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기관 지정 및 분류 기준의 재구축 방안

        곽채기(Kwack, Chae-Gi) 서울행정학회 201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3 No.3

        The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Act of 2007 stipulates the criteria for designating and classifying of public institutions. Public institutions are classified into the three main categories of state-owned enterprises(SOE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non-classified public institutions by their number of personnel, asset size, and self-generated revenue ratio. The designation and classifi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is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such action has an enormous impact on a range of aspects, including their governance 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 But, there is still ambiguities i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ich institutions to include in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category. Within the public institutions, it is also difficult to demarcate the boundary between SOEs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mainly because of ambiguities in distinguishing market from non-market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and classifi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do not coincidence with the conceptual framework provided by the System of National Accounts 2008. According to the 2008 SNA, to identify which non-market nonprofit institutions are treated a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conditions for control by government must be identified. And, to determine which enterprises are treated as SOEs, it is necessary to specify conditions for control by government and the concept of economically significant prices. It makes clear a set of indicators which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government control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SOEs. It provides also 50% criterion as to the concept of economically significant prices. In order to resolve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designa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laborate more precisely the notion of control of government which is the main criterion distinguishing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the notion of economically significant prices which is used for distinguishing between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SOEs.

      • KCI등재

        공공기관 경영평가 지표체계에 대한 형성적 메타평가

        곽채기(Kwack, Chae Gi),박현식(Park, Hyun Sik)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4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는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공공성 확보 및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고, 대국민서비스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경영평가제도의 타당성과 공정성 및 효과성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경영평가지표체계에 기인한 바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체계의 적합성을 메타평가의 분석 틀에 기초하여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평가모델, 평가지표 구성체계, 가중치 배분체계의 3개 영역 13개 지표를 통하여 2021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지표에 대한 메타평가를 실시하였다.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지표체계는 평가의 유형, 평가범주, 가중치나 평가방법 등에 있어서 꾸준히 변화·발전되어 왔으나, 아직도 세부 요소에서는 문제가 발견되고 있다. 기관유형·평가유형 분류에 있어서 기관의 경영환경 등 개별적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기업성과 공공성의 반영 비중이 적절하지 못하다. 평가모델에 근거하여 지표가 설정된 것이 아니어서 평가지표 구성의 타당성이나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도 지적된다. 지표체계의 문제는 평가지표별 가중치의 적절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평가의 객관성과 성과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려다보니 지표의 명확성이나 측정의 용이성이 저해되는 문제도 발견된다.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목적인 공공성 및 경영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관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면서도 표준화된 지표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aims at improving publicity as well as management efficiency and public service by solving the problem of accountability and management inefficiency in public enterprises and in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improving management rationalization and transparency, and inducing continuous management innovation for public institutions. However, there are also problems with the efficiency, effectiveness, validity, and fairness of the system.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attain this goal, I have conducted a meta-evaluation of the evaluation indicator system, which is a framework for measuring the results of management activities. The meta-evaluation of the 2019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 was conducted through 13 indicators in three areas: the evaluation model, the evaluation index composition system, and the weight composition system. The indicator system of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has been steadily changed and developed in the type of evaluation, evaluation category, weight and evaluation method. However, there are problems still found in many details. For example, it has not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classification of institution type and evaluation typ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management environment of the institution. Neither the proportion of reflection of corporate performance and publicity seems to be appropriate, nor are the validity and representativeness of the evaluation indicator composition sufficient. Moreover the weights for each evaluation indicator are not appropriate, the clarity of the index is low, and measurement is not easy. In order to increase the publicity and management efficiency, which is the purpose of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indicators while appropriate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 KCI등재

        지방자치시대의 전개에 대응한 도세와 시·군세의 조정방안

        곽채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6 地方行政硏究 Vol.10 No.4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ree-fold. The first is to establish the basic guidelines what taxes are appropriate for what levels of local government. The second is to evaluate the actual distribution of local taxes between province and city & county. The third is to design a set of strategies regarding appropriate tax bases assignments by levels of local government.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일반논문 ( ARTICLES ) : 광역자치구역 개편 결정에 관한 사례 연구 - 광주 전남 통합 실패 및 전남 도청 이전 결정을 중심으로 -

