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 ‘負’와 한국어 ‘지다’ 동사의 통사적 의미 대응 관계 고찰

        황신애 한국중국문화학회 2012 中國學論叢 Vol.36 No.-

        어휘연구에 있어 통사론적 관점에서 어휘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하겠다. 본문에서는 한국어 고유어인 ‘지다’ 동 사가 갖는 의미 중 상당부분이 중국어 ‘負’ 동사와 연관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들이 각각 한국문헌과 중국문헌에서 사용된 용례들을 찾아 통사론적 관점 에서 그 의미를 살펴보고, 아울러 이 두 어휘의 의미 대응관계를 통해 이들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이들의 역사적 관계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 다.

      • KCI등재

        上古時期 ‘씻다’류 어휘 연구

        황신애 중국문화연구학회 2023 중국문화연구 Vol.- No.61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washing” in the Pre Qin and the LiangHan vocabulary as a study of vocabulary history. We also looked at the aspects and systems of the “washing” vocabulary of the above period. During the Pre Qin and the LiangHan period, there are a total of 15 vocabulary words such as “沐(mù)”, “浴(yù)”, “盥(guàn)”, “濯(zhuó)”, “澣(huàn)”, “澡(zǎo)”, “洒(sǎ/xǐ)”, “洗(xǐ)”, “洮(táo)”, “沬(huì)”, “蕩(dàng)”, “滌(dí)”, “漱(shù)”, “漑(gài)” and “漂(piǎo)”. They have different objects in the semantic field, forming complementary and organic relationships. Looking at the vocabulary of “washing” at the time, “沐” is used to wash body parts of a person or animal. It has “body” and “head” as objectives. “浴” has a human body, that is, “body”, as the object. “盥” has “body”, “face”, and “hand” as the object, and objects such as bowls also have objects as the object. “濯” has “body”, “hand”, and “foot” as the object, and “bowl”, “satgat”, and “clothes” as the object. Sometimes it has an abstract mind or mind as an object. “澣” has only “clothes” as the object. “澡” has “body” and “hand” as the object, and “clothes” as the object. Sometimes they have “spirit” or “mind” as their object. “洒” has abstract things as an object. It is used to wash away “spirit”, “heart”, and “disgrace”. “洗” is the vocabulary word with the most objects. The object is the body of a person or animal (body, face, hands, feet, ears, dirt, etc.), and the object is the bowl. Sometimes “spirit” or “mind” is used as an object. “洮” has “hand” as the object. “沬” has “face” as the object. “滌” has “bowl (tableware)” as the object. “蕩” originally used “bowl” as the object. The category is extended and used to wash away dirty or contaminated things. “漱” has “mouth” as the object and “clothes” as the object. “溉” has “bowl” as the object. “漂” has “clothes” as the object. In the Pre Qin and the LiangHan periods, the vocabulary of “washing” becomes the leading vocabulary in future generations. The reason is that “洗” has various objects. Through future vocabulary research,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vocabulary of “washing” type.

      • KCI등재

        《三朝北盟會編》에 출현하는 ‘말하다’ 어휘 연구 : 제1권〜제20권을 중심으로

        황신애 한국중국문화학회 2008 中國學論叢 Vol.26 No.-

        중국어 어휘연구는 어음연구 및 어법연구와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많이 미약한 실정이다. 특히 근대중국어의 영역에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최근 들어 근대중국어의 어음과 어법연구는 많은 관심과 기대 속에 국내외에서 괄목한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근대중국어의 어휘연구는 여전히 취약한 상태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본문에서는 어휘연구의 기초라 할 수 있는 텍스트 어휘연구를 바탕으로 宋代 문헌 중 하나인《三朝北盟會編》(이하《三朝》라 약칭함)에 반영된 구어자료를 토대로 해서 《三朝》에 출현한 ‘말하다’ 어휘를 살펴보고자한다.《三朝》는 송대 徐夢莘(1126〜1207)이 편찬한 편년체 역사서로, 宋대 ‘徽宗, 欽宗, 高宗’ 세 왕조시기의 송나라와 금나라 양국 간의 전쟁과 화평의 교섭관계를 기록한 책이다. 이 책은 宋 政和 7년(1117년)부터 紹興 32년(1162년)까지 46년간의 역사 사건을 날짜별로 기록하고 있는데, 上海古籍出版社 영인본을 기준으로 전서 250권, 목판 3589엽, 총 130만자에 달하는 방대한 서적이다.《三朝》가 지니는 한어사적 가치는

      • KCI등재

        한국 한자와 중국 간화자의 학습 상관성에 관한 대학생 인식 및 학습 실태 연구 — 대학 학부생 중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황신애,김지영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5

