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짜라까상히타(Caraka-Saṃhitā)』에서 마음에 대한 고찰

        이거룡,이장원 한국아유르베다학회 2022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3 No.-

        본 논문의 목적은 『짜라까상히타』에 나타난 마음의 속성 및 작용 등의 분석을 통해 마음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인도 전통 의학인 아유르베다는 마음과 신체는 행복과 질병의 바탕을이루는 것으로 본다. 현대 서양의학에서는 오랫동안 방치했던 마음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대목이다. 아유르베다의 3대 의서 중의 하나인 『짜라까상히타』는 내과를 주로 다룬 의서이며, 아유르베다의우주론과 생명관 등의 철학 사상, 특히 마음에 관한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다. 『짜라까상히타』에서“인간의 생명은 마음, 신체, 감각기능, 그리고 영혼의 결합”이라고 정의하고, “마음-영혼-신체의 결합은 모든 것을 이루는 기초이다”라고 본다. 심리적으로 개인의 기질을 이루는 3구나의 우세 정도에 따라 마음의 유형을 16가지로 세밀하게 분석하고, 정신장애를 다루기 위한 심리치료도 제시한다. 신체와 마음에 대한 불행은 전적으로 무지 때문이며, 전체적인 행복은 ‘올바른 지식’에 의지한다고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nd through analysis of the attributes and actions of the mind shown in the 『Caraka-Saṃhitā』. Āyurveda, a traditional Indian medicine, sees the mind and body as the basis of happiness and disease. This is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the mind that has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in modern Western medicine. One of Āyurveda's three major medical books, 『Caraka-Saṃhitā』 is a medical text mainly dealing with internal medicine, and deals with many philosophical ideas such as Āyurveda's cosmology and outlook on life, especially the mind. In 『Caraka-Saṃhitā』, human life is defined as a combination of mind, body, sensory function, and soul,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combination of mind, soul, and body constitute the substratum for everything. Depending on the degree of dominance of the three attributes that psychologically form an individual's temperament, the mental type is analyzed in detail into 16 types, and psychotherapy to deal with mental disorders is also presented. It emphasizes that unhappiness with the body and mind is entirely due to ignorance, and that overall happiness relies on correct knowledge.

