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웨덴 교육과정에 나타난 민주주의 이념분석 : 1940~60년대와 1990년대 이후

        황선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4 평생학습사회 Vol.10 No.1

        This paper aims at finding out the type of democracy that Sweden seeks to realize in its education. To answer the above question, the article compared the curriculum between 1940s-1960s and the period after 1990s and employed governmental research papers used as basic data to revise the above curricula. Contending theoretical perspectives are raised here as individual-centered and society-centered democracy. From the two differing view points on democracy, it analyzed the changes in democracy that Sweden have pursued. Using the analysis of ideas, this research dissected the views on democracy, perceptions on social realities and educational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democracy shown in the governmental research papers.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Educating the young to inculcate their democratic civic attitudes is one of the highest values of the Swedish education. Yet, this pursuit of value showed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 periods. In the 1940s, only the democracy was touted as a system to ensure the future society enshrined in reason and peace. It was promoted as the only way to eradicate the totalitarianism culpable of the World War I and II. To this end, emphasis was put on the social role of education to teach the young to be independent, critical and cooperative to make contributions to the social reforms. On the other hand, in the 1990s, more focus was placed on the individual capabilities of the young so that they could express their opinions and demand, listening to others’s views. That is, education in the 1940s emphasized the active role for building democratic society, while the decades after 1990s the passive role for transmitting democratic thought and principles. These divergent views on the role of education seems to reflect the Zeitgeist of the periods under research. Moreover,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9-year-long universal compulsory education system, suggested in the 1940s and completed 60s, is the heart of the endeavor for educational democracy. School choice introduced in the early 1990s seems to overlook the pursuit of public good in education and lead to seeking private good. In a nutshell, Sweden tried to realize society-centered democracy in the 1940s and individual-centered democracy in the post-1990s in its educational system. 이 연구의 목적은 스웨덴은 교육을 통해 어떤 민주주의를 추구하는가이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1940∼60년대와 1990년대 이후의 교육과정과 이들 교육과정 개정에 기초가 된 교육 분야의 정부연구조사보고서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이론적 배경은 많은 점에서 서로 대칭되는 개인중심 및 사회중심 민주주의다. 방법론으로는 이념분석(Analysis of idea, ideology)을 사용하여 민주주의에 대한 시각, 현실인식, 민주주의 창달을 위한 교육적 제안 등을 자료를 통해 분석하는 기법을 사용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민주주의의 원칙과 철학을 신봉하는 아이들을 키우는 민주주의 시민양성이 스웨덴 교육의 가장 큰 가치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가치 추구가 1940년대와 1990년대 이후의 두 시기 사이에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1940년대엔 세계 대전의 주범인 전체주의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으로 민주주의를 표방하며 민주사회만이 이성과 평화가 깃든 미래 사회를 보장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교육이 독립적이고 비판적이며 협력하는 학생들을 길러내어 사회개혁에 기여하는 사회적 역할에 초점을 두었다. 반면 1990년대 이후에는 학생 개개인의 자질에 초점을 두어 자신의 의사와 요구를 표시하고 남의 의사를 존중하며 경청하는 민주시민을 길러내는 교육의 개인적 차원에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즉 1940년대는 민주사회 건설을 위한 교육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한 반면에 90년대 이후는 민주주의 사상과 원칙을 전달하는 소극적 역할에 치중하고 있다. 나아가 40년대에 제안되고 60년대 초에 완성된 9년제의 보편적 의무교육은 교육민주화의 꽃이라고 한다면 1990년대 초의 도입된 학교선택제(school choice)는 교육에 있어서의 공공선의 추구라는 임무를 저버리고 사적인 선의 추구로 전락한 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스웨덴 국가가 추구한 민주주의는 1940년대의 사회중심 민주주의에서 1990년대 이후의 개인중심 민주주의로 뚜렷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스웨덴의 방과 후 활동과 시사점

        황선준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3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4 No.-

