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능동형 RFID 시스템의 소비 전력 예측

        이문형,이현교,임경희,이강원,Lee, Moon-Hyoung,Lee, Hyun-Kyo,Lim, Kyoung-Hee,Lee, Kang-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8

        2.4 GHz 능동형 RFID가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요인 중 하나는 배터리 수명 문제다. 그러나 현재 까지 소비 전력 예측을 위한 정확한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태그의 전력 소비를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충돌 제어와 query 명령어 사용 방법에 따라 6개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 하였다.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태그의 작동 모드를 몇 개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전력 소비와 작동 시간을 조사하였다. 태그 수집과 응답 확인 과정을 간소화 하는 Query command 명령 방법과 최근에 제안된 충돌 제어 알고리즘을 본 시뮬레이션 모델에 사용하였다. 소비 전력 이외에도 시스템 효율과 다중 태그의 인식 시간, 그리고 인식률과 같은 성능 지표를 구하여 기존의 ISO/IEC 18000-7 시스템과 비교하였다. For the 2.4 GHz active RFID to be successful in the market, one of the requirements is the increased battery life. However, currently we do not have any accurate power consumption estimation method. In this study we develop a simulation model, which can be used to estimate power consumption of tag accurately. Six different simulation models are proposed depending on collision algorithm and query command method. To improve estimation accuracy, we classify tag operating modes as the wake-up receive, UHF receive, sleep timer, tag response, and sleep modes.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ng time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tag operating mode. Query command for simplifying collection and ack command procedure and newly developed collision control algorithm are used in the simulation. Other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throughput, recognition time for multi-tags, tag recognition rate including power consumption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urrent standard ISO/IEC 18000-7.

      • KCI등재

        정읍지역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분포와 현황

        이문형(Lee, Moon Hyou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3

        전북 정읍시 영원면 일대는 백제 사비기 오방성 가운데 중방성이 자리한 고사부리성의 인접지역으로, 주변에는 백제시대의 고분 약 270여기가 밀집 분포하고 있다. 조사된 은선리고분을 통해 횡혈식석실묘유형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유형은 평면형태는 장방형으로 우측에 연도를 개설한 터널식 형태로 그 시기는 5세기말에서 6세기 초반으로 추정된다. 제2유형은 역시 장방형의 평면형태에, 중앙에 연도를 개설한 단면 육각형 형태의 고임식으로 벽체는 모두 판석으로 축조되었다. 마지막 제3유형은 장방형의 평면형태에 천장은 평천장(수평식)으로 7세기 초에 등장하여 백제멸망기까지 지속적으로 축조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들 고분 대다수가 백제 중앙 묘제인 횡혈식석실묘인 점, 그 축조시기가 사비시기인 점 등을 종합해 볼 때 그 축조집단은 중방성(고사부리성)과 깊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서부 저평한 구릉에 분포하고 있는 운학리 및 지사리고분군은 입지 지형과 분포 상태 등으로 보아 마한시기의 분구묘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세부적인 현황과 성격은 알 수 없다. 다만, 운학리 C호분에서 출토된 금동제투조과판은 진식대구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공반 출토된 규형판금구은 성시구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출토유물로 볼 때 그 피장자는 당시 이 일대에서 성장한 최고 수장층의 무덤으로 판단된다. 종합해보면 영원면 일대에는 경제력과 교통로를 바탕으로 분구묘를 축조한 재지세력이 있었으며, 영원면 일대에 축조된 수 백 여기의 횡혈식석실묘는 이들 재지세력이 백제로 편입 혹은 재편하는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던 주인공으로 판단된다. Over the area of Yeongwon-myeon, Jeoeup-si, the relics of approximately 270 tombs of Baekje era are densely distributed. The area was identified to be next to Gosaburi Castle in which Jungbang (central) Castle is located as one of Obang (five-cornered) Castles in Baekje Sabi period. From the analysis into types of tunnel stone chamber tombs within the group of old tombs in Eunseon-ri, it was made known that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3 major types. The first one is the tunnel type which is of plane rectangle shape with a tomb entrance passage installed on the right,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constructed from the end of the 5th century till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 second type is also of plane rectangle shape but with a tomb entrance passage installed in the center. The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shows that it was propped up in hexagonal form and its wall was made all of flagstones. The last type has the plane rectangle shape with flat ceiling, which began to appear from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lasting uninterruptedly upto the fall of Baekje Kingdom. As a consequence, it may be logically inferred that the group which constructed the tombs c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Jungbang Castle (Gosaburi Castle) in that most old tombs in this area were tunnel-typled stone chamber ones which belonged to the central tomb system of Baekje era and that they were constructed during the Sabi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group of old tombs in Unhak-ri and Jisa-ri distributed over the low, even, hilly district in the west are believed to be mounded burial tombs of Mahan period judging from their location and lay of the ground, but detailed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have not yet been investigated. However, Geumdongjetujogwapan (gilt bronze ornament) excavated from the tomb C in Unhak-ri seemed to allow us to reason that it is a kind of Jinsikdaegu (ornaments) and Gyuhyeongpangeumgu (land surveying instrument) unearthed together might be an accessory for a quiver. The unearthed relics are most highly suggesting that the buried in the tomb must be a chieftain who had grown to have won great power in the region. In sum, it might be said that there were strongmen in the area of Yeongwon-myeon who could construct mounded burial tombs thanks to their riches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They must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process of their integration into Baikje Kingdom or reorganization of their political power, it is supposed. The outcomes of such transformation are thought to be demonstrated by several hundreds of tunnel stone chamber tombs constructed around the region of Yeongwon-myeon.

