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황색 피부, 백색 가면

        하상복(Ha, Sang-B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다문화주의는 동등한 인간으로서 다양한 인종과 민족의 공존을 인정하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다문화적 국가 정책과 수많은 대중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의 실제 현실에는 왜곡된 인종주의적 태도와 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차별을 받았던 식민의 역사와 분단이라는 역경 속에서 민족의 자존을 수립하는 과정의 배타적 민족주의로만 이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너무 피상적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글은 비록 이러한 상황이 한국의 전반적이고 지배적인 현실이라고 단언하지는 않지만, 백인우월주의가 내재된 인종주의가 황색 피부를 가진 한국인의 현실에서 점점 확대되고 있는 인종의 정치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프란츠 파농이 제시한 유색인종의 열등의식과 백인과의 동일시에 대한 성찰을 통해 19세기 이후 한국의 내면화된 인종주의적 경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파농의 성찰을 통해 본 논문은 19세기 말 한국의 인종주의의 수용과 확산이 서구 중심적 근대성에 의해 구성된 ‘지식과 존재의 식민성’에 한국인이 포섭된 결과로 파악한다. 또한 본 논문은 이 내면화된 인종주의가 일제 강점기 이후 동원된 순혈주의, 단일민족 신화, 민족주의를 ‘보충’하며 타자를 배제하고 차별하는 인종주의 형성에 일조하고 있다고 본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은 오늘날 한국의 인종적 타자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주의 정책은 역사적으로 내면화된 인종주의와 배타적 민족주의의 경향 때문에 인종차별적 측면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파악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래할 한국의 인종적 지형이 가질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선 공적 및 사적 분야에서 보다 많은 고민과 논의들이 시작되어야 한다고 보고, 그 출발점으로 인종주의 사고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이 인식의 전환은 백인 우월주의가 내재화된 인종주의를 해체할 수 있는, 나아가 식민지이래로 작동하고 있는 ‘지식과 존재의 식민성’을 극복하는 긴 여정의 출발점이다. 이를 통해 서구 중심적 패러다임에 갇혀 동일한 인간에게 우월/열등, 미개/야만이라는 인종적 위계체제를 작동시키고 있는 한국 사회의 고착된 사고를 전환시킬 수 있다. Distorted racialist attitudes and violence have steadily increased in Korean realities. This situation runs counter to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 and a lot of social discussions about multiculturalism tha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various races and peoples must coexist as equal human beings. It could be just superficial to say that this situation has the root in the exclusive nationalism that has been justified to establish national self-respect because of special historical experiences of Japan’s colonial occupation and national division. So Franz Fanon’s thought―especially, his analysis of inferiority complex and obsessed identification with the White of the black people-helps to explore racism with internalized white supremacy that is working as racial politics in the consciousness and everyday life of the Korean people after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his examination also helps to understand that the acceptance and proliferation of western racialist perspectives in Korea are the result that Korean people have been won over to ‘coloniality of being and knowledge’ constructed by eurocentric modernity. These racialist perspectives also support and supplement the myth of pure-bloodism, Korean race, and Korean nationalism built by the ruling classes of South Korea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ir impoverished country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and in the guise of multiculturalism they play an important role of controlling and discriminating the colored people as uncivilized races and humble underclasses in the 21st century Korea. This racial situation can get worse and result in more abusive racism and xenophobia. To minimize it, it is needed to set about much more discussions on public and private efforts against racism. For this, the change of the way people think about racism will primarily be made. This change is the starting point for breaking up internalized racism and overcoming ‘coloniality of being and knowledge.’

      • KCI등재

        모바일 컴퓨팅 기술과 민주주의에 대한 상상력

        하상복(Sang Bok Ha),손영우(Young-Woo Son),고형대(Hyung Dae Koh),김나영(Na Young Kim),임양준(Yang June Im),최종명(Jong Myung Choi)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 OUGHTOPIA Vol.30 No.2

