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학교 GIS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성효현,주영주,조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8 교과교육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중등학교 내에서 GIS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GIS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첫째, GIS의 모체학문이라 할 수 있는 지리교과의 기본개념과 그 개념에 입각하여 지리교과교육 내 GIS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현재 중등학교에서 GIS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걸림돌로 작용하는 문제점과 현황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등학교 GIS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이론교육측면에서 인터넷을 통한 원격교육 활용을, 실습교육 측면에서는 실습모형을 바탕으로 한 교사들의 연수과정을 제안하였다. GIS 이론교육의 내용은 GIS의 기본적인 개념과 GIS의 운영과정, GIS 구설요소, GIS의 활용분야 4가지로 구성된다. GIS 이론교육의 수행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학습하는 원격교육방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원격교육을 통한 GIS 이론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개발한 GIS원격교육 교재<http://mm.ewha.ac.kr/~hhsung/GIS/index.html>를 통해 중등학교에서는 GIS이론교육의 학습이 가능하다. GIS컴퓨터 실습은 컴퓨터의 기본 운용을 익히고 사용하고자 하는 GIS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운용에 익숙하게 하여야 한다. 실습내용은 속성 및 공간정보의 입력, 편집, 검색, 분석, 출력을 위한 기본 기술의 습득을 포함해야 하며, 데이터를 검색하고, 분석 모텔링하기 위한 GIS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같은 GIS실습은 교사들을 대상으로 방학기간동안 GIS 실습과정을 교육시키고 소규모 프로젝트를 수행하게끔 하는 GIS연수프로그램에 의해 가능하다. The GIS education should possess a skill set based on useful and practical applications, and experiance that will prove useful professionally. The theoretical knowledge, critical thinking, and skills should targeted in a GI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s. Deployment of the technology in the absence of adequate theoretical knowledge leads to problems ranging from cost overruns and project stagnation to misuse of techniques and incorrect prescriptions for decision mak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ffer a guideline for developing GIS-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theoretical basis of GIS, integrating GIS with geography, skills, and advanced techniques must be covered in GIS educations. The paper presents essential GIS themes in theoretical aspect and laboratory guide for GIS exercises in GI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s. As a essential GIS subject areas, GIS fundamental concepts, cartography, database management systems, spatial analysis, and GIS application are included. The theoretical themes of GI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can by educated by distance education through Internet(http://mm.ewha.ac.kr/~hhsung/GIS/index.html). The hand-on experience in computer practicals for GIS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e GIS Lab-participants will understand the concepts, techniques, and application, discussed in the GIS lecture better if they have a chance to work them out with the computers. GIS exercises serve as a chance for developing skills. The essential skills in GIS constitute the ability to pass data in and out of software packages, converting formats and coordinate systems, digitizing, scanning, editing, mapping and simple programming in problem-solving contexts. The computer exercise outline is presented as a guideline for helping computer practicals based on these essential skills. The computer practicals should implement to introduce the basic operation and functions of GIS, and to help participants gain confidence in using GIS software and computer hardware such as digitizer, scanner, printer, or plotter.

      • 정보 기술 발달에 따른 지도학의 변화

        성효현 梨花女子大學校 師範大學 社會生活科 2000 綠友硏究論集 Vol.39 No.-

        최근 컴퓨터 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지도의 개념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유도하는 요소는 정보시스템ㅁ적 사고방식인 통합적 시각에 기인한다. 시스템적 사고 방식과 정보기술의 발달은 지도의 개념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형태로 변화시키고, 자료의 저장과 표현을 분리하여 취급하게 되었으며, 분석적 지도화, 과학적 시각화 및 지도 제작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지도의 사용을 의사소통 중심에서 분석 중심의 가상 지도의 사용으로 확대되었다. GIS는 데이터베이스, 분석 및 그래픽 표현을 통합한 시스템으로 지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지도는 입력데이터의 생성원, 공간분석 및 모델링을 위한 기초자료, 자료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GIS와 관련된다. 과거 지도는 지도학자에 의해 수집, 분석, 생성된 공간정보가 지도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매체였던 반면 현재의 지도는 지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생산할 수 있도록 분석 가능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도구로 변화되고 있다. 분석적 도구로서 지도는 공간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 및 지식 생성과 의사결정을 위한 활동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지리정보시스템의 발달은 지도화 방법, 지도 형태, 지도의 사용패턴을 변화시키면서 지도학의 대변혁을 가져오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The concepts of map have been changed in advances of the electronic technology of compute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Current factors for change are information systems thinking, emphasis on data storing, analytical cartography, scientific visualization, automated mapping and virtual map use in spatial analytical systems. GIS integrates database, analysis procedures, and graphical representation methods. Maps serve GIS as a source of input data, a framework for 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and an output medium. There are two types of map : the 'map an a presentation image' and the 'map as a computational tool'. The maps as a analytical tool are used for the decision-making and content-knowledge-building activity for geographic problem solving. GIS technology transforms cartography by changing what gets mapped, what form maps take, and how maps are used.

