여성에서 내장지방 축적이 당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허갑범 ( Heo Gab Beom ),안광진 ( An Gwang Jin ),이현철 ( Lee Hyeon Cheol ),임승길 ( Im Seung Gil ),이영해 ( Lee Yeong Hae ),이종호 ( Lee Jong Ho ),김명중 ( Kim Myeong Jung ),백인경 ( Baeg In Gyeong ),박유경 ( Park Yu Gyeong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5

        연구배경 : 한국인에서는 비만의 정도가 서구인에서 보다 아직은 낮을지라도 지방분포 측면으로 볼 때 중심성 비만을 보일지라도 컴퓨터 단층촬영상 내장형 비만일 경우 대사질환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건강한 55예의 중년여성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한국중년여성에서 비만의 형태가 당질대상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법 : 비만의 지표로 허리와 엉덩이 둘레비율, 체질량지수(BMI), 표준체중백분율(PIBW)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내장지방 면적, 피하지방 면적 등을 측정하였다. 혈압, 식품섭취량과 하루 필요열량을 조사하였으며 내당능 검사를 시행하여 포도당, 인슐린, C-petide, 유리지방산 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중성지방 LDL, HDL, total cholesterol도 분석하였다. 결과 : 비만의 지표들 중 내장지방 면적이 혈압, 혈청지질과 당부하 검사치들과 가장 많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내장지방 면적이 10000㎜² 이상인 20예의 내장형 비만군에서 7400㎜² 이하인 18예의 피하형 비만형 비만군과 비교하여 나이, 체중, PIBW, BMI, % body fat이 비슷한데도 불구하고 혈청 중성지방, 공복 및 당부하시기 유리지방산, 당, 인슐린, C-peptide의 농도들이 보여졌으며 필요열량보다 과다한 열량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장형 비만인들이라도 당질대사의 이상을 보여주는 경우 당질대사가 정산인 경우와 비교하여 내장지방 면적은 비슷하면서 체중과 피하지방 면적의 감소, 당부하시 유리지방산과 당 면적의 증가와 인슐린과 C-peptide 면적의 감소를 보여주었으며 열량섭취와 필요열량의 비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은 내장형 비만인에서 인슐린 분비능의 경미한 감소는 심한 인슐린 저항으로 인해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1일 필요열량과 비교하여 과잉된 열량의 섭취가 내장형 비만의 부분적인 이유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s: Although Koreans are generally leaner than people in America, they have a tendency to centr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Central obesity with visceral fat accumulation,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can cause metabolic complications. We determined the relation between obesity and glucose metabolism in 55 Korean middle-aged women. Methods: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reas at the umbilical level were determined as indices of obesity. Nutrient intake, serum levles of lipids and response areas of glucose, C-peptide, insulin, and free fatty acid (FFA)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ere determineds. Results: Visceral fat area correlated the most significantly with biochemical parameters among obese indices. The triglyceride level and the response area of FFA, glucose, insulin and C-peptide were all higher in the group of visceral-type obesity (n=20, visceral fat area>10000 mm²), than in the group of subcutaneous-type obesity (n=18, visceral fat area<7400 mm²), though percent ideal body weight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irty five percents in the group of visceral-type obesity showe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and non-insulin-dependent diabeyts mellitus (NIDDM). Body weight, subcutaneous fat area and the response areas of insulin and C-peptide were lower and the response areas of FFA and glucose were higher in visceral-type obese patients with IGT and NIDDM thatn in visceral-type obese subjects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ed visceral fat area can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NIDDM because of the severe insulin resistance, even when small amonunt of insulin secretion in decreased. Increased calorie intake and decrease physical activity could partly explain visceral fat accumulation in the intraabdominal cabity.

      • 경북 북부지역 마을숲의 실태 연구 -안동시, 예천군, 봉화군지역 대상으로-

        ( Gyeong Rak Lee ),( Sang Hyun Heo ),( Sang Beom Cho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8 No.-