        신원형(Won Hyung Shin),곽채기(Chae Gi Kwack),윤영진(Young Jin Yoon),이준원(Jun Won Lee) 한국행정학회 2000 韓國行政學報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딜레마 모형, 공동정책결정과 정책갈등 모형에 의거하여 광주·전남 통합정책의 실패 원인과 전남 도청 이전결정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시·도 통합 실패는 딜레마로 인한 구조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이를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딜레마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결정체제의 설계 및 제도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공기업 구성원의 내부성과평가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상관(Park, Sang Kwan),곽채기(Kwack, Chae Gi)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중앙정부 공기업을 대상으로 내부성과관리제도인 조직평가와 개인평가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조직성과평가에 대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지각은 공히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개인성과평가의 경우에는 절차공정성만이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성과평가에 대한 분배 및 절차공정성 인식과 개인성과평가에 대한 절차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신뢰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공기업의 내부성과관리제도가 ‘주인 없는 대리인’이라는 공기업의 행태적 약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조직신뢰와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성과평가방법의 설계와 관련하여 절차적 공정성을 확보하고, 성과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성과와 보상의 연계’에 관한 분배적 공정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개인성과평가보다는 조직성과평가의 공정성 확보가 더 중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justice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evaluation and individual evaluation, which is internal achievement management system of central government owned public enterprise,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during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hypothesis test, the perception about distributive justice(DJ) and procedural justice(PJ)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is confirmed equally effective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But in case of individual performance evaluation, only PJ perception effect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it is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trust does complete intermediary role between perception of DJ & PJ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perception of PJ on individu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empirically analyzed study implies that it is needed to have PJ in design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o promote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overcoming behavioral weakness of internal achievement management system of public enterprise, so called "representative without owner". Also it implies that it is needed to enhance DJ on ‘linking performance and reward’ during the usage of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having a justice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individual performance evaluation.

      • 저 출산·고 령화·저성장 시대의 공공기관 역할과 대응과제

        신완선(Shin, Wan-Seon),곽채기(Kwack, Chae-Gi),오영민(Oh, Young-Min),이성훈(Lee, Seong-Hoon) 한국공기업학회 2017 공기업논총 Vol.1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공공기관의 관점에서 저출산·고령화·저성장 시대를 조명하고 장기적인 전략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SWOT 분석을 통해서 도출된 29개 전략과제의 유효성을 미래 예측에 근거하여 점검하고 공공기관의 경영시스템과 주요 사업과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연관성 분석에 근거하여 전략과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이들 과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의 공공기관의 역할과 미래 과제를 제시한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공공기관이 집행해야 할 정부권장정책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하여 시대적 환경을 정확하게 반영해야 한다. 둘째, 공공기관이 전략기획 수립 및 전개과정에서 저출산·고령화·저성장 경영 환경을 적극 반영해야 한다. 셋째, 저성장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 모든 공공기관이 신산업 개발과 육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현행 공공기관에서 대응할 수 없는 저출산·고령화·저성장 전략과제 해결을 위해서 새로운 공공기관 설립을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국가적 차원에서 저출산·고령화·저성장 시대 대응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관리가 실행되어야 한다. 후속연구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보다 정교한 미래 계획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ra of low birthrate, aging, and low growth, and draw long-term strategies from a perspective of public institutions.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29 strategies drawn by SWOT Analysis based on future forecast,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system and major projects of public institutions. It prioritizes the strategies based on the association analysis and suggests the role and future tasks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course of pursuing these strategies. The result of analysis has fou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government’s recommended policy for public institutions to carry out is to reflect the environments of different times accurately by strengthening a two-way communication function. Second, public institutions need to actively reflect the environment of low birthrate, aging, and low growth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processing strategic plans. Third, all public institutions should have an interest in developing and fostering new industries to cope with the era of low growth. Fourth, it needs to review the establishment of new public institutions to solve strategic issues of low birthrate, aging, and low growth which can’t be solved by current public ones. Fifth, mid-and long-term road map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to deal with the era of low birthrate, aging, and low growth in the national level. The follow-up study needs to suggest an elaborate future plan in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의 성과분석

        이석원(Suk-Won Lee),곽채기(Chae-Gi Kwack)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4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Material & Component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MCTDP), a major policy instrument that promotes the material & component industry in Korea. We focused on evaluating whether the MCTDP was properly implemented as well as whether the program created intended effec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CTDP yields desirable results for both aspects of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Nevertheless, some evidence indicated that inter-organizational aspect of implementation system along with other implementation factors need to be improved. Also, in order to boost up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CTDP needs to supplement the services that support the technical or man-power problems,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manufacturization of newly developed technology.