      • 수도권지역 개발에 따른 자연재해 특징분석 : 안양천 유역분지에서 잠재적 수해 특징 분석 A potential flood hazard study of Anyang-Cheon Watershed

        성효현 이화여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7 이화환경연구 Vol.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안양천 유역분지를 중심으로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이전의 하도를 복원하여 하도의 변화를 파악하고 안양천 유역분지내에서 1957년과 1991년 사이의 토지이용패턴의 변화를 살피려한다. 또한 안양천유역의 상류부근에서 1989년 이래 대규모 택지개발로 시가지역이 확대되면서 토지이용 변화에따른 수문 현상을 파악하여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의 변화양상을 파악하려고 한다. 안양천 유역 분지에서 1957년과 1991년 사이에 하천은 대부분 직선화 되고 지류의 소하천이 복개가 되어 하천의 총길이가 87km가 감소되었다. 특히 토지 이용 변화에서 가장 획기적인 변화는 유역분지내에서 10%의 농경지와 20%의 임야가 감소되고, 시가지역이 약 30%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수해와 같은 자연재해가 일어나기 쉬운 안양천 하천 버퍼내의 토지이용현황을 보면 1957년에는 하천 버퍼지대가 주로 임야(42.53%)와 농경지(43.08%)로 이용되고, 오로지 14.39%만이 시가지역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1991년의 하천 버퍼지대에서는 집중적으로 개발되어 42.76%가 시가지화 되었고, 약 30% 가량이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어 홍수시에 수해의 피해 규모가 증대될 가능성이 크다. 강우량의 규모와 분포패턴에 따라 다르겠지만 안양천 상류지역에서 평촌지구 및 산본지구의 택지개발을 전후하여 대체로 개발전과 개발후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시기보다 강우량에 대한 수위의 변화량이 적은 편이다. 이는 개발전에 평촌 및 산본 택지 개발지구가 대부분 논이나 임야로 되어 있었던 지역이기 때문에 논이나 녹지에 의해 유량이 저류되었다가 서서히 하도록 흘러들어 가서 수위의 변화량도 완화되고 최고수위가 나타나는 시간도 지연되기 때문이다. 개발 후는 하수관거등의 배수시설이 완비됨으로서 우량이 조절되어 수위의 변화량이 완화된다고 볼수 있다. 반면에 개발전에 비해 개발후는 비가 온후 즉각적으로 최고 수위에 달하게 되어 홍수도달시간이 매우 단축됨을 알수 있다. 이 지역에서 1989년에서 1993년가지 시가지역이 약 7.04㎢나 증가하고 전체 면적에 대해 5.5% 증가함에 따라 불투수층의 증가로 홍수도달시간은 약 4시간 정도 단축되었다.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는 도시 배수시설이나 녹지 및 논과 같이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조절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우량에 대한 수위의 변화가 극단적으로 크게 나타나며 또한 홍수도달시간도 매우 단축되어 나타난다. 이는 개발 도중에 홍수해나 산사태와 같은 재해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며, 개발후에도 홍수도달시간이 매우 단축되므로 하천가의 개발등은 재해의 규모를 증대시킬 확률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수해 피해를 줄이고 하천의 친수기능을 살리기 위해 유역분질 내에서 종합적인 치수대책 수립과 개발지역에서 재해영향 평가 제도의 도입이 요구된다. The Anyang-cheon is one of the Han River tributar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t is 35.1km long, has a basin area of 287㎢ and touches seven cities of Kyounggi Province and part of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reconstruct the ancient stream network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landuse in Anyang-cheon watershed between 1957 and 1991, 2) to measure the change of the hydrologic characteristics with urbanization, 3) to suggest the institutional solutions to reduce natural hazard as the area has urbaniz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Anyang-cheon river basin has experienced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ince 1957. Anyang-cheon stream network was oversimplified in the watershed. The total stream length decreased as tributaries in the upper part of river basin have eliminated or buried underground in pipes. 2.Urbanization impacted to all of the area of Anyang-cheon watershed. Urbanization in Anyang-cheon watershed corresponds to the large portion of flat arean, especially flood-prone zone of river side, and the small portion of Greenbelt to constrain urban expantion in cities. 3.The urbanization of Anyang-cheon watershed produces fundamental changes in watershed hydrology. As infiltration is reduced by the creation of extensive pavement, concrete surface, and sewer pipe, runoff moves more quickly from upland to stream. As a result, runoff from the watershed is flashier, increasing flood hazard. As urban area continue to grow we will need to better utilize stream by protecting and enhancing stream systems.

