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간-종속적 공변량이 포함된 이분형 반복측정자료의 GEE를 이용한 분석에서 결측 체계에 따른 회귀계수 추정방법 비교

        박보람,정인경,Park, Boram,Jung, Inkyung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5

        다시점 자료 연구에서 일반화추정방정식은 가상관행렬을 잘못 가정하더라도 모수의 일치추정량을 도출하므로 많이 이용된다. 하지만, 결측 체계가 완전임의결측이 아닌 경우에는 편의추정량을 제공하고, 시간-종속적 공변량이 포함된 경우에는 가상관행렬에 따라 회귀계수 추정값이 다르게 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결측 체계가 임의결측인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중 방법과 다중대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종속적 공변량이 포함된 이분형 반복측정자료를 GEE를 이용하여 분석할 때 다양한 결측 체계에서 일반화추정방정식 방법, 가중 방법, 다중대체 방법의 회귀계수 추정에 대한 로버스트성과 정확성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해 보았다. 세 가지 방법 모두에서 시간-종속적 공변량의 회귀계수가 시간-독립적 공변량의 회귀계수에 비해 가상관행렬에 따라 추정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다른 두 방법에 비해 다중대체 방법이 가상관행렬의 형태에 대해 더 로버스트하고 편의도 작은 추정치를 도출하였다. When analyzing repeated binary data,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GEE) approach produces consistent estimates for regression parameters even if an incorrect working correlation matrix is used. However, time-varying covariates experience larger changes in coefficients than time-invariant covariates across various working correlation structures for finite samples. In addition, the GEE approach may give biased estimates under missing at random(MAR). Weighted estimating equations and multiple imputa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reduce biases in parameter estimates under MAR. This article studies if the two methods produce robust estimates across various working correlation structures for longitudinal binary data with time-varying covariates under different missing mechanisms. Through simulation, we observe that time-varying covariates have greater differences in parameter estimates across different working correlation structures than time-invariant covariates. The multiple imputation method produces more robust estimates under any working correlation structure and smaller biases compared to the other two methods.

      • KCI등재

        북한 사회주의도덕 개념 기초 연구

        박보람 ( Park Boram ) 한국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5 No.1

        북한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이념에 기초한 나라이기 때문에, 북한의 이념이 잘 반영되어 있는 사회주의도덕을 이해하는 것은 북한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북한 사회주의도덕 개념을 북한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북한에서 사회주의도덕은 당과 수령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사상적 통일과 단결을 강화하고, 혁명과 건설에 대한 도덕적 책임감을 높여 사람들이 사회주의 건설의 투쟁에 헌신하게 한다. 북한에서 사회정치적 생명론은 수령, 당, 대중이 통일체를 이룰 때 사회정치적 생명체로서 영생할 수 있다는 관점으로서, 개인의 이익보다 집단과 사회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집단과 사회의 이익을 위해서 개인의 이익을 희생하는 집단주의 도덕성의 기초가 된다. 북한에서 도덕은 사회 공동생활, 집단생활의 화목과 발전을 위해 사회성원들이 양심적으로 지켜야 할 사회적 행동 규범이다. 인민대중의 자주적 요구와 이익이 선과 정의 기준이 되며,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적 도리를 다할 때 느끼는 만족과 보람이 행복이다. 남북한 도덕 개념의 공유된 속성에 관한 연구는 각기 다른 주체들이 서로의 다름을 확인하기에 앞서 서로의 공통 기반을 찾아 갈등 해소와 평화 공존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 North Korea is more ideological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Understanding the socialist morality that reflects North Korea's ideology is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 This paper analyzes the concept of socialist morality in North Korea, focusing on the literature published in North Korea. In North Korea, socialist morality strengthens the unity and unification of political ideology, centering on the party and the leader. And it raises people's moral responsibility for socialist revolution and construction, so that they devote themselves to the struggle for socialist construction. The socio-political life theory is that when the leader, the party, and the masses are united, they can live forever as socio-political creatures. This theory is the basis of collectivist morality, which puts the interests of the group and society before individual interests, and sacrifices individual interests for the interests of the group and society. In North Korea, morality is the norm of social behavior that members of society must conscientiously observe for the harmony and development of social and collective life. The standard of good and evil is the demands and interests of the popular masses. Happiness comes when we fulfill our human duty as a social being. A study on the commonality of moral epistemology and moral knowled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elp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solving conflicts and peaceful coexistence by finding a common ground before the different actors check each other's differences.