      • KCI등재

        益山 於陽洞가마 出土 白磁 硏究

        이문형(Lee, Moon-Hyoung)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3 馬韓, 百濟文化 Vol.22 No.-

        우리 연구소에서는 익산시 어양동가마에서 근대 백자와 연관된 폐기장을 수습 조사한 바 있다. 현재 국내에서 조사된 일제 강점기의 가마로는 충주 미륵리와 양구 칠전리 등 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익산 어양동가마의 수습 폐기장은 그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접한 구릉에 이와 연관된 가마가 위치하고 있어 더욱 주목된다. 어양동가마 출토 근대 백자는 발과 요강에 한정되어 일본자기를 모방해서 현지에서 생산한 것 이다. 그 시기는 1930년 이후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의 1930년대는 시기구분에 있어 전환기(1930년-1935년경)와 쇠퇴기(1935년- 1945년경)해당된다. 전환기의 경우, 총독부는 중일전쟁에 필요한 전시원료를 우선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국내 도자업 운영에 점차 제안을 두었다. 쇠퇴기에는 일본이 제2차대전을 동시에 수행 하면서 전시물자 충당을 위해 통제경제의 실시, 자국으로의 요업 관련 원료의 유출 등으로 인해 국가지정공장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작장들이 폐업하였으며, 이러한 사정은 지방가마들의 경우 더욱 심각하였다. Our lab excavated and researched discarded porcelains which were manufactured during in Eoyangdong kiln in Iksan city. Currently, kilns oper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re located in Mireuk-ri in Chungju and Chiljeon-ri in Yang-gu. Thus, I believe that the discarded porcelains found in the Eoyangdong kiln in Iksan have a high academic value. What makes it more important is the fact that a kiln which is related to this is located in a nearby hill. The white porcelain of modern times excavated in Eoyangdong kiln only includes ordinary bowls and chamber pots which were imitated from Japanese porcelain. The timing is assumed to be after 1930. The 1930s, the Japanese colonial era, include the transitional period(1930 to 1935) and the decline period(1935 to 1945). In the transitional period, the government general of Japan gradually put limitation on the porcelain businesses in Korea in order to primarily supply materials that are needed for the war with China. In the decline phase, as Japan waged the World War 2 at the same time, it needed to supply goods for the war. Therefore, the controlled economy policy and the outflow of the porcelain-related materials into Japan led to closure of most of porcelain manufacturers in Korea except for businesses designated by the country.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for local kilns.