        1, 2차 세계대전을 통해 프로파간다의 도구로 간주되었던 미디어는 민주주의의 함양과는 거리가 멀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에 하버마스 이론에 대한 논의는 부르주아 공론장에서 언론과 권력 그리고 정치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하고 양방향 미디어의 민주주의적 잠재력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과 희망을 부여했다. 하지만 하버마스의 공론장 모델은 이성에 기반한 토론을 중심에 두고 있어, 감성이나 열정을 배제해왔고 오늘날 새로운 기술을 통해 전파되고 있는 영상, 이미지 등의 요소들을 무시한다는 비판에 직면한다. 본 논문은 모바일 컴퓨팅 기술을 민주주의와 새롭게 접목시키기 위해, 하버마스의 공론장 모델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첫째, 합리적 합의 중심의 언어적 공론장에서 통섭적 교감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적 공감장으로의 확장, 둘째, 커뮤니케이션의 개인인증을 통한 직접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 셋째, 데이터베이스화된 사회에서 개인들의 특수의지와 일반의지 간의 새로운 관계를 제기한다. 이러한 고찰은 현대 사회에서 신기술과 민주주의의 접목, 직접민주주의와 대의민주주의의 조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media regarded as a tool of propaganda through World War I·II has been considered inappropriate to cultivate democracy. Habermas who found new relations among media, politics and power in bourgeois public sphere, has given new possibilities and hope for the democratic potential of the bilateral media. But Habermas’s public sphere model which is based on a rational discussion, is faced with the criticism that the model excluded emotions and passions and ignored important elements, today spread through new technologies such as video clips, images. In this paper, we attempt to critically reconstruct Habermas’ public sphere model in order to incorporate new mobile computing technology and democracy. Through this analysis, we suggest the following necessity; expansion from the verbal public sphere based on rational agreement to sentimental public sphere included the sympathetic consilience, the feasibility of direct democracy through the personal authentication of the communication, and the need for a representative democracy in order to convert particular will of individuals into general will in the database society. This review demonstrates possibilities to incorporate new technologies and democracy and to harmonize direct democracy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in the modern world.

      • KCI등재

        프란츠 파농의 ‘새로운 인간주의’와 탈식민 사유

        하상복(Ha, Sang-Bo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코기토 Vol.- No.77

        오늘날 프란츠 파농(Frantz Fanon)의 사상이 이해되고 수용되고 있는 상황은 다양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들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직접적인 식민 체제의 붕괴 이후 여전히 또 다른 억압 체제 속에 놓인 주변화된 인간 존재의 현실들은 그의 사상이 여전히 유효함을 말해준다. 즉 인간이 인간을 속박하는 체제를 극복하기 위해 백인과 유색인이 ‘새로운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는 그의 요청이 아직도 종결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파농의 탈식민 사유 속에서 그의 ‘새로운 인간주의’(New Humanism)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그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것은 필요하다. 이러한 검토는 기존 파농 연구들에서 드러나는 문제들을 올바르게 파악하는 관점을 정립하는 계기, 나아가 파농 사상의 핵심을 파악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새로운 인간을 지향하는 파농의 사상을 ‘유색인과 백인의 자기 해방과 윤리적 상호 인정’, ‘행위와 실천’, ‘집단적 윤리의 모색’, ‘민족의식과 국제주의’라는 세부 주제에 따라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러한 세부 논의는 파농의 새로운 인간주의가 식민 체제 하의 인간 문제뿐만 아니라 오늘날 인종, 민족, 문화, 종교 간의 경계에서 출현하는 공포와 비극의 현실을 비판하고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사유임을 증명한다. Contemporary postcolonial and cultural studies today are under suspicion of undermining the point of Frantz Fanon’s thought. And there are still the inhuman situations of beings that are marginalized in other new suppressed systems after the end of colonial rule which Fanon fought to the death to overcome. These demonstrate convincingly that Fanon’s calling on both white and colored people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new man still have significance for us. In this respect, this paper summons and reexamines his remarks on ‘new humanism.’ For Fanon, European humanism can’t help to free the colored people of the non-being domains. Instead, it supported and exacerbated the racial views that regarded the colored people as non-humans, sub-humans and things. In order to criticize the false views and practices on human beings in European humanism, to develop new humans, and to create new spaces for them, Fanon suggests that both white and colored people achieve their self-liberation and respect each other, following an ethics of reciprocal recognition. Furthermore, Fanon makes a proposal for developing the views on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ism based on his new humanism. This new humanism in Fanon’s thought not only makes a large contribution toward solving human problems in colonial and neocolonial rule, but also inspires us to ponder upon what we must do to cope with the resulting tragedies and horrors in racial, national, cultural and religious conflicts at the present day.

      • KCI등재

        1980년대 한국의 정치변동, 민주화 그리고 정치커뮤니케이션

        하상복 ( Sang Bok Ha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08 시민사회와 NGO Vol.6 No.1

        본 논문은 민주화로 귀결되는 1980년대 한국의 정치변동 과정을 정치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근본적으로 1980년대 한국의 정치변동을 이해하는 데 주요한 두 이론인 근대화 이론과 민주화 이행론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 기초한다. 근대화 이론은 정치영역의 변화를 사회경제영역의 변화에 종속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정치변동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민주화 이행론은 정치변동을 이끄는 행위자들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근대화 이론의 한계를 일정 정도 극복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변동의 과정을 엘리트들의 관계로 국한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정치변동의 과정은 엘리트들만이 아니라 그들과 대중들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트와 대중은 지지와 동원의 관계로 묶이는데 그것은 결국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간장악을 통해 특정한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또한 그 과정에는 엘리트와 대중을 매개하는 미디어가 깊이 개입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1980`s political transformation to democracy in South Korea in terms of political communication. This research is fundamentally oriented to the critics of modernization theory and democratic transition theory, two main theories used to understand the South Korean democratization. The former can be criticized that, understanding the political transformation as by-product of that of socio-economy, it is not easy for it to analyze the political transformation in itself. And then, the latter may be criticized to reduce the political transformation to the elitist relations, even though it solves the theoretical limit of modernization theory, focusing on the political actors` relations. The process of political transformation includes not only the elitist relations, but also that of elite-mass. They are related to the process of support and mobilization, which is process of transmission of political messages by hold of communication space. And in this process is deeply engaged the mass-media, acting as an intermediary between elite and mass.