        Swedish Fritidshem is an institution for students after their school. The Fritidshem can give the possibility for parents to work and take care of their kids. Specifically, it is an important institution for women who want to work in the labour market. The Fritidshem has a long history, adopted at the end of 1880s in Sweden. To take part in the Fritidshem is not expensive: Parents pay for just 17% of the total cost for the Fritidshem, the rest of 83% is supported by the local government budget. Most of the students, 83-84% of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 in the Fritidshem. The quality of the Fritidshem was quite high, but it has been down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early 1990s. Implications to Koreans : The swedish state takes the responsibility for the education and child-care of its people. The Fritidshem is stated clearly in the Education Act and the curriculum. Thus, the Fritidshem can stably upgrade with the support of the state. The teachers of Fritidshem are permanently employed by the local government. They can even support teaching in class and decrease the workload of classroom teachers. The Fritidshem is as important as that it is not a continuum of classwork but functions like stimulating students in the diverse activities, arousing their curiosity, helping them settle their self-esteem and identit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e program like the Swedish Fritidshem is needed to develop considering that the more women in Korea can have possibility to work in the labour market and at the same time take care of their children.

      • FAR-27에 따른 헬리콥터 SAS 설계 연구

        황선준,배상준,김준형,박성수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4

        본 논문은 FAR27 요구조건에 따른 헬리콥터 안정성 증대장치(Stability Augmentation System, SAS)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BO-105헬리콥터를 대상으로 비선형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고, 호버링에 트림조건을 적용하여 선형화 모델에 구성한 후 헬리콥터 상태변수 총 21개 중에서 동체에 해당하는 8개의 상태변수로 축약모델을 구성하였다. 축약모델을 대상으로 전체 상태 피드백(Full State Feedback)방식으로 LQR(Linear Quadratic Regulator)기법을 적용하여 이득(Gain) 값을 구해 SAS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21개 전체 상태방정식에 적용해 시뮬레이션을 하여 두 결과를 비교하였다. 설계된 SAS는 불안정한 헬리콥터의 피치(Pitch), 롤(Roll), 요(Yaw) 3축의 자세를 안정화 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FAR-27규정에 부합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how to design a helicopter SAS to satisfy the regulations for handling qualities listed in FAR-27. Firstly, a nonlinear mathematical model for BO-105 is built, which is satisfied with Level 2 class suggested by Padfield('96). secondly, The nonlinear model is linearized about the trim condition at hover using analytical methods. And then, the 8X8 reduced state system model is extracted from the 21X21 full state system model for convenience' sake. Finally, a LQR methodology is applied on the reduced model by using full state feedback to get gain values for Q and R, and a helicopter SAS is designed. To validate the designed SAS, simulations are performed and results are compared with two reduced and full state system model cases. The designed SAS shows good dynamic stabilities for pitch, roll, and yaw, which meets regulations listed in FAR-27