        본 연구는 경상북도 북부지역(안동, 예천, 봉화) 3개 시·군지역을 대상으로 20개소의 마을 숲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보기능 숲은 안동시의 하회리 숲, 온혜리 숲 2개소이고, 엽승이 봉화군의 거촌2리 숲, 안동시의 천전리 숲, 예천군에 금곡리 숲 3개소로 조사되었고, 성황기능 숲으로는 봉화군 개단1리, 해저1리, 복지2리 숲 3개소이고, 수구막이 숲은 예천군 백송리, 봉화군 압동3리로 2개소이다. 기타 마을숲은 안동 신석리, 광연리, 단호리, 마애리, 소산리, 봉화군 오록1리 6개소로 조사되었다. 둘째, 북부 내륙지역 마을숲에는 소나무, 느티나무, 왕버들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소실된 마을숲을 발견하였다. 먼저 소실된 마을숲은 4개소로서 안동시의 개곡리, 수곡리, 계평리 숲, 예천군의 중평리 숲 등으로 밝혀졌다. 넷째, 본 연구에서 마을숲의 관리의 개선방안은 마을숲 내에 설치된 시설물을 제거하고 원래 기능에 맞게 복원해야 하며, 관리 주체를 숲관리 전문가로 교체하거나 현재관리자를 지속적으로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20 village forests in the northern inland part of Gyeongbuk Province (Andong, Yecheon and Bonghw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2 forests(Hahoi and Onhoi villages in Andong) function primarily as ``Bibo`` or Feng Shui(geomancy) supplement, 3 forests(Geochon 2 village in Bonghwa, Cheonjeon village in Andong and Geumgok village in Yecheon) function primarily as ``Yeopseung`` or evil spirit restrainer, another 3 forests(Gaedan 1, Haejeo 1 and Bokji 2 villages in Bonghwa) function primarily as ``Seonghwang`` or village shrine and 2 forests(Baeksong village in Yecheon and Apdong 3 village in Bonghwa) function primarily as ``Sugumagi`` or terra energy retainer. The other 6 forests(Sinseok, Gwangyeon, Danho, Mae and Sosan villages in Andong and Orok 1 village in Bonghwa) function just as windbreak, etc. Second, the sample forests consist primarily of pine trees, zelkovas and willows. Third, 4 lost village forests have been identified: Gaegok, Sugok and Gyepyeong villages in Andong and Jungpyeong village in Yecheon. Fourth, in order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village forests, it is deemed necessary to remove the facilities from the forests and restore the original functions of the village forests. To this effect, the current forest managers need to be replaced with professionals or educated on the management of forests continuously.

      • 철도종합시험운행 결과검토 도입에 따른 철도노선 안전성 강화에 대한 연구

        윤경철(Gyeong Cheol Yun),엄범규(Beom Gyu Eom),허남규(Nam Gyu Heo),이용상(Yong Sang Lee)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최근 철도안전 문제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철도운영자 및 철도시설관리자에 대한 안전관리제도를 사후적ㆍ제한적 관리체제에서 사전적ㆍ상시적 관리체제로 전면 개편하고 형식, 제작자 승인제도, 철도노선의 종합시험운행제도 개선 등 다양한 제도 도입을 통하여 철도안전법을 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입된 제도 중 종합시험운행 결과검토를 대상으로 하여 신규/개량노선에 대한 안전성 강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외 철도종합시험운행 체계 자료를 조사하여 시행 중인 종합시험운행의 단계별 절차, 방법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검토 제도에서의 검토분야와 단계별로 시행되는 검토항목 및 검토기준 등을 제시하였고 결과검토의 첫 번째 적용사례인 청라역에 대한 해당 성과를 확인하였다. Recently, To solve the social concerns about railway safety issues,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bout railway operators, infrastructure manage and etc. was completely reorganized from ex post, restrictive management system to ex ante, continuous management system. And the Korean railway safety law was revised by instituting the various institution, including the type approval, manufacturer approval, result Review of comprehensive running test and etc. As this study, to the target result review of comprehensive running test, the safety enhancement methods about the new/reconstruction of railway were suggested. Firstly, the data of domestic and foreign railway comprehensive running test system was investigated. And the step-by-Step procedure, method and etc. of comprehensive running 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effect in Korea. Also, the field, item, standard and etc. of review were suggested. Lastly, the performances of Cheongna station that is first case were confirmed.

      • KCI등재
      • CTIO 4m SDSS $u$와 CTIO 1m B filter의 투과함수 특성 및 CTIO 1m Y4KCam의 crosstalk

        허현오,임범두,성환경,Heo, Hyeon-O,Im, Beom-Du,Seong, Hwan-Gyeong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CTIO 4m 및 CTIO 1m 망원경으로 Westerlund 2의 UBVI 관측을 수행하여, CTIO 4m SDSS $u$ filter의 적색광누출 현상을 발견하였고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적색광누출 현상은 filter의 투과함수가 설계와는 달리 장파장 영역에서 투과 존재하는 현상으로, CTIO 4m SDSS $u$ filter의 경우 B-V>1.4, V-I>2.0에서 그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SDSS $u$ filter의 적색광누출 현상은 별의 고유색지수와 상관없이 관측된 색지수가 클수록 영향이 크며, $B-V{\leq}1.8$, $V-I{\leq}2.8$의 범위에서는 보정이 가능하다. CTIO 1m B filter에서는 성간소광을 받지 않은 별과 성간소광을 많이 받은 별의 표준계변환 결과, $B_{CTIO1m}=B_{Standard}-0.055{\times}E(V-V)$에 해당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CTIO 1m B filter의 투과함수의 단파장 쪽 날개부분이 표준 Johnson B filter에 비하여 단파장 쪽으로 많이 치우쳐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Ballmer jump에 해당하는 파장인 370 nm에서 filter의 최대투과율에 비하여 32.2%에 달하는 투과율을 보이는데, 이는 Bessell B filter의 3.1%에 비하여 매우 큰 값이다. CTIO 1m 망원경의 Y4KCam CCD에서는 포화된 화소에 의한 crosstalk 뿐 아니라 포화되지 않은 화소에 의한 crosstalk 현상도 보였다. 짧은 노출을 준 영상에서는 5000 ADU 이상에서는 육안에 의한 crosstalk 확인이 가능하며, 포화되지 않은 밝은 별에 의한 crosstalk을 확인하지 않고 측광할 경우 백색왜성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측광 과정에서 좌표를 통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