      • KCI등재

        정권의 변화와 공공기관 기관장의 임용 특성

        한인섭(In-Sub Han),김형진(Hyung-Jin Kim),곽채기(Chae-gi Kwack) 한국인사행정학회 2018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7 No.2

        본 연구는 공공기관에 관한 정책과 인사방침 등이 각 정권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및 박근혜 정부를 대상으로 정부의 변화에 따라 공공기관 기관장의 임용특성이 달라지는 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및 박근혜 정부를 진보정권과 보수정권으로 구분하여 정권의 성격에 따라서 공공기관 기관장의 임용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관장의 임용특성을 실적과 정실 및 엽관적 요소로 구분하고, 경력과 출신지역 및 정치적 임용을 각각의 변수로 설정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정부와 정권의 성격에 따라서 기관장의 출신배경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어느 정부나 정권을 막론하고 정치적 임용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정치의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군인출신과 민간기업 출신의 비중은 정부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가 대통령의 정책선호와 의지뿐만 아니라, 시대적 상황에 따르는 인재풀의 차이와 같은 제약요인(institutional constraints)이 작용한 것으로 보았다. 공공기관의 기관장 임용이 정치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은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점이지만, 정부의 변화와 정권의 성격에 따라서 공공기관 기관장의 임용특성이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한 것은 나름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It is natural that every Government has its own public policies and personnel guidelines, which implies the appointment features of public institutions’ CEOs may be different from governmen to government. On this point, we are to analyse the appointment features of public institutions’s CEOs of Kim Dae-jung, Roh Moo-hyun,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governments. In addition, we categoriz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governments as liberal regime, and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as conservative one respectively, and then analyse their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we divided the appointment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or into merit, favoritism and spoils factors, and set up the career, region of origin, and political appointment as variables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of the head of the agency depending on the nature of each government and regime. Specifically, political appointment was found to be of a high proportion in any government and local politics. However, the proportion of military and private businessmen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government. We consider these results were due to institutional constraints such as a pool of talents, as well as policy preferences and choices of the presidents. Although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the appointment of heads of state-run organizations is made politically, it is a matter of fact that the appointment feature of heads of public institutions can vary depending on the change of government and the nature of the regime. Based on these findings and implications, future research tasks were presented.

      • KCI우수등재

        자치화와 교육재정확충 및 배분에 관한 연구

        박동서,김신복,오연천,곽채기 ( Dong Suh Bark,Shin Bok Kim,Yeon Cheon Oh,Chae Gi Kwack ) 한국행정학회 1995 韓國行政學報 Vol.29 No.4

        본 연구는 지방자치제하에서 지방교육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지방교육재정의 쇄신적인 개편이 필요하다는 문제인식하에 현행 교육재원의 성격과 특성, 그리고 지방교육재원의 운영 및 관리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적극적인 지방교육재원 확충방안을 탐색한 후, 지방교육재원의 효율적 배분방안을 모색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육자치 실시에 부응할 수 있도록 현재의 집권화된 교육재정체제를 분권체제로 개편해 나가는 동시에 「自治化의 要素」를 적극 활용한 새로운 지방교육재원의 확충 및 배분방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현재 「非교육적」으로 지출되고 있는 사교육비를 공식적인 통로를 통하여 양성화하여 초·중등학교의 교육재원으로 투입하는 것이 학교 교육의 질적 향상과 각 가정의 교육비 지출의 경감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정책방향이라는 판단하에 사교육비의 공교육비로의 전환 및 수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방교육세의 신설방안, 사교육비의 공교육 재원화방안, 지방자치단체 교육재정 분담의 확대방안, 그리고 지방교육재정제도의 개편방안 및 학교단위 자율예산제도의 확대 도입방안 등을 탐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