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상미,김형범,Yoo, Sang-Mi,Kim, Hyoungbum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평가를 위한 요인을 탐색하고 측정 항목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와 설문을 통해 7개의 요인과 26개의 예비 문항을 얻을 수 있었다.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하여 문제해결 절차 면에서 문제 발견 능력, 아이디어 생성 능력, 아이디어 평가 능력, 아이디어 실행 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제해결 수행자간의 상호작용 능력과 문제 해결 수행자의 창의적 효능감 요인이 탐색 되었다. 마지막으로 HTE 창의교육 모델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요인으로 은유와 비유적 인지 사고 능력과 그에 대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HTE 창의 교육 평가 모델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factors for evaluat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o identify measurement items. After reviewing the previou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nd from that, 7 factors and 26 preliminary questions were obtained. Regard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problem-discovery ability, idea generation ability, idea evaluation ability, and idea execution ability were confirmed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In addition, the factors of interaction ability between problem solving practitioners and creative efficacy of problem solving practitioners were explored. Finally, in the above results, metaphors and figurative cognitive thinking ability and evaluation items for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HTE creative education model were presented. Through subsequent studies, we hope to serve as the groundwork of the evaluation model of HTE creative education.

      • KCI등재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신,김형범,이창환,Han, Shin,Kim, Hyoungbum,Lee, Chang-Hwan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사고기법 중 하나인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무선 표집된 6개의 중학교 33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천문'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3차례에 걸쳐 수정, 보완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블록타임을 포함하여 총 4차시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창의교육 수업만족도 검사와 창의적 사고과정 검사를 실시하였다. 즉 창의교육 수업만족도 검사는 프로그램 처치 후에 창의적 사고과정 검사는 처지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면서 학생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창의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창의적 사고기법의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업 전·후에 대한 통계적 검정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p<.05). 즉, 창의교육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사후점수 차에 의한 대응 표본 t검정에서 모두 유의미한 통계적 검정 결과를 나타내어(p <.05),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교육 수업 만족도에서는 전체 338명중 101명(30%)이 '매우 그렇다', 137명(41%)가 '대체로 그렇다'로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창의교육 수업에 대한 어려운 점에 대해 137명(41%)이 '시간 부족'을 주요 원인으로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98명(30%)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의 어려움', 73명(22%)이 '친구와의 의견충돌' 및 24명(7%)이 '수업 내용의 어려움'으로 응답하여 향후 창의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점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reative education class program using metaphor, one of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argeting for randomly sampled 338 students in six middle schools. The creative education class program with the metaphor was developed based on content elements concerning 'astronomy' in 2015 science curriculum revision in South Korea. The program was tested for validity after being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ee times by forming a group of experts, and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was applied to school education fields during four periods, including block time.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implementation, creative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test and creative thinking process test were conducted. That is to say, the creative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test was conducted before treatment and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test was implemented bo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emphasis on students voluntarily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creative education programs while utilizing creative thinking methods. Second,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 pre- and post-class about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metaphor of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represented significant results(p<.05). In other words, the two-dependent samples by students' pre-and post-score about the creative education class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test results (p<.05). It turned out that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using metaphor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research participants. Third, in regards to the results of the creative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test, 101 out of 338 students(30%) answered 'Strongly Agree' and 137(41%) answered 'Agree', indicating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high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concerning difficulties of the creative class, 137(41%) answered "Lack of time" as the main factor, followed by 98(30%) "Difficulties of problems they were required to solve", 73(22%) answered "Conflicts with friends", and 24(7%) said "Difficulties of contents." These responses were taken into account as consider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s.

