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etry in TESOL Teacher Preparation and Practice

        Hwang, Yohan(황요한)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7

        최근 들어 제 2외국어 교육은 문법과 시험에 초점을 맞춘 교수법에서 벗어나 사회 문화적 맥락을 보여 줄 수 있는 다양한 문학작품을 이용한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시를 이용한 영어 수업 또한 예외는 아닌데 많은 선행 연구들은 영어 학습자들의 시, 즉 결과물만 분석하는 것에만 집중되어 진행되어 졌다. 그로 인해 영어 수업에 시를 사용하기 원하는 교수자들에게 시를 왜 사용해야 하는지, 어떤 식으로 이용해야 하는지,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시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어를 제2외국어로 배우고 훗날 직접 영어를 가르치게 될 예비 교사들이 시를 기반으로 한 시 수업에서 영어 교수자로서의 정체성이 어떠한 식으로 변화하는지를 조사 하였다. 15명의 외국인 영어 예비 교사들이 15주 동안 시를 쓰는 방법에 대해서 배우고, 직접 쓰고, 워크샵을 통해 수정, 시 최종본 낭송, 시와 영어 교육의 연관성 토론 등 모든 과정을 질적 연구를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에 따르면 시 기반 학습을 통해 창의적이고, 예측 가능하지 않고, 간결하며, 의사소통에 초점을 둔 언어 교육 교실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학생들에게 단순히 문법적이고 과학적인 언어적 정보를 일방적으로 주는 전달자의 역할이 아니라 창의적이고 양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영어 교실을 만들기 위한 초석을 제시한다. Recently, second language (L2) researchers have shown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use of poetry that can apply to many learning situations (Hanauer, 2010; Zhao, 2015); however, poetry writing is often marginalized in L2 classrooms. This paper documents and showcases the interactions and experiences of fifteen pre-service TESOL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educators in a poetry writing course where they actively engaged in studying, writing, critiquing, and revising poetry. The main purpose of the course was to immerse them in poetry-based learning, helping them grow as artists to create more creative and meaningful L2 instruction in their own classrooms. The experience of poetry writing illuminate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TESOL teachers’ identities through the metaphor of “poet-teachers,” seeing L2 instruction as creative, unscripted, concise, and communicative teaching. Based on this finding,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poetry-based learning to see L2 acquisition as both art and science as well as L2 learning as process, product, and performance.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원격교육 인식 및 만족도 사전조사: 이프랜드(ifland) 앱 사용을 중심으로

        황요한(Yohan Hwa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최근 들어 원격교육의 하나의 플랫폼으로 메타버스(Metaverse)가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육공간의 일환으로서 메타버스의 장점을 살펴보고 교육적 가능성과 활용도에 관해서 조사한다. 이를 위해 대학 전공 수업에서 SNS 기반형의 메타버스 플랫폼 중 하나인 이프랜드(ifland)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32명 학생들의 경험과 기술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사전 설문조사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메타버스 수업 경험에 전반적으로 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새로운 플랫폼에 대한 흥미와 재미도, 아바타를 통한 3D 기반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한편으로는 현재까지는 다른 실시간 화상강의 플랫폼처럼 화면공유가 안 되는 점, PC버전이 없고 모바일에서만 구현이 되는 점 등의 기술적인 한계점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은 실시간 화상강의와 메타버스 수업 중 메타버스 수업을 듣는 것을 더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원격 수업을 제공할 경우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제안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icacy and future potential of a newly-emerging concept of a metaverse in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showcases various scenes that happened in the metaverse classes using the ifland app.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oretical grounds and preliminary survey findings of 32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as students in a metaverse space are engaged in the interactive learning process and environment with an avatar that projects oneself, it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platform coming from the benefits of gamification and edutainment. In addition, a metaverse space provides existential encounters and hands-on experiences, which in turn increases the level of 3D learning immersion. It may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online live streaming platforms such as Zoom or Webex that provide 2D experienc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further suggests a blueprint for online education suitable for the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로의 초대, 새로운 교육공간의 필요성과 미래교육에 관한 고찰

        황요한 ( Hwang Yohan ) 한국현대언어학회 2021 언어연구 Vol.37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and destination of a metaverse in the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The term metaverse is a combination of ‘meta’ and ‘universe’ rapidly emerging as a new medium for remote and distance learning in the COVID-19 era. Technically speaking, it refers to a series of techonological breakthroughs that create the shared virtual spaces, as either 3D environments or immersive virtual reality. Based on a review of the exploration stage of what human interaction and exchange may look like in a metaverse, this paper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a metaverse platform that provides existential encounters and learning immersion. Based on the metaversial exploration and theoretical findings, this paper proposes a blueprint to increase the quality and sense of the reality of distance and online education in the smooth and thoughtful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Jeonju University)