      • KCI우수등재

        육상설은 어떻게 변해 왔는가?

        박보람(Park, Boram)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7 No.-

        육상설은 그 명목만 보이는 [십지경]에서부터 [십지경론]을 거쳐 동아시아의 지론종과 화엄종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거의 전분야에 걸쳐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러므로 육상설은 결코 단일한 체계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이 글은 이러한 입장에서 육상 각 항목간의 관계와 그 의미의 변천과정을 십지경부터 동아시아의 지론종까지를 대상으로 살펴본 것이다. 십지경의 경우, ‘육상’이라는 개념화는 아직 보이지 않고 육상의 각 항목만 보이며 그 구조는 ‘[총별] - [동이성괴]’로 이루어져 있다. 십지경론에서는 육상의 여섯 항목이 ‘육종상(六種相)’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며 비로소 개념화/이론화가 진행 되고 그 구조는 ‘{[총별] ← [동이성괴]}’로 나타낼 수 있다. 즉 경전의 모든 10구는 우선 총별로서 해석되며 동이와 성괴는 총별에 대한 설명이라는 이해방식이다. 육상설에 대한 이러한 이해방식이 동아시아에 전해지자 상당한 수준의 변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법상의 [십지론의소]에는 [십지경론]의 이해방식이 유지되는 부분과 함께 독창적인 변화도 동시에 등장한다. 즉 동이는 십지경론과 달리 총과 별 의 동이가 아니라 별상의 여러 항목[衆緣]에 대한 동이이고 성괴는 총별에 대한 성괴가 아니라 총과 별, 동과 이가 서로 수순하고 어긋나는 것으로 설명된다. 돈황에서 출토된 지론종 문헌인 Stein 4303과 Stein 613의 육상 각 항목간 관계에 대한 이해는 [십지경론]과 다른 길을 취한다. 즉 총별의 관계도 [십지경론]에서는 보이지 않던 총별간 상호호환성이 강조되기도 하고 동이는 총별간의 동이가 아니라 별상 내 여러 항목의 동이로, 성괴는 총별동이에 대한 성괴로 규정된다. 지론교학의 집성자로 불리는 혜원의 입장도 대체적으로는 Stein 4303/613과 비슷하지만 혜원은 한 발 더 나아가 육상 가운데 총별동이만으로 충분하며 성괴가 불필요하다는 주장까지 하기에 이른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서 육상설이 전파되는 단계마다 그 상황과 필요에 따라서 구조적 수준의 변화를 겪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ix Characteristics Theory (六相說) underwent significant changes from Daśabhūmikasūtra to East Asian Dilun School and Huayan School, which means the theory is not a homogeneous one at all. From this viewpoint, this article tries to figure out the change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six characteristics from Daśabhūmikasūtra to the Dilun School. Daśabhūmikasūtra does not show any conceptualization of ‘Six Characteristics (六相)’ but the structure of the six items can be understood as ‘[the whole: parts] - [sameness:difference: formation: disintegration]’ ([總別]-[同異成壞]). Daśabhūmikasūtraśāstra uses the concept of ‘Six kinds of characteristics (六種相)’ for the first time and explains its structure as ‘{[the whole: parts] ← [sameness: difference: formation: disintegration]}’ ({[總別] ← [同異成塊]}. As this theory was transmitted to East Asia, it underwent great changes. Fashang(法上)’s Shidilunyishu (十地論義疏) has two kinds of understanding; one is the same as Daśabhūmikasūtraśāstra, and the other is very different from the Indian tradition. Stein 4303 and Stein 613 from Dunhuang manuscripts take their own way far away from Daśabhūmikasūtraśāstra, and this tendency is held by Huiyuan (慧遠), who is known as the compiler of the Dilun doctrines. With these facts, we can find that the Six Characteristics Theory (六相說) had structural chang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e needs at every stage of i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티베트어역 『화엄경』의 구성에 관한 고찰