      • KCI등재

        파사석탑(婆娑石塔)의 유래와 조성과정에 관한 연구

        이거룡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Pasa Stone Pagoda. In Samgukyusa, the origin of the Pasa stone Pagoda is told in detail. However, it only refers to the fact that the Pasa Stone Pagoda has been located at Homey Temple at the time of the compilation of the Samgukyusa, and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the Pasa stone Pagoda between A.D.48 and A.D.452. It is only in the area of presumption where Pasa Stone Pagoda was kept before being taken to the Hogye Temple after princess Heo Hwangok had arrived in Garak Kingdom. There is no evidence that Pasa Stone Pagoda was originally a Buddhist stūpa. The most concrete evidence that Pasa Stone Pagoda is a Buddhist stupa is a hole made in the body of the stupa for reserving relic cascet,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hole of Pasa Stone Pagoda was created after the compilation of the Samguk Yusa. Judging from the appearance of the Pasa stone pagoda located near the tomb of Queen Heo, among the later construction of Hindu temples from the 6th century onwards, The closest one is the marine temple of Mahabalipuram in South India. However, there is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stone of the marine temple is granite, while that of Pasa Stone Pagoda is carbonate breccia. The origin of Pasa Stone Pagoda is related to the hometown of Heo Hwangok. In this point, Professor Kim Byung-mo’s theory that Princess Heo of Ayodhya Kingdom came to Garak Kingdom via Baozhou (Anyue) of Sichuan Province, China, needs attention. From the fact that we can find out the name of Heo Hwangok at the Record of Divine Well inscribed on the rock located in Baozhou, Pasa stone Pagoda is likely to come from Baozhou. Taking into account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multi-story pagoda in China,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origin of the Pasa stone pagoda in ancient Chinese architectural style.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stones of Pasa Stone Pagoda came to Garak Kingdom from Baozhou with Princess Heo. There are no examples of Buddhist Reliquaries such as that of Pasa stone pagoda in India in A.D.48, and therefore the relic cascet hole of Pasa stone pagoda was supposed to have been created in Korea after compilation of the Samgukyusa. If the relic cascet hole of Pasa stone pagoda has been made in Korea, it is likely that the date of its formation is after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본 연구의 목적은 파사석탑(婆娑石塔)의 유래와 조성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다. 『삼국유사』 금관성파사석탑조에는 파사석탑의 유래가 비교적 상세하게 전해진다. 그러나 “금관(김해)에 있는 호계사(虎溪寺)의 파사석탑”이라는 『삼국유사』의 기록은 『삼국유사』 편찬 당시 파사석탑이 호계사에 있다는 사실을 언급할 뿐이며, 허황옥의 가락국도래 이후, 호계사 안치 이전까지 400여 년 동안 파사석탑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파사석탑의 소재나 성격은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으며, 이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또한 호계사 이후 파사석탑의 내력도 분명하지 않다. 파사석탑이 본래부터 불탑이었다는 증거는 없다. 파사석탑이 불탑이라는 가장 구체적인 증거는 그 탑신에 조성된 사리공(舍利孔)이라 할 수 있지만, 파사석탑의 사리공은 『삼국유사』 편찬 이후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 허왕후릉 앞 파사석탑의 외양으로 볼 때, 6세기 이후 후대의 힌두교 사원건축 중에서 이에 가장 가까운 것은 남인도 마하발리뿌람(Mahabalipulam)의 해양사원이다. 그러나 해양사원의 석재는 화강암인 반면에 파사석탑의 석재는 탄산염 각력암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또한 해양사원과는 달리 파사석탑은 비보탑(裨補塔風)의 성격을 지닌다. 파사석탑의 유래는 허황옥의 출자문제와 관련되며, 따라서 김병모의 ‘보주(普州) 경유설’은 파사석탑의 유래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보주 서운향(瑞雲鄕)의 신정기(神井紀)에는 “허녀황옥”(許女黃玉)이라는 명문이 있으며, 만일 신정기의 허녀황옥과 『삼국유사』의 허황옥이 동일인이라면 파사석탑은 보주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다층탑의 조성시기를 고려할 때, 보주 또는 중국의 탑파양식에서 파사석탑의 시원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파사석탑의 돌(石)이 허황옥과 함께 보주에서 가락국으로 왔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A.D.48년 전후 인도에서 파사석탑의 사리공과 같은 사리장엄의 예는 없으며, 파사석탑의 사리공은 『삼국유사』 편찬 이후 우리나라에서 조성되었을 것으로 본다. 만일 파사석탑의 사리공이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졌다면, 그 조성 시기는 정림사지오층탑이 만들어진 이후, 즉 7세기 초반 이후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파사석탑에 조성된 사리공은 불탑이 아니라 부도(浮屠)의 사리장엄방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파사석탑의 사리공은 9세기부터 널리 성행한 부도의 사리공과 유사하다. 특히 조선 전기 이후에 조성된 원구형부도의 사리공은 원형 개구부의 사리공을 조성한 점에서 파사석탑의 사리공과 일치한다. 또한 이 둘에는 덮개 역할을 하는 막사발모양 공간의 지름이 사리공 개구부에 비하여 지나치게 크다는 공통된 특징이 있다. 파사석탑의 사리공은 조선 전기 이후, 원구형부도의 사리장엄양식에 따라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납릉정문 신어상의 아요디야 유래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거룡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9 남아시아연구 Vol.25 No.3

        Since the publication of Jong-ki Lee's Garakguk-tamsa(Exploration of Gaya Kingdom) in 1977, the results of Prof. Byeong-mo Kim's archaeological research have been accepted without any criticism, and the hypothesis tha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Tomb of King Suro of Gaya Kingdom) Gate originated in Ayodhya of India was taken for granted in Korea. On the other hand, scholars who deny the possibility that the Divine fish originated in Ayodhya argue that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and the twin fish of Ayodhya because the Nableung Gate was built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hypothesis tha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Gate originated in Ayodhya. To this end, first, the meaning of the Divine Fish was identified in the relief of the Nableung Gate, and in this process, we looked a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details of the relief. I tri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Divine Fish, focused on the context of the entire relief, and examined the origi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 style of the twin fish in Ayodhya based on the results of my field trip in Ayodhya and Faizabad. Twin fish emblem is widely distributed not only in Ayodhya but also in adjacent Faizabad, and is usually built on the main gate of old buildings. The history of the gates of the buildings suggests that Ayodhya's twin fish emblems were formed in the early 19-20th century, while Faizabad’s ones were formed in the 18th-19th century. It is unlikely that the twin fish emblem of Ayodhya buildings was introduced to Gaya Kingdom along with Huh Hwang-ok,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twin fish emblem appeared in Ayodhya and Faizabad after 18th century. In addition, there are no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the Divine Fish of Nableung Gate and the twin fish emblem of Ayodhya. 1977년 이종기의 『가락국 탐사』(駕洛國探査) 이래 쌍어문(雙魚紋)과 허황옥에 관한 김병모의 고고학적 연구 결과는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었으며, 납릉정문(納陵正門) 신어(神魚)의 아요디야(Ayodhya) 유래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문화전파론에 의거한 김병모의 연구는 이 두 곳 신어상과 쌍어문의 기원과 유래를 간과한 문제가 있었으며, 이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지적되었다. 한편 납릉정문 신어의 아요디야 유래 가능성을 부정하는 학자들은 단지 납릉정문이 조선 중기에 건축되었기 때문에 납릉정문 신어와 고대의 가락국 또는 가락국과 아요디야를 직접 연결하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납릉정문 신어의 아요디야 유래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납릉정문 부조에서 신어의 의미를 규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부조의 변형과정과 세부 내용에 대한 오해도 살펴보았다. 부조 전체의 콘텍스트에서 납릉정문 신어가 지니는 의미를 규명했으며, 현지답사를 토대로 아요디야 쌍어문의 특징적인 양식뿐만 아니라 기원과 유래를 규명하였다. 쌍어문은 아요디야뿐만 아니라 인접한 파이자바드(Faizabad)에도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대개 오래된 건축물의 정문 위에 조성되어 있다. 쌍어문이 있는 건축물의 역사로 볼 때, 아요디야 쌍어문의 조성시기는 대체로 19-20세기 초이며, 파이자바드의 쌍어문은 이보다 1-2세기 이른 18-1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요디야와 파이자바드에 쌍어문이 나타난 것은 18세기 이후라는 사실로 볼 때, 납릉전문의 신어상이 아요디야의 쌍어문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뿐만 아니라 그 외양이나 의미에서도 이 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납릉정문 신어상이 아요디야의 쌍어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으며, 납릉정문 신어상과 아요디야 쌍어문의 일치를 전제로 한 김병모의 ‘허황옥루트’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체의학으로서의 도구 활용 요가