      • KCI등재

        百濟 初期 橫穴式石室墳의 檢討

        이문형(Lee Moon Hyoung)(李文炯) 중앙문화재연구원 2005 중앙고고연구 Vol.0 No.1

        백제시대의 초기 횡혈식석실분은 크게 초기유형(도입기)과 웅진유형(정착기)으로 구분 가능하다. 초기유형의 횡혈식석실분으로는 청원 부강리 공주 분강저석리와 군산 산월리를 들 수 있다. 이들 횡혈식석실분의 특징은 동일 지역 내 평면 방형의 형태에 다양한 연도를 꼽을 수 있으며, 출토유물에 있어서는 마구류가 부장되지 않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들 석실분의 피장자는 교통로를 중심으로 성장한 재지세력으로 그 시기는 5세기 초에서 중엽으로 판단된다. 웅진유형의 석실분으로는 원주 법천리, 공주 수촌리, 익산 입점리, 나주 복암리를 들 수 있다. 이들 세력은 웅진천도와 더불어 기존 체제를 그대로 상속받았거나, 새로운 편재체제에 수용된 세력으로 금동제품과 중국제자기 등 최고 위신제 성격의 유물이 부장되고 있다. 이들은 출토유물과 문헌기록으로 보아 자치권을 행사하는 동시에 중앙으로부터 직·간접적인 통제를 받았던 것으로 판단되며 그 축조 시기는 5세기 중엽에서 후엽으로 판단된다. Horizontal digging stone chamber tomb is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early pattern(introduction period) and Ung-jin pattern(fixing period). We can find the example of an early pattern of stone grave, in Bugang-ri, Cheong-won and Bungang-Jeoseok-ri, Gong-ju and Sanwall-ri, Gun-san. The characteristic of these graves is that it shows the various period in the pattern of the plane direction within the same province and that it is the fact that in the remains, horse equipments were not buried. People buried in these stone graves are the control power groups who grow centering around the traffic roads. The period of it is judged from early 5th century to midterm. We can also state the graves of Ung-jin pattern, for example, those of Beopcheon-ri Won-ju, Suchon-ri Gong-ju, Ipjeom-ri Ik-san, Bockam-ri Na-ju. These power is the group who inherited the already established system with the transfer of the capital or who is accommodated in a newly organized system. In their graves best quality of remains are buried such as the golden goods and chinese ware etc.. These power group played the right of self-government and simultaneousely was controlled by the center and the construction time of it is from mid-5th century to latter period.

      • KCI등재

        익산 신흥근린공원 출토 중국 반량전 비파괴 분석보고

        이문형(lee moon hyoung)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1 馬韓, 百濟文化 Vol.37 No.-

        익산 신흥동 장자산(해발 47m)의 가지능선 상에서 근린공원 조성사업에 앞 서 실시한 지표조사 과정에 서 중국의 화폐인 ‘반량전(半兩錢)’ 2점이 발견되었다. 반량전이 수습된 장자산 일대는 만경강 본류가 남 쪽으로 약 5㎞ 떨어져 동-서 방향으로 흐르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세형동검과 동과 등이 수습된 용제리 이 제마을이, 또한 초기철기시대의 토광묘 33기와 옹관묘 14기가 조사된 마동유적이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반량전은 중국의 진(秦) 시황제가 주조하여 한(漢)나라 무제 23년인 기원전 119년까지 유통된 동전으로 현재까지 한반도 남부에서는 사천 늑도, 완주 상운리, 최근의 창원 다호리 유적 등 3곳에 불과할 정도로 매 우 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물이다. 이번 반량전의 발견은 익산지역 나아가 만경강유역의 초기철기시대 정 체성을 대변할 수 있는 유물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이 반량전이 고고학 자료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인식하여 비파괴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파괴 분석은 반량전의 내·외부 결함과 성분조성을 확인하기 위해 육안조사, Soft X-ray, Potable X-ray fluorescence 등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비파괴 분석 결과 이물질이 전체적으로 관찰되었으나 구조상의 큰 결함이 없었으며, 성분분석을 통해 구리제의 동전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VKOSPI 선물의 정보효과와 시장활성화 방안

        이문형 ( Moon-hyoung Lee ),윤선중 ( Sun-joong Yoon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7 선물연구 Vol.25 No.1