        박보람(Park, Boram),전해주(Jeon, Haeju)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1 No.-

        티베트어역 『화엄경』(이하 『장역화엄』)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준비단계로서 그 전체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기존 연구에서는 『장역화엄』을 처(處)ㆍ회(會)ㆍ품(品)의 관점에서 『팔십화엄』과 비교할 때 비록 품수는 다르지만 처와 회의 구성은 같다고 파악하였다. 그러나 필자가 살펴본 바에 의하면 7처 9회 39품의 『팔십화엄』과는 달리 『장역화엄』은 9처 11회 45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차이는 『장역화엄』에만 존재하는 두 품, 'de bzhin gshegs pa phal po che'i le'u'(여래장엄품)와 'kun tu bzang pos bstan pa'i le'u'(보현보살에 의한 가르침의 품)를 독립된 장소에서 설해진 독립된 회로 볼 것인가에 따라서 생겨나는데, 이들 품과 앞ㆍ뒤 품의 교주[主]ㆍ장소[處]ㆍ대중[衆]과 관련된 경문을 비교ㆍ조사해 본 결과 이 두 품은 독립된 회로 파악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장역화엄』의 구성과 관련하여 데게(sDe dge)본 간기에서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티베트의 대학승 부퇸(Bu ston)은 『장역화엄』을 세존의 삼시교(三時敎) 가운데에서 가장 마지막의 완벽한 교설로서 평가하면서 이 경을 일곱 개의 품, 즉 「여래장엄품」ㆍ「금강당보살(金剛幢菩薩)의 회향(품)」ㆍ「십지(十地)의 가르침」ㆍ「보현행(普賢行)의 가르침」ㆍ「여래출현(如來出現)의 가르침」ㆍ「세계로부터 떠남의 품」ㆍ「꽃줄기장엄의 품」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방식과 동아시아 화엄교학의 분석을 비교해보면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으며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 보았다. With all the importance of the Tibetan Buddhāvataṃsakasūtra(TBA), there has not been a substantial amount of researches on that sūtra. This paper, as a preliminary study, examine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TBA. Until now, the places(處) and the assemblies(會) of the TBA have been regarded as identical to those of the Chinese Buddhāvataṃsakasūtra in 80 volumes(80-CBA) although these two sūtras have different numbers of chapters each other. However, I found that the TBA is made up with 9 places, 11 assemblies and 45 chapters as compared to 7 places, 9 assemblies and 39 chapters of the 80-CBA. This difference comes from if the two chapters of the TBA, 'de bzhin gshegs pa phal po che'i le'u'(Adornment of Tathāgata) and 'kun tu bzang pos bstan pa'i le'u'(Teaching by Samanthabhadra) which are included only in the TBA, not in the 80-CBA should be regarded as independent assemblies or not. In this paper, I asserted that these two chapters should be considered as independent assemblies preached in different places. The colophon at the end of the sDe dge edition of the TBA gives many precious imformation as for the TBA itself. According to this, Bu ston, a great scholar in Tibet, esteemed this sūtra as the final perfect one among the Buddha's three-level teachings and analysed it focusing on the seven chapters among the 45 chapters. I compared this analysis with that of East Asian Huayan school.