      • 서울 지역 강수의 다중 동위원소 조성 분석 연구

        김영민(Yeongmin Kim),이인성(Insung Lee),James Farquhar,강지숙(Jisuk Kang),Igor M. Villa,김형범(Hyoungbum Kim)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서울 지역 강수의 다중 황 동위원소(δ<SUP>34</SUP>Ssulfate, Δ<SUP>33</SUP>Ssulfate & Δ <SUP>36</SUP>Ssulfate), 질소 동위원소(δ<SUP>15</SUP>Nnitrate & δ<SUP>18</SUP>Onitrate) 및 스트론튬 동위원소(<SUP>87</SUP>Sr/<SUP>86</SUP>Sr)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δ<SUP>34</SUP>Ssulfate 값은 1.9~14.6‰ (with a median of 4.7‰)의 범위를 보이며, δ<SUP>15</SUP>Nnitrate 값은 -2.0~13.3‰ (with a median of 1.0‰)의 범위를 보인다. 이러한 값은 화석연료의 사용이 황과 질소의 주요 공급원임을 지시하며, DMS 및 해수기원 황산염 등의 자연발생 공급원의 기여 역시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겨울철에 높은 값을 보이는 δ<SUP>34</SUP>Ssulfate 및 δ<SUP>15</SUP>Nnitrate 값은 중국 지역에서 가정용 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석탄의 사용 증가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δ<SUP>18</SUP>Onitrate 값은 계절 변화를 보이며, 이는 NOx 산화 과정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SUP>87</SUP>Sr/<SUP>86</SUP>Sr 비는 0.70988~0.71487 (with a median of 0.71073)의 범위를 보이며, 최소 세 가지 공급원(규산염질 입자, 탄산염질 입자 및 인간활동 기원 물질)의 영향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 KCI등재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나이테’주제를 중심으로 -

        김혜화 ( Hyehwa Kim ),서정욱 ( Jeongwook Seo ),김형범 ( Hyoungbum Kim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1 생물교육 Vol.49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ree ring-based creativ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elements of "Ecosystem and environment" in the 2015 revised science and education curriculum and find out the effectiveness. To conduct the study, 50 randomly sample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reative education by applying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test results (p<.05) from constructs: discovery and analysis of problems, idea generation, execution plan, execution,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in the paired samples t-test by pre-and post-score differenc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tests (p<.05),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the theme of "a tree ring that records the environ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of research participants. The figure of the sub-constructs of the satisfaction test, conduct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lass, was 3.82 to 4.46, and it indicated that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students. In particular, in response to the class 'differentiation' construct, research participants responded to self-thinking activities without answers, which showed the fact that one could think by oneself and one's ideas could be an answer since there doesn't exist a correct answer has improved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creative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과학박물관 탐방활동에서 나타난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관찰 유형 분석

        김미모아(Mimoa Kim),정진우(Jinwoo Jeong),김형범(Hyoungbu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박물관 탐방학습을 실시하여 관찰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영재 학생 10명을 선정하여 탐방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일어나는 관찰을 언어로 표현하도록 하여 모든 관찰 내용과 대화를 녹음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적 측면에서는 응답의 빈도가 높았고 자신의 의견을 배제하고 전시물과 관련하여 질문하고 응답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정의적 측면에서는 권유의 빈도수가 가장 많았다. 관찰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단수의 관찰 대상 전체를 시간 독립적으로 관찰하는 빈도가 높고, 시각을 사용하여 조작을 하지 않고 정성적인 방법으로 관찰하는 빈도가 높았다. 따라서 질문을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은 관찰의 빈도와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과학박물관 탐방학습에서 과학 영재 학생들의 다양한 관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학습과 같은 특정 전시관이나 전시물을 학생이 직접 선택하여 집중 탐구할 수 있는 시간이나 학습지를 마련하면 더 효과적인 관찰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patterns of the observation type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through the science museum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Ten science-gifted students were includ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and during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science museum, the participants freely expressed their observation of their own languages and all observations and dialogue were recorded.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The cognitive aspect, especially question and response activity without their personal opinion,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tem. Among the affective aspects, item for ?recommendation? was often used. In accordance to observation type, most participants overall observed single object independently of time. Also, participants mostly observed objects visually using qualitative method without manipulation. Therefore verbal interaction through question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frequency and diversity of observation. Project learning, such as particular exhibition hall, exploratory time of concentration by students, or study paper will be capable of creating a effective observation learning in order to induce a variety of observation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through the science museum.