        전 세계 거래소들이 변동성 파생상품을 상장함에 따라 변동성은 새로운 투자대상이자 주식, 채권 등의 전통적 자산에 대한 헤지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한국거래소는 2014년 11월 17일 VKOSPI 선물을 도입하였으나 VKOSPI 선물의 유동성은 미국·유럽에 비해 크게 부족한 현실이다. 본고는 VKOSPI 선물의 부진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VKOSPI 지수와 VKOSPI 선물의 정보효과를 비교하고 시장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VAR 분석결과에 의하면, VKOSPI 선물은 KOSPI200옵션시장에서 도출된 VKOSPI 지수에 비해 정보적으로 열등하였으며, 한국시장을 선도한다고 알려진 미국의 VIX 지수 및 VIX 선물의 고려 후에도 일관된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VKOSPI 선물의 낮은 유동성과 미국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정보적 열등성의 주요한 원인으로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특히, 변동성선물의 유동성을 확보한 시장에서 변동성 지수를 바탕으로 한 ETN의 거래가 활발한 사실에 기초해 VKOSPI ETN의 도입 및 활성화에 대한 금융당국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As global exchanges have listed volatility derivatives competitively, volatility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investment vehicle and/or a hedging means for traditional financial assets such as stocks and bonds. Following this trend, KRX has begun to announce VKOSPI from KOSPI200 index options prices since April 13, 2009 and listed VKOSPI futures on November 17, 2014. However, VKOSPI futures has still not been activated than those listed in developed countrie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informational efficiency of VKOSPI futures and analyze the illiquidity problem of VKOSPI futures. More specifically, we execute a VAR analysis of VKOSPI, VKOSPI futures, VIX and VIX futures to find out their lead-lag relations. In addition, we further conduct a Granger causality test,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variance decomposition to examine their dynamic rel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we find that VKOSPI leads VKOSPI futures and that VIX and VIX futures lead VKOSPI and VKOSPI futures significantly. Based on the results above, lastly, we propose several policies to make the VKOSPI futures market more active and informative.

      • KCI등재

        파생상품시장의 투자심리와 주식수익률 예측에 관한 연구

        이문형 ( Moon-hyoung Lee ),윤선중 ( Sun-joong Yoon ) 한국금융학회 2017 금융연구 Vol.31 No.2

        본고는 개인투자자들이 활발하게 거래하는 KOSPI200 파생상품시장(선물 및 옵션)의 긍정적 거래량과 부정적 거래량 정보를 이용해 투자자 심리를 측정하고, 이러한 정보가 KOSPI 지수의 월간 수익률을 예측할 수 있는지 검증한다. 또한 추정된 파생시장 심리지수가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지수 및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소비자심리지수와 가지는 관련성을 VAR 분석을 이용해 확인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선물시장의 심리지수와 옵션시장의 심리지수는 모두 1개월에서 높은 예측력을 보여주었다. 계수의 부호는 부의 값으로 투자자심리에 의한 수익률의 과도반응현상을 강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개월 이상의 전망기간에서 투자심리지수는 유의성을 잃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심리지수의 일반 특성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VAR 분석 결과,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지수(VKOSPI) 및 소비자심리지수는 파생거래 심리지수와 독립적 정보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파생시장 심리지수에 비해 투자심리측정에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금융위기 전후의 분석에서는 금융위기 전에는 선물시장 투자심리가 주식수익률의 예측력이 컸으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옵션시장 투자심리만이 예측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investor sentiment by using turnover volume information in the KOSPI200 derivatives market (futures and options) and to test whether the sentiment forecasts KOSPI monthly returns. More specifically, we calculate the positive turnover (futures sell, call option buy, put option sell) and the negative one (futures sell, call option sell, put option buy) of individual investors in the KOSPI futures and options markets, and we define a positive volume over negative one as a investor sentiment index in derivatives market. Next we investigate whether the sentiment forecasts 1, 2, 3, and 6 month KOSPI returns through a regression model. In addition, we conduct a VAR (Vector Auto-regression) to analyse how the newly constructed derivatives investor sentiment index is related to VKOSPI called a fear index and the Composit Consumer Sentiment Index produced in the Bank of Korea. We further conduct a Granger causality test, an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a variance decomposition to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derivatives market investor sentiment and other indices. Finally, we analyse the change of investor sentiment`s information power arou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ich is known to have a strong effect on investor senti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we find that first, both investor sentiments in futures market and options market show high forecasting power of one month stock returns. Second, a VAR analysis confirms that VKOSPI is not related to investor sentiment, but to stock returns. Third, the Composit Consumer Sentiment Index has independent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investor sentiment. It is rather affected by the past stock returns. Finally, we can find that futures market investor sentiment has a stronger power in forecasting stock returns than option market investor sentiment before financial crisis. However after the crisis, only the investor sentiment from the options market has a forecasting power for stock returns.

