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적 관점에서의 접근한 뮤지엄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분석에 대한 연구 : 루브르박물관과 퐁피두센터를 중심으로

        이언주,최강타,이보아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1

        This study reflects the current trend of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museu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value and usefulness of hashtags of museum instagrams as potential marketing tools and a reference frameworks for inferring visitors experiences. As a convergence research, this study performs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analysis, and the hashtag analyses of Instagrams generated by the users of the Louvre and Pompidou Center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hashtags with informative types is relatively high in both museums. Second, the ratio of local information and exhibition places in hashtag was quite high in the case of the Louvre. On the other hand, that of general art and genre of art is high for the Pompidou Center. Third, the high proportion of informative hashtags for places and regions means that the visitors curate and form a relationship with the experience and memory of a physical exhibition place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Through this study, the potential for sharing and spreading visual images of museum instagram, curation and user interaction is verified, and we expect that the convergence approach to museum social media will be activated based on this study.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박물관에 대한 영향력의 중요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뮤지엄 관련 인스타그램 해시태그가 전시관람경험을 추론할 수 있는 준거의 틀 및 마케팅 도구로써 해시태그의 가치 및 효용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빅 데이터 분석 방법론과 박물관 경영을 결합한 융합 연구의 특성을 지닌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빅 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병행했다. 또한 연구 범위에는 루브르박물관과 퐁피두센터의 사용자가 생성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에 대한 분석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기관 모두 정보제공형의 특성을 지닌 해시태그의 비율이 높게 제시되었다. 둘째, 루브르박물관의 경우, 지역 정보와 전시 장소에 대한 해시태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제시된 반면, 퐁피두센터의 경우에는 예술 일반 및 장르에 대한 해시태그 비율이 높았다. 셋째, 정보제공형 해시태그의 비율이 높게 제시된 것은 관람객이 자기표현의 수단으로서 물리적인 전시 장소에 대한 경험과 기억을 큐레이션하며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뮤지엄 인스타그램의 시각 이미지의 공유 및 확산, 큐레이션, 사용자 간 상호작용 등에 대한 잠재력은 확인되었으며, 향후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뮤지엄 소셜 미디어에 대한 융합적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COVID-19 발생 후 뮤지엄 디지털 플랫폼의 사회적 역량 연구 -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사례를 중심으로 -

        이언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4

        This thesis began with the necessity of discussion on the social capabilities of the museum platform in the social situ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social capabilities of the museum by paying attention to the rapid increase of SNS followers, interactions, and hashtag use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fter COVID-19 and analyzing how digital strategies are implemented through social connection. The research method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related to social capability of the museum SNS was summarized. Secon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case before and after COVID-19,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case of #MetSketch and #MetMoment, visitors' exploration and learning paths were different before and after COVID-19. Like #MetAnywhere started after COVID-19, people interested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explored their art anywhere, made art beyond the walls of the exhibition place with #MetSketch, and recalled and captured the moments of art with #MetMoment to form a social connection. Finally, A plan for the social capability of the museum was proposed mentioning the mission and the social role of the museum in communication and service in the digital platform in contemporary times as follows. First, strategic messages for emotional and inspirational stimulation need to be divided and used into exhibition visits and daily experiences. Second, hashtags and contents need to be linked in various ways to extend the scope of the accessibility. Third, in the museum digital platfor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culture, museums should develop a dynamic digital experience for building new relationships by applying academic knowledge and technology. Through this, it creates and expands the moment of art experience beyond the museum wall.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COVID-19의 사회적 상황에서 뮤지엄 플랫폼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발생 후,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SNS의 팔로워 및 상호 교류, 해시태그 사용이 비약적으로 증가한 점에 주목하고, 디지털 전략 사항이 사회적 연결로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살펴보며 뮤지엄의 사회적 역량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엄 SNS의 사회적 역량과 관련된 문헌을 정리했고 둘째, COVID-19 발생 전후,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사례의 특성에 대해,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며 정성적 연구를 진행했다. #MetSketch, #MetMoment의 경우, COVID-19 발생 전후, 관람객의 탐색 및 학습 경로는 달랐다. 이 시기에 시작된 #MetAnywhere와 같이,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에 관심있는 사람들은 어디서나 예술을 탐색하며 #MetSketch로써 전시 장소의 벽을 넘어서는 예술을 만들고, #MetMoment로써 예술의 순간을 다시 회상, 포착하며 사회적 연결을 형성하고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현시대 뮤지엄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소통에 대한 사명과 사회적 역할을 언급하며 뮤지엄의 사회적 역량을 위한 방안을 제안했다. 첫째, 영감, 감성 자극을 위한 전략적 메시지는 전시 방문과 일상의 경험으로 구분 및 연계되어 배치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해시태그 및 콘텐츠는 뮤지엄의 모든 플랫폼에서 다양한 링크 방식으로 연계되어 접근성의 범위를 넓히는 기능을 하여야 한다. 셋째, 융복합 문화의 특성을 지닌 기술 기반 뮤지엄 경영에 맞게 학문적 지식 및 기술의 응용으로써 새로운 관계 구축을 위한 역동적인 디지털 경험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뮤지엄 벽을 넘어서는 예술 경험의 순간을 만들고 확장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자유와 시장경제 교육내용의 현황과 문제

        이언주,배진영 한국제도경제학회 2009 제도와 경제 Vol.3 No.1

        초등학교 시기는 우리 사회가 지향하고자 하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기본적인 소양과 태도를 익히는 입문기이자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개인의 자유와 시장경제에 관한 교육내용을 면밀히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 도덕과 교육과정이 개인의 자유와 시장경제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교육내용상의 문제는 없는지에 관하여 검토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과, 도덕과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서술되어 있는 개인의 자유, 시장경제 및 우리나라 경제 제도, 생산과 기업, 정부의 역할 등의 내용에서 제기 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초등학교 사회과, 도덕과 교육과정은 개인의 자유와 시장경제 관련 교육내용의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며, 보다 체계적인 내용 구성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