        South Korea and China are countries belonging to the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the two countries' text and language are closely related geographically and historically. The two countries based on Chinese character culture have developed literature and art through their own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records for thousands of years, using a common medium called Chinese Characters. The two countries have used the same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culture for many years, but the Chinese Characters used in both countries are different in their forms. Currently, traditional shaped Chinese Characters is used in Korea based on the shape of Kang Hee Jajeon, while in China, The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is used. This study surveyed learners' perceptions and realities about the learning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simplified characters. In order to examine the existence and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and simplified character learning, we conducted the study in two aspects. One is to look at learners' perceptions of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simplified learning correlations through a survey response method for students currently learning Chinese at universities, and the other is to use specific survey responses to identify simplified characters that match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to examine the correct rate of selection by learning level and to see if the results of the respondents' recognition survey actually match the learner's selection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we checked the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and also looked at the status of learners' study about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degree of Chinese characters acquisition and Chinese language acquisition. 한국과 중국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나라로 양국의 문자와 언어는 지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다. 한자문화권 기반의 양국은 漢字라는 공통된 매개를 사용하여 수천 년 동안 자국의 언어와 문화 및 문헌기록을 통해 문학·예술 등을 발전시켜 왔다.양국은 오랜 세월 한자문화권에서 同一 漢字를 사용하여 왔으나, 현재 양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漢字는 그 형태가 사뭇 다르다. 현재 한국에서는 강희자전 자형을 기반으로 한 전통 자형의 漢字를 사용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간화자를 사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자와 간화자의 상관 관계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를 통해 두 문자 체계간의 학습 상관성을 파악해 보았다. 한자와 간화자 학습의 상관성 유무와 상관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고는 두 가지 측면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나는 현재 대학에서 중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 방식을 통해 (한자와 간화자간 학습 상관성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통한자와 일치하는 간체자를 찾아내는 구체적 설문 응답을 통해 학습 수준별 간화자 선택 정답률을 살펴보고 또 응답자들의 간화자 선택 인식조사에서 나타난 결과가 실제로 학습자들의 간화자 선택 결과와 부합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자와 간화자 학습의 상관성에 관한 대학생들의 인식 실태를 파악하고, 아울러 한자 습득과 중국어 습득 정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간화자 학습 실태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논문(論文) : 한중 한자 비교를 통한 한국 한자어의 통시적 의미고찰 -형태소 한자를 중심으로-

        황신애 한국중문학회 2013 中國文學硏究 Vol.0 No.53

        漢字作爲世界寶貴的文化遺産,타至少有數千年的曆史了. 漢字産生於中 國,比較容易被其他民族所借用,如韓國,日本和越南都有用漢字書寫的曆史 階段.幷且漢字對周邊國家的文化及語言的産生有巨大的影響,從而形成了一個 共同使用漢字的漢字文化圈,在韓國、日本和越南,漢字被融合成自己語言的 文字. 在我國,近幾十年來漢字的使用頻率越來越少,而在韓語中使用了大量 的漢字詞彙. 本文主要以韓語詞語中固有意義的漢字爲硏究對象,試圖爲讀者 提供一些韓語固有意義的漢字信息. 漢字是屬於表意文字的語素音節文字. 漢 字可說是一個文字符號紀錄一個語素的意義. 本文先從韓中詞彙的語素中把不 同意義的語素或者只有韓語而沒有漢語的語素조出來,再進行分析和硏究. 韓語中固有意義的漢字可分爲五個大類. 1. 韓語專用語素的漢字 1) 便 ``便``,《說文》: "安也. 人有不便, 更之." ``便``,韓中詞語中有主要共同語素 義.如,1.方便,便利 2.方便的時候或順便的機會 3.非正式的,簡單的 4.屎 或尿 5.就、則. ``便``,韓國固有語素義有``一方``、``方向``義. 此外,還有``客``. 2. 包含韓國文化習俗的漢字 ``函``中國有``包含,含有``義.引申爲``匣子、箱子``義.韓國有結婚時,新郞送給 新娘的箱子義.箱子裏有采緞、婚書紙和禮物.此外,還有``契``, ``柶``, ``淸[靑]``, ``藥``, ``太``, ``吐``, ``周``. 3. 加在姓名或陳述一個人出處的府宅後面的漢字 這些漢字有``哥``,``宅``, ``前``. 4. 有關親屬的漢字 這些漢字有``査(頓)``,``媤``,``嫂``,``妹``,``寸``等. 5. 有關行政地區的漢字 這些漢字有``洞``,``面``.