      • KCI등재

        고창 봉덕리 1호분의 고고학적 위상 : 영산강유역 방대형 고분과의 비교를 통해

        이문형(Lee, Moon-Hyoung)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0 馬韓, 百濟文化 Vol.36 No.-

        전라북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고창지역은 최근 고고학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지역 중의 한 곳이다. 고창지역은 서쪽으로 바다를 접하고 동쪽으로는 호남정맥이 남쪽으로 분기하면서 높은 산악지형을 형성하여 전라남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폐쇄적이면서도 독립적인 독특한 지형으로 고창지역은 전북과 전남을 연결하는 중요한 길목에 자리하고 있다. 특히 고고학에 있어서 충청 혹은 전북지역과 영산강유역을 연결하는 중요 거점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정학적 위치로 고창지역은 영산강유역과 동일하게 분구묘 분형의 변화상이 관찰되며 그 마지막 정점에 방대형 고총인 봉덕리 1호분이 있다. 따라서 고창 봉덕리 1호분과 영산강유역 방대형 고분과의 관계를 검토하고 상호 연관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봉덕리 1호분과 영산강유역 방대형 고분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내용을 토대로 영산강유역의 방대형 고분과의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비교 검토는 입지와 분구, 매장시설 등으로 세분화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영산강유역 옥야리 방대형 1호분은 기존 인식한 방대형 고분 출현과 직접적인 관련성은 희박하며, 영산강유역의 재지전통인 ‘다장-분구의 확장-주구’ 등의 분구속성이 발현된 고창 봉덕리 1호분에서 그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Ⅳ장에서는 봉덕리 1호분 축조세력의 위상을 독창성과 우월성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독창성은 백제 중앙세력과의 관계 하에서 ‘고창식 고배’ 라는 재지계 속성이 강한 토기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우월성은 고창 봉덕리 1호분과 영산강유역의 대형 분구묘의 분구 규모에 따른 노동력을 산출한 결과, 상대적으로 봉덕리 1호분의 축조세력의 위상을 확인하였다. 산출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입해본 결과 봉덕리 1호분 분구 조성에 참여한 취락은 반경 20㎞을 넘어설 것으로 판단된다. Gochang, located at the southernmost tip of Jeollabuk-do, is one of the areas that is drawing the biggest attention in the archaeological circles lately. The Gochang region faces the sea to the west and borders Jeollanam-do to the east through a high mountainous terrain which is formed by Honam mountain range as it diverges southward. With this unique, closed yet independent topography, Gochang is positioned on an important point linking Jeonbuk and Jeonnam provinces. From the archaeological viewpoint, in particular, it is recognized as a pivotal base area connecting the Chungcheong or Jeonbuk region and the Yeongsan River basin. Thanks to such geopolitical location, mounded tombs of changed forms have been discovered in the Gochang area, in the same way a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The final and decisive evidence of such tombs is the Tomb No. 1 in Bongdeok-ri, a large squarish ancient tomb. It is thus intended in this paper to study and understan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Gochang Bongdeok-ri Tomb No. 1 and the large squarish ancient tomb on the Yeongsan River basin. In Chapter II of this paper, first of all, the current status of Bongdeok-ri Tomb No. 1 and the large squarish ancient tomb on the Yeongsan River basin was summarized. And in Chapter III, based on the contents of Chapter II, a comparative review was conducted with the large squarish ancient tomb on the Yeongsan River basin by dividing the burials in detail into location, type and facilities etc. From the review, it is made known that the large squarish ancient tomb No. 1 in Okya-ri of the Yeongsan River basin is most unlikely related directly to appearance of large squarish ancient tombs as previously believed in general. It seems more connected with the Gochang Bongdeok-ri Tomb No. 1 in which it was possible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burial like ‘multiple burials – expansion of mound – encircling ditch’ that used to be a local tradition of burial on the Yeongsan River basin. In Chapter IV, the status of the group who constructed the Bongdeok-ri Tomb No. 1 was investigated with a focus placed on the originality and superiority of the tomb. Originality can be found in the pottery which features strong local attributes called ‘a high-heeled cup of Gochang type’ in relation to the central power of Baekje. As far as superiority is concerned, the status of the group who constructed the Bongdeok-ri Tomb No. 1 could be confirmed relatively by calculating the size of labor force who was mobilized for construction of large mounded burials on the Yeongsan River basin. Based on calculation by substituting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it can be determined that people must have been summoned for making the mound of the Bongdeok-ri Tomb No. 1 even from the villages far more than a radius of 20 km.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특징과 성격-한강유역의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이문형 ( Moon Hyoung Lee ) 한국고대학회 2014 先史와 古代 Vol.42 No.-