      • KCI등재

        청년 공공고용서비스에 대한 디지털 넛지 활용 전략

        박보람(Boram Park),정성지(Seong J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 공공고용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공공정책 개발에 있어 최근 전세계적으로 화두가 되는 행동경제학적 접근 툴(tool)인 디지털 넛지 활용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사례 연구를 적용하여 국내 청년 공공고용서비스 및 넛지 정책적 배경을 살펴보고, 국외 공공고용서비스 디지털 넛지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Thaler et al.(2010), Sunstein(2014)의 넛지 원리에 기반하여 국내 청년 공공고용서비스에 접목 가능한 디지털 넛지 원리와 활용 전략을 제안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온라인 청년 공공고용서비스 개선을 위해 구직정보, 잡매칭, 청년구직활동지원금, 구직 실패경험 관리서비스에 대해 디폴트, 맵핑, 의사결정 체계화, 피드백, 정보조직화, 사회적 규범, 프레이밍 등이 주요 디지털 넛지 원리 활용방안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청년고용 관련 연구자들의 보다 다양한 넛지 전략 접목 연구의 확대, 다양한 분야별 전문가들의 융⋅복합적 협업,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공공정책의 행동과학 접목을 위한 인적, 물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strategy to utilize digital nudge, a behavioral economic approach tool that has recently become an emerging topic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policies for the revitalization of youth public employment service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domestic youth public employment service and nudge policy was reviewed, and cases of digital nudge use of overseas public employment servi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nudge principle of Thaler 외(2010) and Sunstein (2014), the domestic digital nudge utilization strategy that can be applied to youth public employment services were propos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default, mapping, decision-making systematization, feedback, information organization, social norms, framing, etc. were the main digital elements for job search information, job matching, youth job search activity support, and job search failure experience management service to improve online youth public employment services. It was derived as a way to use the nudge principle.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on the grafting of more diverse nudge strategies by researchers related to youth employment, convergence and collaboration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and build a human and material system to integrate behavioral science in public policy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

      • KCI등재

        박사과정생의 박사학위과정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박보람(Boram Park),정진철(Jinchul Jeong),김민희(Min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박사과정생의 진학동기와 졸업 후 경력경로가 다양해짐에 따라, 박사과정생이 학위과정에 대해 갖는 주관적 인식 유형을 분석하여 박사과정생 경력개발 지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개인의 고유한 신념, 태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비구조화 표집 방식으로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박사과정생의 학위과정 인식에 대한 58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표본을 추출하였다. P표본 선정은 성별, 결혼여부, 재학유형, 전공계열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Q Method software를 활용하여 11점 척도를 기준으로 Q분류를 진행하였다. 결과 박사과정생의 학위과정 인식에 대한 Q요인 분석 결과, 총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1의 「전문성 구축형」은 학위과정을 성장과 몰입, 폭넓은 이해와 관점의 확장 기회로 인식하고, 지도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로서 충분한 역량을 갖추게 될 것이라 기대하는 유형이다. 유형 2의 「다경험 순응형」은 근로환경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지만 어려운 대학원 생활을 동료들과 함께 극복하고자 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3은 「보상 기대형」으로 학위과정을 취업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박사과정생에 대한 경제적 보상이 부족하다고 느끼며, 남들과 다른 삶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유형이다. 유형 4의 「네트워크 지향형」은 직업안정성이 전공분야보다 취업에 더 중요하고, 주변인의 지원을 통해 학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진로 및 취업에 학술 네트워킹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결론 박사과정생의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시사점은 첫째, 박사과정생들이 학위과정에 대해 갖는 주관적 인식 차이를 바탕으로 경력개발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박사과정생들이 대학원이라는 학문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성장 및 참여할 수 있는 대학원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박사과정생의 인식 유형과 관련한 맞춤형 진로교육 및 서비스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박사과정생이 학위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활동들에 대해 근로의 관점에서 현실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박사과정생들의 학업, 진로, 취업, 정서적 지원을 위한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support for doctoral students by analyzing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Ph.D. program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method research, the Q methodology, which is widely used to measure individual s beliefs and attitudes, was used.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Q samples consisting of 58 statements on the perception of the degree programs of doctoral students was extracted. Q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based on an 11-point scale using Q Method software. Results 4 types of doctoral students’ perception were derived. First, “Professionality Building Type” recognizes the degree course as an opportunity for growth, immersion, broad understanding, and expansion of perspective, and expects to have sufficient competence as a Ph.D. under the guidance of an advisor. Second, “Multi-Experience Adaptation Type” tries to overcome difficult graduate school life with colleagues, though feels in the blind spot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ird, “Reward Expectation Type” recognizes the degree program as a purpose of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feels that there is a lack of economic compensation for themselves, and feels anxious about life different from others. Forth, “Network Oriented Type” believes job security is more important than to major, academic networking is important for career and employment.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career development of doctoral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providing career development support based on the subjectiv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degree program. Second, creating a graduate school environment where doctoral students can grow and participate as members of an academic community. Third, supporting customized career education and services based on perception of doctoral students. Fourth, treating activities experienced by doctoral students as labor standard point of view. Fifth, preparing systematic support measures for doctoral students to form various human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