      • KCI등재

        한자어 ‘당신(當身)’ 의미의 통시적 연구 (韓中文獻에 나타난 用例를 중심으로)

        황신애 한국중국문화학회 2013 中國學論叢 Vol.39 No.-

        本文主要以韩国汉字词'当身'词汇为研究对象。本文主要研究在中国和韩国文献中'当身'词汇的使用情况及历史演变。从中国文献看,先秦时期'当身'应该把它看成述宾结构。就是'及于自身'义。不过,先秦时期这些用法不多见。'当身'的'及于自身'义一直到魏晋南北朝时期。另外,'当身'这个词从前汉时期到魏晋南北朝时期有'自身、本人'的意义。'当身'表示'自己、本身'义时应该读成'dàngshēn'。'当身'到唐代,它的使用频率会增加。这个时期'当身'除了有第三人称反身代词的用法以外,还有第一人称反身代词的用法。'当身'到宋元时期在中国文献中偶尔出现,到后来越来越少见了。现代汉语里不再使用'当身'这个词。韩国文献中的'当身'词汇可以分为两种情况。一是韩国汉文文章中的例子,二是韩国韩语文章中的例子。前者是在发明韩文之前,学者都用汉字来写文章。这些句子里的'当身'词汇和中国文献中的'当身'词汇相比在用法和意义上没有什么差别。不过,在韩国韩文文献中的使用情况有点不同。'当身'从15C到19C前期在韩国韩文文献中都表示第人称尊称代词。到19C末,'当身'表示第三人称平称代词,又表示第二人称代词。这个时期表示第三人称尊称代词的'当身'多用于宗教文献。现代韩语里仍然使用表示第三人称尊称代词的'当身',不过一般只限于书面文章里面而口语里很少用。19C末,我们可以看到'当身'表示第二人称代词的例子。这些例子都有尊称义和平称义的'当身'例。到20C初,从第二人称代词'当身'引伸为在夫妻之间使用的指称语。特别在太太指称丈夫时使用。后来,丈夫指称太太也可以使用。汉字词'当身'在韩国已经成为根深蒂固的一般词汇了。

      • KCI등재
      • KCI등재

        1912년 간행된 중국어 성경의 언어 특징 연구 — 『쉐레쉐브스키 쉬운 문리역』과 『관화체화합본』의 마태복음을 중심으로

        황신애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7

        성경은 기독교의 중요한 경전으로 히브리어로 된 구약성경 39권과 헬라어로 된 신약성경 27권 총 6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경은 종교개혁 이후부터 현재까지 각국 언어로 끊임없이 번역되어 읽히고 있는 세계 최대 발행, 최다 역본으로 꼽히는 서적이라 할 수 있다. 성경은 전 세계에 기독교의 전파를 위해 세계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보급되었는데 중국어 성경 역시 초기에는 중국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중국어 성경 번역은 기독교가 중국에 들어온 이래 중국에서 활동하는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개신교 선교사들이 주축이 되어 번역한 1912년 상해에서 간행된 『쉬운 문리체 역본』을 연구대상으로 20세기 초 당시의 중국어 성경의 언어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쉬운 문리체 역본』은 당시 『화합본(관화체 역본』과는 확연히 다른 문체를 사용하고 있는데, 우리는 당시 두 역본의 비교를 통해 100여 년 전의 중국어 성경의 언어적 특징과 어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1912년판 『쉬운 문리체 역본』의 언어 특징을 보면 半文言·半白話의 성격을 지니는데,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문리역의 형태로 되어 있어 성경 상에 문어체의 특징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일반어휘를 보면 단음절어의 사용이 많고 『화합본(관화체 역본)』과 비교해 문언 어소나 어휘들을 그대로 사용한 흔적들이 보인다. 음역어도 많이 보이는데, 이는 성경의 특성상 인명과 지명이 많은 것에 따른 요인으로 보인다. 음역 어소는 『화합본(관화체 역본』과 비교해 동음자나 이체자가 사용된 경우가 많이 보인다. 또한 현대중국어에는 사용되지 않는 소멸어휘들이 다수 보이는 특징을 지닌다.

      • KCI등재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대체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황신애,이승민,Hwang, Shin-Ae,Lee, Seungmin 한국비블리아학회 202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1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limitations and problems in access to information using reading aids de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the use of alternative materials using reading aids devices.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of limitation in using reading aids devices. The analysis resulted in six aspects of limiting factors in activating the use of reading aids devices. The approaches for activating the use of reading aids devices were proposed by dividing them into policy and operational aspects, focusing on the limiting factors derived. Policy aspects suggested developing low-cost reading aids devices, increasing awareness of the devices, and complying with Web standar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applicability of the devices, while operational aspects suggested reinforcing hearing-use functions, expanding information services related to reading aids devices, and enhancing portability of the devices.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들의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정보접근에서 발생하는 한계와 문제점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서보조기기를 이용한 대체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인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 분석 결과를 통해 독서보조기기의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있어서의 제한요인을 여섯 가지 측면으로 도출하였다. 도출한 제한요인을 중심으로 독서보조기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정책적, 운영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저가의 독서보조기기 개발, 독서보조기기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 제고, 독서보조기기 적용성 향상을 위한 웹 표준 지침 준수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운영적 측면에서는 시각 이외에 청각 활용 기능의 보강, 독서보조기기 활용 관련 정보서비스 확충, 독서보조기기의 휴대성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