      • KCI등재

        "선택의 자유" 개념의 생성과 전개과정에 대한 개념사적 분석: 스웨덴 교육을 사례로

        황선준 ( Sun Joon Hwa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웨덴 교육에서 ‘선택의 자유’ 개념의 실재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Koselleck의 개념역사학 방법론을 사용하여 맥락과 상황의 중요성을 강조한 semasiological, onomasiological, diakron, synkron 분석기법을 적용했다. 스웨덴 사민당과 보수당의 정부 제안과 야당 발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사민당의 헤게모니가 강한 1980년대 이전에는 ‘선택의 자유’ 개념이 정치적으로 표면화되지 않았다. 1980년대 서구사회를 휩쓴 신자유주의 바람과 함께 보수당은 ‘선택의 자유’ 개념을 교육 분야에 도입하여 학교 내에서의 과목선택, 공립학교와 자율학교 사이의 선택, 공립학교 사이의 선택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이러한 ‘선택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하여 보수당은 집권 시(1991-94년) 자율학교제도 및 ‘학생을 따라가는 교육비제도’의 도입과 공립학교와 자율학교 사이에서의 법적, 경제적 동등을 추구했다. 사민당은 ‘선택의 자유’ 개념의 사용을 꺼려하거나 우파정부의 ‘선택의 자유’ 개념과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자신이 재집권한 1994년 이후 사민당은 ‘선택의 자유’에 대한 우파의 정책을 되돌리지 못하고 오히려 자신의 정책으로 수용했다. ‘선택의 자유’ 개념에 대한 두 당 사이의 논쟁은 하나의 뚜렷한 유형을 띠었다. 보수당은 ‘선택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쪽에서 사민당을 압박했고 사민당은 ‘선택의 자유’ 개념을 서서히 수용했다. 사민당이 보수당과 유사한 ‘선택의 자유’ 개념을 수용했을 때 보수당은 사민당과의 차별성을 위해 ‘선택의 자유’를 더욱 확장하는 쪽으로 이전했다. 보수당은 현재 ‘전국단위의 교육비제도’를 주창하며 전국을 하나의 단위로 완전히 개방된 ‘선택의 자유’를 주장하는 반면 사민당은 ‘등거리원칙’을 고수하며 공립학교의 존속을 전제한 ‘선택의 자유’를 주장하고 있다. 두 당 사이의 ‘선택의 자유’ 개념에 대한 시각의 차이는 ‘교육평등’ 또는 ‘교육동등가치의 원칙’ 개념에 대한 시각 차이에 주로 기인한다. 사민당은 교육평등을 ‘학업성취도 편차에서의 최소’로 해석했고 보수당은 학생 개개인의 ‘최적의 발전’으로 이해했다. 사민당이 전통적으로 우파 개념인 ‘선택의 자유`` 개념을 자신의 개념으로 수용한 순간 ‘선택의 자유’ 개념에 대한 논쟁은 보수당의 승리로 끝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freedom of choice’ which has been discussed and applied to the Swedish education since 1980s. The study is based on Koselleck`s premise that a conceptual history is a reflection of a social history, and has utilized his semasiological, onomasiological, diakron and synkron analysis techniques. The analysis was mainly based on the government bills and the opposition party`s motions produced by The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SAP) and The Moderate (Conservative) Party (M) in Swed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The concept ‘freedom of choice’ has not been a political issue before the 1980s, which was under the age of SAP`s strong hegemony in Sweden. With the neoliberal wave sweeping through the western society in the 1980s, M has succeeded in implanting the concept ‘freedom of choice’ in the education sphere with three different meanings: a choice of subjects within the school; a choice of school between the public and independent school; a choice of school among the public schools. In order to implement these choices M has, while in power from 1991 to 94, introduced the system of independent schools and furthermore pursued the equal treatment of the public and independent school especially in the economic and legal aspects. SAP has initially been quite reluctant to adopt the concept ‘freedom of choice’ and, while in opposition, it had severely criticized M`s use of the concept and its policies as well. However, when SAP took over power again in 1994, the party could not roll back any of M`s policies, rather it had ironically embedded the concept ‘freedom of choice’ to their policies. There is a clear pattern in the struggle between SAP and M in using the concept ‘freedom of choice’. M has always pressurized SAP to increase the freedom of choice and SAP gradually adopted the concept. When SAP`s use of the concept became closer to that of M`s, M has, for the sake of differentiation, moved toward the most extreme application of the concept ‘freedom of choice’. Currently M insists on ‘the nationwide freedom of school choice system’ while SAP insists on ‘the short distance principle’ and is willing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the public and independent school. These different views from the two political parties stem mostly from the different views on the ‘Equality of Education’ or the ‘Equal Value Education Principle’. SAP always interpreted the Equality in education as the minimum gaps in school performance but M did it as the optimal development of individuals. As matter of the fact, it was a clear victory for M over the struggle of the concept ‘freedom of choice’ from the time when SAP started to adopt the concept ‘freedom of choice’ as their own,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one of the most important right-wing ide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