      • KCI등재

        교육정보화를 위한 교육정보관리시스템 연구

        성효현,이혜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7 교과교육학연구 Vol.1 No.-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전국적으로 형평성 있는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기존의 교육 시설교육 공급자 및 수요자를 유기적으로 조직하여 통합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략 계획 및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마다 지역특성에 입각하여 효율적인 교육계획과 관리를 할 수 있는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그의 활용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입지-배분모형(location-allocation model)은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교육이용자에게 교육서비스 시설을 어디에 입지 시키는 것이 최적인가를 제시해 주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입지 문제와 배분문제를 동시에 풀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전자는 각 교육서비스 시설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교육 수요자분포를 알고 있을 때 교육시설을 어디에 입지 시킬 것인가에 관한 것이고 후자는 일단 배치된 교육시설이 어디에 분포한 교육수요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다룬 것이다. GIS를 통해 교육시설 및 교육수요자의 분포를 그의 속성과 함께 교육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교육기회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교육관리에 있어서 효율성을 최대화 시키기 위해 최적입지-배분모형을 구축할 수 있는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은 교육의 공급자와 수요자 간에 총이동거리의 최소화, 수요의 최대화, 형평성의 최대화를 추구하는 함수를 설립하여 공간배열에 있어서 효율도를 높일 수 있다. 개발된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은 지역 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고 지방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도록 세분화된 지역 단위별로 사회, 경제적 지역정보 및 초, 중, 고, 대학의 교육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은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교육관리 및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모듈식으로 개발되었다. 교육정보관리시스템은 도형정보 관리모듈, 속성정보 관리모듈, 정보검색 모듈, 정보분석 모듈, 정보 출력모듈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교육정보화를 추진하고 합리적으로 관리하여 정책에 반영시키기 위한 교육정보 관리시스템은 공급자의 합리성과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학습-교수활동 측면, 행정 및 물리적 관리시설측면, 지역공동체에 기초한 통합적 활용측면에서 잠재적 활용을 확대시킬 수 있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geographically oriented computer technology and integrated system, can be applied for various decision making problems. To assist decision makers with complex spatial problems, GIS can provide a flexible problem-solving method. Decision makers can generate and evaluate alternative solution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trade-offs among conflicting objectives and to identify unanticipated, and potentially undesirable consequences of solutions.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provides a framework for integrating educ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s. Despite the fact that the need for effective information management is well recognized among decision makers, the Korean educational sector has done little to use GIS-based strategy to deal with their problem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and to propose the various application of this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educational sector of Korea. GIS is used as an optimal location-allocation problem solving tool for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is paper. To manage a variety of complex educational processes efficiently, educationa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require a system which can handle logical inference, aspatially of spatially based database management; and cartographic modeling.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is developed in this study, allows to design and evaluate alternative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This GIS based institutional system contains all formal educational entities and regional information. Currently, there are 6,240 elementary schools, 2,370 middle schools, 1,733 high schools, 249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15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stitutes. In this system, the study area is maintained as a series of subunit base maps, representing 9 provinces and 6 metropolitan areas which are divided into several subunits (245 counties and cities). Two types of attribute files were constructed for this study: education-related records and regional socio-economic data. Educational resources are not evenly distributed in Korea. To solve the problem of uneven distribu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in Korea, we can use this system to examine a number of alternative location-allocation model according to the need of communities and the supply of educational resources. In addition, the location of additional facilities is suggested for the areas which are undeveloped and short of facilities through GIS. Educat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5 modules: Spatial data management module; Information analysis module; Information output module. It will be applied to many challenging educational tasks in Korea such as learning and teaching, administrative and physical management tasks, human resources planning, and communities based system design.