      • KCI등재

        광화문의 정치학

        하상복(HA Sang Bok)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3

        이 연구는 광화문의 역사를 정치권력의 재현이란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조선왕조의 정궁인 경복궁의 정문으로 탄생한 이래 광화문은 해체와 건립의 과정을 수차례에 걸쳐 반복해왔다. 그러한 과정의 핵심에는 정치권력이 자리한다. 광화문에는 다양한 정치권력의 흔적이 새겨져 있다. 왕조권력은 광화문의 건립과 재건립을 통해 군주의 위엄과 존엄을 드러내고자 했으며, 일제의 식민권력은 광화문 해체를 통해 조선왕조의 붕괴와 제국주의 권력의 부상을 가시화하고자 했다. 한국의 군부권력이 광화문 재건을 통해 경제건설과 민족주의라는 이념을 표상하고자 했다면, 그 이후에 등장한 정치권력들은 경복궁과 광화문의 복원을 통해 역사적 정통성이라는 새로운 자본을 획득하고 그에 기초해 권력의 대중심리학적 기반을 강화하고자 했다. 이렇듯 광화문의 역사는 정치권력이 (건축)예술을 통해 자신의 능력과 의지와 비전을 시각적으로 재현하고자 하는 상징행위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history of Gwanghwamun in a point of view of political power’s representation. Since it has been made as central gate of Gyongbokgung(1st royal palace of Chosun Dynasty), Gwanghwamun has been repeatedly between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We can explain this contradictory history with the will of political power. In this edifice hide diverse prints of political power. The royal power of Chosun Dynasty has wanted to represent the king’s authority and dignity with repeated erection of Gwanghwamun, and the colonial power of Japanese imperialism has desired the visualization of the fall of Chosun Dynasty and the rising of imperial power in its deconstruction. In the same logic, the Korean military power has intented to represent the ideology of economic growth and national value with reconstruction of Gwanghwamun, and having wished to possess the new political capital, historical orthodox and to consolidate the people’s political support, the successive political powers have restored Gwanghwamun. All of this story says that the history of Gwanghwamun is the same with the history of the political powers’symbolic action visualizing their will, capacity and vision with mobilization of an public edifice.

      • KCI등재

        자크-루이 다비드의 회화와 "위대한 인물"의 관념 -정치적 텍스트로서 예술

        하상복 ( Sang Bok Ha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3

        이 연구는 정치적.이념적 텍스트의 관점에서 자크-루이 다비드의 회화를 독해하고자 한다. 프랑스 구체제 후반기부터 활동하기 시작한 프랑스 신고전주의의 대표적 화가 다비드는 자신의 회화를 당대의 시대정신을 시각적으로 표상하는 데 동원함으로써 예술의 정치화라는 모토에 가장 걸맞은 역사적 사례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다비드의 회화가 드러내고자 한 당대의 시대정신이란 ‘위대한 인물’의 정신이다. 프랑스 구체제와 그것의 반영체인 전통적 영웅관이 쇠퇴하기 시작하고 그에 대한 반정립으로 ‘위대한 인물’의 관념이 등장했는데, 다비드의 회화는 그러한 새로운 시대정신을 구현하려 했다. 그리스-로마 시대의 영웅들을 다룬 구체제 후반기의 역사화와 프랑스대혁명기의 정치적 영웅들을 묘사한 그리고 나폴레옹의 정치적 위대함을 웅변한 정치회화를 통해 다비드는 위대한 인물의 관념을 감각적으로 재현하고 대중적으로 확산하는 데 전력을 기울였다. 이 연구는 예술을 정치적 텍스트로 독해하는 것의 의미 있는 사례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paintings of Jacques-Louis David as political and ideological text. J.-L. Davi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ainters in neo-classicism, who worke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Ancien Regime, actively mobilized his paintings to represent visually the spirit of the age of 18th century France. His artistic life provides us with the best historical example for the politicalization of art. The spirit of age that he wanted to visualize is that of the “grands hommes” (great man). As the French Ancien Regime and its traditional heroism were on the decline, the idea of the “grands hommes”, a new heroism as its anti-thesis emerged. His paintings were evidently oriented to make images embodying that idea. With the historical paintings of the second half of the Ancien Regime describing Greco-roman heroes and the political paintings illustrating the French Revolution’s heroes and Napoleon’s political greatness, David strived to represent and massively distribute the idea of the “grands hommes”. This study will demonstrate a significant example for reading art as a political text.