        이거룡,우민정,이수진 한국아유르베다학회 2022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3 No.-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몸, 마음, 정신의 통합을 목표로 하는 요가가 생활스포츠의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최근에는 도구 활용 요가가 신체균형개선, 자세교정, 통증 완화 등 재활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도구 활용 요가는 도구를 활용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강화시켜 신체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구를 활용하면 관절 가동범위를 무리하게 넘어서지 않고, 골격의 위치를 바르게 하며, 정확하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시켜, 자세교정 및 통증완화에 도움을 준다. 사용되는 도구는 볼스터, 의자, 벨트, 담요, 블록, 라운드 블록, 프레임, 로프 등이다. 본 연구는 현대인들의 근골격계 질환중 대표적인 거북목 증후군의 특징을 이해하고, 도구 활용 요가를 통해 거북목증후군을 개선할 수 있는 맞춤형 도구 활용 요가 프로그램의 구성과 원리를 제안하였다.국문 요약문(10줄 내외) 본 연구의 요약은 연구의 목적과 방법, 결과, 논의와 결론을 정리하며 주제와 개요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적는다. As interest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creases, yoga, which aims to integrate body, mind, and spirit, has established as one of the daily sports. Recently, yoga using props has been used for rehabilitation purposes such as improving body balance, correcting posture, and relieving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cademic basis for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yoga using props and its therapeutic application. Yoga using props helps to recover body functions by safely and effectively relaxing or strengthening muscles using props. Props used in yoga are bolsters, chairs, ropes, belts, blocks, and blankets. The yoga with props helps to correct the posture and relieve pain by not exceeding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and maintaining an accurate and stable posture. The yoga program using props consists of preparation, posture correction and muscle strengthening, and relaxation phases. In this study, yoga programs using props tailored to relieve turtle neck syndrome were proposed.

      • KCI등재
      • 인도철학의 관점에서 본 대순사상

        이거룡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09 대순사상논총 Vol.20 No.-

        There is no place in the scriptures of Daesoonjinrihoe(大巡眞理會) where Indian philosophy is directly discussed. The philosophies dealt with in Daesoon thought are mostly those of Christianit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f course, the thoughts that are not widely known and those that are not considered to be worth comparing with the Daesoon thought must have been omitted. It seems that Indian philosophy and Daesoon thought have considerable similarity. First of all, the two philosophies are rooted in religion. True, there is no dearth of religious philosophies in the East, for instance, Confucianism and Taoism, and yet comparing Daesoon thought and Indian philosophy is significant because they both presuppose a theistic paradigm. At the core of the two perspectives, there is personal God, i.e., Isvara or Gucheon Sangje(九天上帝), upon whom human beings and the world absolutely depend as his creation. Unlike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the two philosophies are alike in being indifferent to proving the existence of the deity and focusing on his form and role.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y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four tenets of Daesoonjinrihoe(Eumyanghapdeok 陰陽合德, Shininjohwa 神人調化, Haewonsangsaeng 解寃相生, Dotongjingyeong 道通眞境) from the perspective of Indian philosophy in general, Purusa-sukta of Rig-veda, theistic Upanisads, and Ramanuja's Visistadvaita(限定不二論) in particular. Before making up the main subject, the author inquir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Ultimate Reality in Daesoon thought and Indian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