      •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문제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홍수미,성효현 이화여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8 이화환경연구 Vol.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ing priciples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in high school geography courses through the search for the consciousness of the matter of environment and environment education on the par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ethod of questionaire is taken up for the inquiry. The subjects of this inquiry include 260 students in Seoul,the metropolice, 150 students in an industrial city, Incheon, 60 in a small and medium sized city, Choon-chun, and 60 in a farming community. The investigation into th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 iclude the degree of environmental interest, the degree of virtual contamination in the inhabited regions, general knowledge of environment, and the policy of environment. The investigation into the environment education comprises general environment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in geography class, teaching methods in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practice of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environment. The guides at which should be aimed in environment education in every situations and geography class are as follows. At first, the environment education should be done, with the awarness of respective regional aspects; the awarness of virtual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vary in every situation. Secondly, despite of high awarness of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matter of environment and environment education, the degree of awarness of term, representing the amou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f the government's policy toward environment is somewhat low. The majority become aware of the necessity of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the environment-related information chiefly by mean of mass media, so the reinforcement of environment education toward these area is required through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ly, the students emphasize on active participation in theactivities, in which are at the formation of the pleasant environment. In view of their inactive participation in environment preservation at home and in and out their campuses after school, the greatest emphasis should be put on the practical aspects of life with ecological understanidng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practice of environment education in every day life. Fourth, the current curriculum should be shifted from the emphasis on individual phenomenon and individual cases to those of multiple phenomena and materials dealing with common environmental issues. The field of study in class should be emphasized not only their own inhabitation areas but also other areas, which will help enhance the abilites to think in a comprehensive way and to make their decisions in a reasonable way. Finally, the use of multimedia including photographs, maps, tables, and statistic data, is required in environment education in geographic class, in addition to these, the use of a variety of audio-visual aids and a variety of new teaching method are recommended.

      • 사회환경교육의 교육과정 표준화 모형 및 통합프로그램 개발연구

        박석순,최돈형,성효현,허명,강명희,이숙임,남상준 이화여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8 이화환경연구 Vol.2 No.-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odules and an integrated program which will be used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tudy objectives are to develop modules which are based on various environmental topics, to relate the regional environmental topics to the educational modules and program, and to include the demand of students in the modules and program. Literature and questionary surveys, as well as, module development method were utilized as research tools. The titles of developed modules are "The Green Plant Earth," "Unexpected Resources: Save Resources and Recycle", "Water as the Mother of All Lives", "The Blue Sky with Clean Air", and "Soil as the Home of All Living and Non-living Things". It is hoped that the developed modules and program are utilized as course materials and curriculum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various educational institutes. The study results will be materialized as multimedia in near futher.

      • 일반인의 환경문제 의식과 사회환경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허명,최돈형,박소현,성효현,박석순,남상준,이숙임 이화여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8 이화환경연구 Vol.2 No.-

        Today, the gobal community is confront serious environmental crisis derived from related problems energy and resources. To deal this crisis, people must take action in order to preserve current environment with ec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The principle of this thesis is to observe public endeavor towar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behavior, and the influential factors to those conducts. First of all, we will look into the perception towar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environmental percepti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behavior which thought to be a ground solution to lesson the problems, and the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ose research, it will be presented the feasibl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general public. This research consists of 10 topics. The topics are the interests of public about environmental problem, perceived pollution level, general knowledge about environment, percep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problem, opinions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ttitude towards environmental organization, suggestions for futur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nd campaign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Through the research, we have reached some analytical conclusions are followed: First, the level of public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is high regardless its age and sex, and the level has been growing compared to the past one. The result also shows that people in urban and industrial areas feel much more seriously pollution problems than those in rural and coastal area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household and industrial sewage are regarded as the primary causes for water pollution. Secondly, the results show general public's understanding on environment have been universalized and thus the level of common knowledge on glob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ed, a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raised by newspapers and mass medias and various movements have been accomplished by environmental protection organizations. Thirdly, although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mphasized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unclearly appeared. Furthermore, actual participation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nd taking courses by joining environmental organizations were rarely shown. Although some cases have the experience of taking education courses, the negative reactions came out in the opinion of education content and methodologies. Fourthly, the analysis on curriculum of future environmental education show various opinions. The attentions have drawn on the dealings of waste industrial and chemical waste which will cause environmental problem artificially, as well as on global environment, or natural environment such as resources, land, water, atmosphere. The results show many people recognized administration extent such as environmental policy, law and ethics as environmental categories. This implies the curriculum of those areas have not been properly founded and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followed. From above results, environmental problems should not be regarded as simple problems and it should bring out new recognition for general public in everyday life. In addition,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s, with practic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programs and organization which will utilize those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more activated.