      • KCI등재

        과학관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논증구조 변화에 주는 영향 : 에너지와 기후변화 주제를 중심으로

        한신(Han, Shin),김중한(Kim, Jung-Han),김형범(Kim, Hyoungbum)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에너지 및 기후변화’와 관련된 과학 글쓰기 활동을 6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그들의 논증 구조가 어떠한 형태로 발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교육을 받기 전 초등학생들은 이유와 주장과 같은 논증 요소를 사용하였으나, 피드백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 교육을 받은 후 이유, 근거, 반론수용, 반박과 같은 논증 요소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글쓰기 초기에 학생들은 주장과 이유로 이루어진 ‘이유형’의 과학 글쓰기 유형이 가장 많았으나, 점차 주장, 이유, 근거, 반론수용, 반박의 논증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반박형’ 유형으로 발달하였다. 셋째, 지속적인 과학 글쓰기 활동과 피드백은 학생들의 논증 수준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반구조화된 면담 결과 꾸준한 글쓰기와 지속적인 피드백, 그리고 과학 글쓰기 관련 수업이 학생들의 논증구조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ed science writing activities related to ‘energy and climate change’ fo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ver 6 weeks, and investigated how their argument structure was develop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rst, before receiving writing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argument elements such as claim and reason, but after receiving science writing education using feedback, the frequency of use of argument elements such as ‘reason, evidece, acknowledgement and rebuttal’ increased. Second, in the early days of writing, “reason types” were the most common, but gradually developed into “rebuttal types” that included all argument element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ontinuous science writing activities and feedback improved the students level of argument. Forth, as a result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constant writing, continuous feedback, and science writing- related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argument structure.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HTE 창의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설아침(AhChim Sul),김형범(Hyoungbum Kim),김용기(YoungKi Kim),허윤정(Youn-Jeong He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이 연구에서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융합 수업 전략으로 블렌디드 러닝 교수 · 학습 방법론을 적용한 HTE 창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중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개 교과의 창의교육 실천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구인인 ‘아이디어 수정’, ‘이미지화’, ‘비유’, ‘아이디어 생성’, ‘정교성’ 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 < .05)를 보였으며, 전체 중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사전 · 후 평균이 3.65점에서 3.79점으로 .14점 향상되어 중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생의 72%가 ‘만족한다’는 반응을, 68%가 ‘흥미롭다’라는 응답을 주었다. 이 연구결과에 따라,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HTE 창의교육 프로그램은 COVID-19 상황과 다양한 창의형 인재가 필요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춤형 수업 전략으로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제언으로 외적타당도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학년과 위계에 맞는 창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현장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HTE creative education program, which applies blended learning methodology as a convergence class strategy between offline and online,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bility. As a result of applying for five creative education practice programs in the classroom,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in the case of idea manipulation, visualization, comparison, idea generation, and deliberation, subordinate constru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bility. Also, the program turned out to be positively effective, with a 0.14 point improvement in the pre and post-means of all middle school students, showing from 3.65 to 3.79 points, and 72%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satisfied, and 68% were inter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HTE creative education programs using blended learning turned out to be effective as a customized methodology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various creative talents are needed. Therefor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s on various related topics and teacher train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of blended learning.

      • KCI등재

        중등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천문 수업에 미치는 영향

        배성희(Sunghee Bae),김형범(Hyoungbu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과학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따라서 천문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 반응은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 ‘태양계’와 ‘외권과 우주개발’을 담당하는 중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29부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관한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중 응답이 완결된 27부를 연구 자료로 채택하였다. 또한 질문지로부터 나온 총점을 빈도 분석하여 상위 및 하위 5%를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준참여관찰, 녹음, 반구조화된 면담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능감이 높은 과학 교사의 수업에서는 천문 분야와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접근성이 뛰어나고 교과 내용학 지식이 매우 높았다. 둘째, 효능감이 낮은 교사가 교사 위주의 수업을 지향하고 있는 반면,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학습자 위주의 수업과 이에 맞는 수업전략이 마련되어 있었다. 셋째,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천문연구회를 통한 과학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구를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받고 있었다. 따라서 천문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교과 내용학 지식을 통한 수업전략 뿐만 아니라 천문관측과 같은 수업관련 활동이 과학 교수 효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해 주는 중요 변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how the students have responded to their class according to STEB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of secondary science teacher in astronomy classes. Middle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The Solar System’ and ‘The Exosphere and Space Development’ in the 2009 Revision Science Curriculum content system is selected as an object of study through random sampling method. Twenty-nine teachers were taken STEB questionnaire and asked to make it out. Twenty-seven completed a questionnaire of them is selected for this study. In addition, the top and bottom 5% sele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with the total score from the questionnaire were regarded as high and low STEB teachers.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was used methods such as semi-structured interviews, recording,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ience teachers of high STEB had a high accessibility about excellent professional knowledge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relating to astronomical field. Second, high STEB teachers were prepared by the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adequate to student-centered learning, whereas the low STEB teachers totally have had teacher-centered learning. Third, high STEB teachers had been provided as the idea that you can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instruments, as well as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the Astronomical Society. Therefore, confidence in astronomical class and teaching strategies through content of the curriculum were very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STEB as well as astronomy-related class activities such as astronomical observations.