        최근 중부지방의 한강유역을 포함하는 서울과 경기도 및 충청도 일원에서 백제 한성기로 확실시되는 횡혈식석실묘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 또한 최근 백제 한성기의 왕릉군으로 인식되는 석촌동고분에 대한 재인식과 새로운 자료 등이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즉, 기존과는 달리 석촌동 4호분 매장시설을 횡혈식석실묘 구조로 보는 적극적인 해석, 1917년에 작성된 석촌동 일대의 고분 분포도가 새로이 발견?보고되어 교착상태에 있던 백제 한성기의 매장유적에 대한 재인식의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본고 역시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서울 가락동?방이동고분군과 석촌동고분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것이다. 즉, 가락동 3호의 서쪽 동일 능선에 축조된 20여 기의 고분군의 존재로 볼 때 가락동 3호분은 석촌동고분군과 연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가락동 3호분의 축조양상이나 규모 등에서도 확인된다. 한편 한강유역의 가락동?방이동고분군을 중심으로 약 15km 이내에 분포하는 서울 우면동 유적, 하남 광암동 유적, 성남 판교 유적 등을 가칭 ‘한강유역권’으로 설정하여 한성기의 횡혈식석실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결국 한성기 백제는 이미 중앙세력이 횡혈식석실묘를 수용하고 계기적인 변화발전을 이루었으며, 이는 웅진기의 왕릉군인 송산리고분군에서도 적석총이 아닌 횡혈식석실묘가 사용된 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락동?방이동고분군을 포함하여 최근 백제계 고분 즉, 추가장이 가능한 횡혈식석실묘 내부에서 백제토기와 신라토기가 함께 공반 출토되는 사례, 즉 신라토기의 성격 문제이다. 결국 이들 석실분은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한 이후에 정복지에 대한 정책과 신라인들이 이들 지역에 남긴 고고학적 자료 등으로 볼 때 백제의 유민(遺民)이 지속적으로 그들의 조상 무덤에 추가장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결과로 추정되어진다. Lately, the existence of stone-chamber tombs presumed definitely to be those of Baekje Hanseong period has been confirmed one after another in the areas of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including the basin of Hangang River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Furthermore, reports have made their way recently to the academic circles, revealing new data about Seokchong-dong ancient graveyard and recognizing the area as that for royal tombs of Baekje Hanseong period. This is significant in that, contrary to the previous viewpoint, facilities of the tomb No. 4 in Seokchong-dong site are actively interpreted to have the structure of a stone-chamber tomb. The findings and reports of the map for ancient bombs in Seokchong-dong area completed in 1917 are expected to serve as a momentum to view the stalemated controversial buried remains of Baekje Hanseong period from a renewed viewpoint. In this context,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to examine relevance of Garak-dong?Bangyi-dong ancient graveyard to Seokchon-dong ancient tomb site, because there seems to be high probability of connection between Garak-dong tomb No. 3 and Seokchong-dong ancient tombs area judging from the existence of 20 or more old tombs constructed along the same ridge to the west of Garak-dong tomb No. 3. This way of presumption is confirmed especially in terms of construction pattern and size of Garak- dong tomb No. 3. Meanwhile, attempts were made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features of stone-chamber tombs during Hanseong period by classifying the remains in Seoul Umyeon-dong, Hanam Gwangam-dong and Seongnam Pangyo located within 15 km centering around Garak- dong?Bangyi-dong ancient graveyard into the tentatively named category of ‘Hangang River basin area’. As a result, it was ascertained that, as early as in Hanseong period, the central power group of Baekje Kingdom decided to make drastic change and progress to accommodate the stone-chamber graveyard system, which is verified by the Songsan-ri ancient graveyard for royal family during Unjin period which used stone-chamber tombs instead of stone mound tomb. There still remains the issue of characters of Baekje and Shilla earthenware unearthed together within the ancient Baekje tombs or stone-chamber tombs like those in Baekje ancient graveyard including Garak-dong?Bangyi-dong ancient tomb sites in which additional burial is found. Eventually, it may be comprehended that, judging from archaeological data left by Shilla people and from their policies over the conquered in the colony after advance into Hangang River basin, Baekje migrants continued to bury additionally in their ancestors`` tom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