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呪詞에 타나난 時間觀 考察 - 鼻荊郞詞ㆍ志鬼詞ㆍ處容歌를 중심으로 -

        金榮洙 동아시아고대학회 2007 동아시아고대학 Vol.16 No.-

        이 논문에서는 <비형랑사>, <지귀사>, <처용가> 등의 呪詞에 나타난 시간관을 살펴보았다. <비형랑사>에서 脫時間을 드러내는 용어는 ‘魂’과 ‘鬼衆’이라는 표현이다. 초현실적인 존재이기에 현실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집이란 사람들이 거처하는 곳이지만 유독 <비형랑사>에서는 귀신들이 머물지 못하도록 명령하는 것은 庶出로써 ‘귀신을 쫓는다’(鄕俗帖此詞而辟鬼)는 한 맺힌 원리가 작용한 것이라고 본다. 즉, 以夷制夷의 방식으로 귀신에 대처하는 민중의식을 살필 수 있다고 본다. <비형랑사>는 비형랑이 유복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그의 영혼을 위로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설화로 본다. <지귀사>는 술파가 설화가 애초에 불교수행에 방해가 되는 여인들을 멀리하는 교화적인 설화였음에도 불구하고, 신라에 들어와 지귀가 선덕여왕을 사모하고, 여왕이 이에 너그럽게 대응하는 로맨스로 변용시킨 것은 신라인들의 설화수용 방식이 매우 포용적이고 낭만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설화는 혜공스님의 우려와 같이 세속인의 애정행각이 성스러운 사찰을 오염시킬 수 없다는 신성관념을 드러내는 설화로 보는 것이 옳다고 본다. 지귀가 못 이룬 염정을 불태우며 세속에서 불의 신으로 받들어진 것도 중요하지만, 이면에는 수도승들에게 수행에 방해가 되는 남녀의 염정문제에 대해 경계하는 의미 또한 내재한다고 본다. 이미 신으로 좌정한 고려 <처용가>에서의 처용아비의 모습은 매우 위력적이고, 무시무시하다. 그는 이미 향가 <처용가>에서 보여준 관용의 화신이 아니라 열병신을 쫓는 무서운 신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인간 처용으로서의 한계와 갈등을 드러낸 존재가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한 신격으로 변신하여 민중들의 마음속에 좌정한 존재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The author do considers narratives not folklore but stories in which historical truths were exaggerated, augmented, or reduced to be circulated. The fact that ancient Korean novels(古代小說) added moral factors (interest) to historical truths may reflect such viewpoint. Inquiring the origin narratives in the study of ancient novels, or habitual configuration of time, region, and characters in the beginning of novels is a method of pretending to be historical truths. Three Jusas (songs of spell) in ancient poetry were selected to be considered of their time perspective. ‘Bihyungrangsa(鼻荊郞詞),’ ‘Jiguisa(志鬼詞),’ and ‘Cheoyongga(處容歌)’ are individually worthy of controversy, and have factors with which literature, history, and tradition (folk customs) can be investigated. All the three works shared the basis of ‘Byek-sa-jin-kyung(辟邪進慶 : defeating evil and celebrating happiness)’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folklore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Once a historical event is included in folklore, it undergoes a process through which it is settled in the mentality of the public by way of Entzeitlichung(‘out of time’). In Bihyungrangsa(鼻荊郞詞), ‘a spirit’ and ‘group of ghosts’ represent its Entzeitlichung. They are distant from reality in some extent because they are surreal beings. Houses are a place where people live, but in Bihyungrangsa, ghosts are ordered not to stay in houses because a deplorable principle of ‘expelling ghosts’ by an illegitimate may be applied. Therefore, it shows the public awareness about treating ghosts through ‘defeating enemy by using of other enemy.’ Bihyungrangsa as a narrative may have been created for comforting Bihyungrang's spirit because he was a posthumous child (or his father was the spirit of King Jinjee<眞智王>). The origin of Jiguisa(志鬼詞) is India's Sulpaga(術波伽) narrative for educating Buddhist trainees that women should be avoided because they disturb learning, while Jiguisa, a Silla's narrative, is transformed to be a romance in which Jigui(志鬼) yearns after Queen Sundeuk(善德女王) and the Queen is tolerant for him. Therefore, it shows the way Silla received foreign narratives was greatly tolerating and romantic. However, Jiguisa should be considered a narrative showing sanctity that a love of the vulgar should not contaminate sacred temples, as represented by the anxiety of Monk Haekong(釋 惠空). In Goryeo's Cheoyongga(高麗 處容歌), Cheoyong-abi(處容) is greatly powerful and gruesome. He is already no more an incarnation of tolerance as in the Hyangga ‘Cheoyongga(鄕歌 處容歌),’ but is a frightful divinity who dispels demons of fever. While he represented the limitation and struggle as a male named Cheoyong (as shown in witnessing the sexual intercourse of his wife and the god of smallpox and appeasing his anger to the god), he is transformed to be a divinit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nd is settled in the mentality of the public.

      • KCI등재

        錦帶 李家煥 輓詩 硏究

        金榮洙,金孝貞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6

        이 글은 18세기 말 치열한 黨爭속에서 고뇌하며 살았던 錦帶 李家煥의 輓詩를 분석하여 그의 만시가 가진 문학적 가치를 확인하고 나아가 그의 시세계를 확장시 키는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만시는 인간사에서 가장 슬픈 일인 죽음을 소재 로 대상을 哀悼하는 마음을 담아 지은 시이다. 우리 조상들은 만시를 통해 살아남 은 자의 슬픔을 토해내고, 망자를 오랫동안 기억하려 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 후 喪禮의 보편화로 만시가 일반화되면서 점차 진심어린 애도의 마음보다는 남에 게 보여주기 위한 의례적이고 상투적 표현이 가득한 만시가 성행하였다. 금대는 이러한 세태 속에서 망자를 진심으로 애도하는 만시를 창작함으로써 기존 의 만시가 지닌 상투성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금대의 문집인 詩文艸과 錦帶詩 文鈔에 수록된 만시를 대상으로 먼저, 만시 창작의 대상과 형식을 구체적으로 분석 하여 형태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금대 만시에 나타난 애도의 양상을 亡者에 대한 칭양과 生者의 비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금대의 문학적 역량을 가장 잘 살펴 볼 수 있는 애도의 형상화 부분에서는 사실적 체험의 인용, 典故를 통한 묘사, 관습 적 표현의 활용 등을 통해 금대 만시가 지닌 문학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morial poems of Lee Ga Hwan, who lived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and thought long and hard about the social issues of his tim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cultural value of his poems and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of his poetic world. These memorial poems often use death as a topic through which to express one of the most profound feelings of sadness man can experience. Through such poems, our ancestors, cried out the grief of those left behind, while also making an attempt to remember the one who had passed away. However, since the middle era of the Josun Dynasty, such poems became more common place, due to the universalization of Sang-Rye(funeral rites), which turned them into more of a ritual and a cliché rather than something that conveys heartfelt sorrow. Admist these trends, Le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such poems as a tool to commemorate the dead with sincerity. First, the subjects and structures of the poems in his collections Shimuncho and Geumdae Shimuncho a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n, the patterns of mourning expressed in these poems are categorized into "praise for the dead" and "grief of those left behind." In parts where the imagery of mourning display's Lee’s literary abilities, the authors focus on the citations of realistic experience and descriptions that use scriptures and customary expressions in order to verify the literary value of his memorial po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