      • KCI등재

        시스템 사고에 기반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기후변화 학습에 미치는 효과

        조규동(Kyu-Dohng Cho),김형범(Hyoungbu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이 연구에서는 시스템 사고와 STEAM의 이론을 고찰해 보고 이 이론을 근거로 기후변화 학습에 맞는 시스템 사고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와 외부전문가들의 지속적인 전문가 과정을 통해 시스템 사고 기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8주에 거쳐 시스템 사고 기반 STEAM 프로그램을 과학수업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현장 적용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스템 사고 검사와 STEAM 소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학업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시스템 기반 STEAM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사고 분석에서는 시스템 사고의 하위 구인 중 ‘정신 모델’을 제외한 ‘시스템 분석’, ‘개인숙련’, ‘공유비전’, ‘팀 학습’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STEAM 소양 검사에서는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의 사전 · 사후에 의한 두 집단 독립표본 t검정의 통계 결과, STEAM 소양의 하위구인들 전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기후변화에 관한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스템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시스템 사고를 통한 융합적 사고력 배양에 적합하며, 기후변화 과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함으로써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 능력을 신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review the systems thinking and STEAM theory while ascertaining the effects of the classroom application of the STEAM programs based on systems thinking appropriate for studying climate change. The systems thinking based STEAM program has been developed by researchers and experts, who had participated in expert meetings in a continued manner. The program was applied to science classes over the course of eight weeks. Therefore,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e systems thinking based STEAM program were analyzed in students’ systems thinking, STEAM semantics survey,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st group has shown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ystems thinking analysi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four subcategories of ‘Systems Analysis’, ‘Personal Mastery’, ‘Shared Vision’ and ‘Team Learning’ except for ‘Mental Model’. Second, in the pre- and post-knowledge test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in the areas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ematics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in the academic performance test regarding climate change, the test group displayed higher achie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ystem-based STEAM program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enhance amalgamative thinking skills based on systems thinking. In addition, the program is expected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by offering new ideas based on climate change science.

      • KCI등재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학습 생태적 성과분석 연구

        선우춘(Choon Sunwoo),김형범(Hyoungbu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생태 관점에서 교육훈련생들의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하위 구인들을 개발하여 이들 하위 구인 간 구조적 관계에 따른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 센터의 교육훈련의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2014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운영 후 실시된 수업 만족도 검사지 총 159부의 자료를 중심으로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습 생태 관점에서 교육훈련생들의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내부 요인, 중간 요인, 외부 요인으로 개발하였으며, 하위 구인으로 내부 요인은 학습동기와 학습발달, 중간 요인은 교육내용과 교육과정, 외부 요인은 학습자 지원과 강사의 질로 구안하였다. 개발된 성과지표 요인과 하위 구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교육훈련생들의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 요인, 중간 요인, 외부 요인의 구조적 관계는 정적상관관계의 유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내부요인, 중간 요인, 외부 요인은 교육훈련생들의 학습 성과에 직접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training of IS-Geo’s (International School for Geoscience Resources; IS-Geo’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components by incorporating variables and those that affect learning outcomes from the Learning ecological perspective. Therefore,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5,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for class satisfaction, which was conduct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The principal result is as follows. First of all, Interventions that affect learning outcomes from the learning ecology perspective have resulted in internal factors of both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development, intermediate factors of both contents of education and learning curriculum, external factors of both learner support and quality of instructor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designed factors of performance indicators of interdisciplinary achievement and sub-factors have been influenced in the structural implications of internal factors, intermediate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learning outcomes of educational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of IS-Geo’s. Also, internal factors, intermediate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have directly affected learning outcomes for educational train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