      • KCI등재

        세계유산의 등재기준(vii)의 적용 사례 분석과 잠정목록 상에 있는 한국 자연유산에의 적용 가능성 연구

        성효현(Hyo Hyun Sung),김지수(Jisoo Kim),서지원(Jiwon Suh)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는 UNESCO 세계유산의 등재기준(vii)의 적용 사례 분석을 토대로 잠정목록에 있는 설악산 지역이 기준(vii)의 심미적 관점에서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78~2015년 사이에 등재된 기준(vii)을 포함하는 114개소 자연유산별 등재 타당성 근거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여 기준(vii)이 내포하는 가치 요소들을 구체화하고 적용 사례를 범주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악산에 대한기준(vii)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첫째, 설악산 지역에는 시각적 아름다움을 국가적으로 인정받은 명승이 국립공원들 중 가장 많다는 점에서 시각적 자연미의 가치를 적용해볼 수 있다. 둘째, 설악산에는 비교적 좁은 지역 내에서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스케일의 지형경관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화강암 지형경관의 종합성 가치를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악산 지역에서 지형발달에 따른 산지하천 지형경관을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역시 지형경관의 종합성 가치를 적용할 수 있다.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values of criterion(vii) and to consider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criterion (vii) of UNESCO World Heritage to Mt. Seoraksan Natural Reserv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criterion (vii) and justifications of World Heritage sites under criterion (vii).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114 Natural Heritage sites under criterion (vii) listed between 1978- 2015, detailed values of the criterion and their applied cases were categorized into 10 values. Based on this category, values were drawn that could be applied to Mt. Seoraksan and support the justification of criterion (vii) in three aspects. First, the value of visuality could be applied to Mt. Seoraksan due to its abundance of Scenic Sites, which means it has been recognized as an area with natural beauty by government. Second, the value of comprehensivenes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could be applied to Mt. Seoraksan in that it shows all kinds of granite landform in a relatively limited area. Finally, the value of comprehensivenes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could be again applied due to its overall mountainous river landscape.

      • KCI등재

        S-23(Names and Limits of Oceans and Seas)을 기초로 한 바다의 속성지명과 바다경계의 획정 근거 분석

        성효현(Hyo Hyun Sung),강지현(Jihyun Kang)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6

        바다를 이용한 항로의 발달과 바다를 터전으로 하는 어업활동의 증가에 따라 안전한 항해를 위한 바다의 경계와 그 공간을 지칭하는 지명의 제정은 필수적이다. 바다의 경계를 획정하는데 있어 국내·외적인 기준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국제수로기구에서 출판한 「해양과 바다의 경계; S-23」에 대한 보고서는 공식적인 문서로써 바다의 경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23 보고서를 기초로 하여 바다경계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2002년 제4판 draft를 분석하여 바다의 속성지명 및 바다경계를 획정하는데 사용된 자연지리적 대상을 찾아 경계획정의 근거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S-23(2002)에 나타난 바다는 9개의 속성지명, 즉 Ocean, Sea, Channel, Passage, Strait, Sound, Gulf, Bay, Bight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속성지명은 계층관계를 보이며 하부 계층의 바다는 배타적 또는 포함관계로 표현되었다. IHO의 용어사전에서 정의하는 속성지명의 특성과 현실에서의 바다특성이 상이하게 사용된 예도 발견되었다. 바다의 경계획정기준은 조약에서 제시한 경·위도, 대륙의 최외곽에 있는 곶 또는 갑, 하천하구와 사주 등으로 나타났다. 해저지형의 경우 대륙붕, 해구, 해곡, 해저융기부, 해저퇴, 암초가 경계로 이용되었는데, 특히 남극과 북극지역의 바다 경계는 대륙붕 또는 해저융기부의 경계가 이용되는 사례가 많았다. 해저지형에 의한 경계획정은 S-23 1953년 3판까지 제시된 것과는 달리 2002년 초안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이는 해저탐사기술이 발달하면서 해저지형에 대한 이해가 개선되고, 이러한 지식이 해양경계획정에 사용된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Establishment of limits and names for oceans and seas is necessary for a safety of navigation. Even if there are no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delimitation of sea boundaries, we can take guidelines for the delimitation of sea boundaries through the analysis of IHO official publications, Limits and Names for Oceans and Sea; S-23. This paper shows the changes of the spatial limit of seas since first edition publication, and the standards for a delimitation of oceans and seas were analyzed using S-23 4th edition draft(2002) in terms of physical geographic features. The generic terms of S-23 include Ocean, Sea, Channel, Passage, Strait, Sound, Gulf, Bay and Bight, and each generic term shows hierarchical structures. Several sea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definitions of IHO dictionary. Sea boundaries are delimited by longitude and latitude, cape, river mouth, sandbar, and so on. Undersea features such as a shelf, trench, trough, rise, bank and reef are also important features for delimitation of sea boundary. Especially, seas that are delimited by undersea feature are mainly located Arctic and Southern ocean area in S-23 4th edition. Advanced knowledge of marine science with a technical advance might affect to delimit for sea bound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