      • KCI등재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 활동을 통한 고등학생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조사 -스크래치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활용을 중심으로-

        황요한 ( Yohan Hwang ),문공주 ( Kongju Mun ),박윤배 ( Yuneba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2

        최근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실현 전략을 목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이 국내에서도 많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것은 정보과목 뿐 아니라 다양한 교과 활동과 연계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 소프트웨어 교육이 강화되면서,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지침(MOE, 2015)이 발표되었다. 이것은 교육부가 소프트웨어 교육을 얼마나 중요시하는 지를 보여준다. 소프트웨어 교육은 과학교육과도 관련이 있는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알고리즘 교육과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센서 측정 및 출력 제어 활동은 과학교육에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탐구 전략으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최근강조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 개발을 위해서도 적절한 교육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상에서의 과학적 문제를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EPL)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사용해 해결하는 탐구활동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고등학생들에게 적용해 보았다. 적용 전후 학생들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기 위해 컴퓨터 활용 능력 설문지를 소프트웨어 교육의 성취기준과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와 관련지어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언플러그드 활동과 EPL 소프트웨어 및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활용하여 구성된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프로그래밍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었으며, 컴퓨팅을 통한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되었다. 또한 소프트웨어 활용 탐구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흥미와 적극성, 과제집착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oftware (SW) education is guided by the government to operate not only computer subject matter but also related subject matter. SW education is highligh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Guide for Operating SW Education. SW education is related with science education. For example, education on algorithms employing SW and activities using sensors/output control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scientific inquiry. The method can also be applied in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CT) in students. In this study, we designed lessons to solve everyday scientific problems using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EPL) SW and physical computing materials and applied them to high school students. We conducted surveys that were modified from questionnaires of Internet application capability and based on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of SW education as well as elements of CT to find out the change in perceptions on programming and CT of students. We also conducted a survey on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ing after an SW inquiry activity. In the results, perceptions on programming and CT of students were improved through lessons using unplugged activity, EPL SW, and physical computing. In addition, scores for intere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ask commitment were high.

      • KCI등재

        과학적 문제해결과정과 컴퓨팅 사고의 관련성 탐색을 통한 컴퓨팅 사고 기반 과학 탐구(CT-SI) 모형의 제안

        황요한 ( Yohan Hwang ),문공주 ( Kongju Mu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1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는 2015 개정 과학교육과정 및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표준(NGSS)에서 새로운 탐구 기능 혹은 역량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2014년부터 교육부가 소프트웨어 교육을 필수화함에 따라 컴퓨팅 사고에 관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과학교육 분야에서 컴퓨팅 사고를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련 분야의 문헌 분석을 통해 컴퓨팅 사고 요소들을 과학 탐구에 접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컴퓨팅 사고의 요소에 대한 여러 정의를 정리하였고, 이를 활용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일반 문제해결 과정과 과학적 탐구과정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문제해결에 접목한 사례들과 비교하여 컴퓨팅 사고 기반 과학 탐구(CT-SI) 모형의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요소들을 이학 전문가들에게 제공하여 각 분야의 연구 과정과 컴퓨팅 사고 요소들을 접목하여 설명하게 한 후, 이를 기반으로 문제발견형 CT-SI 모형과 문제해결형 CT-SI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두 모형은 이학 전문가들에 의해 모형의 단계가 각 분야의 연구에 활용 가능하다고 검토받았으며, ‘문제발견형’은 과학 연구 과정에서 정보를 선별하고 문제를 분석하는 과정과 이론적 연구에서 근거를 기반으로 하는 추론 연구 과정에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문제해결형’은 과학의 일반적인 연구 과정 및 공학설계를 활용한 공학적 문제해결과정에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현장 교사 2인에 의해 중고등학교 현장 탐구 수업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다양한 과학 교과의 탐구 활동과 연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료의 수집, 분석 및 해석’, ‘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역량을 길러줄 수 있을 것이다.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 suggest computational thinking as an inquiry skill or competency. Particularly, concern in computational thinking has increased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required software education since 2014. However, there is still insufficient discussion on how to integrate computational thinking in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pare a way to integrate computational thinking elements into scientific inquiry by analyzing the related litera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summarized various definitions of the elem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analyzed general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cientific inquiry process to develop and suggest the model. We also considered integrated problem solving cases from the computer science field and summarized the elements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Scientific Inquiry (CT-SI) model. We asked scientists to explain their research process based on the elements. Based on these explanations from the scientists, we developed ‘Problem-finding’ CT-SI model and ‘Problem solving’ CT-SI model. These two models were reviewed by scientists. ‘Problem-finding’ model is relevant for selecting information and analyzing problems in the theoretical research. 'Problem solving' is suitable for engineering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a general research process and engineering design. In addition, two teachers evaluated whether these models could be used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models we developed in this study linked with the scientific inquiry and this will help enhance the practices of ‘collect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use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computer’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강의 인식 조사: 대학생의 만족도와 불안도를 중심으로