      • KCI등재

        대타자의 붕괴와 탈근대 주체

        하상복(Ha Sang-Bok) 새한영어영문학회 2006 새한영어영문학 Vol.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disintegration of the big Other and the subject in the postmodern epoch through reading Slavoj ?i?ek's theory and Don DeLillo's novel, Mao Ⅱ. Each chapter examines ?i?ek's psychoanalytic approach on the disintegration of the big Other and the postmodern subject and analyzes the characters and details of Mao Ⅱ which relate to ?i?ek's discussions. Chapter Ⅱ explains the conditions which lead to the disintegration of the big Other, and the new anxieties and the passionate attachment to subjection of the postmodern subject. In Chapter Ⅲ, the paper shows that the structure itself of the Symbolic Order causes the disintegration of the big Other. Chapter Ⅳ analyzes the postmodern subject as the cynical, the perversive and the narcissistic subject in whom ?i?ek catches hold of dangerousness. In Chapter Ⅴ, the paper discusses the way to suspend the conditions which make the postmodern subject caught in the vicious cycle which is driven into the frenetic attachment to subjection after the disintegration of the big Other. The way out that is grasped in ?i?ek's theory is by means of the act, which means the rejection of the existing Symbolic by the subject. Therefore, to resolve the subjective predicaments, the postmodern subject needs to reject the conditions of postmodern epoch, that is, capitalis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근대 초 프랭클린 자서전 번역의 문화적 의미

        하상복(Ha, Sang-bok),김남이(Kim, Nam-yi)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코기토 Vol.- No.70

        『프랭클린 자서전(Autobiography)』은 ‘자수성가한 사람(self-made man)’, ‘미국의 꿈(American Dream)’ 등으로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을 신화화한 텍스트이다. 이 책의 출판과 그를 통한 프랭클린에 대한 신화화의 과정은 『프랭클린 자서전』에 대한 이해와, 그러한 신화화를 이루었던 각각의 시대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조점을 준다. 19세기에 시작된 프랭클린의 신화는 일차로 미국 대중에게 확산되었고, 『프랭클린 자서전』이 독일어, 이탈리아어, 네덜란드어 등으로 번역됨으로써 유럽 전역의 대중에게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그리고 19세기 중반부터 중국과 일본, 그리고 조선에서도 프랭클린의 신화는 『프랭클린 자서전』을 포함한 글들이 번역되면서 각각의 국내적 상황과 결합하여 유통되고 수용되기 시작했다. 프랭클린이 조선에 본격적인 서사를 갖춘 ‘자서(自敍)’의 형태로 유포된 것은 1920년대 초입이다. 프랭클린의 자서전은 그 지난 10여 년 간 모색해온 ‘수신’과 ‘입신출세담’의 결정판이자 요결처였다. 그중 한성도서주식회에서 발간된 『프랭크린』은 ‘근면, 검소, 정직, 점진’을 성공의 통로로 제시하며 개인의 성공을 통한 사회의 발전을 추구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특히 『프랭크린』의 발간을 주도한 장도빈은 이 책의 서문을 통해 프랭클린을 ‘온화한 군자’의 형상으로 빚어냈다. 이는 프랭클린과 같은 위대한 인물의 삶에 대한 독서에서 얻을 수 있는 심미적 쾌감에 대한 변화로도 이어졌다. 즉 바로 직전 시기, 구국 영웅의 서사가 주던 격렬하고 고양된 감정의 서사가, 일상적인 수양과 노력을 통해 성공한 인물의 점진적이고 잔잔한 서사적 미감으로 옮겨가고 있었던 것이다. In the early modern times, Franklin"s Autobiography was translated quite quickly in Korea, China and Japan, considering the publishing time of a complete original text in America. And the translations in three countries attracted public attention from intellectuals and young people. Therefore, these translation situations can allow for comparative studies of each translation through examining the cultural backgrounds and different standpoints of translations in three countries. In this sense, this paper primarily aims to study the Korean translation as a preparatory research for the comparative study. Section 2 investigates the complicated publication process of many different printings of Autobiography in 18th and 19th century America, and analyzes the cultural and social meanings of the mythicization of Franklin as "the first great American" and a prime example of a self-made man. In Section 3 and 4, this paper examines several Korean materials that dealt with Franklin and his work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also catches the cultural and political meanings of the most typical Korean translation which was published by Han Sung Publishing House, analyzing the publisher, Jang Do-bin"s foreword and the translator, Kim Eok"s postscri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