        황요한 ( Hwang Yohan ),김창수 ( Kim Changsoo ) 대한언어학회 2021 언어학 Vol.29 No.1

        The outbreak of the coronavirus has dramatically changed the way people live and inevitably transformed the practice of social distancing which has changed the forms and methods of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and operation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n a university setting during COVID-19.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conducts an in-depth analysis of 255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toward satisfaction and anxiety over online learning and new circumstances surrounding online education. The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The main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satisfaction in an online classroom environment come from the easy access to course content and opportunities for review and the possi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beyond time and space limitations. Second, in order to increase its effectiveness, both internal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urse contents and external support for student and class management have to be (re)consider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crisis to opportunity,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careful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new procedures and guidelines for inclusive and resilient online education systems in the aftermath of COVID-19.

      • KCI등재

        영어교육을 위한 인공지능(AI) 스피커의 활용과 교육적 가치에 관한 연구

        황요한 ( Hwang Yohan ) 대한영어영문학회 2021 영어영문학연구 Vol.47 No.1

        Recently,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aker realized by speech recognition and synthesis technology has fast become a supplementary instrument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including English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effective applications of an AI speaker (Google Home Mini) and its future potential for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firstly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sing an AI speaker from a cognitive and linguistic perspective. Then, it documents actual experiences of sixteen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ith an AI speaker for creating their own lesson plan. The results show that an AI speaker provides individualized learning beyond time and space limitations and increases the level of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troducing new and additional ways and methods for English education. In addition, it is helpful for pronunciation and speaking practices, in particular, because it lowers students’ affective filter and improves listening concentration. Although all participants perceived its effectiveness in a positive way, using an AI speaker for educational purposes has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provide human-like accuracy and spontaneous feedback. This is the reason why the use of an AI speaker has to be situated in well-designed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making students have open-ended conversation with AI.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sheds new lights on how capabilities of AI speaker technology make learning more engaging and teaching more artificially apprehendable. (Jeonju University)

      • KCI등재

        미래 교육을 위한 기술의 융합: ChatGPT의 등장, 그리고 메타버스는 어디로 가는가?

        황요한 ( Hwang Yohan ) 한국현대언어학회 2023 언어연구 Vol.39 No.1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generative AI, such as ChatGPT and DALL-E, on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use of the metaverse. Through a detailed comparison between ChatGPT and the metaverse trend, this paper suggests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metaverse. Specifically, it explores how generative AI systems that create multimodal content can complement the creation of metaverse content and environments. Furthermore, it proposes various ways in which programs like ChatGPT can enhance the form and utilization of non-player characters (NPC) avatars and reinforce new forms of interaction within the metaverse worl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article highlights the new roles of teachers in this new era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convergence of technologies for future education. (Jeonju University)

      • KCI등재

        대학생들의 팀플 선호와 기피에 관한 연구: MBTI 성격유형 검사를 중심으로

        황요한 ( Hwang Yohan ),김창수 ( Kim Changsoo ) 대한영어영문학회 2023 영어영문학연구 Vol.49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s and aversions for team projects. Various variables, including gender, major, military service, and frequency of team project participation, are examined, focusing on personality and motivation. Especially, the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each personality type indicator in the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on students’ team project experience and percep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Sentiment analysis revealed predominantly negative emo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towards team projec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ference for team projects among various factors such as major, gender, age, and military service.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among all groups. Students with more team project experience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preference for team projects, self-efficacy, and the value of cooperation.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for team projects among MBTI personality types,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practical ways to establish a positive team project culture in the university setting. (Jeonju University · Geonyang Univers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